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진화론수용 이해- 「疑堂備忘」 독해를 중심으로 -

        김도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7

        Kato Hiroyuki(加藤弘之), who was a pioneer of evolution acceptance in the early Meiji period, left a research note called "gidou-bibou(疑堂備忘)" that describes in detail his learning process about evolution theory. In this note, a book that Kato had been reading and a problem that he had been thinking is concretely recorded. Therefore, this note can be regarded as a valuable article to analyze kato's ideological trajectory. So many researchers examined the evolution acceptance problem of Kato based on this note. However ,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Kato's so-called ' turning '. Therefore they considered evolution acceptance problem as kato's reason of political conservatism or as 'incorrect or misunderstanding' of that.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d on successive sides of Kato's thoughts before and after acceptance of the evolution, and analyzed whether having any involvement with the era situation at the time. In particular, we checked that how kato's ideological challenges - japanese 'cultural enlightenment' and 'national polity theory' at the time - arrive to the 'evolution theory' through the 'race idea' by learning Western thoughts. However, this process had to give up with the metaphysics of 'the idea of personal heaven' that was previously self-commitment at the same time. As the result, acceptance of evolution theory of kato denied 'descendant of Heaven' as well as 'natural rights ideas' at once. In that sense, evolution theory acceptance of Kato will have to say that political considerations rather than the result of his problem awareness. 메이지 초기 진화론수용에 산파역할을 했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는 자신의 진화론 학습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연구메모 「疑堂備忘」을 남겼다. 이 메모에는 당시 가토가 무엇을 읽고 어떻게 사고했는지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토의 사상적 궤적을 분석하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이 자료에 입각하여 많은 학자들이 가토의 진화론수용문제를 검토한 바 있으나, 다만 기존 연구들은 가토의 소위 ‘전향’이후의 행적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정치적 보수화를 설명하는 원인으로 진화론수용문제를 검토하거나, 혹은 그의 진화론이해의 ‘올바름’ 및 ‘오역’ 여부를 검증하는 데에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약간 시점을 달리하여, 가토 진화론수용의 내재적 측면, 즉 그의 진화론수용 이전사상과의 연속적 측면에 주목하고, 그것이 막말에서부터 메이지로 이어지는 시대적 상황 안에서 어떻게 규정되고 변화하는가를 분석하였다. 특히 가토가 당시 직면했던 사상적 과제들, 즉 일본의 ‘개화’나 ‘국체’ 등에 관한 문제의식을 매개로 서구사상을 학습하면서 ‘인종’을 거쳐 ‘진화’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학습의 과정 안에서 ‘천손’적 군주가 국가를 사유한다고 하는 국체관을 부정하고자 하는 의식이 막말-메이지초기 이래로 연속되면서 진화론으로 이어지는 지적 관심들을 규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런 의식은 동시에 이전 스스로 의지하던 인격적 ‘천’관념의 형이상학마저 함께 포기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가토의 진화론수용은 ‘천손’의 ‘천’뿐만 아니라 ‘천부인권’의 ‘천’마저 함께 부정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런 의미에서 가토의 진화론수용은 어떤 정치적 고려에 의해 이루어졌다기보다는 당시 자신이 처한 상황 속에서 가진 문제의식을 끝까지 궁구한 결과 도달한 귀결이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토 히로유키의 진화론과 전쟁인식 - 청일·러일전쟁 관련 저술분석을 중심으로 -

