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淨人의 현대적 의미에 대한 분석

        박정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This study is on 「Studies of Contemporary meanings of Kappiya – kāraka(淨人)」. Regardless of time and places, each member is required to play his or her own roles in order to keep and maintain a community. Whe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play their own roles, the community can continue to maintain and develop. However, the members sometimes have difficulty playing their own roles due to time, places and environmental reasons. In this case, each member needs complementary cooperation with other members. Samgha(僧伽) also had an agent play Monks roles in the case they had something they could not do or something hard to do because of their asceticism. The agent(代行人) is called Kappiya – kāraka(淨人). Kappiya – kāraka(淨人) constructs buildings in a temple, cooks and serves meals to the Samgha(僧伽) or pilgrims, or does tasks related to the exchange of money or things. In other words, Kappiya – kāraka(淨人) gave cleanness, transparency and legitimacy to the monks so that they could stay away from the blame by lay people. They also assisted managers or other agents. The Kappiya – kāraka(淨人) can be seen as a lay clerk of religious affairs toda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appiya – kāraka and a lay clerk of religious affairs in time and qualities, they also have many traits in common including a role of agent and a role of assistant for the monks. Moreover, as today is more complicated and detailed than the past, it is important to divide roles between the monks and the lay clerks of religious affairs adequately for the current situation and cooperate together. This is because core implication of Kappiya – kāraka can be harmonized with the monks only when the lay clerks of religious affairs play their roles as Kappiya – kāraka. Therefore, conciliation and harmony of diverse opinions between Kappiya – kāraka and the monks not on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tatus of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Samgha(僧伽) but also polish the lives of Kappiya – kāraka. 이 글은 「정인의 현대적 의미 연구」에 대한 글이다.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공동체의 각 구성원은 일정한 역할 분담이 요구되며, 그 공동체의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을 이행함으로써 그 공동체를 유지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각자의 역할을 이행함에 있어 시간적, 장소적, 환경적인 요건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구성원간의 상호보완 활동이 필요하다. 승가 역시 승려들의 수행의 본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하지 못하는 행동이나, 어려운 행동의 경우에는 대행인이 있어 그 역할을 대신하였다. 그 대행인(代行人)을 정인(淨人)이라고 한다. 정인(淨人)은 사찰의 건축물 등을 건축하는 일이나, 승가 혹은 유행자 들에게 음식을 만들어서 접대하거나, 금전이나 물건의 교환 등에 관계되는 일들을 한다. 즉, 정인(淨人)은 출가자들에게 청정성, 투명성, 합법성을 부여하여 재가자들의 비난에서 벗어나게 도와주는 역할과 동시에 관리인, 또는 대행인 등의 보조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정인(淨人)은 오늘날의 재가 종무원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오늘날의 재가 종무원은 초기승가에서의 淨人과의 시대, 성질 등의 차이점이 있겠지만, 출가자의 대행 역할과 보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의미 또한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 오늘날의 현실은 더욱 복잡다단하고 세분화되었기 때문에 현재에 맞는 출가자와 재가종무원의 역할분담과 화합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정인이 갖는 함의(含意)의 핵심은 다름 아닌, 재가종무원이 정인으로서의 맡은 바 자신의 역할을 해내야만이 출가자와의 화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인과 수행자의 조화로운 화합의 회통은 안으로는 승단의 위상확립과 승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밖으로는 정인의 삶도 윤택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인(淨人)의 현대적 의미에 대한 분석

