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프로젝트에서 리스크관리요인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태원,박남숙,김승철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4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에서 리스크요인과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를 통하여 건설프로젝트에서의 리스크요인의 영향력 을 파악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건설 기업은 계속적인 프로젝트들의 수행이 기업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프 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이 기업의 이익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건설프로젝트에서는 리 스크 관리가 기업의 생존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대면 가능한 리스크들을 건설 리스크, 재무·경제 리스크, 정치·사회 리스 크, 운영 리스크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의 관리 수준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네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 순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울러 프로젝트관리능력이 리스크요인의 관리와 프로젝 트성과 간의 관계에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지속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IPD와 BIM 융합 방안

        김기평,박성호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3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Vol.3 No.1

        최근 세계적으로 자원 사용의 극대화 및 지속가능한 개발이 화두가 되고 있다. 지구의 총 에너지 사용량 중 50%가 신축건설 프로젝트 및 현존 건물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설 산업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건설 산업은 복잡한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상 발생하는 비효율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 및 탄소 배출량 관리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고, 이를 위해 최근 지속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새로운 건설 관리 체계와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활용을 위한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건설 산업계의 지속가능한 건설 전략 및 가능한 실행방법을 IPD와 BIM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체크포인트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미국 건축사협회의 IPD (Integrated Project Delivery) 지침서와 BIM 프로토콜 그리고 영국 빌딩 서비스 연구 및 정보 협회의 Soft Landing 프레임워크와 왕립 영국 건축가협의회의 BIM Overlay to the RIBA Outline Plan of Work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건설 프로젝트 총 생애주기(Whole Life Cycle)를 통해 BIM을 효율적 사용하여 단계별 지속가능성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BIM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제시하여, 변화하는 건설 산업의 패러다임에 한국 건설 산업계가 적응할 수 있도록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 해외건설 보증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스크로우 계약을 통한 보증의 확대를 중심으로-

        김종호 ( Kim Jongho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외법논집 Vol.37 No.4