        김도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8 일본사상 Vol.0 No.35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대하는 메이지시대 일본 지식인들 대부분은 전쟁을 정당화하고 그 명분을 세우는 데 진력하였다. 거기에는 문명과 야만의 충돌이나 의전론과 같은 다양한 지식이 이용되었는데, 특히 진화론은 전쟁을 정당화하는 대표적인 논리를 제공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토 히로유키는 진화론을 적용함으로써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전망하고 일본의 승리를 예측하는 저술을 남겼다. 먼저 『일본지십대승산』에서는 지혜롭고 강한 일본이 어리석고 약한 청나라에 승리하는 것이 사회필연의 ‘천칙’이라며 일본승리의 열 가지 이유를 내세우는데, 그 중 핵심적인 내용은 ‘도덕법률’이 상대방보다 잘 진화하여 ‘충군애국’이 일체화한 일본이 더욱 우월하다는 인식이었다. 특히 이 ‘충군애국’의 근거를 역성혁명이 없이 만세일계로 이어진 천황국이라는 일본적 특수성에서 찾고 이로부터 청일전쟁의 승리를 예측한다. 이후 ‘도덕의 진화’문제에 천착하던 가토는 러일전쟁기에도 『진화학으로부터 관찰한 일러의 운명』을 저술하고 진화론에 입각해 전쟁을 예측하는데, 여기에서는 전쟁이 인간에게 필연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문명발전의 계기이며, 진화의 법칙에 비추어 ‘적자’의 조건을 갖춘 일본이 ‘부적자’인 러시아에 필연적으로 승리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에서도 일본의 특수한 ‘충군애국’의 조건으로부터 보다 완전한 ‘사회유기체’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러시아보다 일본이 ‘진화’한 이유로서 제시된다. 결국 개개인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이익을 자기이익보다 우선시하는 ‘멸사봉공’적 경지에 이른 사회가 경쟁으로부터 살아남는다는 점을 ‘진화론’이라는 ‘과학’의 이름으로 논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가토의 시도는 메이지의 여타 지식인들과는 또 다른 특수한 지위를 점하는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Most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Meiji period were enthusiastic about justifying the war. There were various knowledge such as the conflict of civilization and savage or righteous war, but the evolutionism, in particular, provided its representative logic. Among them, Kato hiroyuki leaves a writings predicting Japan’s victory by applying the evolutionism and looking at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First of all, in the 『Ten Grounds of Japan’s Victory』(1894), Kato insists that it is the inevitable “law of heaven” that Japan, which has “knowledge” and “strength”, wins the “foolish” and “weak” Qing Dynasty. And the most important of these ten grounds was the recognition that Japan’s evolved higher moral and law than the Qing Dynasty’s and integrated Loyalty to the king and country in Japan is superior. In particular, he found the reason for the loyalty from the Japanese specificity about the continuity of the Emperor without any revolutionary event, and predicted the victory of Japan from this. Kato, who had kept studying the ‘evolution of moral and law’ issue since then, also wrote 『Fate of Nippon and Russia from view of Evolutionism』(1904) at the time of the War, and attempts to predict war based on evolution theory. Kato here asserts that war is an inevitable phenomenon in the human world, and it is also a source of civilization development. And here too pointed the more complete ‘social organism’ from the condition of the ‘Japan’s specially integrated Loyalty to the king and country’ as a reason why Japan is evolving over Russia. In the end, he was trying to prove the claim that the society that reached the point where the interests of the individual’s own community prevailed would survive the competition, in the name of “science”, “evolution.”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Kato’s attempts will b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Meiji intellectuals such as Fukuzawa and Uchimura.

