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기행문학의 크로노토프적 재현과 상상력의 의미 - 기행문학 유형론과 크로노토프에서의 시공간 재해석 방법 시론

        김경남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2 No.-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ype of travel literature as basic work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time and spa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ravel literature, and to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ronotope as being a space-time complex.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chronotopic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found in travel literature from Korea, China, Japan.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chronotope' in Bakhtin's literary theory as a method for analyzing the meaning of time and space in travel literature. This network serves as a basis for defining the nature of the ‘here and now’ discovered by travelers, and the study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meaning of this network can vary depending on types of travel literature. The chronotope of each type of travel literature should be identified by considering the time and space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ork, the periodic situation of the production of the work, the writer's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readers. 이 연구는 근현대 기행문학에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행문학의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고, 시공복합체로서 크로노토프가 갖는 성격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성격을 띤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기행문은 여행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글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사용하는 ‘기행문(紀行文)’이라는 용어는 근대 이후에 등장한 용어이다. 전통적으로 ‘기행문’은 여행 과정의 기록이라는 차원에서 시간 개념을 내포한 ‘기(紀)’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기행문학의 성격을 규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이 연구에서는 견문 기록과 문학적 기행문을 구분하고, 여행의 성격을 고려하여 ‘(문학적)기행문’, ‘표류문학’, ‘탐험문학’을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ㆍ중ㆍ일 견문 기록과 기행문학에 나타나는 크로노토프적 재현과 상상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기행문학의 시공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바흐친의 문학이론인 ‘크로노토프’ 개념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크로노토프는 공간적 지표와 시간적 지표가 용의주도하게 짜인 구체적인 조직망으로 기행문학의 유형에 따라 이 조직망이 갖는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기행문학의 유형별 크로노토프는 작품의 내적 구조에서의 시공간, 작품 생산의 시대적 상황 및 작가의 개성, 독자와의 관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규명해야 하며, 이는 연구자의 지속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임경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is thesis is study to draw out the meaning of travel an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Human is traveler who dream and dare travel since the dawn of history. Travel experience is very significant to everyday life, so almost every learned person has been writing account of travels after taking a trip. Travel literature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contains human experience, language and development of human. Thus travel literature and education of travel literature are very important. But we could not satisfied with it. Travel literature about Mt. Geumgang in 19C give these implications ; fertile imaginary ability, emotional ability, self reflection ability, dialogical ability, critical ability etc. This thesis examine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in motivation of travel, experience, figuration and refiguration of travel. First, about motivation or object of travel. we need to make learners have awareness why travel. Learners must consider various motivation to escape modern mechanism as well as leisure or information dimension. Second, it is problem that we make learner to experience what. Learners must seek existent genuineness(authenticity) of travel experience. Third, it is problem how to configure travel experience. Learners must pass over attitude to approach in skill dimension. Fourth, it is problem of reconfiguration. This is not limited in analyzing on constituent of travel literature. It means that reader realizes meaning of work and find meaning of life. 인간은 유사 이래 여행을 꿈꾸고 감행해 온 여행자이다. 여행은 새로운 경험과 관련되고, 경험을 형상화하고자 하는 욕망은 기행문학을 낳았다. 기행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긴 했지만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더구나 문학교육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매우 일천한 편이다. 모든 사람들이 여행을 갈망하고 있고, 그것을 형상화하는 일이 매우 보편적이며, 언어, 경험, 성장을 화두로 삼고 있는 문학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여행문학 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본격적인 근대화 이전에 창작된 금강산 관련 기행문 몇 작품을 살펴보고, 오늘날 여행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반추해 보고, 문학교육적 차원에서 시사점과 방향을 찾고자 했다. 여행은 얄팍한 심미성에 빠지거나 특정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무비판적 답사 차원을 넘어서서 풍부한 감성적 능력, 자유로운 상상적 사유 능력, 반성과 대화적 사유 능력의 고양에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기행문학 교육의 현실을 보면 기행문학이 다루어진 비중, 학습 목표, 내용 등이 기행문학교육의 본질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설정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 글에서는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을 여행의 동기, 경험, 그것의 형상화(생산)와 재형상화(수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즉 여행의 동기나 목적에 대하여 숙고하도록 하고, 실존적 진정성(authenticity)을 추구하고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여행이 되도록 해야 하며, 글쓰기를 기술 차원에서 접근하는 태도를 넘어서 대상과의 상호 교감과 대화를 확보하고, 대상을 깊이 있게 통찰하는 시간과 그것을 형상화하도록 하며, 기행문학의 수용은 독자가 작품의 뜻을 풀어 삶의 뜻을 찾아 가는 작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선조들의 금강산 기행문학과 그 교육적 활용

