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배동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사회・경제・문화 인프라 시설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대한 연구의 동향은 시대적 요구에 맞춰 다양한 복합 기능을 갖는 것을 패러다임으로 정의하고 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회적역할에 대응하는 공간구성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공공도서관의 건축계획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 중 2009년 이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다. 건축설계도면과 현장방문을 통해 층별구성, 면적비율을 분석 후 도시와의 관계, 내부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핵심 역할을 함으로서 도서관을 통해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지며, 다양한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양한 예술 공연 등의 문화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교육, 체험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도서관과 도시와의 관계를 설정하는 진입공간의 구성에 있어서는 공개공지를 이용하여 공지와의 경계를 없애는 방법으로 개방성과 진입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부공간구성은 도서관의 자료열람 및 보관기능에 문화교육공간이 복합된 구성으로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여가공간을 제공한다. 공공도서관의 주기능인 열람공간의 경우 과거의 독립적인 구성에서 공용부분을 제외한 열람공간을 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이용자중심의 공간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피난층에 주로 구성되어 있는 어린이열람실의 경우 건축계획 측면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지상과 접하는 피난층에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열람실이 관리의 편의성으로 이용에 제한을 두고 있다. (결론) 공공도서관이 복합문화센터로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는 정보제공, 평생교육, 문화공간, 지역민의 생활편의센터등을 운영함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사회적 역할에 다른 기능변화를 고려하여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중 시설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사용공간과 면적구성비는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의 상관성 중요도 연구 - 홈퍼니싱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유통환경의 판매 공간에 있어 상품정보의 전달 역할과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 한정되었던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소비환경에 있어 효과적인 브랜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판매 공간사례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중요도에 따라 기업공간의 전략적 접근을 위한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홈퍼니싱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한다. 이어 이론적인 고찰 등을 통해 분석을 위한 평가표 및 이에 들어갈 평가항목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리커트 척도기준의 정량적 평가 및 수치 결과에 따른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정성적 평가를 병행한다. 아울러 평가표의 항목특성 간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해석하고 결론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사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매력성, 유행성, 적합성, 기능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는 FP존, VP존과 HS존, PP존, IP존 순으로 그 중요도의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조화성과 매력성의 구성요인과 FP존, VP존과 HS존의 공간구성 요소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계획 시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설명한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관한 중요도를 그 가중치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판매환경 공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인식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객의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최근의 소비 공간흐름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으로 하여금 이전의 단순 판매 전략에서 벗어나 공간마케팅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결론) 이와 같이 기업의 브랜드에 의해 제공 되어진 판매 공간은 목적하는 공간마케팅을 위한 활동의 효율과 효과적인 표현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따른 중요도의 결과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브랜드 공간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role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ales promotion in the sales space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effective communication. This shows that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in a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by analyzing sales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for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pace. (Method) First, the main home furnishing brand space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examples. The evaluation table for analysis and the evaluation items are then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diagram; a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carried ou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the evaluation table and the weigh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re analyzed. (Results) Harmon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llowed by attractiveness, trend suitability, and functionality, while the spatial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had the highest weighta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FP zone, followed by the VP zone, the HS zone, the PP zone, and the IP zone.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ponents “harmony” and “attractivenes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FP, VP and HS zones when planning visual merchandi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spati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reveals w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n the sales environment space. Besides, the recent consumption space trend that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s requires visual merchandising to play a role in space market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sales strategies. (Conclusions) As such, the sales space provided by the company's brand should actively utilize visual merchandising to establish effective expression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space marketing.