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이음절 어휘 습득과 한국어 한자어와의 상관관계 연구

        ( Houjie ),이은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4

        中文摘要本論文的硏究目的在于考察韓國學生習得漢語雙音節詞彙時是否會受到母語(韓語)漢字詞的影響,倂根據分析結果□出其習得規律。首先,我們以『漢語國際敎育音節漢字詞彙等級劃分(國家標准 ·應用解讀本)』 中的雙音節詞彙爲中心與韓國語漢字詞進行了對比分析, 倂依據分析結果將其分成四個類型(同形同義詞、同形異義詞、同形部分異議詞、異形同義詞)。然後,根據這四個類型設計調査問卷,進行問卷調査,最後分析了學習者對母語(韓語)漢字詞的認知與漢語詞彙習得之間的相關性。通過調査發現,對韓國漢語學習者而言,上述四個類型的准確率之間在統計上存在顯著差異,因此可以證明韓國學生在習得漢語詞彙上會受到母語中漢字詞的影響;學習時間也會在一定程度上影響漢語雙音節詞彙的習得。而年級和年級之間却顯示沒有顯著差異。因此,我們認爲應該幇助高年級學生把握習得漢語詞彙的規律,讓學習者不斷提高正確使用漢語詞彙的能力。通過該硏究我們還發現韓國學生習得漢語詞彙旣受到母語幹擾,也受到學習時間的影響。可以肯定的是隨著學習時間的加長,學生掌握詞彙的准確度也會隨之提高,可是到了一定時間以後就會出現停滯,因此我們認爲有必要解決此類問題。基于以上觀點,我們認爲對于漢語詞彙敎學排序,不應只考慮漢語詞彙大綱和詞彙頻率,還應考慮到漢語和學習者母語之間差異上的難易度。這樣,敎學才能有條不紊地高效運行,也便于學習者循序漸進地掌握漢語詞彙。爲了有效進行詞彙敎學,在韓國漢語學習者的詞彙敎學上應該考慮韓語(母語)的特殊性,我們應該重新編排漢語詞彙的敎學順序,而且敎材、詞典的編寫以及詞彙的敎學都應該考慮到韓國學生習得詞彙的規律和順序,這樣才能保證詞彙敎學的有效進行,進而達到事半功倍的敎學效果。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어습득이론과 외국어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성상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Der Erwerb einer zweiten Sprache ist häufig das Produkt einer systematischen Intervention, d.h. das Resultat der Schulbildung. Je nach Unterrichtsmethode können wir unterschiedliche Formen annehmen. In Bezug auf die Methoden kann von unkontrolliertem und gesteuertem Zweit- sprachenerwerb gesprochen werden, wobei mit letzterer der Fremd- sprachenerwerb gemeint ist. Je nach Klassenalter und Unterrichtsmethode ergeben sich teilweise verschiedene Untertypen. Wenn über die Art des Spracherwerbs gesprochen wird, ist zu beachten, dass es dahingehend auch unterschiedliche Spektren gibt. Die Formen können sich fließend ändern, und es ist durchaus möglich, dass die eine oder andere in einer anderen koexistiert. Vor diesem Hintergrund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traditionellen Theorien des Fremdsprachenerwerbs oder des Zweitsprachen- erwerbs kritisch beleuchtet. Am Ende der Arbeit wird der kogntiv-orientierte Ansatz auch diskutiert. 본 연구는 이미 진행된 선행연구들(Edmondson/House 2000; Klein 2001; Saville-Troike 2006; Ortega 2009; Auer 2013)을 비판적으로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다음 장에서 논의할 제2언어습득이론의 전개과정은 시대별로 정리된 Saville- Troike의 기술을 순서대로 참고하였으나 해당 이론과 관련하여 타 연구 성과들을 비교하며 비판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또한 독일어 예시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중점적으로 다루며 제2언어습득론의 논의의 장을 확대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2언어습득이론에 대한 개괄적 연구는 한국의 독어교육 분야에서는 충분하지 못했다(신형욱 2009 참조). 독일어에서는 이해욱(2015)의 ‘초기아동의 시상습득에 관한 연구’, ‘구문문법’과 특정 구문을 중심으로 한 성상환(2015)의 연구, 이성은(2017)의 ‘신경언어학적 연구’ 등 구체적인 방법론과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습득연구가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의 비교연구로서는 최근 부정극어(Negative Polarity Item: NPI)를 중심으로 한 김보경(2018), 한국어교육에서는 ‘한국어습득에 있어서 인지·심리적 요인이 L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백준오 외(2016), ‘체류경험을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유창성습득’을 분석한 강석한(2018)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영어와 독일어, 한국어자료를 아우르는 비교를 통해 외국어/제2언어습득분야에서 발달한 이론들에 대한 개괄적인 접근을 한 경우는 국내연구에서 흔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부임을 밝힌다.

