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계룡산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

        이해준(Lee Hae 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1 No.-

        계룡산이 갖는 문화사적 성격은 국가적 제사처로서의 계룡산, 불교문화 성지로서의 계룡산, 그리고 풍수도참 신앙과 관련한 계룡산 등의 세 가지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이중 계룡산이 역사상에서 크게 부각된 시기는 조선시대이며, 본고는 이를 대변하는 계룡산신사와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중악단과 관련하여 원래의 계룡단 위치, 그리고 현재의 신원사, 중악단 자리로 옮겨온 시기, 한말 중악단의 성격이 왕실과 관련되면서 성격이 변천되는 문제,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계룡산 산신제의례 복원의 역사성과 현재성 등을 살펴보았다. 계룡산신사의 성격은 삼국-고려시대의 산천신제의를 이어 조선시대에도 국가제사처로 선정되어 태조 2년에 智異山, 無等山, 錦城山, 鷄龍山, 紺嶽山, 三角山, 白嶽의 여러 산과 함께 「護國伯」으로 작호를 받았고, 세종대에 명산이라 하여 小祀로 정하여 매년 봄, 가을에 香과 祝文을 내려 제사하였다. 조선초기의 계룡산신사는 기록상 神祠가 있었던 것으로도 기록되고 壇으로도 기록되어 정확하지 않으며, 위치도 계룡산 남쪽으로만 표기하여 현재의 중악단 [신원사]이었다는 확증이 없다. 따라서 자료의 소개와 이를 통한 추정을 하였고, 한말 중악단의 성격변천과 재해석 문제(왕실관련 성격)은 그간 착종과 혼돈이 있는 부분을 재정리하여 밝혔다. 중악단의 건립시기와 명성황후로 상징되는 왕실의 지원 배경과 과정은 일반 산신제나 국가제사[소사]와는 다른 형태로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하여 건물의 격이나 건축 구조도 내외삼문을 갖춘 祠廟 형태이며, 건물의 잡상, 화담 등 궁실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1876년과 1891년의 계룡산에 대한 왕실의 관심으로 현재의 중악단이 중건되었으나, 1903년 대한제국의 5악제도가 다시 마련되면서 중악의 대상이 달라졌다. 이로써 중악단의 국가제의는 사실상 1903년 이후는 중단되었을 것이고, 이후 일시 지방관의 치제나 아니면 민간화가 진전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계룡산 산신제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너무나도 박편화되고 굴절된 것이 많다. 그리하여 복원보다는 다소 굴절되었을지라도 현전하는, 복구가 가능한 자료들을 기록화 하는 작업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Mt. Gyeryong has its features in the cultural history, and they can b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including Mt. Gyeryong as the place for national religious services, Mt. Gyeryong as the sacred ground of Buddhist culture, and Mt. Gyeryong as the place with connections to the faith of Feng-shui Docham. The mountain received plenty of limelight in history during Jose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its Shinsa and Jungakdan representing the mountain in that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delved into the original location of Gyeryongdan in relation to Jungakdan, the time when they were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s of Shinwonsa and Jungakdan, the issue of the changing nature of Jungakdan with regard to the royal court at the end of Joseon, and the historicity and presentness of the restoration of the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currently in progres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Jungakdan at Mt. Gyeryong based on the various records of Shinwonsa and Jungakdan and looked into several questions raised by him in the process. Even though no clear answers were obtained due to data limitation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trace the tradit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Shinsa of Mt. Gyeryong, the predecessor of Jungakdan, and rediscuss the debate points that had not been figured out so far in the proces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too much fragmentation and refraction in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in terms of the succession and restoration of history and tradi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fully record the nature, meanings, and processes of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that has been changed since the end of Joseon.