      • KCI등재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人權新說》과 천부인권논쟁 재고

        김도형(Kim, Do-Hyung)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메이지의 사상가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는 1881년 자신이 기존에 출판했던 서적들을 절판하겠다고 선언하고, 이전까지의 자기견해가 잘못된 것임을 인정하였다. 이후 새롭게 출판한 저서 《인권신설》은 소위 ‘천부인권론’이 ‘망상’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하여 많은 논란을 낳았다. 본 연구는 《인권신설》에서 나타난 많은 논쟁과 이를 통해 수정된 가토의 입장을 살펴보고 그 가토의 변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추적하였다. 가토는 《인권신설》에서 자신이 진화론을 받아들여 ‘새로운 주의’에 입각한 주장을 펴고 있다고 말했지만, 천부인권론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자기입장을 보완・수정하였는데 이것은 도리어 가토가 이전의 ‘천’관념에 입각한 유학적 형이상학을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 보완과 수정은 보다 진화론적인 방향이 아닌, 과거 입장으로의 회귀 및 강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회귀 및 강화로부터 나오는 진화론이 서구이론에 대한 ‘오해’ 내지 ‘그릇된 수용’이 아닌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try to track the logic of Kato Hiroyuki(加藤弘之) that have been modified through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1881) and a lot of controversy that occurred Concerning this, where the change in Kato that appeared to mean. Kato had said that it has a claim based on their own is received the theory of evolution ‘new doctrine’ in the book, many supplement their claims by fart the controversy was traveling around the innate human rights theory, had been modified. However, this supplement and modification is not an evolutionary direction, it is confirmed that it had been led to regression and enhancements to previous his ‘heaven’ Confucianism specific metaphysical principle based on the idea that. This study at the same time, claiming the need to try to cap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evolution that claims from such regression and strengthening is ‘misunderstanding’ or the ‘false acceptance’ without ‘acculturation’ to the theory of West.

      • KCI등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序說)-

        유봉희 ( Yoo B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를 중심으로 살피기는 했지만, 이들과 유럽의 연쇄고리를 전제한 후 영국의 스펜서·헉슬리·키드와 독일의 블룬칠리·헤켈 등의 진화론사상을 동시에 포괄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엄복·양계초,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 등의 사회진화론사상의 뿌리를 확인하기도 했다. 즉 개인의 방임을 강조한 영국 발 사상이냐, 아니면 개인마저도 국가에 수렴하는 강력한 국가우위의 독일 발 사회진화론이냐, 하는 갈림길에 주목했던 것이다. 양계초는 영국 사상가들에게서, 가토 히로유키는 독일의 사상을 적극 수용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자신의 사상적 바탕을 사회진화론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면 양계초를 매개로 사회진화론사상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가토 히로유키를 키워드로 수용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을 터다. 그 결과 양계초와 카토 히로유키를 매개로 수용한 조선의 사회진화론은 그 성격을 달리했던 것이다.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작품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이 논문이 거듭 근대문학 해석에서 사회진화론을 상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were focused in the study, the study also included the evolution theory of Spencer, Huxley and Kidd of England and Bluntschli and Hegel of Germany as well in the presupposition of their link to the Europe. In doing so, the study could find the root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Eom Bok and Yang Gech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It means tha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ork load between the idea of England that focused on individual rights and the idea of Germany that put strong national superiority over individual. Yang Gecho accepted the ideas of English thinkers and Kato Hiroyuki adopted the idea of Germany actively. If new noble writers in Joseon of the time were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they received social evolution theory via Yang Gecho or if they accepted Kato Hiroyuki as their key wor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volution theory in Joseon were different by the media from Yang Gecho and Kato Hiroyuki. The orientation of novels of new novel writers was dramatically divide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 ‘優勝劣敗’에서 ‘天則’으로 -『人權新說』과 『强者の權利の競爭』 사이의 加藤弘之-