      • KCI등재

        독일어 습득수준에 따른 파생어 제2언어 처리과정 연구 - -ung, -heit, -keit를 중심으로

        이성은 ( Sung Eun L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7 No.-

        제2언어습득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론은 결정기 가설이다. 이가설에 따르면 모국어 습득에는 정해진 때가 있어서 일정한 시기가 지나면 모국어 화자만큼 그 언어를 습득할 수 없다. 이 가설에서는, wolf boy1) 와 같이비정상적인 모국어 습득과정을 거친 아동들이 특정 시기 이후에는 모국어를적절히 습득하게 되지 못하게 되는 사례를 바탕으로, 일정한 시기가 지나면 제2언어습득이 모국어 화자의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최근 수행된 제2언어습득 연구들, 특히 신경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활용한 연구들은 이러한 결정기 가설을 반박하는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내놓고있다. 가장 대표적인 연구로 Winkler et al.(1999)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결정기 이후에 제2언어로 핀란드어를 학습한 헝가리인들을 대상으로뇌파 연구(EEG, 참조 II.2장)를 수행하였는데, 높은 수준의 제2언어습득자들은모국어 화자와 거의 유사한 음운 구분 능력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제2언어습득자들이 결정기 이후에도 학습을 통해 모국어 화자의 언어능력수준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통사정보 처리과정에서도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Hahne et al.(2006)은 독일어 습득수준이 높은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독일어 과거분사 처리과정을 분석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제2언어 학습자의 독일어 과거분사 처리과정이 모국어 화자의 처리과정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피험자들이 17세 이후에 독일어를 습득했음을 고려할 때, 제2언어 학습자들이 결정기 이후에도 모국어 화자의 수준만큼통사정보를 습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kognitive Verarbeitung der deutschen Derivationen bei Fremdsprachenlernern mit Koreanisch als Muttersprache (im Folgenden: L2-Lerner). Festgestellt wurde in einer vorhergehenden Studie, dass deutsche Muttersprachler (im Folgenden: L1-Sprecher) die derivierten Substantive durch das sog. deklarative System verarbeiten. Davon ausgehend,versucht diese Studie zu erklaren, wie solche Derivationen von L2-Lernern erkannt werden. Dafur wurden zwei Gruppen der L2-Lerner rekrutiert, eine auf einem niedrigen (im Folgenden: N-Gruppe) und eine andere auf einem hoheren Sprachniveau (im Folgenden: H-Gruppe), mit denen dann ein elektrophysiologisches Experiment (EEG-Experiment) durchgefuhrt wurde. Im Experiment wurden den Teilnehmern drei Typen deutscher Derivationen angeboten, und zwar mit Endungen auf ?-ung“, auf ?-heit“ und auf ?-keit“. Dabei wurden mit Hilfe der EEG-Methode ihre neuronalen Reaktionen gemessen.

      • KCI등재

        어말어미의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 : 36개월 이전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A case of Korean children under 36 months