        박정호 ( Jeong Ho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이 글은 정인의 현대적 의미 연구 에 대한 글이다.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공동체의 각 구성원은 일정한 역할 분담이 요구되며, 그 공동체의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을 이행함으로써 그 공동체를 유지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각자의 역할을 이행함에 있어 시간적, 장소적, 환경적인 요건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구성원간의 상호보완 활동이 필요하다. 승가 역시 승려들의 수행의 본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하지 못하는 행동이나, 어려운 행동의 경우에는 대행인이 있어 그 역할을 대신하였다. 그 대행인(代行人)을 정인(淨人)이라고 한다. 정인(淨人)은 사찰의 건축물 등을 건축하는 일이나, 승가 혹은 유행자 들에게 음식을 만들어서 접대하거나, 금전이나 물건의 교환 등에 관계되는 일들을 한다. 즉, 정인(淨人)은 출가자들에게 청정성, 투명성, 합법성을 부여하여 재가자들의 비난에서 벗어나게 도와주는 역할과 동시에 관리인, 또는 대행인 등의 보조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정인(淨人)은 오늘날의 재가 종무원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오늘날의 재가 종무원은 초기승가에서의 淨人과의 시대, 성질 등의 차이점이 있겠지만, 출가자의 대행 역할과 보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의미 또한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 오늘날의 현실은 더욱 복잡다단하고 세분화되었기 때문에 현재에 맞는 출가자와 재가종무원의 역할분담과 화합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정인이 갖는 함의(含意)의 핵심은 다름 아닌, 재가종무원이 정인으로서의 맡은 바 자신의 역할을 해내야만이 출가자와의 화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인과 수행자의 조화로운 화합의 회통은 안으로는 승단의 위상확립과 승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밖으로는 정인의 삶도 윤택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on Studies of Contemporary meanings of Kappiya - karaka(淨人) . Regardless of time and places, each member is required to play his or her own roles in order to keep and maintain a community. Whe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play their own roles, the community can continue to maintain and develop. However, the members sometimes have difficulty playing their own roles due to time, places and environmental reasons. In this case, each member needs complementary cooperation with other members. Samgha(僧伽) also had an agent play Monks roles in the case they had something they could not do or something hard to do because of their asceticism. The agent(代行人) is called Kappiya - karaka(淨人). Kappiya - karaka(淨人) constructs buildings in a temple, cooks and serves meals to the Samgha(僧伽) or pilgrims, or does tasks related to the exchange of money or things. In other words, Kappiya - karaka(淨人) gave cleanness, transparency and legitimacy to the monks so that they could stay away from the blame by lay people. They also assisted managers or other agents. The Kappiya - karaka(淨人) can be seen as a lay clerk of religious affairs toda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appiya - karaka and a lay clerk of religious affairs in time and qualities, they also have many traits in common including a role of agent and a role of assistant for the monks. Moreover, as today is more complicated and detailed than the past, it is important to divide roles between the monks and the lay clerks of religious affairs adequately for the current situation and cooperate together. This is because core implication of Kappiya - karaka can be harmonized with the monks only when the lay clerks of religious affairs play their roles as Kappiya - karaka. Therefore, conciliation and harmony of diverse opinions between Kappiya - karaka and the monks not on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tatus of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Samgha(僧伽) but also polish the lives of Kappiya - karaka.

