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溪・栗谷 性理說의 재조명과 그 止揚 방향

        이상익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The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can be summarized into two issues. One is how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ind? the other is whether li is an agent capable of the initiative. However, Toegye’s thesis holding that li is capable of the initiatives violates the essential dichotomy between physical ki and metaphysical li and, as a result, faces criticisms even within his own school. This paper agrees with the criticism, arguing that the mind as the essence of ki is the sole agent capable of the initiative. Once the li-capability thesis is rejected, the genuine issue in the debate is how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mind. Concerning the structure of the mind, Toegye’s ‘li and ki mutually initiate’(理氣互發) reflects the ‘two-natures-two-feelings’ thesis, whereas Yulgok’s ‘ki initiates and li is carried by ki’s initiative following one route’(氣發理乘一途) reflects the ‘one-nature-one-feeling’ thesis. As Toegye and Yulgok agree that the moral mind, the four beginnings, are from the moral nature, the point in question is the source of the human mind. Toegye holds that the source of the human mind is the privacy and partiality of one's physical ki, while Yulgok maintains that (like the moral mind) the human mind also comes from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Here, Yulgok also violates one of the major premises of ZhuXi school. This paper holds that all emotions, including the moral mind, the human mind,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initiated by the perceptional process of the mind and that the moral mind and the human mind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sources and orientations. Based on that, this paper proposes a thesis of ‘ki initiates and both ki and li are carried by ki’s initiative following two routes’(氣發互乘兩途). 퇴・율의 성리설에 대해, 사단・칠정의 관계와 칠정의 개념 문제, 理・氣의 개념과 ‘發’의 의미 문제 등 각자가 같은 개념을 서로 다른 맥락에서 이해함으로써 빚어진 혼란들을 모두 해소하고 나면, 퇴・율 사이의 진정한 쟁점은 둘로 압축된다. ‘마음의 구조’에 대한 이해 문제와 ‘理를 能發者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가 그것이다. 그런데 퇴계의 ‘理의 能發說’은 ‘理와 氣’를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로 구분하는 성리학의 기본 논리를 침해하는 것으로서, 퇴계학파 내부에서조차 많은 반론에 직면한 것이다. 논자 역시 理의 能發說을 기각하고, 能發者는 오직 ‘氣의 精爽으로서의 마음’일 뿐이라고 본다. 이처럼 理의 能發說을 기각하고 나면, ‘마음의 구조’에 대한 이해 문제야말로 퇴・율 사이의 진정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마음의 구조’에 대해, 퇴계의 理氣互發說은 二性二情論을 표현한 것이며,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은 一性一情論을 표현한 것이다. 퇴계와 율곡은 모두 ‘道心(四端)은 인의예지의 본성이 발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퇴계와 율곡 사이에 대립의 초점은 ‘人心의 근원이 무엇이냐’ 하는 점이다. 퇴계는 ‘人心의 근원’은 ‘形氣의 사사로움’이라고 보았으나, 율곡은 ‘人心 역시 仁義禮智의 본성에 근원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율곡의 이러한 주장은 ‘大本을 어지럽힌 것’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논자는 사단・칠정과 인심・도심 등 모든 감정은 ‘마음의 지각 작용’을 통해서 발현된다고 보며, 그러나 인심과 도심은 서로 ‘근원도 다르고, 지향도 다르다’고 본다. 논자는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氣發互乘兩途論’을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신순정 ( Soon-jeong Sh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