      • KCI등재

        18세기 계룡산 유기(遊記) 연구 -남하정(南夏正),권(權) 감(堪) 유기(遊記)를 중심(中心)으로-

        이길구 ( Gil Gu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본고는 조선시대에 쓰인 계룡산 遊記에 관한 연구이다. 계룡산은 묘향산, 지리산과 함께 조선시대 三岳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다른 유명산에 비해 遊記가 많이 발굴되지 않고 있다. 현재 알려진 유기는 대략 산문 10여 편, 운문 60여 편 정도인데 그마저도 제대로 고찰된 것이 없다. 이처럼 계룡산 유산기 문학은 아직 활성화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계룡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면 계룡산 유기가 많이 발견될 것이다. 현재 알려진 계룡산 유기는 18세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지역에서 19세기에 창작된 유기가 왕성하게 발굴되는 것과는 대조된다. 현존하는 유산기, 산문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필자가 보유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 10편 정도이다. 본 연구는 우선 18세기 유기로 한정하고 알려진 네 편 중 우선 두 편을 대상으로 했다. 대상 작가는 南夏正, 1678-1751과 權 堪, 1760-1823이다. 이들은 外祖父와 外孫子의 관계로 남하정이 1731년 계룡산에 올라 「鷄龍紀行」이라는 명문의 기행문을 남기자, 59년 후인 1790년 권감이 다시 계룡산을 유람하고 「鷄龍山追記」를 남겼다. 따라서 권감의 산행여정은 상당수가 외조부의 일정과 유사한데 많은 유기 중 이처럼 인척관계로 남아있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두 작가는 계룡산 뿐 아니라 주변의 풍물에 대해 유려한 시적 표현 및 풍부한 지식으로 모든 地名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史料로서의 가치도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reviews travelogues of Gyeryong mountain in Joseon Dynasty. While Gyeryong mountain is one of the three high mountains in Joseon Dynasty including Myeohyang mountain and Jiri mountain, travelogues of Gyeryong mountain have not been found so far. Currently, the existing travelogues known for now consist of 10 proses and 60 verses; however, none has been fully review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iterature of travelogue of Gyeryong mountain has not been invigorated and it seems that systematic investigation approach has not been made. Thus, when the study of Gyeryong mountain becomes more activa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discover more travelogues of Gyeryong mountain. Most of the known travelogues of Gyeryong mountain were originated from 18th century, which is contrary with the fact that travelogues actively found in other areas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the number of travelogues , prose existed so far is 10 books including what I possess. For this study, the scope was limited to only travelogues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 four pieces of the travelogues, two pieces were selected for the time being. Authors studied in this study were Hajeong Nam , 1678-1751 and Gam Kwon , 1760-1823, who were grandfather and grandson on his mother side. After 59 years of Hajeong Nam``s hiking to Gyeryong mountain in 1731, leaving a famous travelogue,「Gyeryong Mountain Hiking , 鷄龍紀行」, Gam Kwon went sightseeing throughout Gyeryong mountain in 1790, leaving「Additional Record of Gyeryong Mountain , 鷄龍山追記」. As can be inferred by the titles of the travelogues, most of Gam Kwon``s mountain hiking was similar with the one of his grandfather, whose relationship as a family member was very unique attribute among many travelogues. Not only did they record Gyeryong mountain related, but they also thoroughly described and recorded institutions and customs around the mountain supported by their flowing and elegant writing style and abundant knowledge without leaving any names of place unmentioned, which suggests its value as historial materials.