      • KCI등재

        정인삼 진쇠무 연구

        양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전통춤은 우리 조상들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다. 무용을 배움으로써 우리민족의 당시 생활상과 신체문화를 이 해하고, 신체적 건강과 더불어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무용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21세기를 대비하여 세계가 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제기되기 시작하였 다. 현재 우리나라의 무용교육은 많은 연구와 시도를 통해 발전해 나아가고 있으나 무용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효과적인 무용교육을 위한 무용의 유래와 역사의 연구와 무용동작의 체계성과 정확성을 알 수 있는 무용동작 연구, 즉 무보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전통 춤의 하나인 진쇠무는 경기도 도당굿 장단으로 구성되어진 춤으로 전승관계를 살피기 위해 전승 자와 사승을 관계를 살펴보고 현재 진쇠무 전승자인 정인삼에게 직접 사사한 내용과 면담을 통해 춤의 구성과 특징을 연구하였다. 또한 여기에 사용된 장단을 직접 채보하고 춤을 정리하여 무보화하였다. 정인삼 진쇠무를 연구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정인삼은 정형인, 박금슬, 이동안, 정경파 등 당대 최고의 선생들에게 무용을 사사 받았다. 둘째, 정인삼의 진쇠무는 이동안에게 사사 받은 작품으로 기존의 이동안의 기본틀을 그대로 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정인삼의 진쇠무는 낙궁 3장단, 부정 18장단, 반설음 31장단, 엇모리 38장단, 올림채 54장단, 진쇠 15장단, 터벌림 11장단, 엇굿거리 8장단, 자진굿거리 68장단으로 정리되어진 춤으로 무용수가 꽹과리를 들고 직접 장단 을 치면서 춤을 추기에 기존의 다른 춤과는 달리 무용수가 장단의 개수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넷째, 진쇠무는 궁중무(宮中舞) 와 민속무(民俗舞), 의식무(儀式舞) 등의 세 가지가 혼합되어진 독특한 예술적 특징과 함께 정제미(精製美)도 있고 표현의 다양함도 있어 정적임과 동시에 동적인 것을 볼 수 있으며, 꽹과리를 들고 직접 장단을 치면서 춤을 추기에 전반적으로 생동감이 넘칠 뿐만 아니라, 추는 이가 자유자재로 음폭과 속 도를 조절할 수 있고 악사들과 장단을 주고받으면서 어울리는 특성으로 보다 다양하고 즉흥적인 춤의 변형이 용 이한 특징이 있으며, 정인삼의 진쇠무는 기존의 이동안의 진쇠무와 비교하여 꽹과리 가락에 대한 연주가 다양함 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정인삼 진쇠무의 발놀림은 다른 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발을 어산 (박에 발을 딛지 않고 박 사이로 딛는 것을 뜻함)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본고의 연구 결과로 정인삼 진쇠무라는 무명의 춤에 대한 학문적 배경 구축과 더불어 전통춤의 다양성을 주장하 고 더 나아가 무용의 본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 인식을 통해 많은 전통춤의 연구와 관심이 있길 바란다. 또한 본고가 진쇠무의 공연, 연구와 더불어 전승, 보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라며, 교육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reflects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Korean ancients. Learning this dance is one effective way of understanding the life style and physical culture of Korean people at the time as well as the reinforcement of physical and spiritual health.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began to be raised as the world realized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Currently, although the Korean dance education i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nature of dance. Thus, this paper stresses an importance of conducting research on dance movements to learn the origin of dance, the study of history, and the organization and accuracy of dance movements for an effective music education. With the Insam Jeong’s Jinsoe dance, one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this paper studies its nature through examinations of Jeong’s lif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musical elements, and movement elements of Jinsoe dance.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this paper organizes and documents the historical origin of Jaeincheong or the Council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the etymology and origin of Jinsoemu, the characteristics of chumsawi - the basic unit of the Korean dance movements and dance costumes of Jeong’s Jinsoemu as well as music scores and dance notation of Jinsoe dan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support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background for the unknown dance called Insam Jeong’s Jinsoemu, and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This study will enable more research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further initiate more research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 KCI등재