        이삼형,이필영,임유종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의 어미 습득에 대하여 밝히는 데에 있다. 어미를 습득하는 첫 단계는 종결어미를 습득하는 것이다. 종결어미의 습득 과정을 보면, 서술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감탄형의 순으로 습득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 이후 비종결어미를 습득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비종결어미는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로 구분되는데, 두 가지 어미 모두 같은 시기에 출현을 한다. 그러나 비종결 어미의 전형적인 용법의 관점에서 보면, 연결어미의 습득 과정이 전성어미의 경우보다 빠르다. 연결어미의 경우는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연결어미로 구분이 되는데, 보조적-종속적-대등적 연결어미의 순으로 습득된다. 전성어미의 경우는 관형형 어미, 명사형 어미로 구분되는데, 관형형 어미-명사형 어미의 순으로 습득이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Korean children's acquisition of final endings. First, children acquire terminal endings, and the order of terminal endings acquisition is a declarative-interrogative-imperativeproposal-exclamative endings. Children, then, continued the acquisition of nonterminal endings. Non-terminal endings has connective endings and transformative endings, and both seem to appear at the same time. However, during a typical use of non-terminal endings, children acquire connective endings prior to transformative endings. Connective endings have three parts; coordinative endings, subordinate endings and subsidiary endings. The acquisition process of connective endings is in the order of subsidiary-subordinate-coordinative endings. Transformative endings are divided into two; adnominal endings and nominal endings. In transformative endings, the sequence of acquisition is adnominal ending-nominal endings.

      • KCI등재

        유실물법 제10조에 대한 검토 : 사실상 습득자와 법률상 습득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훈주(Kim, Hoon-Joo) 한국재산법학회 2020 재산법연구 Vol.36 No.4

        유실물법 제10조는 관리자가 있는 선박, 차량이나 건축물 기타 공중의 통행을 금지한 구내에서 타인의 물건을 습득한 자를 ‘사실상 습득자’로 그 선박 등의 점유자를 ‘법률상 습득자’로 구분하고, 사실상 습득자는 습득한 물건을 법률상 습득자에게 인계하도록 하면서 보상금 내지 유실물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경우 서로 반씩 나누어 갖도록 규정한다. 그런데 유실물법 제10조와 관련하여 ① 사실상 습득자가 습득한 유실물을 법률상 습득자에게 인계하지 않고 습득일부터 7일 내에 경찰서에 직접 제출한 경우, ② 사실상 습득자가 습득일 후 7일을 도과하여 유실물을 법률상 습득자에게 제출한 경우, ③ 사실상 습득자는 지체없이 법률상 습득자에게 습득물을 교부하였으나 법률상의 습득자가 습득 후 7일을 도과하여 경찰서에 제출한 경우 등의 사안에서 해석상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판례도 드물지만 학계에서도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다만, 위 세 번째 경우와 관련하여 최근 지방법원 판결이 나왔으며 유실물법 일부개정법률안도 제출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 세 가지 경우에 대하여 법률해석을 시도하면서 지방법원 판결과 유실물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법률해석적 측면에서 보면 지방법원 판결처럼 법률상 습득자가 권리를 취득하는 경우에만 사실상 습득자가 권리를 취득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은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고, 각 요건 구비여부를 살펴 사실상 습득자와 법률상 습득자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입법적인 측면에서는 현재 국회에 상정된 유실물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조문의 위치, 문언 및 내용 등에 있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사실상 습득자와 법률상 습득자의 의무이행 기간을 개별적으로 규정함으로써 명확히 법률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제안을 시도하였다. According to Article 10 of the Lost Articles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acquires another person’s article in a ship, automobile or building, the manager of which exists, or other premises off-limits to the general people shall be classified as a virtual finder , and an occupant of a ship, automobile, building, etc. shall be classified as a legal finder . Virtual finder has to submit the lost article to legal finder and Finders have half of the compensation or ownership of the lost article to each other. However, three problem can be raised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10. ➀ if the virtual finder submitted the lost article to the police within seven days of the acquisition without handing it over to the legal finder, ➁ if the virtual finder submitted the lost article to the legal finder after seven days of the acquisition, ➂ if the virtual finder submitted the lost article to legal finder without delay, but the legal finder submitted the lost article to the police after seven days of the acquisi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interpret the above three cases and critically reviewed the district court decision and the partial amendment law. In terms of legal interpretation, it is not appropriate to interpret that the virtual finder can acquire the rights only if the rights are acquired by the legal finder. In fact, it is judged appropriate to separate between virtual finder and legal finder and to recognize the rights individually. On the legislative aspect, the partial amendments to the Lost Articles Act, which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re considered to have problems in terms of the location, expression and contents. So I attempt to propose legislation that would allow to clearly interpret the law by stipulating each finder s mandatory fulfillment period.

      • KCI등재

        Warum braucht man die Grammatik?