        김도형 ( Kim Do Hy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9 No.-

        동경대학 초대 종리였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는 『인권신설(人權 新說)』(1882)의 발표 이후 많은 비판에 휩싸였고 이후 『강자의 권리의 경쟁(强者の權利の競爭)』(1893)』에 이르기까지 자기 이론의 보완을 시도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저작 사이의 기간 동안 가토의 주요 행보와 사상적 궤적을 살펴본 논문으로, 이를 통해 『인권신설』로부터 『강자의 권리의 경쟁』에 이르는 기간 가토의 작업이 갖는 의미를 재고해 보고자 하였다. 가토는 동경대학 종리직에 있으면서 실제로 당시의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有禮)의 대학정책과 충돌하는 일이 잦았고, 이로 인해 동경대학 종리직을 사임하고 원로원 의관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원로원에서도 가토는 이토를 정점으로 하는 당시 메이지 정부에 대한 비판적 언설을 그치지 않았으며, 또한 『천칙(天則)』이라는 개인잡지를 통해서도 자신의 이론에 입각하여 정부를 비판하는 행보를 보이는 등, 반드시 당시 권력에 영합적인 행보를 보이기만 한 것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인권신설』에서 드러난 자기 이론의 모순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서 인간의 자유=권리가 강자 간의 경쟁을 통해서만이 획득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자기 이론의 완성을 시도 하였다. 『인권신설』단계에서의 문제이자 모순의 근원이 되었던 ‘우승열패’의 무제한적 경쟁을 ‘사회’내의 공동이익을 위한 경쟁이라는 수준으로 설명하면서 이제 인간의 특수성은 신(神)이나 권력자에 의해 부여되는 자유=권리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 경쟁을 통해 획득한 자유=권리에 의해 획득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우승열패’의 일원적 원리로 설명되던, 그러나 결코 권력의 전복과 혼란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모순을 안고 있던 공동체는, 경쟁하되 파멸적인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공동의 이익을 발견하는 ‘천칙’에 입각하는 ‘사회’로 해소될 수 있으리라 가토는 생각하였던 것이다. Kato Hiroyuki, the first Prime Minister of Tokyo University, had recevied a lot of criticism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人權新說)』(1882), and had attempted to supplement the self-theory up to the 『The theory of A Strong``s right of competition(强者の權利の競爭)』(1893) that after It was. This study was followed the main activities and ideological trajectory of Kato during this period. Until now it had been not dealt with this period so specifically because Kato that after the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 was figured out the Ideologue of the Meiji state. In this period, Kato puts a policy of the university caused a conflict with the Minister of Education Mori Arinori, therefore it made him quit the Prime Minister. After that, Kato entered Senate and gave a critical opinion to the government, also continued his political claims through launching the personal journal 『Natural law(天則)』. At the same time, he attemp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his own theory, human freedom = right tried the completion of his theory from the view that can be acquired only through competition among the strong. Kato exchanges a ‘survival of the fittest’ in the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 for a ‘competition for the joint benefit in society, and human peculiarities is not a freedom = right given by God and those in power, emphasize that a person who obtained through their own competition. In this way previously has been described as the central principle of ``survival of the fittest``, but never the community had embraced a contradiction that should not overthrow and confusing is the competition is up to the level to destroy each other, can be resolved by the ``society`` that based on the ``natural law`` by common interests finding.

      • KCI등재

        1874년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민선의원설립 시기상조론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김도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2

        1874(明治 7)년, 정한논쟁에서 패퇴한 구 참의들로부터 ‘민선의 원설립건백서’가 제출되면서 당시 일본에서는 민선의원설립논쟁이 중요한 정치적 의제로 떠올랐다. 이전까지 선구적으로 입헌제 및 상하공치(上下共治)의 중요성을 설파하던 가토 히로유키는, 이에 대해 소위 ‘시기상조론’이라고 불리는 입장을 신문지상에 공개적으로 발표하면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전까지의 연구들에서는 이런 가토의 입장표명을 ‘변절’내지 ‘전향’ 등과 같은 것으로 간주하고, 그 이유를 정치적 상황이나 개인의 관료적 성향, 혹은 그 ‘우민관(愚民觀)’으로부터 찾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이데올로기적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후적 관점으로부터 이루어진 감이 없지 않다. 본 연구는 가토의 이전 저술들로부터의 연속성 안에서 이 ‘시기상조론’의 내재적 논리를 구명하고, 그것이 어떤 정치적 고려 내지 ‘우민관’같은 관점만이 아닌, 가토가 당시 지니고 있던 현실인식과 문제의식, 특히 이전부터 이어지던 군주관(천황관)으로부터 군주(천황)의 계몽을 우선시하시는 인식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경쟁하는 사회 VS 투쟁하는 사회 - 가토 히로유키와 굼플로비치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김도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1

