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자 국왕의 초상: 와룡관학창의본 이하응초상

        이경화 ( Kyung Hwa Lee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4 No.-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은 조선의 26대 국왕인 고종(高宗, 재위 1863-1907)의 친부로서, 고종의 즉위부터 10여 년간 정권을 장악하고 강력한 개혁정치를 추진한 인물이다. 그는 정치가인 동시에 추사 김정희에게 묵란과 서예를 배운 서화가이자 예술후원자였다. 흥선대원군은 50세가 되는 1869년 세 점의 각기 다른 의상을 입은 초상화를 제작하였다. 그중 한 점인 와룡관학창의본 초상화가 이 논문의 주제이다. 흥선대원군이 이 초상화를 주문한 의도를 알려 주는 정보는 없다. 그러나 1869년은 그가 집권 초부터 추진해 온 정책이 성공을 거두면서 그의 정치적 영향력이 정점에 이른 시기였다. 이러한 의미심장한 제작 시기는 이 작품의 제작 의도와 표현의 핵심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와룡관학창의본의 가장 큰 특징은 주인공의 앞에 놓인 다양한 문인의 기물이다. 그의 곁에 전시된 향로, 안경, 벼루, 자명종, 인장, 환도 등의 다채로운 기물은 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용도구일 뿐 아니라 문화적 향유의 대상이었다. 일반적인 문인 초상화 제작의 관습을 따르면 주인공과 함께하는 문방기물은 예술과 문화에서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이상적인 문인상을 표현하고자 할때 이용된다. 따라서 이 기물들은 문인이자 예술가로서 흥선대원군의 정체성을 전달하기 위해 선택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초상화를 제작할 당시 그가 국왕 이상의 존재로서 국정을 운영한 실질적인 통치자였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흥선대원군은 무엇을 위해 이러한 초상화를 제작하였는가? 그가 그의 주변에 배치한 기물은 무엇을 위해 선택되었는가? 이러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각 기물의 정체를 정확히 규정하고 각각의 문화사적 함의를 검토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물의 소유주인 흥선대원군에게 이들이 의미하는 바를 추론할 수 있다. 연녹색의 바탕에 노란색의 용이 새겨진 벼루는 송화석연(松花石硯)이라고 하는 청대 궁정에서 제작된 벼루로서, 강희, 옹정, 건륭제와 같은 황제들이 선호한 벼루였다. 황금빛의 시계는 17세기 영국에서 만들어진 토마스 톰피온(Thomas Tompion)의 시계와 동일한 디자인을 보인다. 송화석연과 서양의 시계는 청대 궁정에 진설되어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기물이었다. 흥선대원군이 두 기물을 그의 초상에서 강조한 이유는 이들을 통해 그의 권력의 정당성과 업적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하려는 의도에 있을 것이다. 이 초상화를 극적으로 만드는 가장 흥미로운 요소는 기물에 쓰인 두 개의 명문(銘文)이다. 그 첫 번째는 인장에 쓰인 ‘근봉(謹封)’이라는 인문(印文)이다. 근봉인과 그 곁에 놓인 중국제 시전지갑은 흥선대원군이 평상시 서간을 쓸 때 즐겨 사용한 도구였다. 흥선대원군의 정치에서 서간은 매우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었으며, 근봉인은 그 서간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두 번째는 그의 곁에 세워진 환도에 적힌 ‘척사검(斥邪劍)’이다. 검은 조선의 문인들에게 정신적 수양과 굳은 의지를 의미하는 가장 효과적인 상징물이었다. 대원군은 이 칼에 ‘위정척사(衛正斥邪)’, 즉 바른 정치로 사악한 외세를 물리친다는 의미에서 온 ‘척사’라는 명문을 금으로 새겼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한 19세기 말은 서구열강의 동양진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선의 전통적인 사회질서와 정치체제에 대한 개편이 요구되는 때였다. 역사의 갈림길에서 조선 정부와 대원군이 선택한 공식적 입장은 척사론과 쇄국정책이었다. 척사의 명문과 흥선대원군의 초상화는 그의 정책과 의지를 상징하는 시각적 증거이다. 우리는 흥선대원군의 의도에 따라 제작된 초상화를 따라 그의 정치적 전망, 성취에 대한 확신, 아울러 그의 한계를 읽어 본다. Regent Heungseon Yi Ha-eung (1820-1898) was the resourceful father of Gojong (r. 1863-1910), the 26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a king de facto who exercised dominant authority in shadow hidden under the rulership of his young son and actively advocated grand political reforms during the last decade of the dynasty. Regent Heungseon not only was a political man but also a painter of ink orchid and a calligrapher. At the age of 50 in 1869, he commissioned three versions of his portraits. This essay explores the version in which he presents himself in a scholar`s crane garb and the dragon cap of Zhuge Liang (諸葛亮, 181?234). His own inscription on the painting records precisely the names of painters and mounter, and the date of production; here Regent Heungseon does not explicate his motives for the commission. However, deliberating his rulership, we can notice that his political leverage reached the summit around 1869 after his reforms being successfully carried out. He must have aimed to commemorate his achievements until 1869 in his lifelikeness. If so, how did he devise visual strategies in the portrait?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portraits is the assorted accouterments disposed around Regent Heungseon, such as bronze incense burner, colored glasses, ink stone, clock, jade seal, sword and so forth. In the tradition of portrait of elite man in Joseon, the scholar`s accouterments demonstrate the sitter`s pursuit of profound knowledge and spiritual liberty in both private and cultural life. Many researchers suggest that this version represents the Regent`s literati identity as a scholarly painter and calligrapher.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fact that he was positioned as the uppermost ruler to formulate and proceed the policy in government when the portrait was produced in 1869. Songhuashi yan (松花石硯), the inkstone with green and yellow stone and glamorous western clock on the table are courtly props that symbolize the authority of Qing emperors. Similarly, Regent Heungseon also had in mind to present the legitimacy of his rulership as well as his connoisseurship of rare and valuable antiques. Above all, the three Chinese characters carved on the sword make the painting more dramatic. The inscription reads “cheoksageom (斥邪劍),” the sword for expulsion of wickedness. In the milieu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cheoksa alludes to Wijeong Cheoksa (衛正斥邪), which literally means,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Joseon was confronted with Western invasions during the reign of Regent Heungseon. Cheoksa means to defend the country against Western force. The official position adopted by the Joseon government was the policy of seclusion against Western Force. The sword with inscription Cheoksa thus symbolizes his commitment to keep this policy. In the portrait of Yi Ha-eung, we can take a glimpse of his self-confidence to political perspective as well as his own achievement. This essa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portrait of Regent Heungseon is presented exquisitely with specific political messages, and ques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rt and political discour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흥선대원군의 집권기 연향 전통의 변용과 《戊辰進饌圖屛》(1868)