        Park, Jin-Gil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2 No.-

        우리는 지금까지 언어습득 및 외국어 교육, 언어습득의 3대 요소, 그의 한계성, 문법/보편문법과 언어습득 관계, 화석화 현상 및 문법의 실제적인 위상문제를 논의 해 왔다. 특히 언어습득장치와의 관계에서 말이다. 몇 가지 결과 및 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인간은 언어습득장치가 없다면 거의 아무 것도 성취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은 그의 도움으로 창조적/체계적으로 말하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인간은 유전적으로 제한/결정된 셈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성공적인 언어습득 및 교육도 기대할 수 없다. (나) 이러한 결정론은 또한 언어교육의 열쇠/단서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인간의 언어습득과 언어의 규칙체계가 그러하다.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이를테면 체계적인 번역 가능성도 그러하다. 다수언어주의를 위해 소위 결정적인 시기를 고려하고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 언어습득을 위해서는 어떠한 문법도 도입할 필요가 없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언어습득장치가 모든 언어자료를 언제나 문법적/체계적으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법과 이와 결부된 언어수업이 실제적인 연습시간을 앗아갈 뿐이다. 문법과 번역위주의 외국어 수업이 언제나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17세기 이성론자의 경고는 언어교육의 기본을 다시금 숙고하게 한다. (라) 언어교육 및 습득문제에서 문법의 위상은 재고돼야 한다. 이를 인간의 언어습득장치 및 뇌 기능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언어습득장치 및 언어의 규칙성/규칙체계와 결부된 한계성/결정론을 우리는 긍정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만큼 계획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 결론적으로 문법과 그로 인한 도식화된 텍스트 대한 오늘날의 위치/위상은 전적으로 새로 평가돼야 한다. 문법이 언어교육에서 핵심을 차지하니 말이다. 언어습득/교육에서 실로 필요한 것은 규칙/문법이 아니라 통용성이 높은 실용적인 언어자료이다. 특히 실제적인 대화/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그러하다. 지식 정보를 통한 변혁기로 규명되는 21세기에 언어교육, 이와 결부된 언어습득 장치 또는 뇌 신경학 분야는 매우 각광받는 분야가 되었다. 오늘날 외국에 나가 그들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러한 사태에서 외국어 교육에 대한 우리의 문제점을 통찰하고 가능한 한 빨리 개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문법에 대한 위치/위상은 새로 평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국어 ‘把’구문 습득에 관한 실험통사론적 연구

        유수경,강병규 한국중국언어학회 2023 중국언어연구 Vol.- No.104

        In this paper, we observed the construction acquisition proces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analyzed the patterns. In particula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Korean and Vietnamese students. The subject of our experimental study is Chinese 把(ba)-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tudents distinguished the meaning of 把-construction relatively well.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acquire 把-construction while observing the natural language expression through video without grammatical explanation of construc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acquisition of construction has universal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mother tongue. In some construction categories,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quisi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students with different mother tongues. This is expected to be due to the linguistic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tongue. 본 연구는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외국인 학습자의 구문습득과정을 관찰하고자 실험통사론적 방법론을 채택하여 중국어 습득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대상은 중국어의 무표적 어순인 일반타동문과 대응하여 유표적인 형식 및 의미 특징을 지닌 把구문으로 설정하였고, 모어에 따른 습득 효과의 차이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국인과 베트남인 두 종류 언어로 피험집단을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별도의 문법적 설명이나 교육 없이도 영상을 통해 자연스러운 구문 예시를 관찰하면서 스스로 把구문의 형식과 의미를 일반화하고 습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두 언어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결과로 구문의 일반화와 습득은 모어 종류에 관계없이 범언어적 보편성을 지닌 기제임을 보여준다. 다만 구문의미와 형식이 일치하는 문항이 보편적으로 만점에 가까운 높은 성적을 보인데 비해, 구문의미와 구문형식이 일치하지 않음을 식별해야 하는 문항에서는 두 집단 모두 비교적 낮은 성적을 보였다. 이는 모어 유형에 관계없이 언어습득과정에서 부정적 강화의 필요성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把구문 유형에 따른 범주별 분석에서는 모어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자연스러운 노출을 통해 습득이 가능한 일치 문항에서는 두 언어 집단 모두 높은 점수 분포를 보이면서 모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노출만으로 습득이 불가능한 불일치 문항에서는 모어의 전이효과가 나타나서 일부 범주의 문항에서 베트남인 피험자의 평균값이 한국인 피험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언어습득과정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과 분석을 위해 실험통사론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중국어 습득과정에서도 언어환경의 노출을 통한 자발적인 구문 일반화와 습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방법론과 분석 결과는 향후 중국어 문법 및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중국어 습득과정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 영작문에 나타난 시제 및 상 습득 양상