        瑞山 鄭仁卿(1267~1306)의 死後 追崇과 關聯事蹟

        이해준(Lee Hae-Jun)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2

        본고는 서산이 배출한 저명인물인 정인경의 사후 추숭과 관련 사적 연구가 서산지역의 역사 복원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 하나의 사례연구이다. 鄭仁卿(1267~1306)은 서산을 대표하는 역사적, 상징적 인물로 '瑞山'이라는 郡號를 정하게 한 장본인이며, 사후 서산의 향리들이 성황신으로 모셔 제사할 정도로 숭앙되었던 인물이다. 또 관련 기록이 풍부한 편이어서 功臣錄券과 政案 등 고문서 자료와 墓誌銘 등 고려시대 자료가 전하는 몇 안 되는 인물이며, 『高麗史』에도 列傳에 수록된 인물이다. 그런가하면 17~18세기에는 서산사족들에 의하여 松谷鄕賢祠에 제향되었고, 그밖에 서산지역에 여러 유적들이 남아 전한다. 인물과 성씨의 역사는 지역사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 해당시기와 후대 추숭시기의 지역사와 문화사와 관련 된 귀중한 성과를 얻어낼 수 있는 중요 자료원이기도 하다. 다만 인물의 후대 추숭자료는 전승 주체, 전승 수준에 따라 편차와 순도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객관적 평가와 철저한 비판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국가기록에 등재 된 배경과, 임란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된 정인경 추숭과 재조명 분위기, 17~18세기 초반의 서산지역 사족 동향을 연관시켜 파악하여 보았다. 필자의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인물 자료의 발굴 정리가 지역사의 복원에 어떻게 연계되고 기여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디딤돌이 된다면 다행이겠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that illustrated how a research on historical places related to the posthumous royal designation of Jeong In-gyeong, a prominent figure born in Seosan, would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Seosan's history. Jeong In-gyeong(1267-1306) was one of the historical and symbolic figures of Seosan. In fact, he was the one that determined the title "Seosan." He was such a revered figure that the Seosan Hyangris held a religious ceremony for him at the village shrine after his death. There are relatively rich records about him, who is one of the few figures whose old documents including Gongshinrokgwon and Jeongan and Goryeo data including the epitaph still remain today. His biography was also included in Goryeos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distinguished families of Seosan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im at Songgok Hyanghyeonsa. There are many other relics left in Seosan to honor him. The histories of figures and family names are very important keywords directly connected to local history and critical sources of data to offer valuable results related to the lo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concerned times and the period of posthumous royal designation. However, the materials about posthumous royal designation require objective valuations and thorough criticisms since they widely vary in declination and purity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levels of transmission. In the process, the investigator related the topic to the background behind Jeong In-gyeong's registration in national records, his posthumous royal designation and the atmosphere to re-illuminate him around Japanese Invasion in 1692, and the trends among Seosan's distinguished families in th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stepping stone to show how the efforts to identify and sort out records and materials about local figures are connected to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storation of local history.

      • KCI등재후보

        고려후기 정인경(鄭仁卿)의 정치적 기반과 활동

        김인호(Kim, In-Ho) 역사실학회 2013 역사와실학 Vol.51 No.-

        This article is to find the life and political actions of Jung, In-Kyung(鄭仁卿) in Koryo Dynasty. He is not famous man, but he was raised his birthplace’s name from BuSungHeung(富城縣) to SuSanGun(瑞山郡). This named Susan has gone on country’s name today. His father named Jung, Shin-Byo(鄭臣保) came by ship to sea from chinese Sung(宋) Dynasty. We don’t know why he settled down in SuSan, but I think his ship was troubled by typhoon or his illness. He had not connected to SuSan’s people ago. He tried to be settled life in this country, and succeeded quickly. Jung, In-Kyung passed to SuSan country’s national examination and he got a class called HwangGongJinSa(鄕貢進士). After Mongol’s invasion, he joined in a war by a cavalry named BualCho(別抄). He got to an officer class. His ability of foreign language was important to his officer’s succeed and career. He was able to speak a chinese and mongol’s language. He has acted by an official interpreter to Mongol’s diplomat for Koryo’s king called ChouRull(忠烈). His loyalty to the king was recognized and his officer’ rank became higher class. One of the diplomatic actions is protected from a conspiracy to Koryo’s King which was settled by Hong, DaGu(洪茶丘). Finally He was a meritorious retainer by the king of ChouRull. And his born country was got to a name to SuSan.