        徐藝珍(Seo Yejin)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1

        본 논문은 고종대 《무진진찬도병》(1868)을 설행 주체와 목적을 정치적으로 분석한 글이다. 무진진찬은 신정왕후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1868년 12월 6일부터 11일까지 경복궁에서 설행된 연향이다. 무진진찬은 본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흥선대원군이 측근 세력들을 규합하여 자신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연향이었다고 판단된다. 흥선대원군은 이 연향의 곳곳에 자신의 권위가 드러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흥선대원군은 자신이 완공한 경복궁에서 진찬을 설행하였으며, 경복궁 중건을 담당한 관원들은 연향의 당상으로 임명되어 연향을 준비하였다. 신정왕후의 생신 당일에는 흥선대원군의 친위세력들이 국왕의 명령으로 초대되었다. 연향의 마지막 행사였던 익일회작에서 치사는 앞서 언급한 당상 3인만이 올렸다. 이전에는 여성 참석자와 행사 실무진도 올렸으나 이들은 제외되었던 것이다. 《무진진찬도병》은 흥선대원군과 측근들이 참여한 사실을 기념하고 있다. 먼저 경복궁을 적극적으로 묘사하여 경복궁 완공을 기념하였다. 기존 연향도병에서의 궁궐이 형식적으로 묘사된 것과 달라진 점이다. 둘째, 신정왕후의 생신 당일 행사에 흥선대원군과 아내인 부대부인이 참석한 자리가 표시되어 있다. 셋째, 익일회작에서 흥선대원군 친위세력이 보계 위에 오르는 등 우대되었던 사실이 세 폭으로 확대 묘사되었다. 보통의 익일회작도가 한 폭에 묘사되는 것과 비교했을 때 가장 기념하고 싶은 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연향의 도상과 형식의 변용은 흥선대원군과 그 측근의 위상을 말해준다. 결론적으로 무진 진찬과 그 기록물인 《무진진찬도병》은 흥선대원군이 정국을 주도하기 위해 축수연이라는 왕실의 전통을 어떻게 활용하고 변용하였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The following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actors and purpose behind the creation of the Mujinjinchan Screen (1868) during Emperor Gojong’s reign. In principle, the Mujinjinchan was a royal banquet ceremony carried out from December 6 to 11, 1868 in commemoration of Queen Sinjeong’s 60th birthday. In practice, however, the ceremony appears to have been an opportunity for the Regent Heungseon Daewongun to gather his close allies and bolster his status. Heungseon Daewongun arranged for signs of his authority to permeate the entirety of the Mujinjinchan. The banquet took place at Gyeongbokgung Palace, which was restored under his auspices, and was prepared by three officials elevated to their ceremonial position by virtue of having supervised the reconstruction. On the day of Queen Sinjeong’s birthday, Heungseon Daewongun’s supporters visited the court under invitation by royal decree. Then, during the next-day’s feast—the last event of the ceremony—only the aforementioned three officials delivered the exaltations, despite there being ample precedent for women and relevant personnel to participate as well. The Mujinjinchan Screen similarly commemorates the attendance of Heungseon Daewongun and his allies. Where previous depictions of royal banquets took cursory no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Mujinjinchan Screen paints Gyeongbokgung Palace in great detail to celebrate the completion of its renovation. It marks the seating reserved for Heungseon Daewongun and his wife Budaebuin during Queen Sinjeong’s birthday feast. For the nextday feast, where Heungseon’s supporters were situated within the king’s direct line of sight, the screen allots three panels instead of the customary single panel, indicating that this event stood at the crux of what the screen was intended to memorialize. These changes in the configuration and form of the royal banquet attest to the influence of Heungseon Daewongun and his allies. The Mujinjinchan and the screen that records it therefore ultimately illustrate how Regent Heungseon Daewongun utilized and reshaped royal traditions such as celebratory feasts to consolidate his political power.