      • 충청지역 신종교와 그 문화적 특징

        김탁(Kim, Ta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8 No.-

        계룡산은 조선(朝鮮)의 개창자인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도읍 후보지의 하나로 선택했던 곳이다. 조선의 태조는 즉위 2년(1393)에 계룡산(鷄龍山)으로 행차하여 새로운 도읍 후보지로 삼는다. 이 일이 후대에 이씨(李氏) 조선을 대신할 새 왕조가 계룡산에 건국될 것이라는 {정감록}류의 예언으로 흡수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후 선조(宣祖) 때에는 정여립(鄭汝立)이 계룡산이 새 왕조가 세워질 중심지라고 주장했다. 인조(仁祖) 때 유효립(柳孝立)의 역모사건에서 계룡산에서 새 임금이 등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권대진의 역모사건에도 계룡산이 새 도읍지로 부각되었다. 영조 때에는 {정감록}이 등장하는데, 계룡산이 진인(眞人) 정씨가 새 나라를 세울 곳이라고 주장되었다. 정조 때 이경래와 문인방 등이 계룡산을 중심으로 새 왕조가 세워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후 {정감록}의 십승지(十勝地)에도 계룡산이 언급된다. 그리고 동학(東學)에서도 계룡산 중심의 왕조건설이 믿어졌고, 전봉준과 최시형도 계룡산을 신성시했다. 일제강점기에도 계룡산은 새 왕조가 건설될 중심지로 믿어졌으며, 그곳으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보천교에서도 계룡산을 신성시했고, 많은 신종교 교단이 계룡산을 정씨 진인의 새 도읍지로 믿었다. 해방 이후에도 천진교, 동학회, 천지대안도, 금강대도, 삼령교, 삼신당, 무량천도, 정도교 등의 교단에서 계룡산에 새 왕조가 건설될 것이라고 믿었고, 계룡산을 교단의 중심지로 삼고 이곳에서 기도에 열중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계통의 신종교 교단에서도 계룡산은 성스러운 지역으로 이해되었다. Gyeryongsan is the place where Taejo Lee Sung-gye, the founder of Joseon, selected as one candidate of new capitals. Taejo in Joseon visited Gyeryongsan and took it as a new candidate of the capital in the second year of enthronement. This became a crucial clue to the prophets like Jeonggamrok that a new dynasty to replace Joseon of the Lees would be founded in Gyeryongsan. Later, Chung Yeo-rip in Seonjo insisted that Gyeryongsan be the center where a new dynasty would be founded. It was also argued that a new king would be made in Gyeryongsan at Yu Hyo-rip"s conspiracy in Injo. And Gyeryongsan stood out as a new capital at Gweon Dae-jin"s conspiracy. In Youngjo, Jeonggamrok appeared, where it was said that Gyeryongsan would be a new country by a true man of Chung. Later, Gyeryongsan was referred to in 10 beautiful places of Jeonggamrok. Also in Donghak, the dynasty founding in the center of Gyeryongsan was believed. Jeon Bong-jun and Choe Si-young also took Gyeryongsan as holy. Also in the Japanese occupation, Gyeryongsan was believed to be the center of a new dynasty being founded, and people gathered there. Bocheon-gyo took Gyeryongsan as holy, and a lot of new religions believed Gyeryongsan to be a new capital of a true man of Chung. Also after the liberation, in the religions of Cheonjin-gyo, Donghak-hoe, Cheonjidaean-do, Geumgangdae-do, Samryeong-gyo, Samshin-dang, Mooryangcheon-gyo, Jungdo-gyo, and so on, it was believed that a new dynasty would be founded in Gyeryongsan, which was regarded as the center of the religions and their followers prayed earnestly there. Also in the new religions of Christianity, Gyeryongsan was regarded as a holy place.