      • KCI등재

        지암(志巖) 정인채(鄭仁采)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 일고

        박종훈 ( Park Chonghoon )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6

        본고는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정인채의 금강산 유기인 <해산지(海山誌)>의 특징적 일면을 검토하면서 금강산 유기의 편폭을 넓히고자 했다. 정인채는 1898년 2월 고향인 화순에서 출발하여 충북 옥천, 그리고 경기도 포천을 경유해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온 4개월여 간의 기록을 <해산지>에 담아냈다. 총 19,175자로 기존의 금강산 유기와 비교해보아도 결코 적은 분량은 아니다. 산수유기는 일반적으로 흥치가 주를 이룬다. <해산지> 역시 그러한 흥치가 십분 담겨 있다. 정인채는 총 110개의 풍경점을 설정하고 각 풍경점에 따라 서술을 이어갔다. 여정 중에 본 풍경을 나열하거나 그곳에서 느낀 흥치를 비유를 통해 묘사했는데, 이는 정인채만의 특징은 아니다. 오히려 유사한 풍경 혹은 동일한 지명을 갖은 지점을 지속적으로 비교하면서 각 지점에 대한 인식을 돈독히 한 것과 기존의 금강산 유기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새로운 지점이나 유래를 소개한 것은 특징적 일면이었다. 정인채는 산수 유람을 유자적 사유를 체험하는 장으로 활용했다. 불교에 대한 비판과 유자의 흔적에 집중한 것은 유자의 본분에서 비롯된 것이다. 게다가 주희나 송시열, 이항로, 최익현과 관련된 언급은 당대 상황과 맞물려 있어 깊이 있는 접근을 요한다. 정인채는 금강산을 조선 오백 년 도읍지인 한양의 근간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인식은 강화도조약과 갑신정변, 을사조약 등 혼란만이 가중되던 시기의 타개책을 금강산에서 찾아야 한다는 논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금강산의 봉우리나 사찰, 암벽 등의 모습을 정치에 반영하면 혼란을 타개할 수 있으며 국맥도 이어나갈 수 있다고 역설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이전 혹은 이후 시기 금강산 유기에 보이는 금강산의 표상과는 전혀 다른 시선으로, <해산지>의 가장 특징적 일면이다. The study sought to expand the scope of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 Haesanji(海山誌) >, which Jeong In-chae(鄭仁采) has not yet been introduced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Jeong In-chae recorded in < Haesanji > the four-month-long record of departing from his hometown of Hwasun(和順) in February 1898 and returning to Mt. Geumgang via Okcheon(沃川),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and Pocheon(抱川), Gyeonggi-do(京畿道). It has a total of 19,175 characters, which is by no means small compared to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The Mt. Geumgang travel period is mainly about the excitement of travel. Such excitement is also the main content of < Haesanji >. Jeong In-chae set a total of 110 landscape points and continued to describe them according to each landscape point. It listed the scenery seen during the journey or revealed the excitement felt there through metaphors, but it is not unique to Jeong In-chae. Jeong In-chae strengthened the perception of each branch by continuously comparing similar landscapes or points with the same place name.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the Mt. Geumgang abandonment by introducing new points or origins that were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Mt. Geumgang travel journal. Jeong In-chae used the trip to Mt. Geumgang as a place to experience Confucian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traces of 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voice of Buddhism originated from Confucianism's duty. This part is also not unique to Jeong In-chae. However, these things are related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require an in-depth approach. Jeong In-chae recognized Mt. Geumgang as the starting point of Hanyang(漢陽), the capital of Joseon(朝鮮). This perception was naturally connected to the logic that a solution to the chaotic period at the time should be found in Mt. Geumgang. He emphasized that if the peaks of Mt. Geumgang, temples, and rock walls are reflected in politics, confusion can be overcome and the country's destiny can be continued. This aspect is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 Haesanji >,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 