      • KCI등재

        흥선대원군 李昰應(1820~1898)의 불교 후원과 그 정치적 의미

        이정주(Lee, Jung-joo) 호서사학회 2015 역사와 담론 Vol.0 No.73

        이 논문은 고종의 親父로 고종을 대신하여 1864년부터 1873년까지 조선을 통치하였고, 1882년 임오군란과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일시 집권하였던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불교 후원 양상과 그 정치적 의미를 살핀 것이다. 흥선대원군은 집권 이전부터 용궁사를 중창하여 원찰로 삼았고, 고종이 즉위하자 그 보답으로 보덕사를 크게 세운 인물이다. 또한 쇠퇴했던 흥천사, 화계사, 보광사를 중창하였고, 鐘이나 불화를 시주하거나 편액과 주련을 써서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불교를 후원하였다. 그는 만동묘와 서원을 철폐하고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 박해를 하였지만, 유독 불교에 대해서만은 호의적인 입장을 시종 견지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일상 소지 물품이 그려져 있는 2점의 초상화에는 모두 염주가 그려져 있다. 또 그가 사용했던 인장 가운데는 “불교를 즐겨 좇았다”거나 “술이 있으면 신선을 배우고, 술이 없으면 부처를 배우리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대원군은 일상에서 항상 불교를 가까이 했던 것이다. 흥선대원군은 개인적으로 불교에 호감을 가진데 그치지 않고, 불교를 정치적으로도 이용하였다. 흥선대원군의 불교 후원은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찰을 창건하거나 중창할 경우 직접 改名하고 賜額하여 해당 사찰의 권위와 위상을 높여주었다. 둘째, 사찰을 중창할 경우 반드시 복을 비는 염불을 위한 大房을 만들어서 불교 신자들의 결집을 도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조성된 대방을 중심으로 大王大妃 趙氏와 王大妃 洪氏 및 다수의 尙宮과 같이 정치적 영향력이 있는 여성 불자와 돈독한 유대관계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빈약한 정치적 입지를 극복하고 아들 고종의 즉위라는 필생의 염원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tronage of Buddhism and its significance of Heungseon Daewongun Li, Ha-eung, who was the de facto ruler of Joseon from 1864 to 1873. The studies on Heungseon Daewongun’s aspect of confrontation against Catholic and Donghak have been conducted to certain degree; however, the studies on how Heungseon Daewongun received Buddhism are surprisingly nonexistent. Before he came to power, Heungseon Daewongun was already a Buddhist who renovated the temple Yongkungsa. After seizing the power, he established the temple Bodeoksa in repayment for Gojong’s enthronement, and he continuously renovated the temples Heungcheonsa, Hwagyesa, and Bokwangsa and made them as Buddhist sanctuary. He fell from political power in 1873, but his support for Buddhism continued. Instead of giving Buddhist service that costs too much money like establishing a temple, he supported Buddhism by creating Buddhist paintings or bell or writing plaques and carved verse couplet for temples. Daewongun received Buddhism most positively among many trendy ideas at that time. Regarding Confucianism, he carried out the abolishment of andongmyo and memorial halls for Confucianist service. Regarding Catholic, he persecuted it cruelly to the degree of making 8,000 martyrs. For Donghak, he considered it a cult and did not recognize it officially.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show any criticizing attitude towards Buddhism. As his seal mentions “I enjoy Buddhism, so I try to seek and learn it,” he was very friendly to Buddhism. The existing portrait of Daewongun shows that he usually carried Buddhist prayer beads. He sought out the peace of mind by turning the beads. Daewongun’s patronage of Buddishm has several main characteristics. First, he renamed and named temples when he newly built or renovated them. Heungseon Daewongun was a master calligrapher who continued the line of Chusa Kim, Jeong-hui and once the most powerful ruler. Heungseon Daewongun’s naming temples and granting name plaques would have played a role in increasing th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temples. Second, the core structure of the temples that Daewongun renovated was Dae-bang (大房), a place for prayers for blessing. Daewongun always established Dae-bang building when he renovated a temple, and it was because he preferred Buddhist prayer. Third, he was able to establish a political foundation through Buddhism. He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women Buddhists such as queen dowager or court ladies, who had political influence, and through such relationships, he was able to accomplish the enthronement of Gojong.