        김미선(Kim, Mi-s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5

        본 논문에서는 선조들이 남긴 금강산 기행문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선조들이 길을 떠난 이유는 다양하지만, ‘산수유람(山水遊覽)’을 위한 여정이 가장 많았으며, 선조들이 유람 여행을 떠난 산수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이 바로 금강산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금강산 여행을 떠났으며, 한시, 가사, 일기 등 다양한 문학 작품으로 금강산 여행을 남겼다. 이러한 금강산 기행문학은 중·고등학교의 국어·문학 교육, 대학교의 국어국문학·국어교육학 전공 교육, 인문학 관련 교양교육 등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금강산 기행문학은 문학의 장르별 특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동일한 경험을 주요 내용으로 하므로 내용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파악하게 하고, 작품별 차이에서 오는 장르별 특성만을 별도로 익히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둘째, 금강산 기행문학은 선조들의 여행 문화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직접적인 여행을 형상화한 것이어서 당대의 금강산 여행문화가 그 속에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금강산 기행문학은 글쓰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금강산 기행문학은 선조들의 글쓰기 문화, 글의 구성 방식, 특별한 직접 경험 글쓰기 등의 측면에서 글쓰기 교육에 활용할 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Mount Geumgang travel literature left by Korean forefathers and its educational utilization measures. Among the various reasons for our forefathers hitting roads, traveling around for the sightseeing of natural scenes was the biggest reason, and the most representative site which they traveled was Mt. Geumgang. Many people traveled Mt. Geumgang, and they portrayed their Mt. Geumgang travels with classical Chinese poems, Gasa (a type of Korean poetry) and diaries. These pieces of Mt. Geumgang travel literature can be used as important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Korean language/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for general knowledge education relating to humanities, and the educational utiliza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Mt. Geumgang travel literature can be used for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res of literature. Since the same experience is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ture, the contents can be commonly identified, while the characteristics by genre in relation to a difference between works can be studied separately. Second, Mt. Geumgang travel literature can be used to examine the travel culture of Korean forefathers. The works depicted their personal experience in travel, so they have embraced the then Mt. Geumgang travel culture. Third, Mt. Geumgang travel literature can be used for education on writing essays. Mt. Geumgang travel literature can be used for education on writing essays in terms of the forefathers" culture of writing, the method of configuring writings, and writing of special personal experience.