      • KCI등재

        조선조 계룡산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 -제사처 및 명칭문제를 중심으로-

        이해준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1

        Mt. Gyeryong has its features in the cultural history, and they can b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including Mt. Gyeryong as the place for national religious services, Mt. Gyeryong as the sacred ground of Buddhist culture, and Mt. Gyeryong as the place with connections to the faith of Feng-shui Docham. The mountain received plenty of limelight in history during Jose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its Shinsa and Jungakdan representing the mountain in that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delved into the original location of Gyeryongdan in relation to Jungakdan, the time when they were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s of Shinwonsa and Jungakdan, the issue of the changing nature of Jungakdan with regard to the royal court at the end of Joseon, and the historicity and presentness of the restoration of the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currently in progres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Jungakdan at Mt. Gyeryong based on the various records of Shinwonsa and Jungakdan and looked into several questions raised by him in the process. Even though no clear answers were obtained due to data limitation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trace the tradit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Shinsa of Mt. Gyeryong, the predecessor of Jungakdan, and rediscuss the debate points that had not been figured out so far in the proces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too much fragmentation and refraction in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in terms of the succession and restoration of history and tradi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fully record the nature, meanings, and processes of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that has been changed since the end of Joseon. 계룡산이 갖는 문화사적 성격은 국가적 제사처로서의 계룡산, 불교문화 성지로서의 계룡산, 그리고 풍수도참 신앙과 관련한 계룡산 등의 세 가지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이중 계룡산이 역사상에서 크게 부각된 시기는 조선시대이며, 본고는 이를 대변하는 계룡산신사와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중악단과 관련하여 원래의 계룡단 위치, 그리고 현재의 신원사, 중악단 자리로 옮겨온 시기, 한말 중악단의 성격이 왕실과 관련되면서 성격이 변천되는 문제,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계룡산 산신제의례 복원의 역사성과 현재성 등을 살펴보았다. 계룡산신사의 성격은 삼국-고려시대의 산천신제의를 이어 조선시대에도 국가제사처로 선정되어 태조 2년에 智異山, 無等山, 錦城山, 鷄龍山, 紺嶽山, 三角山, 白嶽의 여러 산과 함께 「護國伯」으로 작호를 받았고, 세종대에 명산이라 하여 小祀로 정하여 매년 봄, 가을에 香과 祝文을 내려 제사하였다. 조선초기의 계룡산신사는 기록상 神祠가 있었던 것으로도 기록되고 壇으로도 기록되어 정확하지 않으며, 위치도 계룡산 남쪽으로만 표기하여 현재의 중악단 [신원사]이었다는 확증이 없다. 따라서 자료의 소개와 이를 통한 추정을 하였고, 한말 중악단의 성격변천과 재해석 문제(왕실관련 성격)은 그간 착종과 혼돈이 있는 부분을 재정리하여 밝혔다. 중악단의 건립시기와 명성황후로 상징되는 왕실의 지원 배경과 과정은 일반 산신제나 국가제사 [소사]와는 다른 형태로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하여 건물의 격이나 건축 구조도 내외삼문을 갖춘 祠廟 형태이며, 건물의 잡상, 화담 등 궁실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1876년과 1891년의 계룡산에 대한 왕실의 관심으로 현재의 중악단이 중건되었으나, 1903년 대한제국의 5악제도가 다시 마련되면서 중악의 대상이 달라졌다. 이로써 중악단의 국가제의는 사실상 1903년 이후는 중단되었을 것이고, 이후 일시 지방관의 치제나 아니면 민간화가 진전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계룡산 산신제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너무나도 박편화되고 굴절된 것이 많다. 그리하여 복원보다는 다소 굴절되었을지라도 현전하는, 복구가 가능한 자료들을 기록화 하는 작업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姜賢敬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예로부터 풍류적인 지식층이나 시인·문인들은 흔히 명산대찰·명승고적, 혹은 어떤 특별한 지역을 참관·유람하면서 그들의 체험·견문·감흥을 시문으로 남겨서 소위 記行時文이라는 작품군을 성립시켰다. 특별히 등산을 한 체험과 감회를 산문체로 기술하여 남겨놓은 遊山記 혹은 遊山錄은 山行記錄에 속하는데, 조선시대에 출현한 작품수량은 약 560편 정도나 된다고 한다. 최근 遊山記 문학 연구가 활발하여 금강산을 비롯한 지리산·청량산·소백산·묘향산·삼각산·천마산·속리산 등을 등정한 체험을 기술한 遊山記의 작품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업적이 있게 되었다. 그 중에는 계룡산 遊記 작품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인데, 그것에 대한 관심과 연군ㄴ 자못 미비한 형편이다. 필자는 몇 년 전부터 계룡산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그 일부 자료를 이미 학계에 소개한 바 있는데,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계룡산 遊記로서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로는 吳再挺(1641~1709)의 「遊鷄龍山錄」·宋相琦(1657~1723)의 「遊鷄龍山錄」·南夏正(1678~1751)의 「鷄龍記行」·李仁稙(1856~1912)의 「遊鷄龍山記」·林沔浩(純祖·高宗年間)의 「遊鷄龍山錄」등의 한문작품과 光山 金氏(1862~1917)가 지은 국문필사본 「겨룡산유산녹」을 꼽을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6편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계룡산 遊記에 나타난 옛 사람의 유산감흥과 관심형태를 고찰해 보고, 아울러 조선시대 遊山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6편의 유산기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계룡산이 지리산이나 금강산처럼 대단히 험준하고 웅장한 산세를 갖추고 있지는 않았어도, 작자들은 계룡산 도처를 仁者樂山의 기분으로 돌아다니면서 산세의 위용과 곳곳에 산재한 암자·시시각각으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풍광·역사 유적 등을 통하여 그들의 유흥과 감회를 유감 없이 나타내면서 산행에서 얻어진 일련의 체험을 유산기 문장으로 남기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僧俗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新防·招魂閣등의 유적지에 대한 역사적 悔恨을 나타내고 있지만, 신분상 治者의 관점에서 산행하거나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언어를 구사하지 않았던 바, 이런 점은 계룡산 유기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보아진다. 여하튼 작자들은 계룡산 산행중에서 체득될 수 있는 유람의 정취를 소박하게 표현하여 조선시대 유산기 산문장르의 명맥을 지속적으로 지켜온 성과를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의 유산기 문학의 양상을 충분히 발휘하여 향토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울러 후대 사람들에게 山中之樂을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elite, poets, and writers, who enjoyed poetry, have described their impressions and experiences after they visited famous temples, historical relics, and regions from the past. Those works they wrote are called travels. In chosun Dynasty there were 560 works about Yusangi or Yusannok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 and the feeling received from climbing a mountain.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Yusangi(travels in Mountains) in recent, so that many studies of Yusangi about Mt. Geumgang, Mt. Giri, Mr. Cheongnyang, Mt. Sobaek, Mt. Mohyang, Mt. Samgak, and Mt. Songni have been achieved. However there was a little study of Yusangi about Mt. Kyeryong in spite of fine works describing Mt. Kyeryong. The author has found and introduced some materials about Mt. Kyeryong to an academia from some years ago. The works about Mt. Kyeryong in Chosun Dynasty, the author found, are 吳再挺 Jaejung O' s Yukyeryongsannok, 宋相琦 Sanggi Song's Yukyeryongsangi, 南夏正 Hajeong Nam's Kyeryonggihaeng, 李仁稙 Lee's Yukyeryongsangi, 林沔浩 Myunho Lim's Yukyeryongsangi written in Chinese and 光山 金氏 Kwangsan Kim's Kyeryonsanyusannok written in Korea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an ancestor's interest and impression expressed in Kyeryongsanyugi(Trave1 in Mt. Kyeryong), investigating synthetically the above 6 works, and then stands the phase as a literature in Travels in Chosun Dynasty. When the author reviews generally the above 6 works, the author knows that the writers expressed their experiences and impression through the aspect of a mountain, temples, a beautiful sceneary, historical relics in Mt. Kyeryong, though Mt. Kyeryong did not have a magnificient and steep aspect of a mountain like Mt. Giri and Mt. Geumga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n Mt. Kyeryong is that the writes criticized the monk's life and Sindo, and Chohongack(a pavilion for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they did not speech the critical word about the real life or write the travels in governor's view, but express naively the feeling of climbing mountains. The writes have maintained the genre of prose style about travels in mountains in Chosun Dynasty and also helped the study of folk literature and made descendants sympathize with a great enjoyment in mountains.

