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국어 세계지도의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조대헌,이상일,구형모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11년 제작한 세계지도를 바탕으로 다국어(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세계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세부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언어권에서 기 제작된 세계지도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다국어 세계지도 제작의 핵심인 다국어 지명 리스트의 작성 방안을 수립하며, 셋째, 다국어 지명 리스트 작성을 실제 실행한 후 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주어진 제한된 여건 속에서 다국어 세계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전 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다국어로 표현하는데 있어 과제 또한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국내외의 세부적인 지명을 다국어로 표현하기 위한 세부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별도의 전담 조직과 지원 시스템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rocedure of producing multilingual world maps (French, Spanish, Portuguese, and Arabic) based on the world map that wa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2011. To that end, an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world maps is undertaken. Then, a method to draw up the multilingual list of geographical names is established. Finally, the list of multilingual geographical names is compiled, and som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are deriv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resolve to represen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world in multiple languages. It is learned that, in order effectively to label worldwide geographical names in multiple languages, detailed guidelines should be made and an organization or a department of it needs to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these tasks with supportive efforts by other organizations.

      • 효율적인 다국어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연구

        박문목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 Vol.2007 No.1

        세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다국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겨우 기존에 알려진 방법들에 비하여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효율적인 다국어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재난안전정보 다국어지원 현황 연구

        한아름,이충호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고에서는 국내 체류 외국인이 긴급하게 대응해야하는 재난 상황 속에서 보다 정확하게 ‘긴급재난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한일 양국의 다국어 긴급재난정보의 현황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지금까지 정부 차원에서 수립하여 시행한 다국어 지원 대책을 토대로 다국어 지원 서비스의 범위와 정보전달 매체가 확대되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차원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정도가 각 기관별・지자 체별로 상이하며 결혼이민자와 외국인근로자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어 유학생이나 외국국적 동포, 난민, 단기체류자인 계절노동자, 관광객 등은 여전히 재난발생 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어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한편 일본의 경우 다국어지원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외국인 이주민과 노동자뿐만 아니라 유 학생 및 관광객을 포함한 모든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재난안정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여 보호하 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재해 시 외국인지원 정보코디네이터’ 활용, 「재해다국어 지원센터」 설치하여 외국인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행할 수 있는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향후 일본의 재난정보 제공 정책 등을 참고하여 정책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체류 목적이 나 기관을 불문하고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이라면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재난안전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동안 대형 재난 발생 시마 다 대증적 접근으로 제각각 생산되어 분산되어 있는 다국어 재난안전 정보를 통합하고 체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국어 서비스 지원 전문기관의 설립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e current status of multilingual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 Korea and Japan is examined for ways that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can more accurately understan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 a situation of disaster that needs to be responded to urgently. In the case of Korea, the scope of multilingual support services and information delivery media has been expanded based on the multilingual support measure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t the Government level so far, and there have been tangible results ranging from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activities. However, the type and degree of services provided differ by each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focus was mainly on marriage immigrants and foreign workers. Therefore, international students, foreign nationals, refugees, seasonal workers who are short term residents, tourists, etc. still can’t get information in case of a disaster. So, the problem of blind spots needs to be solv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Japan, they are preparing a plan to provide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to protect them, not only for foreign migrants and workers, but also for all foreign residents includ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urists. For the purpose, a system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to foreigners is being established by utilizing “Foreigner support information coordinator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establishing a “Disaster Multilingual Support Center.”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Japan's disaster information provision policy, etc., it seems tha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protect them by expanding the scope of policy targets, so that any foreigner residing in Korea,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ir stay or institution, can obtain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without being alienated.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ingual service support institution should be promoted to integrate and systematize multilingual disaster safety information produced and distributed separately through a conservative approach in each case of a major disaster so far.

      • KCI등재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조용완,이수상,Cho, Yong-Wan,Lee, Soo-Sa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1

        최근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함께 민간단체 등에서 비롯된 다국어/다문화자료의 구비와 다국어/다문화 정보 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공공도서관으로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들은 국가 도서관 정책단위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등)로부터 정책, 예산, 기술적 지원을 풍부하게 얻지 못한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자료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개약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들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다국어/다문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전국적 차원에서 국내 도서관들의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와 관련된 국가적 차원의 도서관 정책 뿐만 아니라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개별 도서관들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library services in Korea. To do this, a survey aimed at the public libraries,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al bodies that provided library services with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materials was conducted. Also, 15 librarians and the persons in charge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not only regarding national library policies but also regarding public libraries providing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o local us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국어 자동 통번역을 위한 공통 변환 기반 하이브리드 자동 번역 방법