      • KCI등재

        만정당(晩靜堂) 서종태(徐宗泰)의 기행문학 일고

        권진옥(Kwon, jin-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6 No.-

        본 논문은 만정당(晩靜堂) 서종태(徐宗泰, 1652-1719)가 창작한 기행문학을 고찰한 글이다. 다만 여기서는 서종태 기행문학 연구의 첫 단계로서 우선 기행문학에 대한 그의 인식을 고찰하고 이 인식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실제 기행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서종태는 1674년(현종15)에 안변(安邊), 1684년(숙종10)에 금강산(金剛山), 1703년(숙종29)에 중국 연경(燕京)을 유람하였는데, 그때마다 운문과 산문으로 기록해 놓았다. 「잡고자서(雜稿自敍)」라는 글을 통해 ‘가전(可傳)’을 위한 그의 기록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단지 『잡고(雜稿)』와 같은 시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북행일기(北行日記)』나 『숙야록(夙夜錄)』 같은 다른 성격의 책에서도 이러한 의식을 포착할 수 있다. 이처럼 『잡고』를 비롯한 여러 저술들을 참고했을 때, 기행문학 창작 또한 그 저변에는 그의 기록 의식이 밑바탕이 되었다. 한편 서종태는 기행문학의 본질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피력하는데, 「적곡(赤谷)」의 『풍악록(楓嶽錄)』 뒤에 붙이는 발문[跋赤谷楓嶽錄後]」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 글을 통해서 서종태는 기행문학의 본질은 형상의 핍진한 묘사[摸狀]이고 그 효용성은 와유(臥遊)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생애 첫 번째로 안변 일대를 유람하면서 서종태는 다수의 시 작품들과 「북행부(北行賦)」를 창작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남다른 그의 기록 의식과 산수에 대한 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안변 유람 이후 두 번째 유람은 10년이 지난 33세의 나이에 경험한 금강산 유람이었다. 금성 현령(金城縣令)으로 부임했을 적에 우연한 기회를 얻어 금강산을 유람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그 기록한 체재를 보면 특이한데, 기행시(紀行詩) 형식으로 작성하되 각 시들의 제목은 여정에 따라 산문의 유기(遊記) 형식으로 기록한 다음, 그 아래에 절구나 율시로 지은 한시를 부기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소주(小註) 형식으로 금강산 유람의 의미를 학문에 대한 자세와 방법으로써 비유하였다. 오랫동안 단계를 밟아 정밀한 이치에 도달하는 공부야말로 진정한 학문 방법인 것처럼, 자신의 유람이 내외의 금강산 전체를 섭렵한 장대한 유람은 아니었지만 짧은 여정의 단계마다 승경들을 샅샅이 탐방하고 관조하며 되새기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유람이라고 해명하고, 이를 스스로의 학문 방법을 반성하는 계기로 삼았다. 또한 금강산 유람 도중 창작한 각종 시문들은 그가 강조한 기행문학의 본질인 형상의 핍진한 묘사에 충실하였다. 상세한 이동 경로의 서술은 물론이고 경물 묘사 방식이 지극히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직접 가보지 못한 많은 승경들을 굳이 일일이 거론하기도 하고, 시각과 청각의 묘사를 핍진하게 하여 현장성과 생동감을 한층 높였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travel literature created by Manjeongdang(晩靜堂) Seo, jongtae(徐宗泰, 1652-1719). Seo, jongtae(徐宗泰) toured Anbyeon(安邊) in 1674, Mt. Geumgang in 1684, and Yanqing in China in 1703, on all such occasions he created the travel literature. Through his work called Jabgojaseo(雜稿自敍), we can confirm his recording consciousness for gajeon(可傳). We can also capture this consciousness in books of other characters, such as Bughaengilgi(北行日記) and Sukyarok(夙夜錄). Seo, jongtae(徐宗泰)’s travel literature was based on his recording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he made his argument on the essence of travel literature, which can be examined through the Baljeokgokpungakrokhu(跋赤谷楓嶽錄後). Through this writing, he clearly revealed that the essence of travel literature is a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shape and its utility is wayu(臥遊). While exploring the Anbyeon(安邊) area, Seo, jongtae(徐宗泰) created many poems and Bukhaengbu(北行賦), we can confirm his recording consciousness and his love for landscape. The second excursion after the Anbyeon(安邊) was the Mt. Geumgang excursion that he experienced at the age of 33 after 10 years. He took an accidental opportunity to tour Mt. Geumgang and recorded it. Through the looking at recorded format, it is written in the form of travel poetry, but the title is recorded in the form of prose according to the itinerary, and then a poem is added under it. And at the end, the meaning of the excursion of Mt. Geumgang was compared to the attitude and method of learning in the form of annotation. As if studying through long steps to reach the point is a true academic method, he explained that his excursion was not an excursion that encompassed the entire Mt. Geumgang, but it was a true excursion to explore, to contemplate, and to review the treasures at every stage of the short journey. He reflected on his own method of learning with this. In addition, the various works he created during the excursion of Mt. Geumgang were faithful to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shape, which is the essence of his travel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vement,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objects is extremely specific and realistic.