      • KCI등재

        청 유폐시절 興宣大院君과 許泳의 수창시와 유폐지 고찰

        박현규 춘원연구학회 2019 춘원연구학보 Vol.0 No.15

        이 논문에서는 임오군란 때 청 천진과 보정부에 연금당한 興宣大院君(李昰應)과 許泳의 수창시와 유폐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1882년(고종 19)에 임오군란이 발생하여 흥선대원군이 다시 집권하였다. 곧이어 청나라가 조선에 대한 종번 관계를 강압할 목적으로 군대를 한양으로 보내어 흥선대원군을 납치하여 천진으로 데리고 갔다가 다시 보정부에 유폐시켰다. 허영은 지기로 삼은 흥선대원군을 보필하기 위해 청나라로 들어가 함께 유폐 생활을 하였다. 천진 유폐지는 北洋水軍 營務處이며, 현 천진시 下平區 赤峰道 1~5號에 소재한다. 보정부 유폐지는 옛 淸河道署이며, 현 보정시 蓮池區 裕華路 245號에 소재한다. 훗날 옛 청하도서 자리에 보정시천주교당이 들어섰다. 흥선대원군과 허영은 사실상 연금 상태였다. 이들이 시를 짓거나 난초를 치는 것이 유폐지에서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활동이었다. 이들의 수창시는 유폐지에서 견디기 힘든 고초를 많이 읊었다. 이때 흥선대원군이 모든 것이 운명이라며 체념하는 심정을 자주 토로했고, 허영은 흥선대원군에게 장차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며 희망을 부여시켰다.

      • KCI등재

        청일전쟁기 조선정부의 대영(對英) 외교교섭 연구 : 고종과 흥선대원군 세력을 중심으로

        한승훈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egotiations with Britain that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 promoted for the purpose of anti-Japanese in the early days of the first Sino- Japanese War. When Japan occupied Gyeongbokgung,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s group tried to weaken Japanese influence through British intervention. By the way, While King Gojong wished that British troops would protect him and Empress Myeongseong, Heungseon Daewongun’s group tried to take control of Korea through British intervention. However, Briiain tried not to intervene in the Korea and Japanese issues by not taking any action. Then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s group induced British intervention through interests. King Gojong tried to neutralize the Joiljamjeonghapdongjogwan (朝日暫定合同條款 : Korea-Japan Tentative Cooperation Provision) through the Chosun-Rothschild contract. Heungseon Daewongun’s group hoped that Britain would neutralize Japan's plan to deploy advisors to the Joseon government only as Japanese based on the balance of interests. In other words,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s group tried to bring Britain into "anti-Japanese"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monopoly and equalization of these powers. However, using other foreign powers to overpower foreign powers only would lead to another foreign aggress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nti-Japanese negotiations with Britian by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s group were the first steps to catastrophe. 이 글은 청일전쟁 초기 고종과 흥선대원군 세력이 항일을 목적으로 추진한 영국과의 교섭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하자, 고종과 흥선대원군 세력은 영국의 개입으로 일본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했다. 그런데 고종은 영국군의 투입을 통해서 본인과 명성황후를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면, 흥선대원군은 영국의 개입으로 조선의 통치권을 장악하고자 했다. 하지만 영국은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조선과 일본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자 했다. 그러자 고종과 흥선대원군은 이권을 매개로 영국의 개입을 유도하였다. 고종은 조선-로스차일드 계약을 통해서 잠정합동조관을 무력화시키고자 했다. 흥선대원군 세력은 영국이 이권의 균점을 내세워서 일본이 조선정부에 독점적으로 고문관을 파견하려는 계획을 무력화해주기를 희망하였다. 즉 고종과 흥선대원군 세력은 이권의 독점과 균점을 오가면서 영국을 “항일전선”에 끌어들이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외세를 이용해서 다른 외세를 제압하는 것은 또 다른 외세의 침략을 초래할 뿐이었다. 그런 관점에서 고종과 흥선대원군의 항일 대영교섭은 파국으로 가는 첫걸음이었다.