      • KCI등재

        공주 계룡산성의 현황과 축성사적 가치

        김호준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1

        공주 계룡산성은 (재)금강문화유산연구원이 2017년에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본고는 필자가 성곽을 답사하여 성곽의 구조, 성벽의 축조방식, 성벽 시설물과 유물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계룡산성은 고려 대몽항쟁기의 입보용 성곽의 특징을 갖고 있었고, 이후 경영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주 계룡산성의 역사 및 축성사적 특징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룡산성은 산성의 입지 및 성벽의 축조방식, 망대지 및 甬道 등의 성벽 시설물이 확인되고 있어 대몽항쟁기 險山大城의 입보용성곽의 특징을 명확하게 갖고 있다. 이와 더불어 내성 남벽의 협축성벽과 조선후기 백자류와 기와류는 조선후기에도 경영되었음을 알게 한다. 둘째, 계룡산성에서 수습된 ‘鷄龍山(防護)別監金’銘 명문기와는 대몽항쟁기에 파견된 방호별감의 실체를 밝혀준 최초의 고고학자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계룡산성은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고 험준한 곳에 축조된 대형산성이라 할 수 있다. 넷째, 계룡산성은 인근 공주 및 충청남도 일대의 중세성곽으로서 축성사적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계룡산성은 향후 발굴조사가 진행된다면,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당시의 전황,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전쟁사를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계룡산 및 신도에 대한 인식 양상 고찰

        김기림 ( Girim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조선시대 계룡산 및 신도에 대한 다양한 인식 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계룡산에 대한 조선시대 인식 양상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고 긍정적 측면만 강조되었다. 그리하여 계룡산에 대한 인식의 역사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다각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 이에 따라 연구 방법 및 대상에 있어서 개인문집뿐 아니라 국가에서 공적으로 편찬한 문헌들-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왕조실록』 등에까지도 확장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선시대 사람들은 계룡산이 국가에서 제사 대상으로 삼아 신령한 공간으로 생각하기도 했지만, 그 지역 및 신도를 한양-서울보다 열등한 공간이라고 생각했고, 반역 활동과 관련한 공간으로 인식했다. 본 연구결과는 계룡산에 대한 다각적인 인식 양상을 드러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재 계룡산 및 근방 지역의 문화 콘텐트로 제작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recognition patterns of Kyeryong Mountain and Shindo in the Chosun Dynasty and to clarify its meaning.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Kyeryong Mountain in the Chosun Dynasty is inadequate and emphasis positive aspects only. So the history of perception of Kyeryong Mountain is concrete and not enough to show various aspects. Therefore not only individual literatures but also documents that were published in the public domain, for example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were exanined extens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eople of Chosun Dynasty recognized Kyeryong Mountain area and Shindo area as a inferior space than Hanyang and related to treason. This research results will show various aspects of Kyeryong Mountain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and around Kyeryong Mountain