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udy results on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rand space. This will be helpful in building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 KCI등재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배동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including the innovation of information, public libraries are no longer user-friendly places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nges in space organization of libraries and the satisfaction of library users for the purpose of using these findings in assisting in the planning of the space organization of libraries in the future. (Method) Among the public libraries of Daegu, libraries opened or remodeled since 2009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their spaces, space organization for floors, and area ratio being analyzed with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using design drawings and field visits. The satisfaction of users was also examined. (Results) The public library can be divided into five spaces: a reading space, a studying space, a culture-education space, an administration-work space, and a public space. They are typically three stories high and have one underground floor, with spaces on the 4th floor and above used for cultural education or administration work. As for the space organization of each floor, the basement is generally provided for administration work and management, and the first level consists of reading spaces for children, seniors, and the disabled, with easily accessible exhibitions and integration with outside spaces. The second level is generally used as a reading space, while the third level consists of reading spaces and spaces for cultural education. Reading spaces and digital spaces on the second level and above, especially, are typically arranged without boundaries so users can easily extend their activities. For the ratio of spaces in the library, the practice of dedicating space to a cultural education area is gradually increasing while studying space is decreased.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of spaces in the library, the children’s reading space on the first floor received the highest score, and special spaces such as the mother-child reading space, a toddler reading space, and a story space also received high scores. The studying space received the lowest score. As for user satisfaction regarding integration with other spaces, the exhibition space received a relatively low score compared to the studying space and the culture-education space.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should provide its users with professional and efficient services to fulfill its purpose as a public center. This study ha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using various evaluation indexes, an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area ratio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tial planning of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공공도서관은 정보 혁신등 사회의 발달로 도서관내 자료를 단순히 제공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이용자중심의 도서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區,)중심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구성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공간이용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연구방법) 대구광역시의 구중심 공공도서관 중 2009년 이후 개관 또는 리모델링한 도서관을 중심으로 설계도면과 현장방문을 통해 사용공간, 층별구성, 면적비율을 분석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지역사회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자료열람부문, 학습공간부문, 문화교육부문, 업무관리부문, 공용부문의 5가지 공간으로 분류된다. 도서관의 규모는 지하1층, 지상3층이 대부분이며, 지상4층 이상의 의 공간은 문화교육 또는 업무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층별 공간 구성은 지하1층은 업무와 관리를 위한 공간이며, 지상1층은 접근의 편의와 외부공간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어린이 열람실, 장애인․노약자 열람실, 전시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2층은 자료열람공간, 지상3층은 자료열람과 문화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지상2층 이상의 경우 열람실의 구성이 자료열람실, 디지털열람실이 공간이 경계가 없이 구성되어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의 공간구성 비율은 문화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 공부를 위한 학습실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이용공간의 위치에 대한 만족도 값은 1층의 어린이자료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모자열람실, 유아자료실, 이야기방등 특화된 공간에 대한 만족도 값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용 공간 면적의 만족도 값은 학습실 면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의 목적공간과 타 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실, 문화교육 공간 중 전시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공공도서관은 복합 커뮤니센터로서 이용자에게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중 시설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사용공간과 면적구성비는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논문 : 황금비율을 적용한 안무구성법 연구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을 중심으로

        신상미 ( Sang Mi Shin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1 No.-