        Kato Hiroyuki(加藤弘之) published "The Competition of the Rights of the Strong" (1893) to both German books and Japanese books. This German book was actually published in Germany, and has since been reviewed in several local newspapers. Approximately the evaluation was not very high, but Kato left several pieces of refutation claiming originality of his theory.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dispute with Gumplowicz. He pointed out two points: one was a discussion of 'tolerance' in his theories, and the other was a discussion of 'the country of the right wing', and Gato refuted this.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m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viewpoint of the society,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eeing the driving force of social evolution as 'competition with room for compromise' or 'struggle without compromise' and tried to explain its meaning. 가토 히로유키는 『강자의 권리의 경쟁』(1893)을 독일어판본과 일본어판본의 두 가지로 동시에 출간했다. 이 독일어판본은 실제 독일에서 출판되었고, 이후 몇몇 신문들에 서평이 실리기도 했다. 대부분의 평가는 그다지 좋지 않았으나 가토는 자기 이론의 독창성을 주장하며 반박하는 글을 몇 편 남겼다. 특히 그 중에서도 굼플로비치와의 논쟁은 주목할 만하다. 굼플로비치는 두 가지 점을 지적했는데, 하나는 그의 이론에 나오는 ‘인허’에 대한 논의, 다른 하나는 ‘우내통일국’에 대한 논의였고, 가토는 이에 대해 반박하는 글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입장차이가 무엇보다도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 즉 사회 진화의 원동력을 타협의 여지가 있는 ‘경쟁’으로 보는가, 타협의 여지가 없는 ‘투쟁’으로 보는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優勝劣敗’에서 ‘天則’으로 -'人權新說'과 '强者の權利の競爭'의 사이의 加藤弘之-

        김도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6 사총 Vol.89 No.-

        Kato Hiroyuki, the first Prime Minister of Tokyo University, had recevied a lot of criticism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人権新說)』(1882), and had attempted to supplement the self-theory up to the 『The theory of A Strong's right of competition(強者の権利の競争)』(1893) that after It was. This study was followed the main activities and ideological trajectory of Kato during this period. Until now it had been not dealt with this period so specifically because Kato that after the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 was figured out the Ideologue of the Meiji state。In this period, Kato puts a policy of the university caused a conflict with the Minister of Education Mori Arinori, therefore it made him quit the Prime Minister. After that, Kato entered Senate and gave a critical opinion to the government, also continued his political claims through launching the personal journal 『Natural law(天則)』. At the same time, he attemp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his own theory, human freedom = right tried the completion of his theory from the view that can be acquired only through competition among the strong. Kato exchanges a ‘survival of the fittest’ in the 『The new Theory of human rights』 for a ‘competition for the joint benefit in society, and human peculiarities is not a freedom = right given by God and those in power, emphasize that a person who obtained through their own competition. In this way previously has been described as the central principle of 'survival of the fittest', but never the community had embraced a contradiction that should not overthrow and confusing is the competition is up to the level to destroy each other, can be resolved by the 'society' that based on the 'natural law' by common interests finding. 동경대학 초대 종리였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는 『인권신설(人権新說)』(1882)의 발표 이후 많은 비판에 휩싸였고 이후 『강자의 권리의 경쟁(強者の権利の競争)』(1893)』에 이르기까지 자기 이론의 보완을 시도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저작 사이의 기간 동안 가토의 주요 행보와 사상적 궤적을 살펴본 논문으로, 이를 통해 『인권신설』로부터 『강자의 권리의 경쟁』에 이르는 기간 가토의 작업이 갖는 의미를 재고해 보고자 하였다. 가토는 동경대학 종리직에 있으면서 실제로 당시의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有礼)의 대학정책과 충돌하는 일이 잦았고, 이로 인해 동경대학 종리직을 사임하고 원로원 의관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원로원에서도 가토는 이토를 정점으로 하는 당시 메이지 정부에 대한 비판적 언설을 그치지 않았으며, 또한 『천칙(天則)』이라는 개인잡지를 통해서도 자신의 이론에 입각하여 정부를 비판하는 행보를 보이는 등, 반드시 당시 권력에 영합적인 행보를 보이기만 한 것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인권신설』에서 드러난 자기 이론의 모순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서 인간의 자유=권리가 강자 간의 경쟁을 통해서만이 획득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자기 이론의 완성을 시도하였다. 『인권신설』단계에서의 문제이자 모순의 근원이 되었던 ‘우승열패’의 무제한적 경쟁을 ‘사회’내의 공동이익을 위한 경쟁이라는 수준으로 설명하면서 이제 인간의 특수성은 신(神)이나 권력자에 의해 부여되는 자유=권리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 경쟁을 통해 획득한 자유=권리에 의해 획득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우승열패’의 일원적 원리로 설명되던, 그러나 결코 권력의 전복과 혼란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모순을 안고 있던 공동체는, 경쟁하되 파멸적인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공동의 이익을 발견하는 ‘천칙’에 입각하는 ‘사회’로 해소될 수 있으리라 가토는 생각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근대 한중일(韓中日) 블룬칠리의 민족·국민 개념의 수용과 변용 : 가토 히로유키/량치차오/나진·김상연을 중심으로