      • KCI등재

        고종 즉위 초 종친부 강화와 경복궁 내 제례 공간의 확장

        이민아 ( Lee¸ Min-ah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고종 즉위와 함께 흥선대원군 주도로 경복궁이 중건되었다. 중건 경복궁은 조선 초 경복궁의 재현이 아니라 조선후기에 축적된 의례 전통이 발현된 결과물이었다. 의례 공간 중에서도 제례 공간이 확대되었다는 점은 중건 경복궁의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제례 공간은 흉례(凶禮)를 위한 빈전(殯殿) ㆍ혼전(魂殿) 권역과 선왕의 어진을 봉안한 길례(吉禮) 공간인 선원전(璿源殿)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때 빈전, 혼전 및 선원전은 모두 종친부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종친부의 정치적 권한을 확대함과 동시에 종친부 건물을 확장하였다. 종친부는 광화문 앞 의정부ㆍ삼군부와 경복궁을 사이에 두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권역을 형성했다. 종친부 내 핵심 건물은 흥선대원군의 집무실인 아재당(我在堂)과 함께 철종의 어진을 봉안한 천한전(天漢殿)이었다.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선원전에서 철종을 배제하는 대신 종친부 내에 새로운 철종 어진봉안처, 천한 전을 건립하였다. 이로써 선원전 권역이 궐 밖으로 확장된 것이다. 이와 함께 궁궐 내 빈전 및 혼전 등 흉례 공간이 궁궐 북서쪽 권역에 들어섰다. 그런데 이 공간은 전체 궁궐면적의 1/5 가량을 차지하지만 건물 사이의 밀도는 매우 낮았다. 이는 중건 경복궁 내에서 흉례 공간이 특별한 위상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선원전 및 빈전ㆍ혼전 공간은 종친부가 의례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공간이었다. 소렴과 대렴 의식 등 흉례 의식이 진행될 때 종친이 백관과 함께 거애 의식에 참여하는 것은 국초부터 정해진 의례 절차였다. 진향 절차에서 종친은 항상 문무백관 앞에서 의식을 진행하기 때문에 빈전ㆍ혼전 공간은 자연스럽게 위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종친과 문무백관 다수가 의식에 참여해야 했기 때문에 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으며, 종친이 의례를 주도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강조된 것이다. 이와 같이 중건 경복궁은 종친부 강화라는 맥락에서 종친부 공간과 연동해서 해석해야만 그 특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The ceremonial spac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alace. In particular, the ritual space was a symbolic space expressing the ideology of ‘filial piety(孝)’. When Gyeongbokgung was reconstructed, the ceremonial space was expanded. The ceremonial spaces of Gyeongbokgung Palace, Binjeon(殯殿), Honjeon(魂殿), and Seonwonjeon(璿源殿) are all closely connected with Jongchinbu(宗親府). When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he expanded the Jongchinbu building. Jongchinbu is close to Uijeongbu(議政府), Samgunbu(三軍府) and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All these spaces are connected. Ahjaedang is the office of Heungseon Daewongun, and Cheonhanjeon is the building where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哲宗) is enshrined.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 did not exist in the newly built Seonwon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Instead, the Cheonhanjeon(天漢殿) was built to enshrin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 in Jongchinbu. In the end, the Seonwonjeon area was extended outside the palace through Cheonhanjeon. The Binjeon and Honjeon buildings are located in the northwest area of the palace. It occupies 20% of the total area of the palace. However, the density of each building was very low. As such, the ceremonial space occupied a high position in Gyeongbokgung Palace. When performing the ritual, When performing the ritual, Jongchin stood in front of the king’s servant. A hierarchy was formed in the sacrificial space. And because there were so many people in attendance, they needed more space. When Heungseon Daewongun strengthened the Jongchinbu, the ancestral hall of Gyeongbokgung was expanded. The sacrificial space was emphasized because it was the space of Jongchin.