        황금비율은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비율이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 유클리드와 수학자 피타고라스와 피보나치, 철학자 플라톤 그리고 르네상스 이후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 많은 학자, 지식인, 예술가들에 의해 입증되고 적용되어 왔던 원리이다. 라반은 이 황금비율의 원리를 이용해서 공간상에 인체가 그리는 조화와 질서 및 균형을 바탕으로 다양한 스케일을 발전시켰다. 이 연구에서는 안무구성을 하기 위한 기초이론으로 황금비율의 원리와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을 연구했고 서로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황금비율의 원리에 근거해 라반의 공간개념인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으로 나누어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구성결과, 일반 공간에서는 황금비율로 나뉜 직선, 황금비율로 구성된 직각삼각형과 정오각형 그리고 황금직사각형 및 거기서 파생된 나선을 중심으로 무용수의 무대배치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그리고 개인공간에서는 라반이 창안한 스케일 중에서 황금비율로 이루어진 정이십면체의 내부에서 만드는 다양한 스케일 중 A 스케일을 중심으로 독특한 움직임 특성, 즉 그 구조와 특질 등 움직임의 형태와 역동적 성질에 기초한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성 결과는 보편적으로 아름답다고 느끼는 안무형태로 무용수를 무대공간에 배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며, 황금비례가 적용된 미적인 움직임 구문을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안무가에 따라, 춤의 주제에 따라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상에서 무한한 공간구성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자는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이 조합이 된 안무구성 방법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무대 디자인과 무용수와의 관계, 무용수의 소도구 사용법 등 황금비율에 근거한 이미지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적용법의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황금비율을 적용한 공간구성법의 무한한 창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의 눈에 가장 아름답다고 보이는 황금비율의 기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에 기반 한 안무구성법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안무구성의 과학성과 보편성을 보여준 것으로 미래의 안무를 위한 새로운 안목과 기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있으며, 이론에 기반 한 실제(theory based practice)를 적용한 안무구성법의 선례가 될 것이라는 데에 있다. The Golden Ratio is a scientifically mysterious ratio that is supposedly pleasing to a human sense of aesthetics. This principle was applied and was proved by ancient Greek`s natural philosopher Euclid, mathematician Pythagoras and Fibonacci, philosopher, Platon and Leonardo Da Vincci who was not only a scientist but also an artist. Rudolf Laban developed theory of Scales based on a harmony, order and balance in space from the moving man`s body through utilizing principle of the Golden Ratio. This study tried to explain principles of the Golden Ratio and theories of the Choreutics/Space Harmony along with its interrelationships. Through these, the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ies of choreography within the Personal Space and the General Space, which was explained by Rudolf Laban, based on the Golden Ratio. For the result of the composition, the study presented a case of the floor patterns such as straight lines divided by the Goden Ratio and right-angled triangles, rectangles, spirals, pentagons which was composed by the Golden Ratio in the General Space. For the Personal Space, the study presented a choreography based on the unique movement characteristics, structure, quality and dynamics from the A Scale which was selected from the Laban`s Scales in icosahedron. Icosahedron is composed of Golden Ratio. Also, the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limitless space composition which is followed by choreographers` movement motiv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worthy and meaningful in respects of not only providing a creative discerning eye and fundamental foundation for choreography in the future but also setting a good precedent of the scientific and universal methodology of choreography which was based on the Golden Ratio of geometrical knowledge and Laban`s theories of the Choreutics/Space Harmony.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관련 연구동향

        오찬옥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The 43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analyzed to focus o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contents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 The researches on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 were categorized into 5 types ; 1) the researches on the overall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2) the ones on space planning of each room in nursing homes, 3) the ones on the space size of nursing home, 4) the ones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in foreign countries, 5) the ones on the usage conversion of small-sized hospital and closed school into nursing home. The size and layout of a bedroom and common space were the main issue. These studies have been consistently carried out since late 1990 and many researches used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floor plan and the field study. However, the number of the subject nursing homes and the categorized space area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tudie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synthesize these various results. In order to compare and synthesizing the various results of these many studies, the same criteria for dividing the spaces of nursing home needs to be applied. However, many results from these researches related to the space composition of nursing home would be the useful data for planning the nursing home. 본 연구는 노인 인구 특히 고령 노인의 증가로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의 특성을 배려하여 계획된 요양시설들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과 관련된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2016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과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과 관련하여 국내의 공간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논문들은 총 43편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이들 논문은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노인요양시설 전반에 대한 공간구성모델이나 계획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13편이었으며 노인요양시설의 특정 단위 및 공간의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 연구와 면적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가 각각 12편씩이었다. 