        세계적으로 향후 10년간 인프라·플랜트 시장에 21조 달러가 투자되어 과거 10년에 비해 시장 규모가 약 20% 증가할 전망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도 해외 건설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위한 보증을 포함한 금융조달 여건의 개선방안이 즉시 마련되지 않는 한 국내 건설산업은 조만간 붕괴를 맞이하고 말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원전, 고속철도 등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수주에 있어 가격, 기술뿐만 아니라 금융조달 경쟁력이 주요 관건으로 등장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해외건설프로젝트 수주 기업에 대한 금융조달을 지원할 목적으로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유관기관 합동으로 금융여건의 개선방안이 마련되었으나 중소건설기업들은 큰 혜택을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원전·고속철·대수로 등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발주국도 중남미·아프리카 등 신흥개도국 등으로 확대되면서 사업성격이 고부가가치·고위험화 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건설프로젝트 수주에 대한 국가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수주국가의 대출규모, 금리 등 금융경쟁력이 수주의 주요 관건으로 작용하여 중소건설기업들에게는 더욱 불리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는 국제금융시장 불안, 재정부담 증가 우려 등의 요인으로 인해 플랜트 발주국들이 수주국에 금융주선 방안을 적극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 마디로 중소건설기업들은 설 곳을 잃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발주국이 신흥개도국인 경우 수주국에 의한 금융주선이 필수화되고 있고, 발주국이 선진국일 경우에도 재정부담 등으로 인해 금융주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높은 조달금리, 장기 환헤지시장 부재, 경험부족 등으로 국내 민간금융기관의 참여가 어려운데다, 외국계 상업은행 등을 통한 재원조달도 제약요인이 증가하여 중소건설기업들은 오로지 정부가 특별한 금융지원을 하지 않는 한 자력으로 해외건설시장에 진출하기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공적 금융지원기관의 경우도 수주증가에 비해 자금조달여력이 부족하고 금리 경쟁력이 미흡하지만 현재로서는 중소건설기업들이 기댈 곳이라고는 오로지 공적기관밖에 없다. 그러므로 자금조달 여건의 개선을 위한 기본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소규모 건설프로젝트는 시장원리에 따라 자금을 조달하되, 정책지원은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중대형 해외프로젝트에 중점을 두고 중소건설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보증제도를 대폭적으로 개혁해야 한다. 공적금융기관의 자금 공급여력을 확충하고, 연기금 등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인데 우선 한국수출입은행·K-SURE의 해외건설프로젝트 지원 보증비중을 대폭확대 하도록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에스크로우제도를 통한 보증제도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so hard than we just imagine. Big brothers are able to get away with something, but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SME) are in the jaws of death. Even SMEs may win the foreign construction bidding but still there is many perilous barrier to the top of the successful agreement and performance. It is nothing less than a bond to submit to the construction owner. To solve this tough huddle, I proposed to adopt escrow system in the banking sector for provide bond to the SMEs which have successful bidding from foreign govern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high ranked credit score global enterprise. If we include escrow systems within the statute, it will be expanded bond issuance to SMEs which engaged foreign construction business. This may go for the effect of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So then, how escrow payments work? It works the following way: (i) SME writes what he wants to perform and credits are deducted from SME’s account and held by escrow company. (ii) By accepting escrow funding project owner agrees to complete what the project owner is looking for. If project owner rejects funding credits are returned to SME. (iii) After completing the work the SME wanted the project owner marks their work complete. (iv) SME has a chance to review the work project owner submitted. If everything is good they can approve it which then transfers credits to project owner. Several benefits may present in escrow transaction: (i) Peace of mind when purchasing work for both buyers and sellers. (ii) Privacy of project (owner don’t need to post a job). (iii) Ease of use. (iv) SME can fund directly from messages. (v) Flexibility in types of work that can be sold. We should note following points when we entered into escrow agreements: (i) Credits are deducted when party fund an escrow payment. (ii) Credits are not transferred directly to the project owner, but held by escrow company until job completion. (iii) Each escrow payment fund is its own message thread. (iv) Party can have more than one escrow payment fund for the same project owner. SME can only cancel escrow payment before a project owner accepts their escrow fund request. After a project owner has accepted their fund request only the owner can cancel the request. If SME wants to cancel it’s best to work with the project owner to cancel it. Ideally it’s best to work with the project owner and SME to resolve disputed issues. However in the case where a resolution can’t be reached the escrow company support team will resolve disputes.

      • KCI등재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길,이동명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제주 제2공항 등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 추진은 물론,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과 지방공항의 증축 및 리모델링 등 기존공항에 대한 건설사업도 지속적으로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책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설계, 시공 등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구성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역량이 요구되지만, 특히 공항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로서 프로젝트 관리 전반에 대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항 관리주체인 양 공항공사 프로젝트 관리자들의 전문성 있는 역량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모델로서 역량과, 또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행동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 역량모델의 Pool 작성은 세계의 대표적인 프로젝트 관련 단체인 유럽의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와 미국의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에서 개발한 프로젝트관리자 역량 표준서(ICB, PMCDF)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공항관련 단체(ICAO, KAC 등)의 지침서 등을 근거로 공항건설의 특수성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역량모델 Pool을 3개 역량군, 37개 역량, 327개의 행동지표로 정리하였다. 둘째, 앞서 정리한 역량모델 Pool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자 22명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와 9명이 참여한 워크숍을 통해 내용타당도(CVR)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44개의 행동지표로 역량모델 Pool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이렇게 수정․보완된 역량모델 Pool 내용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경력 20년 이상의 부장급 4명의 전문가 검증과정을 거쳐, 1차 역량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역량모델은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27개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넷째, 최종적인 역량모델 확정을 위해 2년 이상 근무경력의 261명의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1차적으로 개발된 역량모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0개 역량, 33개 행동지표를 제외한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가 최종 채택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공항건설 프로젝트의 발주조직인 공항공사 프로젝트관리자에 대한 역량모델을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로 처음 개발하였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Recently, in Korea, plans for new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Gadeokdo New Airport, Jeju 2nd Airport, as well as construction projects for existing airports such 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fourth phase construction project and expansion and remodeling are in progress. To complete successfully these national projects, a high level of capabilities of various project-related members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wo airport project managers are essential factor.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ompetence area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o implement them as competency models for project managers of airport operators(KAC, IIA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ol of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competency models was created based on the Project Manager Competency Standards(ICB, PMCDF) developed by the world’s representative project-related organizations, the European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 and the American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 it was created by ad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irport construction based on the guidelines of airport-related organizations(ICAO, KAC, etc). As a result, the competency model pool was organized into 3 competence areas, 37 competencies, and 327 behavioral indicators. Secon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of 22 people involved in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and a workshop involving 9 people, and a content validity(CVR) analysis, the revised competency model Pool was supplemented and prepared with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44 behavioral indicators. Third, the first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four managers-level expert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competency model consisted of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27 behavioral indicators. Fourth, to confirm the final competency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261 airport construction project-related employees with more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itially developed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adopted, excluding 10 competencies and 33 behavioral indicators. Fifth,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hat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 competency model for airport corporations project managers, as the ordering organization of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was developed with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에서 리스크 요인이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태원,조원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1