        정혜정(Jung, Hye-J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3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중일은 서세동점의 위기의식 하에 ‘인민은 있어도 국민은 없다’는 국가 부재의 현실을 타개해 나가고자 하였다. 그 위기 극복을 위해 비중 두어졌던 것이 서구 국가사상의 수용을 통한 신 국가건설이었다. 당시 다양한 서구 국가사상이 동북아 한중일에 소개되었지만 이 가운데서 가장 주목받았던 것은 블룬칠리의 국가사상이었다. 블룬칠리는 국가의 성립조건을 민족과 국민에 두었다. 국가의 기원은 단체를 이루는 인간의 천성에 있고, 동일한 종교와 언어 등이 이루는 공동정신에서 민족은 형성되며 민족이 정치적 단결을 이룰 때 국민이 된다. 따라서 한중일 모두는 신 국가건설을 모색함에서 민족과 국민을 주목했다. 가토 히로유키는 블룬칠리가 말한 ‘나치온(nation)’을 ‘民種’으로 번역했고, 량치차오는 ‘民族’으로, 나진/김상연은 ‘人民’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 용어의 차이는 국가론을 접근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가토 히로유키는 지배계급의 입장에서 民種과 국민의 관계를 규정하여 천황제 중심의 입헌국가로 지향해 나갔다면, 량치차오는 블룬칠리가 제시한 국가성립조건으로서 민족개념을 발전시켜 소민족주의와 대민족주의를 함께 주창하여 다민족의 혼합국가를 지향했다. 이는 한족(漢族)이 중심이 되는 대민족 국가를 이루어나가고자 함이었다. 한편 나진/김상연은 인민의 공동정신을 강조했고, 국민은 인민의 정치적 단결로 이루어지는 정치적 결합체라는 것에 주목하여 국민주권을 지향해 나갔다. 또한 만국 모두가 동귀일체가 되는 대동국가 건설을 이상으로 삼았다. The modern Korea, China, and Japan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absence of the state under the sense of crisis that there are not nation but people. One strategy to overcome this crisis was the use of Western national ide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At the time, various western national ideologies were introduced to Northeast Asia, but the most notable of them was the national ideology of Bluntschli. Japanese scholars went directly to Europe to study the national thought and came back to their own country to lead the discourse of stat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national ideology. China has developed Western theories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such as Martin who have come into the country, or by translating Japanese translations. In the case of Korea, indirect acceptance was achieved through Japan and China. Bluntschli placed the conditions of state on people and nation. The origin of the state lies in human nature. People and nation are the product of history. A people comes into being by a slow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a mass of men gradually develop a type of life and society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s. The rise of a nation implies merely a political process, the creation of a state, and may therefore be brought about quickly by a new constitution, but not with real safety unless built upon a basis of nationality. Kato Hiroyuki(加藤弘之) translated the concept of nation and volk in Bluntschli as race of people(民種) and nation, Liang Qichao(梁啓超) translated to people(民族) and nation. Also Na Jin(羅瑨) & Kim Sang-yeon(金祥演) translated to peoples(人民) and nation. The difference in terminology is related to the way of approaching theory of state. In the case of Kato Hiroyuki, which is translated “race of people(民種),” there is an aspect that imposes the ruling class perspective. Also Liang Qichao, translated “people(民族)”, literally has a context that puts weight on ethnic issues. In addition, the case of Na jin / Kim Sang-yeon, which is translated as “peoples(人民)” suggests that the human nature and common spirit of peopl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uling class, Kato Hiroyuki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ce of people and nation and headed toward the emperor-centered state. Liang Qichao advocated minor nationalism and large nationalism together, aiming for a mixed state of multi-ethnics. Also Na jin / Kim Sang-yeon, meanwhile, puts the origin of the state on an individual, not a nation. They insisted on moving forward as "oneness of the world" of universal, with emphasizing the collective nature of individual.