      • KCI등재

        石顚 朴漢永의 기행시문학의 규모와 紀實의 시세계

        김상일(Kim, Sang Il)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글은 20세기 초 한국 근대불교학의 태두인 石顚 朴漢永(1870~1948)의 기행시문학에 대한 고찰이다. 석전은 일생에 걸쳐 국토의 勝地를 유람하고 유적지를 답사하여 그 旅情을, (가) 기행한시와 (나) 遊記 및 紀行의 산문으로 그 문학적 형상화를 시도하고, (다) 論評으로 미학적 평가를 꾀하였다. 석전 기행시문의 규모를 살펴보면, (가)는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매년 국토의 일정지역을 구획하여 여행한 것을 시화한 漢詩 260여 제를 그의 시집『石顚詩?』(1940)에 연대별로 실은 것이다. (나)는 遊記 2편과 紀行 1편인데 모두 국한문체로 쓴 산문으로, 1910년대 말에서 1920년대 초반에 간행된 불교계 잡지에 게재된 것이다. 2편의 유기는 경기도 천보산과 東峽을 유람한 기행문이며, 1편의 기행은 瀛洲[제주도]를 여행한 기행문이다. (다)는 1930년대 중반에 쓰인 것이다. 이 가운데 3편은 금강산, 또는 금강산과 유사한 승경을, 1편은 지리산의 승경을 논평한 것이고, 다른 1편은 전국의 명산과 승지를 총괄하여 논평한 것으로 불교계 잡지와 일반잡지 및 신문에 게재된 것이다. 한편, (다)의 논평문은 논평에 앞서 그 實地[논평 대상 지역]에 대한 답사가 필수이며, 비교 평가 시 각각 다른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장점을 들어서 서로 차이가 드러나도록 하는 품평 태도를 일관하고 있다. 석전의 기행한시는 명산과 승경, 사찰과 누정, 역사적 유적지 등을 시화한 것이다. 석전은 이러한 제재를 紀實의 사실적 표현을 통한 시적 형상을 꾀하고 있는데, 이것은 시적 대상을 實地로서 확인하려는 의식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국토의 승지를 紀實의 사실적 표현수법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그는 아래와 같은 순서를 실천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먼저 시적 대상과 관련된 이왕의 시와 인문지리적 문헌을 통해 그 지역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實地를 답사하여 주위를 관찰하고 사실여부를 판단한 다음, 작시 시점에서 시적 대상을 묘사하고 그 감흥을 더해 형상화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이상에서 석전 기행시문학의 특성은 국토 승지와 역사적 유적지에 대한 실제적 인식과 형상화를 꾀하고자 하는 관념이 그 저변에 흐르고 있는 점이다. 이것은 석전이 일제강점기를 살면서 국토에 대한 바른 인식과 시적 형상화, 나아가 미적 평가를 통해 일제치하의 국토에 대한 오도된 형상과 글쓰기를 바로잡기 위한 문학적 대응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은 그의 국토 기행시문학이 전근대의 명산 명승의 유람을 기록한 遊記나 遊山錄과는 그 성향이 다르고, 동시대의 동행자들의 그것과도 다르며, 근대기에 출현한 ‘觀光’, ‘見聞’, ‘巡禮’를 통한 기행문들과도 또 다르다고 생각되나 이는 후일의 과제로 삼는다. This paper is about Seokjeon(석전) Park Hanyoung(박한영) and his pie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traveled all around in Korea, for example, famous mountains and some attractions, and made lots of poetry. And then, those were written by Chinese(Usually used in East Asia). He wrote some poetry about traveling in East Mt. Kumkang(금강산) & Seolak(설악산), North Baekdu(백두산), West Myohyang(묘향산) and South Mt. Jiri(지리산) & Halla(한라산). Also, he focused on the topic about little areas and cities, for example, like historical relics. He expressed about view, for example, the view of top of mountains and waterfall. In case, about historical relics, he focused on the flow of history(the rise and fall of the country). In here, we focused on his pieces based on realism literature. Meanwhile, he wrote the reviw(criticism), in Korean, about traveling mountains, based on an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landscape. We have to these with poem focused on same topic. So, his achievements is his hobby. But, we have to think about why he did that. Because he wanted people to notice the beauty of their country and have consciousness of master. This time, when he wrote about that, was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金美善(Kim, mi-sun)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활용 방안 중 하나로서 문학교육에서의 활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 자료로서의 의의를 정리하였다. 