      • KCI등재

        興宣大院君의 사후 의례 연구

        안지희 ( An Jihee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5

        이 글은 1898년(광무 2) 興宣大院君 薨逝 이후 거행된 사후 의례를 살피고 조선의 왕실과 대한제국의 황실인물 의례와의 비교를 통해서 흥선대원군의 사후 의례의 특징과 그의 지위를 파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흥선대원군은 1898년 2월 22일 훙서하였고, 禮葬은 明溫公主의 예장을 전례 삼아 진행하되 공주의 예장과 절차 차이를 두었다. 4일의 停朝市, 五虞祭 등의 특징을 통해 예장 시 대원군의 지위는 공주에 준하거나 그보다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07년(융희 1) 흥선대원군은 獻懿大院王으로 추봉되었다. 대원왕 추봉 의례는 義王과 英王의 책봉 의례, 完王의 추봉 의례와 비교하였을 때 진행 과정은 유사했으나 황제가 직접 참여하지 않고 完順君을 보내 攝行하게 했으며 金冊과 節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다. 이를 통해 추봉 시 대원왕의 지위는 친왕에 준하거나 그보다 낮았다. 흥선대원군이 대원왕으로 추봉된 후 대원군의 묘 또한 격상된 지위에 맞춰 興園으로 명칭을 바꾸고 遷奉하였다. 흥원은 대원군 묘 조성 당시 사용했던 석물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宮園制를 활용하여 봉원하였는데, 이는 대한제국에서 궁원제를 활용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이다. This thesis defines Heungseon Daewongun’s after death ritual, held in the year 1898, as Yejang (the funeral of the royal family), Chubong(granting official rank after death), and Cheonbong (moving the grave) in the order taken place after Hongseo(death of royal family) and then examines the preparation of funeral ritual and its implementation. And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it with Princess Myungon’s Yejang process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ince of the Korean Empire to look into the funeral ritual of Heungseon Daewongun and its characteristics. Heungseon Daewongun passed away on February 22, 1898, and his Yejang was proceeded by taking Princess Myungon’s Yejang as a precedent. Based on the fact that Heungseon Daewongun chose his own burial ground during his living years, that there was Jeongjosi(halt of government and commerce) for 4 days, and that it differentiated itself from Princess’s Yejang by having Oouje, the thesis finds that Daewongun‘s Yejang occupied identical or higher place than the position of princess. Heungseon Daewongun’s Chubong carried out in the year 1907, was operated by Wansoongun. Jeol, which represented the emperor and was used for Gwonjeonglye(simplified funeral ritual held without the emperor’s presence) after the country was promoted to the Empire, was not used this time. The gold seal for this ceremony was the same size as the one that was used to install the prince, however, since it didn’t use gold books, this thesis clarifies that Chubong of Daewongun was the same or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prince. Heungwon, the graveyard for Heungseon Daewongun, was built to suit his elevated position, the Heonui Daewonwang after Chubong. Heungwon was the first and the last example of utilizing Gungwonje in the Korean Empire, and the most of stone figures plac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used the previous ones. Heungseon Daewongun’s funeral ritual was the last example of Sachin Chusung(worship of birth mother), first promoted by Gojong and then completed by Sunjong and it represents the