        김남국(Kim, Nam-G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연구는 영작문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들의 시제 및 상의 여러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영어 시제 및 상의 습득 순서, 시제와 상 습득 간의 차이 여부, 하위시제 개념, 중간시제 개념, 상위시제 개념에서의 시제와 상의 습득 양상을 시제?상 체계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을 상급반과 중급반으로 나누어 두 그룹 간의 시제 및 상 습득에서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 시제 및 상의 습득 순서는 과거>미래>과거진행>과거완료> 현재 완료 순으로 나타났다. 습득 순서에서 상급반과 중급반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제의 습득이 상의 습득보다 먼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제 및 상 습득에서 상급반의 습득율이 중급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시제 개념 중 과거/비과거 개념(시제)이 미완료/완료 개념(상) 보다 먼저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위시제 개념 중 준거시 위치 선정(시제) 개념이 사건시와 준거시 연결 개념(상)보다 먼저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하위시제 개념 중 자유로운 시간 배열 구성(시제) 개념이 준거시ㆍ사건시ㆍ발화시의 자유로운 조화(상) 개념보다 먼저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간시제 개념의 습득에서 사건시 체계는 제한적 준거시 체계와 자유준거시 체계보다 먼저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시제 개념 습득에서 상급반의 습득율이 중급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상위시제 개념 습득에서 절대시제 체계가 상대시제 체계보다 먼저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시제 개념 습득에서 상급반의 습득율이 중급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in the compos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tudy employed 145 Korean college students and divided those subjects into two groups, Advanced group(64 students with TOEIC score about 700) and Intermediate group(81 students with TOEIC about 400). The study used 12 pictures to elicit necessary data from subj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5 tense and aspect concepts are acquired in the order of past> future> past progressive> past perfect> present perfect. The order can be grouped into three groups(Group 1: past, future, past progressive; Group 2: past perfect ; Group 2: past per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quisition of tense concept preceded that of aspect concep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vanced lear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in the acquisition rate of tense and aspect system. Third, in the middle tense concept, the acquisition of event time concept preceded that of reference time concept. Fourth, in the upper tense concept, the acquisition of absolute tense concept preceded that of relative tense concept.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vanced lear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in the acquisition rate of tense and aspect system of lower, middle and upper tense concepts.

      • KCI등재

        초기아동의 시상 Tempus-Aspekt 습득 - 독일아동의 과거시제 사용을 중심으로

        이해욱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5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6 No.-