첫째, 기행일기는 여정에 따른 완결된 구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 둘째, 기행일기는 풍부한 수량의 작품이 남아 있다는 점, 셋째, 기행일기 속에는 다양한 여행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는 점, 넷째, 기행일기 속에는 기행시, 여행지의 설화 등이 삽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교 문학교육에서의 조선시대 기행일기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고경명의 〈유서석록〉, 장한철의 〈표해록〉, 소승규의 〈유봉래산일기〉 등 기행일기 개별 작품을 예로 들면서 문학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관련 기행일기 읽기’를 제시하였다. 고전문학을 어렵게 느끼는 학생들의 관심을 끄는 방법 중 하나는 학생들이 가봤던 지역, 학생들과 가까운 지역 관련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다. 1,200편이 넘는 조선시대 기행일기는 전국 곳곳에 대한 여행을 담고 있어, 대학교 소재지 인근 지역 관련 기행일기를 선별하여 문학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기행일기 속 이야기 찾기와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기행일기 속에는 여행 관련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 기행일기 속에서 이야기를 찾아내고 스토리텔링으로 흥미진진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셋째, ‘기행일기 속 한시, 설화 찾기’를 제시하였다. 기행일기 속에는 여행 중에 지은 한시, 여행지와 관련한 설화가 담겨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행일기를 통해 한시 작성 과정, 설화 향유 과정 등을 설명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기행일기 속 한시와 설화를 직접 찾아보며 자연스럽게 배우는 활동도 진행할 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Joseon-period travelogues in literature education as one of such appli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significance of Joseon-period travelogues as a literary education material was first outlined. First, travelogues have a complete composition according to itineraries. Second, travelogues have a wealth of works left. Third, travelogues specifically contain a variety of travels. Fourth, travelogues contain folk tales and so on. Next, it explored the method of using Joseon-period travelogues in university literature education.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was suggested by citing individual works of travelogues such as Go Gyeong-myeong’s 〈Seoseok Travelogue〉, Jang Han-cheol’s 〈Journal of Drifting at Sea〉, and So Seung-gyu’s 〈Travelogue of Mountain Bongrae〉. First, ‘reading regional-related travelogues’ was presented. One of the way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tudents who find it difficult to study classics is to read literature related to the sites they have been to and to the sites close to them. More than 1,200 Joseon-period travelogues contain travels around the country, so travelogues related to the sites near the universities’ locations can be selected to be used in literature education. Second, ‘finding stories in travelogues and telling stories’ was presented. Joseon-period travelogues contain various stories related to travel, so classes can be conducted in the way of finding stories in travelogues and creating exciting new stories through storytelling. Third, ‘finding classic Chinese poems and folk tales in travelogues’ was presented. Travelogues sometimes contain folk tales related to travel destinations and poems written during travel. Through these travelogues,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process of writing classic Chinese poems, the process of enjoying folk tales, and so on, and students can explore classic Chinese poems and folk tales in travelogues and naturally learn them.