        최승권,김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6 통번역학연구 Vol.20 No.3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and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fast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technology no longer remains as a subject of research as it has become popularized throughout many user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method of hybrid machine translation based on common transfer for multilingual speech and machine translation. As of 2012, there are different bilingual machine translation systems such as Korean-to-English, English-to-Korean, Korean-to-Japanese, Japanese-to-Korean, Korean-to-Chinese, and Chinese-to-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n Korea.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s expected due to the fact that the Winter Olympic Games will be held in Korea in 2018. Budget problem prevents us from employing a sufficient number of human interpreters who can fluently interpret such languages as Spanish, French, German, and Russian. For this reason, consumers such as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speech translation service providers demand a multilingual speech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We are developing a multilingual speech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aiming for multilingual expansibility and high-quality translation accuracy.

      • KCI등재

        다국적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CDISC 표준의 확장

        염지현(Jihyeon Yeom),최인영(Inyoung Choi),김석일(Sukil Kim),김혁만(Hyeokma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8

        CDISC 컨소시엄에서는 임상시험에서의 비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플랫폼에 독립적인 임상시험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였다. 그러나, CDISC 표준은 여러 나라의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다국가 임상시험에서 발생하는 임상시험 데이터를 다국어로 표현하는 방법에 많은 제약을 갖고 있다. 특히, CDISC가 제정한 표준 중 임상시험 데이터의 콘텐츠 및 포맷에 해당하는 SDTM(Study Data Tabulation Model)과 ODM(Operational Data Model)에서의 다국어 지원이 매우 미비하다. 본 논문은 CDISC의 SDTM과 ODM에서의 언어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DTM과 ODM 표준의 확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SDTM에서는 다국어 지원을 위한 새로운 도메인을 설계하였고, ODM에서는 ODM의 확장 스키마를 서브타이핑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확장 SDTM과 ODM을 기반으로 임상시험 데이터를 처리하면, 다국가 임상시험이 수행되는 경우 다국어로 표현된 임상시험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CDISC) developed global and platformindependent data standards to improve ineffective processes of clinical trial studies. Regardless of its objective toward global cooperation, the current version of the CDISC standard cannot describe clinical trial data in various languages for multi-national investigators or reviewers. This problem applies not only to tabulated datasets in Study Data Tabulation Model (SDTM) but also to extensible markup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datasets in Operational Data Model (ODM) instance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to extend the current version of SDTM and ODM to collect clinical data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SDTM needs to have new special-purpose domain for multi-language representation purpose. Additionally, ODM is recommended to extend its XML schema using subtyping or type inheritance mechanism respectively. Our extension of SDTM and ODM enable to represent any granule of study data tabulation model or XML data entities to describe in efficient languages.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collect multi-language data easily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 KCI등재SCOPUS

        과학기술 전문용어의 다국어 의미망 생성과 분석

        정도헌,최희윤,Jeong, Do-Heon,Choi, Hee-Yo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6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7 No.4

        다국어로 구축된 학술정보 시스템의 통합검색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국어 전문용어에 대한 해석을 제공하고 전문용어의 분야별 분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국어 환경의 통합 정보검색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기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국어 의미망으로 상호 연결된 과학기술 전문용어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과 다단계 연결노드에 대한 최단거리 탐색 기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생성된 용어군집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기초분석을 수행하여 향후 심도있는 분석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A terminology system capable of providing interpretations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n a multilingual science and technology(S&T) terminology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integrated search environment for multilingual S&T information systems. This paper aims to build a base system to manage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multilingual S&T terminology search. It introduces a method to build a search system for S&T terminologies internally linked through the multilingual semantic network and a search technique on the multiple linked nodes. In order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rther analysis researches, it also attempts to suggest a basic approach to interpret terminology clusters generated with those two search methods.

      • KCI등재후보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기술적 문제

        김병조(Kim Byungjo),임유나(번역자),채유경(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6 글짜씨 Vol.8 No.1