      • KCI등재

        분청사기 문양에 나타난 회화적 표현 연구-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물고기문양(魚文)을 중심으로 -

        박현주 한국도자학회 2018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2

        The buncheong ceramics of Korea developed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continued into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Dynasty, reaching its pinnacle around the reign of King Sejong (1419~1450). Buncheong ceramics is a type of high-fired stoneware which developed from the celadon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s existence was short-lived and it reached its end around the latter part of the 15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is known for its many surface decoration methods, particularly with the application of white liquified clay known as ‘slip’. The clay body for making buncheong is high in iron content and therefore it produces a grayish-brown color when fired in a reduction firing. Once the white slip is applied, the surface is decorated in many different ways. This study looks in particular at the brown and white surface decoration method using iron oxide which was historically centered around the Gyeryongsan Mountain area of Korea. The buncheong ceramics focusing on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using iron oxide, was mainly produced around Gyeryongsan Mountain – to be more precise Gongju-gun Banpo-myeon Hakbong-ri of Chungnam Province which is around Gyeryongsan Mountain. As a result it was also known as ‘Gyeryongsan Mountain buncheong ware’. This was produced in abundance around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into the 16th century. The technique applied for this particular buncheong type was using oxidized iron as the main material for surface decoration. However iron spreads easily on clay surfaces therefore precision was difficult to maintain. Brush strokes required to be swift and exact on top of a surface already applied with white slip. Density of iron oxide mixed with water, was therefore important in order to maintain precision and accuracy. The advantage of the material was that it gave a certain amount of freedom to create painting-like effects on clay surfaces. The distinct feature of Gyeryongsan Mountain Hakbong-ri iron oxide buncheong was the simplified and strong linear qualities found in motifs such as fish, lotus flower and peony. This study focuses on fish motifs applied onto Gyeryongsan Mountain buncheong ceramics. These motifs are compared to fish paintings of the period known as ‘Urhaedo(魚蟹圖)’ in Korean. The objective is to research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in which fish motifs were drawn on buncheong ceramics of this particular region.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aethetic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period depicted in paintings is examined simultaneously as observing the way in which motifs are painted on buncheong ceramics. In the third part, the scholarly nature of Joseon paintings i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chniques applied in paintings of the time. The period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research investigation. In the fourth part of the study, the diverse method in which the iron oxide patterns were applied is examined. Here the focus is mainly on the fish motif. In the final fifth part, the symbolic aspects of the fish motif as a sign of good omen and opulence is observed. Many of Korea’s ceramics over centuries have applied the fish motif. The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buncheong around the Gyeryongsan Mountain region, simultaneously as concentrating on the fish motif depicted in buncheong ceramics.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significance of the fish motif is researched both in ceramics and in painting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 have interviewed the necessary specialists additionally as looking at researched materials on the subject. I sincerel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attract much attention and I hope that many more will expand the field for further research work on the same subject. 분청사기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걸쳐 제작된 자기의 일종으로 세종 연간(1419~1450) 을 전후해 절정을 이루다가 15세기 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분청사기의 한 종류로써 백토분장 후 철분이 함유된 안료로 문양을 그리는 철화분청은 계룡산 지역을중심으로 성행했다. 분청사기 철화기법은 충남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 기슭에서 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계룡산 분청사기’라고 하며,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에 걸쳐서 많이 제작되었다. 철화기법은 산화된 철분이 포함된 철사안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안료는 물에 닿으면 빨리 퍼지기때문에 아주 빠른 필치로 그려야하므로 백토 위에 그림을 자유롭게 그려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계룡산 학봉리 철화분청사기는 간소하고 강렬한 몇 개의 선으로 물고기를 비롯해 연꽃, 모란 등 다양한 문양을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는 분청사기의 여러 문양 중 계룡산 분청사기의 물고기 문양과 비슷한 시기의그려진 어해도(魚蟹圖)를 비교 연구함으로서 물고기 문양을 통해 나타난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이어지는본인의 연구에서 도자기를 회화적 관점으로 확장하는 도자작품 창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룡 대실지구 풍수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풍수적 연구