      • KCI등재

        재미작가 홍언의 미국기행시가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작가의식

        박미영(Park Mi-Young)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5 No.-

        기행문학이란 기행지의 풍물과 체험, 감회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自我와 맞닥뜨리는 자연, 현상, 그리고 타인이라는 他者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시각이 표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인간이 기행하고 있는 공간은 현실적 체험의 공간으로 현실의 법칙이 적용되면서도 자신이 추구하는 정신적인 지향점을 찾아 나서는 내면화의 공간으로서 그 반응 양식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동안 미국에서 활약한 작가 홍언(洪焉: 1880~1951)의 美國 紀行 詩歌-가사와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들 작품에서 홍언이 체험하고 표현하는 미국의 풍물과 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모를 논의한다. 1936년과 37년, 그리고 1949년 두 차례에 걸쳐 『신한민보』에 발표하는 미국기행 시가를 중심으로 논의한 작가의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기행가사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을 전제한 망명자로서 내면적 갈등이 드러난다. 즉 인디언을 통한 정체성 상실과 이민자들의 비참한 노동 현장을 보면서 미국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면서 향수에 젖어 끊임없이 고국으로의 귀환을 갈망한다. 두 번째 기행시조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지 못하게 된 현실에서 갈등한다. 즉 조국 귀환에로의 욕망이 좌절되면서 현지에 대한 친화적인 시선을 보이면서 이민지에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자아의 노력이 드러난다. 위에서 논의한 홍언의 작가의식의 변모를 바탕으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본질에 대해 가설적인 좌표를 마련해 보았다. 이민지인 현지와 조국에 대한 긍저적, 부정적 태도에 따라 좌표를 설정하였다. 홍언은 한국의 독립이라는 큰 사건을 계기로 조국에 긍정적이면서 현지에 부정적인 태도에서 그와는 정반대인 조국에 대해 부정적이면서 현지에 긍정적인 태도로 전환한다. 이 전환과정에서 홍언은 현지의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으로 재이미지화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 고찰한 홍언의 기행 시가는 이민지인 미국의 자연과 인간이라는 복합적인 관계를 한꺼번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의 정신적인 궤적은 고국/이민지, 자아/타자, 향수/현실적응 등등의 현재 이산(diaspora), 혹은 후기 식민(post-colonial) 문학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복잡미묘한 정체성확인 지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도 존재하며 앞으로도 확산될 이민지 작가들의 정신적 지향-고국과 이민지라는 두 힘의 관계양상 속에서 향수와 현지적응에의 노력이라는 정체성 확인에 대한 다양한 축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n-American writer Hong-Eun(l880~1951)'s American travel gasaes and sijoes who played an active rol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ng-Eun's experience and expression on American travel and culture and discusses his changes in stream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American travel siga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New Korean Times in 1936, 1937, and 1949, his consciousn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vel siga depicts his inner conflict as a refugee who lost one's home country. That is to say, by observing Indians' losing identity and their miserable labor conditions, he developed his own critical eyes on American society. Eventually he missed his country desperately and sought for the ways of his returning there. Second travel sijo reveals his own agony about not be able to return his home country where he could possibly visit. In other words, after suffering from his agony, it is evident that he started to take positive attitude towards American society and establish his own identity. Based upon Hong-Eun's changes in consciousness as a writer, the researcher hypothesizes that there exists Diaspora-Consciousness in his work. His consciousness is strongly related with his attitude towards his home country whether it is positive or vice versa. When his home country declared her independence, his attitude towards immigrant society was positively changed, which was quite contradictory from his previous one. In this transition period, not only he accepted American ideology and life, but he re-conceptualized them as a Korean mode. In sum, Hong-Eun's mental traces lie on the core of hybrid and diaspora which Post-Colonial literature values highly of.

      • KCI등재

        1930년대 세계문학담론의 수행적 구조와 해외문학기행의 정치성

        성현경(Sung, Hyun kyung) 구보학회 2012 구보학보 Vol.8 No.-

        이 글은 1930년대 세계문학 담론의 수행적 구조를 고찰하고, 나아가 세계성의 이념이 기행과 방문을 통해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당대 세계문학 담론의 정치적 의미 가능성을 고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세계문학담론은 해외문학 수용의 문제로 간주되거나, 해외문학파라는 특정 정파의 인정투쟁 차원에서 접근되었다. 하지만 세계문학 담론은 진영을 막론한 조선 문단 전체의 협의 대상으로서, 그 논의의 수행성 자체를 하나의 성립조건으로 하고 있는 ‘규제적 이념’이었다. 세계문학 담론은 조선문학에 잠재된 세계성의 이념을 현실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으며, 서구 중심의 일원론적 세계인식에 포섭되지 않기 위해,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선행시킴으로써, 조선문학의 특수성을 해명하는 것으로 종합된 논제였던 것이다. 특히, 1930년대 해외문학기행은 특정한 네이션으로 귀속되지 않는 세계문학의 이념을 형성하게 하기 위한 경험적인 계기가 되었다. 즉, 해외문학 기행의 주체들은 미적 향유로써, 서구 중심의 세계인식을 문학적 차원에서 재편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performativ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in the 1930s, and furthermor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meaning in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of the day by examining the method that the idea of cosmopolitanism is directly experienced by travel and visit. Thus far,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acceptance of abroad literature, or approached in the level of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particular faction, Haewoimunhakpa (the School of Foreign Literature). However, as a target of the whole Joseon's literary world regardless of camps,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was the 'regulative idea' making it a condition of the performative of the argument.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was to explore specific measures that enabled the idea of globality latent in Joseon literature to be realized and the integrated topic with an explanation of the particularity of Joseon literature by preceding the understanding of their own culture in order not to be captured by the Western-oriented monistically world perspective. In particular, abroad literature travels in the 1930s were experiential opportunities to form the idea of world literature that did not belong to a particular nation. In other words, the principal agent of abroad literature travel reorganized the Western-oriented world perspective in the cultural level as an aesthetic enjoyment.