        [Purpose]This study set out to find the influence of risk factors in a construction project via connections between the degree of risk management factors and project performance. Ongoing project implementation accounts for a majority of corporate activities in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means that successful project implement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corporate profits and serves as an important element to ensure company’s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suggests that attention must be paid to risk management in projects as a critical element of company survival. [Methodology]In the present study, the potential risk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of construction risks, financial and economic risks, political and social risks, and operational risks. The study examined that the management degree of each factor on project performance and ranked the four factors according to relative influence. [Findings]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nancial and economic risks had the greatest significant influences on project performance, being followed by operational and construction risks in the order. [Implications]Construction companies can attain greater project performance than now through risk managemen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a construction project. [연구목적]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의 수행 과정에서 직면 가능한 위험요인들을 분류하여 각 요인에 대한 관리 수준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각 요인들의 영향력에 대해 상대적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리스크 요인의 관리와 프로젝트성과 사이의 관계에서 프로젝트 관리능력이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건설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 있어 발생 가능한 각종 리스크 요인들은 그 특성에 따라 건설, 정치․사회, 재무․경제, 운영 리스크의 네 가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각 요인의 관리 수준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네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 순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의 크기는 재무․경제, 운영, 건설 리스크 요인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치․사회 요인은 프로젝트의 수행 전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 요인으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 전반에 걸쳐 관리해야 하는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건설 프로젝트는 통상적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대규모,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관리활동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스크에 관한 관리는 프로젝트의 성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리스크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빌드(Design Build) 방식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중.소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치주,김상기,김재준,Lee, Chi-Joo,Kim, Sang-Ki,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5

        국내 중 소규모 건설 산업은 시공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소프트분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또한 다양한 발주 체계가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현재 국내 건설 프로젝트들은 자금력과 기술력을 갖춘 대형 건설업체들이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어 중 소규모 건설업체들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최근국내 외 건설시장의 대형화, 고도화와 함께 기술집약적인 공사가 늘어감에 따라 기술경쟁이 가능한 설계시공일괄(Design-Build)방식의 건설 산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규모가 작은 중 소건설기업의 상황에서는 더욱 건설시장에서 효과적인 경쟁력을 보유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요인과 중 소규모 프로젝트 사례조사를 한 후 AHP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함으로써 중 소규모 건설업체의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중점 관리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중 소 건설업체의 발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have grown i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peration field. Also, soft field is vulnerable area, and there are not enough delivery systems, therefore, a capac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expansion and productivity is insufficient. Furthermore,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are losing their areas, because the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numerous know-how and ample funds are competitive.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more larger and complicated, the design build methods might be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could have more competitive.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success factor in minor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focusing on instance $company^{\circ}{\phi}s$ case and survey, and critical success factor deduction and importance degree analysis of this factor using AHP analysis. In addition, this paper gives fundamental data how to manage the construction project effectively for minor construction $companies^{\circ}{\phi}s$ expansion in near future.