KCI등재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자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This paper compares the dietary life shown in the Chanyuan qinggui 禪苑淸規 compiled by Changlu Zongze 長蘆宗賾 (n.d.) and the Four-part Vinaya 四分律. Buddhism settled in China, which has a different environment from India, and various collections of norms appeared in addition to the Vinayapiṭaka of India. A typical example is the ‘Pure Rules 淸規’. The Pure Rules refers to the daily life norms or the normative collection of such norms to be kept in the Comprehensive Monasteries 叢林 of China. The basic character of the Pure Rules, which is the norm book of the Comprehensive Monasteries, makes the Pure Rules misunderstood as a completely different collections of norms with the Vinayapiṭaka. However, as China’s Saṃgha is also a Buddhist Saṃgha, it is adjusting the norm in the direction of reviving the ideals and spirit of the teachings of the traditional Vinayapiṭaka while considering reality.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ontents of the four items of the food that should not be eaten 不應食, the food that should not be eaten at the inadequate time 非時食, kappiya-kāraka 淨人, the attitude to eat 喫食法 in the Chanyuan qinggui. In what way, we examine whether the Pure Rules reflects the norms or ideology of the Vinayapiṭaka, and in what ways it shows its own development. In these four points, the Chanyuan qinggui seems to maintain the rule or ideology of the Vinayapiṭaka relatively faithfully. The food that should not be eaten and the food that should not be eaten at the inadequate time reflect well the basic position of the Vinayapiṭaka, and on the other hand, they are stricter than those of the Vinayapiṭaka. In the case of the food that should not be eaten, especially, the regulations of the Mahāyāna Buddhism or the Bodhisattva precepts are added to the rules of the Vinayapiṭaka. In the case of kappiya-kāraka, though it is formal, by taking food through kappiya-kāraka, this too is trying to revive the ideology of ‘the rule that food should be received through dāna(a temple offering) 不受食戒’ of the Vinayapiṭaka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ttitude to eat, the provisions of ‘Rules to learn 衆學法’ in the Four-part Vinaya are accepted as they are. 본고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청규로 알려진 자각 종색(自覺宗賾)의 『선원청규(禪苑淸規)』에 나타나는 식생활을 율장과 비교하며, 양자 간의 유사성 및 청규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인도와 다른 환경을 가진 중국에서 불교가 정착하면서 인도 성립의 ‘율장’ 외에 다양한 규범집이 등장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청규(淸規)’이다. 청규는 중국의 선종 교단에서 지켜야 할 일상적인 생활 규범 혹은 그러한 규범들을 모아놓은 규범집을 일컫는다. 선종 교단의 규범집이라는 청규의 기본적 성격은 마치 청규를 율장과 완전히 다른 규범집으로 오해하게 만들지만, 중국의 승가 역시 불교 승가인 이상, 현실을 고려하면서도 전통적인 율장의 가르침에 담긴 이념이나 정신은 살리는 방향으로 규범을 조정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선원청규』에 나타나는 식생활에 관한 규범 가운데 불응식(不應食)과 비시식(非時食), 정인(淨人), 끽식법(喫食法)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율장의 해당 내용과 비교하며, 어떤 점에서 청규가 율장의 조문 내지 이념을 반영하고 있는지 또 어떤 점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들 네 가지 점에 있어서 청규는 율장의 규정이나 이념을 비교적 충실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불응식도 비시식도 율장의 기본 입장을 잘 반영하면서, 한편으로 율장보다 한층 더 엄격한 규정을 하고 있다. 특히 불응식의 경우에는 율장의 규정에 대승불교 내지 보살계의 규정을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정인의 경우에는 형식적이기는 하지만, 정인을 통해 음식을 보시 받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이 역시 율장의 ‘불수식계’의 이념을 가능한 한 살려내려 애쓰고 있다. 한편, 끽식법의 경우에는 『사분율』의 「중학법」에 나오는 규정들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이에 배가 넘는 규정들을 추가함으로써 더 엄격하게 음식을 먹는 법을 규정해가고 있다. 주제어: 선원청규, 청규, 비시식, 재죽이시, 정인, 총림, 중학법