        Der Einfluss grammatikalisierter Kategorien auf Prozesse der Konzeptualisierung im Spracherwerb wurde in den letzten Jahren von verschiedenen Autoren untersucht. Ziel dieser Studie ist es herauszufinden, welche Faktoren beim Erwerb des deutschen Verbalaspektes eine Rolle spielen. Im Mittelpunkt steht dabei der perfektive Aspekt, der das Resultat oder den Endpunkt einer Handlung anzeigt. Die Verwendung dieses Aspekts wird am deutschen Kind Caroline im Alter von 0;11 bis 4;3 und ihrer Mutter untersucht. Die Daten stammen aus dem CHILDES-Korpus. In Spracherwerbsuntersuchungen zu verbalen Kategorien wie Tempus und Aspekt nehmen Aktionsarten einen besonderen Stellenwert ein. Die telische Aktionsart und die durative Aktionsart standen bisher im Mittelpunkt der Untersuchungen. In Studien zu verschiedenen Sprachen wurde immer wieder festgestellt, dass die telische Aktionsart mit den grammatischen Kategorien perfektiver Aspekt und Präteritum korreliert, während die durative Aktionsart mit dem imperfektiven Aspekt und dem Präsens korreliert. Diese in der Forschungsdiskussion unter der Bezeichnung Aspekt- Hypothese bekannte Position besagt im Wesentlichen, dass L1-Lerner die Tempusmorpheme zunächst abhängig vom lexikalischen Aspekt der Verben verwenden. Die Vertreter der Aspekt-Hypothese (Andersen/Shirai, 1996) gehen davon aus, dass das Tempus-Konzept beim Lerner vorhanden sein kann, dass die Markierung auch vom inhärenten Verbaspekt beeinflusst wird und Vergangenheits- und Perfektivitätskennzeichnung vornehmlich bei Achievement- und Accomplishment- Verben, später erst bei Aktions- und Zustandsverben stattfindet. Die qualitative Datenanalyse zeigt auf, dass Caroline telische Verben mit Perfekt-Form assoziiert. Die semantische Analyse der Verben-Okkurenzen ergab, dass Caroline die Perfektform zuerst mit den Accomplishment-, Achievement-Verben und dann Aktionsverben und Zustandsverben verwendet, was ein möglicher Indikator für die Richtigkeit der von Andersen/Shirai(1996) postulierten Aspekt-Hypothese sein kann. 시간개념은 언어의 주요 개념영역 중 하나이며, 시상형태소를 사용하여 시간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언어습득 초기단계의 주요 과제이다. 인지 및 개념발달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관한 연구는 주로 어휘습득과 관련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 중에서도 동사는 논항의 의미적 정보뿐만 아니라 문법적, 논리적 관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언어습득에서 항상 주요한 연구영역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기억하고 이를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인지적으로 중요한 요건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상습득은 언어습득연구에서 흥미로운 분야로 간주된다. 언어습득학자들에 따르면 아이들은 시상습득을 위해 몇 개의 중요한 단계를 거친다고 한다(Behrens 2001). 우선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기억한다든지,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되는데, 이 단계를 언어중립적 시간표상단계라고 한다. 이 때 특정 행위가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소위 “스크립트 scripts”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크립트를 통해 아이들은 이미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미래의 사건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가능해 진다. 언어습득단계에 이르면 아이들은 시간개념을 모국어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습득해야 한다. 우선 외부로부터 지각한 것을 특정 사건유형 event type으로 범주화하는데 이때 해당 사건이 완료됐는지 혹은 진행 중인지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어휘요소 lexical element와 문법표지 inflectional marker를 선택한다. 이 단계에서 개별 언어적 특성이 개입한다. 예를 들어 영어는 옷을 입고 있는 상태(1)와 옷을 입고 있는 행위(2)를 표현하기 위해 어휘적으로 차이를 두는 반면 일본어(3)에서는 ‘hak-’라고 하는 동사로 위의 두 가지 의미를 다 표현한다. (1) I am wearing pants. (2) I am putting on pants. (3) Watashi wa pantsu haiteiru. ‘I am wearing pants’ and ‘I am putting on pants’ (Shirai/Andersen 1995) 또한 영어와 독일어는 모두 과거개념을 표시하기 위해 단순과거와 현재완료를 사용한다. 영어의 경우, 과거형은 완료된 과거의 사건을 지시하고, 현재완료는 현재와 연관된 사건을 기술할 때 사용한다. 따라서 영어의 형태적 차이는 기능적 차이와 일치한다. 독일어의 경우는 그러나 과거를 지시할 때 과거형 보다는 현재완료의 사용빈도가 높다. 따라서 영어와 독일어는 모두 과거와 현재완료의 형태소는 따로 가지고 있지만 기능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개별 언어적 특성을 아이들은 시상습득시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아동이 시상을 습득할 때 거치는 단계들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 학자들에 따르면 아동은 상위 영역(예: 범주유형 event type)을 습득하고 나면, 이를 이용해 다음 영역(예: 동사형태소 verb morphology)을 습득한다고 한다. 아동은 2세 정도가 되면 첫 시상형태소를 습득한다. 이때 아동의 시제형태소 사용과 동사의 어휘상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데, 현재시제와 진행상은 주로 행위동사(I am running.)에, 과거시제와 완료상은 주로 완료동사(It broke.)에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독일아동의 경우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지 독일아동인 Caroline의 과거시제 사용분석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제 II장에서는 시상습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제 III장에서는 독일아동 Caroline의 과거시제사용을 자발화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마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