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奈良·滋賀 지역의 百濟系 渡倭人에 대한 고찰

        洪性和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본고는 奈良·滋賀 일대에 남아 있는 백제계 지명과 유적을 고찰하여 百濟系 渡 倭人들의 일본열도의 행적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우선 奈良 지역은 檜隈 일대의 東漢氏을 비롯하여 眞神原과 야마토 일원에 다수 百濟系 渡倭人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奈良 지역은 야마토 왕권의 본거지로서 백제와 야마토 왕권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하여 百濟系 渡倭人들이 정착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백제계 씨족의 근거지와 유적들이 大阪에서 奈良로 향하는 경로 상에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을 통 해서도 奈良 방면으로 다수의 百濟系 渡倭人이 이주, 정착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滋賀 지역의 경우는 大津 일대의 錦部氏를 비롯하여 소위 志賀漢人으로 부르는 渡倭人들이 비와호의 수운을 중심으로 近江 일대 주요 지역에 진출하고 있었다. 또한 蒲生 일대는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을 이끌었던 복신의 아들 鬼室集斯의 신사와 石塔寺 유적 등 백제 유민의 흔적이 남아있다. 滋賀 지역은 야마토 왕권의 동쪽과 북쪽 교통의 중심지로서 초기 河內, 奈良 지 역에 정착했던 百濟系 渡倭人들이 새로이 이주 및 개척하여 정착하였던 것을 특징 으로 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persons who crossed into Nara & Shiga of Wa from Baekje. First of all, Nara area leaves traces of a number of Baekje's persons in Makamigahara and Yamato district, including the Yamatonoaya clan in the Hinokuma district. In particular, Nara area was home to the Yamato Kingdom and shows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through direct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the Yamato Kingdom. In the Shiga area, there are traces of the persons who crossed into Wa in Otsu district, called Shiganoayahito and people who settled after the fall of Baekje in Kamo district. In particular, the Shiga area was the center of traffic east and north of the Yamato Kingdom, and is characterized by the new migration and pioneering of Baekje's persons who settled in the early Kawachi and Nara areas.

      • KCI등재

        고대 일본에 전파된 백제 도교

        張寅成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5

        최근 백제 도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관련 문헌 자료의 부족으로 백제도교 연구는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백제 도교에 관한 자료를 확대하고 백제 도교의 구체적인 면모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에 기록된 백제 도왜인의 도교에 관한 풍부한 자료에 착안하여 백제 도왜인의 의료활동이 도교의 신선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백제 도왜인의 주금술은 도교의 방술이었음을 밝혔다. 고대 일본에서 활약한 백제 도왜인의 신선술과 주금술을 통해 백제의 도교의 새로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가와치 지역의 백제계 도왜인(渡倭人)

        정재윤(Chung Jaeyun)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2

        이 글은 가와치 지역에 정착한 백제계 도왜인들의 현황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곤지는 가와치 지역에서 정착하여 백제와 왜의 군사적 협력체계를 이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곤지는 461년 왜에 파견되어 가와치 지역에 정착하였다. 곤지 이전에 이 지역에 파견된 인물로는 주군과 지진원을 확인하였다. 그들은 5세기경에 왜에 파견된 인물로 왜와 우호를 닦기 위해서였다. 이들이 가와치 지역에 정착한 것은 백제계 도왜인들의 밀집 지역이라는 점과 야마토 정권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는 관문에 해당하는 중요한 거점이었기 때문이다. 야마토 정권은 백제의 선진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여 국가체제를 정비하는 데 노력하였으며, 그 주도적 역할을 백제계 도왜인들이 한 것이다. 이들이 가와치 지역에 남긴 주요 유적들로는 제방, 제철, 사찰, 고분 유적을 들 수 있다. 부엽공법을 활용한 관개 작업은 상습 범람지를 옥토로 바꾸어 놓았으며, 생산력의 증대를 가져왔다. 그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가메이 유적과 사야마이케 유적을 들 수 있다. 제철 유적으로는 오오가타 유적이 대표적이며, 농기구와 무기류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켰다. 신도하이지는 대표적 사찰로, 불교를 통해 국가의 통일성을 추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들 백제계 도왜인들이 흔적은 다카이다야마, 이치스카, 아스카센즈카 유적등 많은 백제계 횡혈식 석실분이 조영된 것에서 확인된다. 무엇보다 곤지를 모시는 아스카베신사가 존재한 것은 그가 가와치 지역에서 백제계 도왜인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던 것을 보여준다. 그가 좌현왕 혹은 군군(軍君)이라는 직함을 가진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곤지는 이들의 힘을 바탕으로 백제와 왜와의 매개 역할을 하는 등 일본 열도에서 백제와의 협력체계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다만 곤지의 활동 무대는 현재의 아스카베신사 지역보다는 이시카와와 아스카가와가 흐르는 모리모토신사 부근의 미장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지역은 아스카라는 명칭과 부합하며, 고대 교통로의 중심이어서 보다 활동하기에 적합한 곳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곤지의 활동으로 백제는 왜와 군사 협력체계를 구축하였고, 이후 관산성전투와 백강전투에서 왜의 군사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and the role at that time of Baekje immigrants in Wa(百濟系 渡倭人) who had settled in Kawachi Province(河内). The results showed that Gonji(昆支) settled in Kawachi Province and led the military cooperation system between Baekje and Wa(倭). Gonji played a pivotal role in organizing Baekje immigrants in Wa and in saving Baekje in times of national emergency by cooperating with the Yamato government(大和政権). The reason why he was titled Jwahyeon–wang(左賢王) or Gun–gun(軍君) is related to this. In addition, the reason why Gonji settled in Kawachi Province is related to the fact that Ju–gun(酒君) and Jijin–won(池津媛) had settled there. Baekje immigrants in Wa left archaeological sites associated with levees, ironmaking, and temples in Kawachi Province and constructed many Baekje horizontal stone chamber tombs, such as the Asuka Senzuka tumuli(飛鳥千塚古墳群). Above all, the foundation of Asukabe Shrine(飛鳥戸神社), which enshrines Gonji, clearly shows that he played a central role in organizing Baekje immigrants in Kawachi Province.