      • KCI등재

        정인조(鄭寅朝)의 「울릉도기행(鬱陵島紀行) : 식물채집기 (植物採集記)」에서 보는 1947년의 울릉도

        최재목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9 No.-

        이 논문은 종래 소개된 바 없는, 1948년 7월에 발표된 鄭寅朝의 「鬱陵島紀行 : 植物採集記」 을 통해서, 1947년의 울릉도 식물 및 현지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鄭寅朝는 이미 울릉도의 식물에 대한 많은 기초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이 기행문이 1947년 8월 ‘남조선 과도정부’와 ‘조선산악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울릉 도학술조사대’의 식물전문조사팀에 소속되어 울릉도 현지답사를 수행했던 필자(정인조)에 의 해 작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행문에서 언급된 당시의 식물 30여종은 현재 생육 식물들과 대조해본 결과 모두 현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기행문에서는 조국, 국토라는 확고한 의식이 잘 드러나 있고, 해방 직후 본토에서 멀 리 떨어진 우리 국토 울릉도의 땅을 밟는 기쁨을 잘 드러나 있다. 넷째, 해방 직후의 울릉도는 정치적으로는 고요했으나, 약초 및 채소 채취는 물론 벌목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행위는 당시뿐만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그 이전에도 일본인들의 잠입에 의해, 그리고 조선의 內地 및 섬(거문도 등) 사람들에 의해 지속되어왔던 일이이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가 일본인들이 남긴 현지 풍경으로서 도동항의 ‘함석 이층집들’, 산에 식재된 ‘스기’(杉. 삼나무)를 살필 수 있다. 그 외의 것은 기록되지 않아 파악할 수가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Jeong In-jo's travel writing titled “Ulleungdo: Plant Collection Records,” written in 1947. This travel writing describes the landscape of Ulleungdo Island in 1947,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but it has not yet been mentioned in the related studies so far. First, it seems that Jeong In-jo already had a lot of basic knowledge about Ulleungdo's plants. This is because this travel writing was written after a participation in the academic research team formed jointly by the ‘South Korean Transitional Government’ and the ‘Chosun Mountain Association’, that went to Ulleungdo in August 1947. Second, all the 30 plant species mentioned in the travel writing are growing on Ulleungdo. Third, the travel writing clearly reveals the firm consciousness of the motherland, and the joy of stepping on the land of Ulleungdo as our homeland, far from the mainl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ourth, Ulleungdo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as politically quiet, but it can be seen that harvesting herbs and vegetables as well as logging are routinely performed. Of course, this behavior was sustained not only at the time but also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Japanese and by the Joseon people (inland and islands). Fifth, the scenery of Ulleungdo left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een from the two-story houses in Dodong Port and the Sugi trees planted by the Japanese in the mountains. Everything else is not recorded and cannot be grasped.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예지 『진달래』의 오노 도자부로 수용 양상

        심수경(Shim, Soo-ky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4

        1950년대 서클운동의 일환으로 창간된 재일조선시인집단의 서클지 『진달래』는 비전문가들의 자기표현의 장이었다. 본고에서는 당시 오사카 시운동의 견인차 역할을 한 오노 도자부로의 시론이『진달래』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김시종과 정인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오노의 시론의 핵심은 ‘비평’으로 비평으로서의 풍경시를 주장하며, 전통적 서정의 형식을 부정한다. 이러한 오노의 시론은 김시종의 ‘의식의 정형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통저한다. 정인 또한 이미지의 조형화와 시인의 감성 질서의 변혁이라는 면에서 오노의 시론을 수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전쟁을 체험의 바탕에 둔 오노와 ‘유민의 기억’을 바탕에 두면서도 이미지즘 경향이 짙은 시 경향을 보이는 정인과는 차이를 보인다. “Zindale” was a poetry magazine run by a group of Korean poets based in Japan, first established as part of the circles movement in the 1950s, and it was a forum for self-expression for amateurs. This paper highlights how an essay on the poetry of Ono Tozaburo,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Osaka Poetry Movement, was accepted in ”Zindale,” with a focus on Kim Si-jong and Jung In. The core of Ono’s poetry is “criticism.” He promoted landscape poetry as “criticism” and rejected traditional forms of lyricism such as “Tanka.” The essay on Ono’s poetry corresponds with Kim"s question about the “formalization of consciousness.” Jung In is also considered to have accepted Ono"s poetry in respect to the formative image and the transformation of a poet"s emotional state. However, Ono based his poetry on war experiences and thus is distinguished from Jung In, who demonstrated a form of poetry with a strong inclination toward imagism, based on “memories of Zainichis”: Korean migrants of the time.