      • 총력전 시기 전쟁 문학 - 聖戰을 위한 일그러진 구호 : 『보리와 병정』과 『전선기행』을 중심으로 살펴본 총력전 시기 전쟁 문학에 대한 소고

        조영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2 통합인문학연구 Vol.4 No.1

        김용제가 1939년에 발표한 시집에 수록된 두 시는 ‘전쟁철학’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그가 의미하는 전쟁철학이란 곧 ‘생동감 있는 삶’ 그 자체로, 무의미한 감성을 배제한 채 ‘새벽의 포성처럼’ 혹은 ‘총검’을 휘두르는 데 더 큰 가치를 두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엔 생철학의 핵심이 담겨 있는데, 즉 ‘오성’을 활용하여 세계를 이해하기 이전에 ‘체험’과 동일시되는 것으로서의 ‘생’ 개념을 활용하여 ‘삶의 충만함’이라는 신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처럼 이성에 의해 파악되기 이전에 삶의 체험을 강조하는 생철학은 외적 규정에 의탁된 삶을 본연의 삶으로 여겨지게 만든다. 이것이 ‘전쟁’과 연동하게 되면 전쟁의 체험은 보다 강조되고 이를 곧 ‘살아있는 철학’이라고 격상시킴으로써 전쟁 자체를 미화하는 분위기가 고조되는 것이다. 1930년대 말, 중국침략을 계기로 전시체제로 전환한 일본은 이 전쟁을 보다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국민통합을 위한 사상통제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이제부터 시작된, 모든 것이 전쟁으로 동원되는 총력전에서는 모든 공간이 전장이 되고 모든 인간이 병사가 되어 버렸다. 이에 따라 조선인들의 내면 세계를 보다 ‘살아 있는 생생한 철학’으로 채워가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는데 이는 곧 전쟁의 생철학과 ‘문학’과의 접목으로 발현되었다. 내지 일본에서 히노 아시헤이의 『보리와 병대』를 필두로 간행된 전쟁문학물들은 최초 조선의 전쟁 문학이라 일컬어지는 박영희의『전선기행』, 임학수의『전선시집』등으로 조선에까지 이어졌다. 이렇듯 조선에 강요된 전쟁 철학은 처음에는 지도․강제 되어졌지만 차츰 당위적인 생활상, 생활 도덕으로 수용되어졌다. 강요당한 자발성에서 이젠 스스로가 간절히 원하여 전장에 나아가는 자발성에 이르기까지 ‘생’철학은 조선인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규정지어진, 미처 내면화 하지 못한 충만함은 오래가지 못한다. 지배에 의한 자발성은 점차 감시의 얼굴을 드러내고 내재화된 도덕성과 당위적인 도덕성 아래 갈등을 느낀 식민지 조선인들은 분열하기 시작한다. 스스로 내재화한 자기 구성방식을 찾지 못한 생철학은 그야말로 공허한 울림일 수밖에 없었다. Poems published in 1939 by Kim Yong-Jae is contained in 'war philosophy'. What is his philosophy of war, which means 'lively life by itself', meaningless without "its emotional hold the dawn like a cannon," or "bayonet" and wielding a means to put greater value. Here Philosophy of life, which contains the core by taking advantage of understanding the world, prior to 'experience' is equated with 'Saint' by utilizing the concept of 'fullness of life' is to create a myth. Those the experience of life that emphasizes external philosophy of war pursuant to the provisions to be considered to make the life of natural life. This war and the association is emphasized more than the experience of the war. The upcoming "Living philosophy" is regarded as the war itself was beautiful, because the atmosphere is rising. Lately 1930s, Japan was a war situation by China's invade. Japan was paid attention to win the war. In war, all the space is a battlefield, and all human beings were soldiers. In addition, People were looking for ways that the inside of Korean's filled with the thought of "living philosophy". It appeared that the 'philosophy of life' with 'literature of war'. In Japan, Hino, Hey-You published the book 『wheat and the soldiers』as literature of war and In Korea, there were books of 『Travel of the front』 by Park Young-Hui and 『Poems of the front』 by Im Hak-Su. Initially, the philosophy of war in Korea was brought to force but slowly it came to pervade to Korean's inside. The Korean people went out to the war of their own accord. But their spontaneity didn't keep a long time. 'Dominated' by the spontaneity inherent in revealing the face of an increasingly surveillance-qualified morality and morality ought Koreans under the colonial conflict, the division began to be felt. Their own inherent self-configure didn't find a way and 'Philosopy of life' by force meant 'the vacantness'