일본, 미국, 핀란드, 호주 등 외국 시설들의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본 연구는 8편이었으며 병원이나 폐교를 활용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가 4편이었다. 둘째, 이들 연구 중 요양시설의 전반적인 공간구성 특성 분석연구와 병원 및 폐교를 활용한 요양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연구 유형은 2000년부터 현재까지, 나머지 3가지 유형은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표되어 오고 있다. 공간구성 관련 많은 연구들이 현장조사를 병행한 도면분석연구를 하였고 이 경우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의 수는 연구에 따라 1개에서 62개에 이르기까지 차이가 컸다. 연구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요양시설의 전반적인 공간구성 특성 분석연구들은 실태분석을 통해 침실 당 적정 사용인원수와 공용공간의 비중과 배치관계, 효율적인 복도형태유형 등을 고려한 요양시설의 계획방향을 제안하거나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연구결과, 사용자 행태 및 관련 기준이나 이론을 토대로 한 공간구성 분석결과에 기초한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넷째, 노인요양시설의 단위 및 공간별 공간구성 관련 연구들 중에는 거주단위의 공간구성을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들 연구는 간호단위당 거주단위 수와 병상수, 공용공간의 적정 규모와 배치관계, 복도형태 유형별 공간구성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이었으며 이외에 간호단위, 욕실과 화장실, 배회복도와 공간, 복도공간, 서비스공간 등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노인요양시설의 면적분석연구들은 입소 노인 1인당 침실면적을 산정하여 법적 기준과 비교분석하거나 공간영역별 면적비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하고 사용자의 행동관찰 등을 기초로 적정 면적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외국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 특성분석연구들은 일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그 외에 미국, 핀란드, 영국, 호주 등의 요양시설들의 공간구성 특성을 계획방향과 함께 분석하였다. 일곱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노인요양시설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대도시의 소규모 병원이나 지방의 폐교를 요양시설로 용도전환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모두 경제적이며 유용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황금비율을 적용한 안무구성법 연구 -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을 중심으로

        신상미 무용역사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1 No.-

        The Golden Ratio is a scientifically mysterious ratio that is supposedly pleasing to a human sense of aesthetics. This principle was applied and was proved by ancient Greek’s natural philosopher Euclid, mathematician Pythagoras and Fibonacci, philosopher, Platon and Leonardo Da Vincci who was not only a scientist but also an artist. Rudolf Laban developed theory of Scales based on a harmony, order and balance in space from the moving man’s body through utilizing principle of the Golden Ratio. This study tried to explain principles of the Golden Ratio and theories of the Choreutics/Space Harmony along with its interrelationships. Through these, the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ies of choreography within the Personal Space and the General Space, which was explained by Rudolf Laban, based on the Golden Ratio. For the result of the composition, the study presented a case of the floor patterns such as straight lines divided by the Goden Ratio and right-angled triangles, rectangles, spirals, pentagons which was composed by the Golden Ratio in the General Space. For the Personal Space, the study presented a choreography based on the unique movement characteristics, structure, quality and dynamics from the A Scale which was selected from the Laban’s Scales in icosahedron. Icosahedron is composed of Golden Ratio. Also, the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limitless space composition which is followed by choreographers’ movement motiv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worthy and meaningful in respects of not only providing a creative discerning eye and fundamental foundation for choreography in the future but also setting a good precedent of the scientific and universal methodology of choreography which was based on the Golden Ratio of geometrical knowledge and Laban’s theories of the Choreutics/Space Harmony. 황금비율은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비율이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 유클리드와 수학자 피타고라스와 피보나치, 철학자 플라톤 그리고 르네상스 이후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 많은 학자, 지식인, 예술가들에 의해 입증되고 적용되어 왔던 원리이다. 라반은 이 황금비율의 원리를 이용해서 공간상에 인체가 그리는 조화와 질서 및 균형을 바탕으로 다양한 스케일을 발전시켰다. 이 연구에서는 안무구성을 하기 위한 기초이론으로 황금비율의 원리와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을 연구했고 서로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황금비율의 원리에 근거해 라반의 공간개념인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으로 나누어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구성결과, 일반공간에서는 황금비율로 나뉜 직선, 황금비율로 구성된 직각삼각형과 정오각형 그리고 황금직사각형 및 거기서 파생된 나선을 중심으로 무용수의 무대배치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그리고 개인공간에서는 라반이 창안한 스케일 중에서 황금비율로 이루어진 정이십면체의 내부에서 만드는 다양한 스케일 중 A 스케일을 중심으로 독특한 움직임 특성, 즉 그 구조와 특질 등 움직임의 형태와 역동적 성질에 기초한 안무구성 사례를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성 결과는 보편적으로 아름답다고 느끼는 안무형태로 무용수를 무대공간에 배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며, 황금비례가 적용된 미적인 움직임 구문을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안무가에 따라, 춤의 주제에 따라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상에서 무한한 공간구성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자는 일반공간과 개인공간이 조합이 된 안무구성 방법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무대 디자인과 무용수와의 관계, 무용수의 소도구 사용법 등 황금비율에 근거한 이미지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적용법의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황금비율을 적용한 공간구성법의 무한한 창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의 눈에 가장 아름답다고 보이는 황금비율의 기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라반의 공간조화이론에 기반 한 안무구성법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안무구성의 과학성과 보편성을 보여준 것으로 미래의 안무를 위한 새로운 안목과 기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있으며, 이론에 기반 한 실제(theory based practice)를 적용한 안무구성법의 선례가 될 것이라는 데에 있다.