      • KCI등재
      • KCI등재

        6세기 후반 한일 해역에서의 재난과 교류 -고구려와 야마토 정권을 중심으로-

        홍성화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9

        As for exchanges between Goguryeo and Yamato Wa, the arrival of Goguryeo envoys from 570 to the Japanese archipelago could be seen as the beginning of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However, in the midst of diplomatic attempt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the drifting, wrecked ship, drowning, and distress of Goguryeo envoys are occurring. This may be because Goguryeo was not familiar with the sea route to the Japanese archipelago at the time. However, unlike disasters caused by simple maritime situations, there are areas where we can look at the status of artificial maritime disaster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note the figures sent by the Yamato regime to welcome Goguryeo envoys when they arrived in the Japanese kingdom in the late sixth century. In general, the figures who welcomed the Goguryeo envoys are the person who crossed into Wa from Baekje, and in 573 it is believed to reflect the position of the person who crossed into Wa from Baekje, who opposed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Yamato Wa and Goguryeo. 고구려와 야마토 정권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에서 570년부터 나타나는 고구려 사신의 일본열도 도착을 공식적인 외교 관계의 시작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교 관계의 시도 와중에 고구려 사신의 표착, 파선, 익사, 조난 등 해상의 재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일단 당시 고구려가 일본열도로 가는 해상 루트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한 해상 상황에 따른 자연적 재난과 달리 인위적인 해상 재난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주목된다. 이를 고찰함에 있어서는 『日本書紀』 내에서 6세기후반 고구려의 사신이 왜국에 도착했을 때 그들을 영접하기 위해 야마토 정권에서 보냈던 인물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고구려 사신을 영접했던 인물들은 백제계 渡倭人이며 특히 573년에 있었던 해상의 조난과 관련해서는 야마토 정권과 고구려의 교섭을 반대했던 백제계 도왜인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萬葉集 七夕歌의 硏究

        尹永水 동아시아고대학회 2003 동아시아고대학 Vol.8 No.-

        This study takes as the subject 132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Manyoshu and discusses the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Manyoshu;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Hitomaro's poetry; the transmission of the legend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to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ms and the Korean people moved to Japan in Ancient Korea.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are, first of all they are the only work in the Manyoshu with stars in a night sky as the theme, and the fact that all the authors are the intellectuals with noble bureaucratic background and males. Also, unlike the Chinese legend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or the Chines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 terms of the story are: it is Gyeon Woo who crosses the Milky Way on the night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Gyeon Woo and Jik Nyeo accept as their fate their heartbreaking love which only allows them to meet each other once a year; and there are many instances of expressions fused with Japanese myths. Thus, even though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Manyoshu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inese legend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hina. Therefore, it can be stated as Japanese transform or characteristics of the legend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The status of the 38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Hitomaro's poetry draw attention since they were written in the earliest period among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Manyoshu.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after A.D. 680 or in the TenmuㆍJito Dynasty (A.D. 672~696), and the author to be Hitomaro himsel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in The Hitomaro's poetry are that the poems are superb than other poets' work in terms of originality, and that they sing a celestial sad love story as a humanly love story on earth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ies of lif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period in which the Chinese legend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was introduced in Japan is presumed to be much earlier than the TenmuㆍJito Dynasty and by the people who moved from Korea. This paper concludes that in the Omi Dynasty's (A.D. 667~672) rigorous literary pursuit, the Chines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were widely introduced by the intellectual exiles from Baekje, who were competent in Chinese literature, and in this process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of the Manyoshu were began to be written.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influence of the people moved from Ancient Korea is revealed also in a Japanese ancient collection of poems, the poems of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Moon of the Manyoshu.