      • KCI등재

        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

        김재웅(金在雄)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김시습의 호남기행은 세조의 와위찬탈로 인한 충격과 가슴에 쌓인 울분을 해소하고 지식인의 절개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불합리한 세상을 떠남으로써 자신의 절개와 양심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은 경직된 정치적 논리를 벗어나 한평생 자신의 양심과 절개를 지킬 수 있는 깨달음의 여정이다. 이러한 호남기행을 통해서 김시습은 울분을 떨쳐내고 삶의 지평을 새롭게 모색하였다. 호남기행에서 지역의 선비와 유배자, 지방관, 승려 등과 같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다. 김시습의 절개에 동조한 경생원과 진사 조리는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판한다. 더욱이 전라도 경력 고태필, 전라도 안무사 최경례, 태인현감 정석 등은 마음을 나누는 친구들이다. 그런데 문학 노신사과 김 직강은 세상의 변화에 동참하라고 요청했지만 김시습은 거절한다. 그리고 김시습은 나주목사 최선복과 전라감사 원효연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유교적 명분을 언급하지 않는다. 그들은 세조정권의 공신이지만 계유정란과 단종의 폐위에 가담한 간신은 아니기 때문이다. 호남기행의 양상은 불교문화기행, 역사기행, 풍류기행, 생태문화기행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불교문화기해에서는 폐허에 방치된 유물을 통해서 세월의 무상함을 실감했다. 역사기행에서는 후백제의 역사적 패망과 고려 건국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다. 풍류기행에서는 흰 돌과 푸른 이끼기 돋은 시냇가 산수의 경치를 미의식으로 수용하고 있다. 생명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 생태문화기행은 난초와 소나무를 통해서 자신의 절개와 세계관을 투영하고 있다. 김시습의 호남기행은 수많은 문학창작의 현장을 생성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어린 시절 인연이 있는 송광사에서는 귀족불교가 아닌 민중불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민중불교는 원효스님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된다. 모악산 금산사에서는 견훤의 아들이 아비를 감금하고 왕위를 찬탈한 폐륜은 그 무엇으로도 씻을 수 없다고 혹독하게 비판한다. 부안 능가산에서는 세상의 번잡함을 잊어버리기 위해 신선술을 배운다. 남원의 만복사는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의 공간적 창작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문학창작의 현장은 작가의 방외인적 삶과 사상적 변모를 역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Honam-Gihaeng〉 of Kim Si Seup is an opportunity to reconfirm intellectuals’ integrity and to release resentments and shocks by usurpation of Sejo, In 〈Honam-Gihaeng〉 his friends and scholars who sympathized with Kim Si Seup’s opinion criticized usurpation of Sejo. They, however, didn’t mention a confucian cause in it. It might be because they were helped by people who cooperated with Sejo. 〈Honam-Gihaeng〉 has a diversity of contents such as Buddhism culture, history, ecology and so on. A Buddhism culture trip shows the transience of life . A history trip supports the historical fall of Hubaekje and the righteousness of Goryeo. In a trip for refined tastes Kim Si Seup appreciated beauty of scenery of mountains and rivers. In an ecological culture trip he reflected his integrity through fine trees and orchids 〈Songgwang Temple〉, 〈Geumsan Temple〉, 〈Neungga Temple〉 and 〈Manbok Temple〉 are important as the places of literature creation. In 〈Songgwang Temple〉, he shows his interest on popular Buddhism. He criticized immorality of usurpation severely in 〈Geumsan Temple〉. He practiced Shinseon skill through eating raw in 〈Neungga Temple〉, 〈Manbok Temple〉 is the background of 〈Manboksajeopogi〉. These remarkable places shows his life as an outsider and changes of his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