      • KCI등재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Co-Space) 구성 요구도 분석

        김인숙,양지희,리상섭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llaborative start-up space(Co-Space) configuration plan in terms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through demand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startup spa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ques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The Lotus for Focus model. In addition, FGI was implemented for entrepreneurs, and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region Co-Space was derived from various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university-community Co-Space, the necessity of opening up the start-up space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the start-up space in the region were high. In addition, men recognized the need to build a space for start-ups in the community more highly than women di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demands for university-regional Co-Space,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importance and future necessity of university-regional Co-Sp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b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s, different demands were made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considering openness and closeness, and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siz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Spaces need to be constructed in conjunction with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start-up companies in the region by stage of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ustomized Co-Spa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operation of the start-up spa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erience-based open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un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Space that enables an organic network between local communities, start-up investment companies,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n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nd the cooperative start-up spac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start-up sustainabilit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Co-Space construction to build a regional start-up ecosystem in a tre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art-up space, which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art-up companies. 본 연구는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대학-지역 연계 차원의 협업적 창업공간(Co-Space) 구성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t검정(독립표본, 대응표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가 대상 FGI를 실시하여 다각도에서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의 필요성 분석결과,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창업공간 개방의 필요성과 지역 내 창업공간 구축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 내 창업공간 개방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다. 둘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에 대한 요구도 분석결과, 대학-지역 연계 창업공간 구성에 대한 현재 중요도와 미래 필요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첨단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방안 분석결과, 개방성과 폐쇄성을 고려한 창업공간 구성, 창업단계 및 분야를 고려한 창업공간 구성, 창업공간 규모에 따른 상이한 공간구성 요구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대학-지역 연계 차원의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적 창업공간은 대학과 연계하여 지역 내 창업기업의 발전단계 별 요구에 따른 공간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창업공간 규모와 운영방식을 고려한 맞춤형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의 유휴공간에 체험 기반 지역주민 개방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 창업투자사, 창업지원기관, 창업기업 간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가능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의 연계를 통해서 지역 창업생태계 구성과 창업지속성 강화를 위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의 시사점을 제안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기업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인 창업공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업적 창업공간 구성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의 단지 및 도시 계획에 있어 정사각형 평면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김연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서 특히 정사각형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단순히 하나의 정사각형 평면을 구성하는데서 출발하여 여러 정사각형의 복합적인 구성 및 도시적인 스케일에까지 적용이 되며 보이드/솔리드의 관계에 의한 공간적인 특성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 중 정사각형 유형 및 구성에 대한 주제 중 단일건물에 대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고 후속 연구로서 단지 및 도시적 규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사각형이라는 기하학적 요소가 그의 건축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따라서 코르뷔지에의 건축 중 단지 및 도시계획에서 사용된 정사각형의 적용 방법과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고 형태 및 공간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에 있어 코르뷔지에의 전 작품 중 정사각형의 구성 특성을 보이는 30개 작품을 계획의 규모에 따라 단지 계획과 도시 계획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 우선 2장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 계획에 대한 배경을 살피게 된다. 3장에서는 정사각형의 기하학이 적용된 작품을 대상으로 정사각형 배치 구성의 유형 특성을 고찰하게 되는데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모든 작품에 대하여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태를 도출하여 정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정리된 내용에 대하여 형태, 공간, 규모적인 특성 및 연관성을 정리하여 유형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진화 과정 및 형태를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결과) 르 코르뷔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단지 및 도시 계획에서 정사각형 구성을 하였는데, 그 유형과 구성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초기의 도시 계획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인 격자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 중 현대도시의 경우 전체 도시의 중심에 고층 건물군을 배치하였으나 부와쟁 계획에서는 고층 건물군 위주에 일부 저층 주거 등을 계획하였고 빛나는 도시에서는 훨씬 큰 규모의 저층 주거 블럭에서 고층 건물군이 독립적으로 분화되어 축선상의 상부에 배치되었다. 2. 계획의 스케일은 규모에 따른 격자를 기반으로 결정되었는 바, 도시 계획에 있어 블록의 경우 기본적으로 800m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그 규모에 따라 400m, 200m 단위로 격자의 규모를 조절하고 있다. 