        이화(Lee, Hwa)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역사민속학 Vol.- No.24

        이 글은 풍수환경도시개발계획을 위한 하나의 연구이다. 대상지는 충청남도 계룡 대실지구이다. 계룡시는 원래 공주시 계룡면이었던 것이 2003년 “계룡시”로 승격되었다. 계룡 대실지구는 한국토지 공사에서 2년간(2006-2007년)의 학술연구용역을 통해 개발계획이 수립된다. 특히 이 계획은 풍수환경 도시로 계획될 것인데 그것은 환경적으로 건강하고 지속발전가능한 모델로서 이루어질 것이다. 화된다. 그동안 여러 도시계획기법들이 있었지만 이번 계룡대실지구의 도시계획기법은 특별히 전통적인 풍수이론을 적용하기로 되어있다. 풍수이론에 따라 논자는 풍수적 이상 공간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그 요소들은 크게 녹지 연결 축인 산의 형태, 물의 흐름, 산과 물의 방위판단이 해당된다. 이러한 대략적인 틀에 따라 대실지구의 주산인 천호산의 지맥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터천과 용수말천이 만나 농소천으로 합류하는 곳에는 비보숲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현재 공동묘지를 형성하고있는 ‘과호’지구에는 상거지 이외의 상업?행정?종교시설이 입지해야 적합하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풍수적 제안에도 불구하고 현재 경제적 효율성과 맞물린 개발의 한계에 부딪혀 있다. 그러므로 풍수적 개념을 현실화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이상적일지 모른다. 그러나 고도성장의 시대에 이러한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존중하려는 풍수개념을 도입하고자 한 의도 자체가 의미있는 출발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태도 자체가 자연의 본래적인 힘을 인식하고 존중하려는 데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on a research model, which is an feng-shui(風水) environmental urban development project. That object area is Gyeryong(鷄龍) Daesil(垈室) section in the Chungcheongnam-do(忠淸南道). This city, Gyeryong is raised in status as a city in 2003. Gyeryong Daesil section maps out the completion of city plan throughout the scientific research service for 2 years(2006-2007), which is sponcered by Korea Land Corporation(韓國土地公社). Especially, this project is going to plan as a feng-shui environmental city, a environmentally sound and continuous developmental model. It is various to express a city-planning technique. Among various ones, this project is intended to apply traditional one, feng-shui theory. According to feng-shui theory, I could extract some indispensable factors composing a feng-shui ideal space. Those are ‘the shape of a green tract of land’ as a green network, ‘the flow of water’ as a blue network, and ‘the goodness of a direction’. If it follows from this framework, approximately, Daesil section‘s the head range, a branch of a Cheoun-Ho Mt. should be protected at most. And the Junction of two streams should be decorated by Bi-Bo forest(裨補숲). And the present’s public cemetery as a feng-shui concept is Gwa-Ho(瓜瓠), which can be developed by commercial or administrative districts. Despite of this basic plan, it is still left the limit of development and actually economical efficiency. That is, feng-shui conceptual city plan may be over-ideal. But the invitation of that in itself is only meaningful in the rapid growth ages. Because that attitude is to recognize and respect the nature’s inherent power.