      • KCI등재

        고종과 대원군의 정치적 갈등과 명성황후

        장영숙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9

        King Gojong and Daewongun stood toe to toe and conflicted with each other three times over political authority. The first conflict started on October 25, 1873, when King Gojong replaced the court o fficials and started direct ruling. In a situa tion where the conflict between Gojong and Daewongun was expected over the filial piety of his father, Gojong chose the pa th of a head-on collision thr ough the form of direct ruling. King Gojong's will for power was strong, and the empress also mobilized her family to give power to the king. The second conflict was caused by the second reign of Daewongun, who reappeared in politic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Imo Gunran. The second reign period was only 33 days, from June 10, 1882, to July 13, when Daewongun was sent under escort to the Tianjin Correctional Department of the Qing Dynasty. It seem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became a political rival relationship due to the fact that Daewongun canceled the enlightenment policy, though the period was short, promoted by King Gojong and pushed ahead with the national mourning of the empress. After Daewongun returned to his homeland, King Gojong blocked his way of expanding his political power. The third conflict started when Japan intervened in the internal affairs of Joseon for suppression of the Gabo peasant movement and escorted Daewongun to participate in politics. Daewongun's third rule of power lasted about four months from June 22, 1894, the day after the Japanese invaded Gyeongbokgung to October 25, 1894. Daewongun, who was mobilized for reform, took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Japa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Qing army and instigating the Donghak Peasant Army to attack Japan. Daewongun retired from politics as the scheme was uncovered, but Japan actively utilized him in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This is because the long-standing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was the perfect element to wrap the empress' assassination as an incident derived from the long-standing conflict with Daewongun's side. 고종과 대원군은 정치 권력을 사이에 두고 세 차례나 서로 반목하며 갈등하였다. 1차 갈등은1873년 10월 25일부터 고종이 조정 신료를 교체하면서 친정을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아버지에 대한 효의 도리를 두고 고종 측과 대원군 측의 갈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고종은 친정의 형식을 통해 정면 충돌의 길을 선택하였다. 권력에 대한 고종의 의지도 강했고 황후 또한 친정 식구들을 동원해 국왕에게 힘을 보태려 한 측면이 컸다. 2차 갈등은 임오군란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다시 정계에 등장한 대원군의 2차 집권으로 인해비롯되었다. 2차 집권 기간은 1882년 6월 10일부터 청의 천진 보정부로 대원군이 압송된 7월 13일까지 33일간에 불과하다. 기간은 짧았지만 고종이 추진하던 개화정책을 백지로 돌리고 황후의 국상을 추진한 것이 빌미가 되어 부자지간은 정적관계가 된 것으로 보인다. 고종은 대원군이 귀국한후 그가 정치적 세를 확대해 나가는 길을 원천 차단하였다. 3차 갈등은 갑오농민항쟁 진압을 이유로 일본이 조선 내정에 개입하면서 대원군을 옹위하여 정치에 참여하도록 한 데서 시작되었다. 대원군의 3차 집권 기간은 일본이 경복궁을 무단 침입한 이튿날인 1894년 6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4개월 동안이다. 개혁에 동원된 대원군은 일본에유화적인 태도를 취하는 한편, 청군과 내통하고 동학농민군을 교사하여 일본을 협공하도록 하였다. 계책이 탄로가 되어 대원군은 정계 은퇴를 하였으나, 일본은 그를 명성황후시해사건에 적극 활용하였다. 양자간의 해묵은 갈등 관계는 황후시해를 오래전부터 있어 온 대원군 측과의 알력에서파생된 사건으로 포장하기에 더없이 좋은 요소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성신보』의 흥선대원군에 대한 인식과 평가

        장영숙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81

        Hansung Shinbo showed its understanding and view of Daewongun for three sections: firstly, 10 years of regent period by Daewongun, secondly, Gabo Reform period, the 3rd era of power, and finally when Daewongun appeared on the political circle around the time of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It was resulted from media activity representing Japan, and meaningful that it had the same way of understanding with Japanese government. Hansung Shinbo regarded Daewongun as a stubborn seclusionist and recognized him as a conservative and obstinate politician. Japan used the term, ‘seclusionist’ through Hansung Shinbo to drive Daewongun to a stubborn and inflexible ‘seclusionist’ associating him with conservatism, exclusivity and retrogression of Joseon society. In the Gabo Reform era, Japan associated Daewongun with the image of being ‘fairness’ and ‘unselfish reformer’. Japan took advantage of Daewongun in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he stuck to the power even though he retired from the politics. Consequently, they propagated Daewongun’s generosity, positive drive and ability to settle the situation and took advantage of his will to power but tried to block his actual intervention into the power. 『한성신보』에서는 대원군의 10년간 섭정기와 3차 집권기인 갑오개혁기, 마지막으로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정계에 등장한 대원군에 대한 인식과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일본의 입장을 대변하는 언론활동의 결과로서 일본 정부와 인식의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성신보에서는 대원군을 완고한 쇄국주의자로 보면서 보수적이며 고집스러운 정객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조선 사회의 보수성과 폐쇄성, 역행성과 연계시키고자 함이었다. 갑오개혁기에 일본은 대원군을 ‘공명정대’, ‘사심 없는 개혁가’ 이미지와 연계하였다. 일본이 대원군을 추대한 까닭은 경복궁 침입사건 이후 각국의 좋지 않은 여론과 격앙되어 있는 조선 인민의 반일감정을 의식한 때문이었다. 일본이 대원군을 황후시해사건에 이용한 이유는 그가 비록 정치 일선에서 은퇴하였지만 여전히 권력에 집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황후와 대원군이 권력을 둘러싸고 시종일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고 보고 이 점도 사건 전개에 도움이 되는 요소로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한성신보』를 통해 대원군을 넓은 도량, 추진력, 사태해결 능력을 가진 인물로 높이 선전하며 권력의지는 이용하면서도 실질적인 개입은 막고 일본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해 나갔다.