      • KCI등재

        건설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성과측정시스템(PPMS) 개발

        차희성,김기현,Cha, Hee-Sung,Kim, Ki-Hy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1

        건설 산업의 속성상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향인자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프로젝트의 특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관리기법을 적용시켜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련 정보를 축적시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성과관련 시스템들은 성과결과의 분석에만 치중하여 프로젝트의 특성이나 관리기법 등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방법과 접근방식에 대한 고려 부족으로 인해 성과시스템의 활발한 적용을 기대할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과를 사전에 예측하고 성과체계를 정량적으로 모델링할수 있는 성과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제 사례프로젝트의 성과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성과결과와 프로젝트 특성, 관리기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관리기법을 도출할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성과영역별로 다양한 관점에서 프로젝트의 성과비교가 가능할 수 있는 정량화 방안을 정립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성과예측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 관리기법을 선정할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축된 시스템은 향후 데이터베이스의 지속한 관리와 보완을 통해서 성과정보의 양을 확대시킨다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프로젝트 성과 관리를 도모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are so many qualitativ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project. So it is crucial to measure the factors in an effective way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facto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 of a project, it is also important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management practices which are inter-linked with the subjec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PP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variety of project performance data and identify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to increase the potential level of a particular performance area. Using a comparative statistical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quantification method and web-based computerized system to enhance the usage of the system. The system, however, is still under the validation stage because of the shortage of data set. In the future, when more and more completed project data are stored in the system, the system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predicting the performance level and matching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a subject project. In addition, the system can also be modified as a tool for a business- or industry-level system by incorporating the existing enterprise resource programs.

      • KCI등재

        실비정산 비용 지불방식에 적용 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정보관리 시스템

        강남희,송호정,김현중,최재현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5 No.2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by using the informationtechnology(IT) in order to implement advanced information management technology to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The PMIS has been applied not only to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s, but also to some overseas projects executed by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PMIS that is tailored to the US constructionIT market. It has been monopolized by the US-based IT companies, but other companies are recently emerging withcompetitive technology and market strategy. As a preceding study, existing commercially available systems wereanalyzed, and the required features of the PMI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re elements of contract, process andcost management about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US. Then, the PMI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analysis results. The system includes the document management module with an internal electronic approval system,the cost-plus-based automatic labor cost calculation module, and the progress management module to support theintegrated project cost management. In addition, the functionality of the developed system was verified by expertsabout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US via questionnaire survey. The developed PMIS, in this study, is expected tobe applied not only to the US construction IT market as a system specialized for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but alsoto other oversea markets in the future. 최근 국내 건설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관리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건설 사업관리 정보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System, PMIS)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PMIS는 국내 건설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기업이 수행하는 일부 해외 프로젝트에도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PMIS를 미국건설IT 시장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 건설 IT시장은 주로 미국 기반의 IT기업에 의해 개발된 제품들이 독과점으로 선점하고 있었으나, 최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 및 시장전략을 통해 시장을 확보해 나가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개발을위한 선행연구로 국내와 해외에서 상용화된 시스템을 분석하였고, 미국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계약, 공정, 원가관리의 핵심요소를 분석하여 PMIS의 요구기능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PMIS는 내부 전자결제 시스템을 포함한 문서관리 모듈과 실비정산 기반의 노무비 자동 산정 모듈, 진도관리 모듈을 통해 통합 사업비관리를지원한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현지 건설 사업관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PMIS는 미국 건설 산업에 특화된 시스템으로써 미국 건설 IT 시장 뿐 아니라, 해외 타수요처 적용 측면에서 점진적 확대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제건설계약과 해외 투자개발사업과 관련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홍식 국제거래법학회 2021 國際去來法硏究 Vol.30 No.2