      • KCI등재

        빨리율에 나타나는 3종의 승단관리자

        이자랑 ( Ja Rang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빨리율(Vinayapitaka)에는 비구 혹은 비구니를 위해 다양한 잡일을 대신 했다고 보이는 대략 다음 5종의 명칭이 전해진다. 즉 사마네라(samanera, 沙彌), 우빠사까 (upasaka, 優婆塞), 아라미까(aramika, 園民), 웻야왓짜까라(veyyavaccakara, 執事人), 깝삐야까라까(kappiyakaraka, 淨人)이다. 이들은 비구(니)를 대신해서 청소 등의 노동을 하기도 하고, 혹은 비구가 범계하지 않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중 사마네라와 우빠사까는 비교적 그 정체가 명확하다. 이들은 사중(四衆) 혹은 칠중(七衆)의 하나로 거론되는, 이른바 불교교단의 기본 구성원이기 때문이다. 사마네라는 구족계를 받고 비구가 되기 전의 남성예비수행승이며, 우빠사까는 남성 재가신도이다. 한편 아라미까와 웻야왓짜까라, 그리고 깝삐야까라까의 경우에는 교단 내에서의 지위와 역할 등에 있어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이들은 승단에 예속된 노비와 같은 신분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승단의 관리자로서 비구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갖고 다양한 일을 처리하고 있다. 본고는 빨리율에 나타나는 이 3종의 관리자에 관한 용례를 검토하며 각각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고의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비구를 위한 정법(淨法) 실행, 다시 말해 학처에서 금지된 행동을 적법하게 만들 어주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른바 정인(淨人)으로서의 역할이다. 하지만 아라미까는 특히 주처 관리와 관련이 깊다. 이들은 비구들의 주요 와좌처였던 아라마(arama)의 청소나 수리, 건축 등을 위해 승단 최초로 수용된 노동 인력이었는데, 점차 승가나 비구에게 보시된 돈을 관리 내지 처리하는 정인 역할도 담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정인이라 한역되며 일반적으로 정인의 대표격으로 알려 져 있는 깝삐야까라까의 경우에는 특히 식생활이라는 특정 분야와 깊은 관련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웻야왓짜까라의 경우에는 용례도 상당히 적을 뿐 아니라, 내용도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어 상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아라미까나 깝삐야 까라까처럼 특정 분야를 담당하는 인력이었다기보다는, 아라미까나 우빠사까 등을 포함하여 승단의 잡무를 보는 다양한 인력을 총칭하는 용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In Vinayapitaka, roughly the following five titles that seem to have done diverse chores on behalf of bhikkhu or bhikkhuni; that is, samanera, upasaka, aramika, veyyavaccakara, and kappiyakaraka. They do work such as cleaning on behalf of bhikkhus or bhikkhunis, or play the role of assisting bhikkhus not to violate religious precepts. Among them, the identities of samanera and upasaka are relatively clear because these are so called basic members of the Buddhist order referred to as one of four groups(四衆) or seven groups(七衆). A samanera is a male preliminary disciplinant bonze before receiving upasampada(具足戒) and becoming a bhikkhu and an upasaka is a male laity. On the other hand, the statuses and roles of aramika, veyyavaccakara, and kappiyakaraka in the Buddhist order are unclear in many aspects. They do not seem to be at the same status as slaves subordinate to the Samgha. As managers of the Samgha, they are quite closely related to monastic managers and handling diverse affair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examples of these three types of managers appearing in Vinayapitaka and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m. The results of review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ir major work is commonly the execution of kappiya(淨法) for bhikkhus, in other words, making behaviors prohibited in study places lawful. However, aramika is particularly related to residence management. They were the first labor manpower accepted for the first time by the Samgha for cleaning, repairs, or construction of arama that was major lodging of bhikkhus and they seem to gradually become to play the role of managing or handling the alms given to the Samgha or bhikkhus. Meanwhile, kappiyakarakas seem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certain area, dietary life. Their roles seem to have become more special as the acts of storing food or materials or the acts of cooking food in the Samgha were gradually permitted. As for veyyavaccakara, although details cannot be known as not only the number of examples is quite small but also the contents are not accurate, rather than being manpower in charge of certain areas such as aramika or kappiyakaraka, it is assumed to be a term referring to diverse workers in charge of chores in the Samgha including aramika and upasa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