      • KCI등재

        근대초기 일본 양학(洋學)수용의 유교적 맥락 -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도나리구사(鄰草)를 중심으로 -

        김도형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99 No.-

        본 논문은 메이지 초기의 대표적인 계몽주의자이자 양학자였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처녀작 『도나리구사(鄰草)』에 나타난 유교적 맥락을 살펴본 것이다. 최근 메이지 초기의 계몽주의, 특히 메이로쿠샤(明六社)류 계몽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메이지 초기의 지적 상황을 서구적인 것과 전통적인 것이 공존하며 ‘겹쳐진’ 상태로 바라봄으로써 그 시기 지식인들의 다양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토 히로유키 역시 그 시기를 대표하는 지식인 중 한 사람으로, 특히 그의 처녀작 『도나리구사』는 일본에서 최초로 입헌정체를 본격적으로 소개한 책자로 유명한하다. 본 논문에서는 거기에 나타난 서구지식의 수용이 유교적인 교양, 특히 ‘천(天)’과 같은 형이상학적 요소에 의해 규정되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토의 경우는 당시 지식인들이 기본적으로 유교적인 소양 위에서 양학을 수용하는 ‘겹쳐서 보는’ 시선을 지녔음을 확인하는 데에 좋은 사례를 제공해준다. 이로부터 기존 사상사연구에서 흔히 취해 왔던 전통vs근대의 구도로부터 설명할 수 없는 막말-메이지 초기 지식형성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서구지식 수용에 방해가 된 유교’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두 가지 지식의 맥락이 어떻게 길항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Kato Hiroyuki(加藤弘之) is a typical bureaucrat of knowledge in Japan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Tokugawa and the subsequent Meiji periods. In Japan, Kato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pioneers of Western thought, although existing research has revealed his thoughts to have been influenced in ways that are perceived to be undesirable. For example, he was known as a “government-patronized studies” due to the similarity of his beliefs to those associated with fascism. Kato's academic tendency has been criticiz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depends on “the misuse of Western thought”, or a “misunderstanding on acceptance.” Existing research attempted to explain Kato’s way of thinking in terms of ‘Confucianism’. Looking at it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is research considers Confucian cultures and their influence on Kato's thought formation, and how it changed as a consequence of his acceptance of Western thought. Like most intellectuals of the time, Kato had been taught Confucianism from a young age. For him, the inner subconscious of the Confucian cultures (for example, 'the heaven') performed the role of a “universal discipline” acting as recipient for Western thought. This study enabled us to confirm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knowledge in Kato's thought, evidence of the “overlapped look”, a point of view that has often been considered confronta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