        이 연구는 한글과 다른 문자를 함께 조판할 때 발생하는 여러 기술적 문제를 정리해 한글 타이포그래피, 나아가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불완전성에 대해 논구한다. 그 목적은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잠재된 가능성과 앞으로의 과제를 검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어 텍스트 조판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돕는 데 있다. 연구 범위는 문자의 경우 한글과 로마자, 아라비아 숫자로 제한하고, 사용된 여러 폰트가 비슷하게 보이는 가로쓰기 본문의 컴퓨터 조판을 과제로 삼는다. 활자는 한글 부리 활자와 로마자 세리프 활자로 제한하고, 프로그램은 어도비 인디자인 한글판과 폰트랩 스튜디오를 사용한다. 연구 구조는 실제 디자인 과정을 토대로 한다. 먼저 한국어 텍스트의 다국어적 환경과 디자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술적 환경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합성할 폰트를 고르고 설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그것으로 조판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살핀다. 이어서 편집과 관련된 문제를 검토한다. 그리고 끝으로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불완전성에 관해 논구한다. In this study, I will discuss the incompleteness of multilingual typography by outlining a variety of technical problems with details that result from an occasion where Hangeul is typeset with other charac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reveal the limits of Hangeul typography but to look at its potential and issues and to promote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typesetting. For the efficiency of the study, I adopted computer typesetting of horizontal body text where several different fonts look similar and used Hangeul, Roman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only within the text. Hangeul’s buri (serif) and Roman serif are selected as typefaces on Adobe InDesign Korean version, and FontLab Studio as the editing software. This study follows the actual process of design. First, I will examine the multilingual environment of Korean text and the technical circumstances of the design software. Next, some problems about selecting, formatting and typesetting composite fonts will be reviewed followed by some issues regarding editing. Lastly, I will discuss the incompleteness of multilingual typography.

      • KCI등재

        다국어 사용자 후기에 대한 속성기반 감성분석 연구

        지성영,이시윤,최대우,강기훈 한국통계학회 2023 응용통계연구 Vol.36 No.6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들은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시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후기 정보에 기반하여 구매 의사를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후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 후기에 대해 단순 긍/부정으로 감성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다면적으로 분석하는 속성기반 감성분석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속성기반 감성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 중 최신 자연어 처리 기술인 트랜스포머 계열 모델을 활용한 분석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자연어 처리 기술 모델에 두 가지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국어 사용자 후기에 대한 속성기반 감성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개된 데이터 셋인 SemEval 2016의 Restaurant 데이터와 실제 화장품 도메인에서 작성된 다국어 사용자 후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속성기반 감성분석을 위한 트랜스포머 계열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도 적용하였다. 다국어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을 통해 언어별로 별도의 모델을 구축하지 않고 한가지 모델로 다국어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 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With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consumers increasingly rely on user reviews to make purchasing decisions. Consequently, researchers are actively conducting studies to effectively analyze these reviews.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sentiment analysis, the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approach, which examines user reviews from multiple angle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simple positive or negative sentiments, is gaining widespread attention. Among the various methodologies for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there is an analysis method using a transformer-based model, which is the lates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In this paper, we conduct an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on multilingual user reviews using two real datasets from the lates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model. Specifically, we use restaurant data from the SemEval 2016 public dataset and multilingual user review data from the cosmetic domai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ransformer-based models for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and apply various methodologi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Models using multilingual data are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in that they can analyze multiple languages in one model without building separate models for each language.

      • KCI등재후보

        국내 체류 외국인 유학생의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재난안전정보를 중심으로 -

        이이슬 ( Lee Yi Seul ),이충호 ( Lee Chung H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2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관련된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재난안전정보의 작성방법과 제공방법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조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의 작성방법 개선과 제공방법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재난 관련 정보 및 매뉴얼을 인터넷으로 얻고 있는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교 및 지자체 차원에서 재난 관련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관련 특강을 진행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알기 쉬운 일본어(やさしい日本語)’ 버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더 다양한 다국어지원을 포함한 한국어 초급 수준의 외국인도 이해할 수 있는 ‘알기 쉬운 한국어’로의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여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 ‘다문화가정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분석기반 다국어 어휘대역어 서비스 개발 및 활용’ 연구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재난안전정보 제공 노력의 일환으로 긴급재난문자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와 어려운 한자어 등을 11개 국어로 제시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대비 다국어 어휘카드를 제작·배포하였는데, 향후 국내 체류 외국인의 재난 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국어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dentifies requisites needed when creating and distributing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on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that has been distributed in response to the novel COVID 19 virus. The investigation results confirm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current methods to create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nd diversifying its distribution methods. As foreign students gain most of their information and manuals about a disaster from internet, efforts at the school and local government level, such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saster manuals and opening of informative sessions, are needed, as was evident in Japan. The information also needs to be offered in a version written in easier-to-understand Korean, which a foreigner who speaks limited Korean can understand, as well as versions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This again, was proven in the case of Japan which provided versions of their disaster information in easier-to-understand Japanese. Reflecting on the above situation, the Research Team for the Development of Multilingual Word Translation Services based on Korean Semantics Analysi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pport project, has produced and distributed multilingual word cards for COVID-19 prevention. After analyzing common Korean emergency disaster messages, the word cards offer relevant terminology and make complicated Chinese-character-based Korean words comprehensible in eleven different languages. To offer further disaster damage prevention to foreig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xpand policy support and relevant complementary measures for multilingu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