한편 단지 계획에서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주택은 2.26m, 3.6m, 공장은 40m 등의 스케일로 구성되었다. 3. 도시 계획에 있어서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데카르트식 마천루로 400m 모듈이 사용된 고층 오피스 블록인데 사방이 도로로 둘러싸인 독립된 정사각형의 대지를 갖게 되며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사용되었다. 4. 정사각형을 이용한 다른 구성 특성은 일정한 모듈이 계속 반복되어 규모가 커 나가는 증식형 구성이다. 5. 단지나 도시 계획에 있어 전체 공간은 다수의 건물군과 외부 공간으로 나뉘며 개별 건물은 정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위가 반복되는 선형 건물로 구성되고 외부공간은 다시 포장된 외부 공간과 녹지 외부 공간으로 나뉜다. 건물과 2가지의 외부 공간은 상호 영향을 미치며 구성되는 방식에 띠라 위계를 가진다. (결론) 이상과 같이 도출된 결론에서 보듯이 정사각형이 단일 건물의 평면 구성에서 뿐 아니라 단지 및 ...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huge cases of square form in Le Corbusier’architecture from single square plan to complex composition of various squares even in urban scale. In scale, the variety of form and the extent of adaption in his works , square could be an architectural element which defines Le Corbusier’s architecture. There are two ways of analyzing the square of Le Corbusier. The first in the single building is already done in previous study and this study aims conception and composition by square in site & city planning. To make clear the meaning the square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types and forms of square plan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ocess of square plan composi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formal and spatial development. (Method) First of all, the elements which had influenced the square form of Le Corbusier’s site & city planning will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The formal types of 30 work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quare in site & city planning will be analyzed. Thir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principals the study is constructed to categorize various cases of composition typ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ypes and plan compositions will be presented. (Results) Th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according to type of square forms and plan compositions. First, 1. In the earlier city planning works, the entire composition was made by the framework of regular basic grid and the cruciform high rise building group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hole planning in Ville Contemporaine and was mixed with low housing building. Second, The planning size was decided by the grid representing urban scale. In city planning, Le Corbusier basically has used 800m module and controlled the scale of grid as 400m, 200m. And in site planning, he adopted small scale like 2.26m, 3.6m grid for housing and 40m for factory facility. Third, In city planning, one of the principal composition elements is a high rise building block which is an independent square site of 400m module surrounded by grand boulevard and is used as a basic unit for composing city. Fourth, Another characteristic of composition by square is the‘proliferation type’which grows in scale after repetitions. Fifth, The entire space of site & city planning is composed of building group and exterior space. And the exterior space has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is covered space such as plaza and the other is green space. Those three elements are placed by spatial hierarchy and have relations one another. (Conclusion) After the categorizing and analyzing Le Corbusier’s works concerning square composition, square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icient tool in site & city planning. And this study made clear the details and nuances of delicat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square plan and with another study on the square forms and compositions in single building, as a result one of the essence of le Corbusier could be fully understood.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주제공원의 공간 구성 분석

        유광민,최영석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4

        The concept and notion of space and its realm of meaning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its configurational change. Space syntax is a method to analyse space configuration and is used in the various disciplines such as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and design; which produces objective, quantifiable indicators. The investigation of theme park space offers a representative setting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space and how it impacts modern leisure and consumption through social logic. The space arrangement and site layout at theme parks and the resulting tourist flow have a direct impact of visitor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flow of congestion throughout traffic areas and its influence visitor consumption patterns. This study using Space Syntax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pace is configured at Everland Theme park space in South Korea to promote user consumption. The findings confirm that Everland’s space configuration facilitates user wandering and by dispersing user flow and that its facilities stimulate impulsive consumption and greater involvement. 공간의 의미와 기능은 공간의 구성변화에 따라 다양하다. 관광공간은 사회적 논리에 의해 구성된다. 주제공원은 현대사회의 여가와 소비를 조직하기 위한 전형적인 소비 공간이다. 공간구문론은 공간구성을 분석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며, 도시 교통로나 쇼핑몰의 배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수량화된 객관적 지표들을 제공한다. 주제공원은 보다 많은 시간과 돈을 소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전형적인 소비 공간이다. 관광객의 흐름은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공간의 배치에 다라 영향 받는다. 주제공원의 공간은 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소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주제공원인 에버랜드의 공간구성이 어떻게 소비를 촉진하도록 만들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에버랜드 주제공원은 이용자의 흐름을 확산시키고 배회를 촉진하는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충동적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시설들은 모다 더 많은 이용자들의 흐름과 만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구성과 시설들의 입지는 주제공원에서 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결과물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