      • KCI등재

        계룡산 갑사구곡과 용산구곡 원림의 실체 및 특성

        노재현,김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1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intent to consider the features of Gugokwonlim and to compare Gabsagugok(甲寺九曲) to Yongsangugok(龍山九曲) against the backdrop of Mt. Gyeryong by revealing their nature and confirming the names and exact locations. A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local people and field studies confirmed that Gabsagugok and Yongsangugok are each composed of 9 seasonal features. The former is made up of Yongyuso(龍遊沼) - Iilcheon(二一川) - Baengnyonggang(白龍岡) - Dalmuntaek(達門澤) - Geumgyeam(金鷄) - Myeongwoldam(明月潭) - Gyemyeongam(鷄鳴巖) - Yongmunpok(??門瀑) - Sujeongbong(水晶峰) while the latter is made up of Simyongmun(尋龍門) - Eunnyongdam(隱龍潭) - Waryonggang(臥龍剛) - Yuryongdae(遊龍臺) - Hwangnyongam(黃龍岩) - Hyeollyongso(??龍沼) - Ullyongtaek(雲龍澤) - Biryongchu(飛龍湫) - Sillyongyeon(神龍淵). Both Gabsagugok and Yongsangugok are part of Gugokwonlim built in the valleys of Mt. Gyery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Byeoksu Yun Deok-yeong (1927) and Chwieum Gwon Jun-myeon (1932), respectively, with a 5 year difference. Gabsagugok was supposedly designed to reflect an individual taste for the arts and to admire principles of Juyeok (ch. Zhouyi) and the beauty of nature. On the contrary, Yongsangugok appears to be the builder’s expression of his longing for independence day, likened to the life of a dragon after receiving the sad news of Japan’s annexation of Korea. Such differences show that these two builders had very different intentions from one another. The letters of Gabsagugok have a semi cursive style and were deeply engraved on the rock in a square shape. Consequently they have not been worn away except for those in Yongyuso, the first Gok. In contrast, the letters in Yongsangugok have an antiquated, cursive-Yija style but because they were engraved relatively lightly, serious wear and damage occurred. In terms of location, Gabsagugok was built around Ganseongjang adjacent to the 5th Gok while Yongsangugok was set up around the 5th Gok, Hwangnyongam. Meanwhile, the important motif which forms the background of Gabsagugok seemingly highlights the geographic identity of Mt. Gyeryong using the dragon and the chicken as themes. It also appears to symbolize the principles of Juyeok focusing on Kan of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this requires an in-depth study for confirmation. The main motif and theme of Yongsangugok is the dragon. It infuses the builder’s intentions in Sangsinri Valley by communicating with nature through a story of a dragon’s life from birth to ascension. It is assumed that he tried to use this story to express his hope for restoring the national spirit and reconstructing the country. 본 연구는 국립공원 계룡산을 배경으로 설정된 갑사구곡과 용산구곡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구곡명을 확정하는 등 실체를 밝히고 양 구곡원림의 특성을 비교 고찰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주민 인터뷰 그리고 현장 정밀조사 결과, 갑사구곡은 용유소龍遊沼)-이일천(二一川)-백룡강(白龍岡)-달문택 (達門澤)-금계암(金鷄)-명월담(明月潭)-계명암(鷄鳴巖)-용문폭(龍 門瀑)-수정봉(水晶峰)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용산 구곡은 심용문(尋龍門)-은룡담(隱龍潭)-와룡강(臥龍剛)-유룡대(遊龍臺)-황룡암(黃龍岩)-현룡소(見龍沼)-운룡택(雲龍澤)-비룡추 (飛龍湫)-신룡연(神龍淵)의 9개 경물로 구성된 것으로 최종 확인하였다. 갑사구곡과 용산구곡은 조선 말기 벽수 윤덕영(1927년)과 취음 권중면(1932년)이 각각 5년의 시차를 두고 계룡산 계곡에 조영한 구곡원림(九曲園林)으로, 전자는 개인의 풍류취향을 반영하여 주역(周易)의 이치를 자연의 아름다움과 함께 완상(玩賞) 하고자 설정했던 반면 후자는 한일합방의 비보에 관직을 계룡산에 은거하며 용(龍 )의 일생을 비유해 해방의 그날을 표현하고자 했던 구곡원림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설정 주체의 국가관에서부터 극단적인 대비를 보인다. 갑사구곡은 바위를 사각으로 편평히 음각한 상태에서 각자가 이루어졌고 행서체로 필체가 뚜렷하여 새김이 깊어, 1곡 용유소를 제외하고 마멸이 적은 반면 용산구곡은 고어체(古語體)와 초서 이자체(異字體)로 이루어져 있으나 새김이 얕고 마멸과 훼손이 심한 편이다. 갑사구곡은 5곡 인근 간성장(艮成莊)을 중심으로 구곡이 설정된 반면 용산구곡은 5곡 황룡암을 중심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구곡 설정의 중요 모티프는 갑사구곡의 경우,‘ 용과 닭’을 주제로 계룡산의 장소정체성을 부각시키려 한 것으로 추론되며 아울러 팔괘의 간(艮)을 중심으로 한 주역의 원리를 표상화하고자 한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해서는 심화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용산구곡은 ‘용’을 주요 모티프 및 테마로 설정하여, 상신리 계곡을 용이 태어나서부터 승천하기까지의 이야기를 자연에 연계시켜 구현함 으로써 구곡 설정자의 의지와 염원을 자연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용의 일생을 통해 지금의 기울은 국운을 일으키고 나라를 되찾아가는 희망을 표현하고자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