      • KCI등재

        고종의 친정 선포와 정국의 동향

        한보람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8

        In 1873, King Gojong ruled out Heungseon Daewongun from political world and declared his direct rule. King Gojong's declaration of his direct rule is due to King Gojong's strong will as an adult,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nalyze the historical context and political group trends surrounding the event. Daewongun emerged as a key figure in political world under the auspices of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excluding key figures of Andong Kim(安東金氏), and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after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of a massive peasant uprising and the death of King Cheoljong. However, shortly after seizing power, Daewongun took steps to establish its own power system.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as to secure the support base of public opinion through the advocacy of the theory of choksa(斥邪). Daewongun tried to secure the support base of public opinion and take political initiative by boldly raising sensitive Catholic issues to the surface. At the same time as the Catholic persecution of Byeoninsaok(丙寅邪獄), he strongly insisted on the theory of choksa, and stimulated the fear of foreign invasion symbolized by Byeonginyangyo(丙寅洋擾). This became the basis for securing his initiative through fear politics for the people and leading ideological public opinion for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end, however, Daewongun's measures became a decisive reason for negatively turning public support. At the time when the imminent threat of Western forces of Byeonginyangyo, public opinion from the government to the people had no choice but to lean toward peace in reality, and the excessive continua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reconstruction project failed to obtain public consent. Until the ruin of Daewongun and the start of direct ruling of King Gojong,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and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played their roles and cooperated as they did when Daewongun replaced the regime 10 years ago. Before the political situation exploded due to Choi Ik-hyun(崔益鉉)'s appeal, political forces had already distanced themselves from Daewongun since the late 1860s. Before and after King Gojong's declaration of his direct rule, Lee Yu-won(李裕元), the representative of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and Park Gyu-soo(朴珪壽),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served as the center of stable transfer of power without taking the sharp confrontation to the extreme. 1873년 고종은 흥선대원군을 정계에서 배제하고 친정을 선언했다. 고종의 친정 선언은 성인이 된 고종의 강력한 의지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 사건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정치집단의 동향까지 시각을 넓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원군은 대대적인 농민 항쟁과 철종 승하의 역사적 전환점을 거쳐 안동김씨 핵심 인물을 제외한 기존 집권세력 및 시무개혁 세력의 후원을 받고 정계의 핵심 인물로 등장했다. 하지만 집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대원군은 독자적인 권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척사론의 주창을 통한 여론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었다. 대원군은 민감한 천주교 관련 문제를 과감하게 수면 위로 끌어올리면서 여론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병인사옥이라는 천주교 탄압과 동시에 척화론을 강력하게 주장하였고, 병인양요로 상징되는 외세의 침입에 대한 두려움을 자극했다. 이는 민에게는 공포정치를 통한 자신의 주도권 확보를, 지방 유생들에게는 이념적인 여론 주도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하지만 결국 대원군의 이러한 방책은 지지 여론을 부정적으로 돌리게 하는 결정적 이유가 되었다. 병인양요로 서양 세력의 위협이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 조정부터 민간까지 여론은 현실적으로 화의론에 기울어질 수밖에 없었고, 경복궁 중건사업의 무리한 지속은 여론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대원군의 실각과 고종의 친정이 이루어지기까지 기존 집권세력과 시무개혁 세력은 10년 전 대원군이 집권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각기 역할을 담당하며 공조하였다. 최익현 상소로 친정 정국이 폭발되기 전 이미 1860년대 후반부터 각 정치세력은 대원군과 거리를 두었다. 그리고 고종의 친정 선언 국면 전후로 기존 집권세력의 대표 이유원과 시무개혁 세력의 대표 박규수는 대원군측의 저항을 둘러싼 첨예한 대립 상황을 극단으로 치닫게 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정권을 이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