        본고는 국제거래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복잡한 유형인 국제건설계약과 아울러 해외 투자개발사업과 관련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을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시공자로서 해외건설 사업 수주를 둘러싼 전개과정과 아울러 수반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일별해 보고 있다. 그리고 발주자와 시공자간 체결하는 국제건설계약 및 수많은 하도급 및 기자재 공급 업체들과의 하도급계약 상의 주요 쟁점들을 망라해 정리하고 있다. 그러한 쟁점들로는 공기지연과 공기연장을 둘러싼 메카니즘, 시공자의 의무와 책임제한, 사정변경과 불가항력, 공사변경, 시공자의 하자담보책임, 건설공동수급체, 건설하도급 법률관계, 독립적 은행보증 등이 있다. 또한 클레임과 클레임 판단에 있어 엔지니어의 이중적 역할 및클레임 단계 이후의 분쟁해결 또한 주요 쟁점에 해당한다. 앞으로 필요한 해외건설 분야 연구과제로는 중동 국가들의 건설 관련 법제 연구와 아울러 시공자 중심의 연구뿐 아니라 한국 기업들이 앞으로 발주자 역할도 많이 할 것이기에발주자 관점에서도 균형감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특히 해상풍력사업의 건설계약에서 기존에 주도했던 EPC계약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건설계약 형태가 나올 수 있기에 그에 관한 연구도 중요하다. 해외 투자개발사업은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투자유치국가의 민관협력(pubicprivate partnership) 법제에 따라 추진되는 개발사업으로서 발주국가의 입찰절차를 통해 진행되는 방식, 둘째, 민자발전사업자들이 추진하는 ‘독립적인 민자발전사업(independent power producer project, IPP사업)’, 셋째, 석탄, 석유, 천연가스 및 철광석, 구리 등의 광물 등을 탐사하고 개발하는 자원개발사업, 넷째, 상기의 PPP, IPP 혹은 자원개발도 아니면서 민간 개발사업자가 차제적으로 투자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분야가 있다. 이들 네가지 유형의 투자개발사업에는 각각의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프로젝트 파이낸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국내 기업들 해외 투자개발사업을 전개해 왔던 추이와 문제점, 그리고 그러한 투자개발사업과 관련한 계약적 및 법적 쟁점들을 두루 살펴보고 있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legal researches regarding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 and overseas investment development projects, all of which are the most complex deals among various types of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t first gives an overview and history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conducted by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s main contractor. The article further briefly deals with major issues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i) the mechanism of delay and extension of time, contractor’s duties and limitation of liabilities, changed circumstances and force majeure, variations, contractor’s defect liability, joint venture or consortium, subcontract relation, and independent bank guarantees. Other important issues include claims by employer or contractor, engineer’s dual roles as the employer’s agent and the adjudicator of claims raised, and resolution of construction dispute. This articles suggests that further legal researches necessary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 should include constructio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middle east Asian countries, researches to be conducted from employer’s perspective as well as contractor’s perspective, and new construction contract scheme under renewable energy sector, particularly marine wind power project, which is going to be a hot issue in near future. On the other hand, overseas investment development projects can b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areas as follow: (i) pubic-private parnership projects to be implemented under PPP related law or policy of the hosting country; (ii) independent power producer projects to generate necessary amount of power; (iii)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coal, oil, natural gas, iron ore, etc.; and (iv) other type of investment development projects except the above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common feature of these four different categories is that all of those projects should be definetely implemented through project finance to raise necessary amount of loans although they have some different featur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and overview of Korean companies’ overseas investment development, trials and errors occurred therefrom, and primary contractual and legal issues of such projects.

      • KCI우수등재

        PMC (Project Management Consultant)와 인적자원역량이 건설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헌창,이정련,안병훈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5

        본 연구는 대형화되는 건설프로젝트의 성과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는 PMC의 중요성과 도입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통하여 PMC의 역할과 건설프로젝트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PMC의 필요성 및 프로젝트 성공의 중요한 요인인 인적자원역량 중 PM리더십과 팀 구성원 역량이 건설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PMC는 인적자원역량과 건설프로젝트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인적자원역량 또한 건설프로젝트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형 건설프로젝트에 PMC를 도입하고 PM리더십과 팀 구성원 역량을 강화한다면 건설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