      • KCI등재

        『日本書紀』 한반도관계기사에 보이는 吉備氏에대하여

        洪性和(Hong, Sung-hwa)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Korea-Japan relations in the an-cient through the Kibi clan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Ibonseogi. When we examined the Kibi clan’s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we could know that Baekje supported advanced cultural heritage and Wa dis-patched the military to Baekje. In the end, the Kibi clan could be understood as the clan related to the ocean based on the Seto Inland Sea and the Kibinoamanoatai clan could be described the background of the Kibi region as a maritime power connec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Kibinoamanoatai clan appear through the contact of the Baekje, Koguryo people and they are likely to come from the Korean pen-insula as the people who are fluent in Korean language including Baekje.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people, places and relics of the ancient Kibi area are highly related to Baekj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ncient Kibi area should be judged prefer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Kibi. 본고는『日本書紀』에 나타나는 吉備氏의 한반도 관계 기사를 통해 고대 吉備 지역의 한일관계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吉備氏에 대해서는 천황중심주의로 윤색되었던 『日本書紀』의 사관 때문에 任 那經營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는 인식이 전제가 되었다. 하지만, 吉備氏의 한반도 관계 기사를 고찰하면 백제가 선진문물을 지원하고 왜의 군사 파견이라는백제와왜의기본적인구도안에서한반도와의교류현황을살펴볼수있다. 결국 吉備氏의 경우 본래는 세토내해를 기반으로 한 해양과 관련 있는 씨족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吉備氏의 성격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 吉備海部直의 존재는 한반도와 연결 되는 해상 세력으로 吉備 지역의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吉備海部直은 백제의 선진문물을 보유한 渡倭人의 인도, 백제 日羅의 소환, 고구 려 사신과의 접촉 등을 통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언어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 吉備氏가 백제어를 비롯한 한반도 언어에 능통한 인물로서 한반도에서 왔던 인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고대 吉備 지역에서 보이는 渡倭人들의 人名, 地名, 遺跡 또한 백제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고대 吉備 지역의 한일관계는 우선적으로 百濟와 吉備 의 관계 속에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대 일본 藤原氏와 백제계 渡倭人

        박재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1 百濟硏究 Vol.54 No.-

        The emigrants from 百濟(Baekje) denote the migrant who settled down based on professional ability before Yamato and the people who drift to Japan after the fail of the Baekje kingdom in A.D. 660 and its descendant. The emigrants before 大化(Taika) resided in the 畿內(Kinai), in particular most of them lived in 河內(Kawachi) and 大和(Yamato). Based on their professional ability and kinship groups, they had became famous literary family relying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ant families in 畿內(Kinai). On the other hands, the drifting people after the fail of the Baekje kingdom in A.D. 660 had took part in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either at home or abroad of 天智(Tenchi) and 中臣連鎌足(Nakatominomurajikamatari). 天智(Tenchi) and 鎌足(Kamatari) had moved the capital to 近江(Omi) and had deported the emigrants as part of the clan policies. The emigrants ha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the new governance system of 天智(Tenchi) as well as development of 近江(Omi) region.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of 近江(Omi) had confronted backlash from other families of 畿內(Kinai) and the emigrants from Baekje before Yamamoto. Since 壬申(Jinshin)’s rebellion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drifting people was not noticeable whereas the activities of the emigrants was remarkable. 藤原不比等(Fujiwaranofuhito) who began to appear in earnest on the stage of politics promoted the regulations and constructed the bureaucracy, relaying on the succession to the Imperial throne and the relationship with 持統(Jitou).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持統(Jitou) and 藤原不比等(Fujiwaranofuhito) seems to be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emigrant, 田邊史(Tanabenofuhito)as well as the succession to the Imperial throne. 藤原不比等(Fujiwaranofuhito)’sstatus in the government became stronger and more solid after he became the Japanese emperor’s fatherin-law to intervene actively in publishing 日本書紀(Nihonshoki). Although such activities of the emigrants from Baekje relay on the individual ability and their family background, the relationship with the largest bloc, 藤原不比等(Fujiwaranofuhito) could not be ignored.From the documentary survey, it is revealed that the emigrants from Baekje had close relationship with Surname Fujiwara. Through such a history the emigrants assimilated into Japanese society as officials in the government. 백제계 도왜인은 大化 이전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고유 직능을 바탕으로 기반을 잡은 씨족, 그리고 660년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건너 간 백제 유민과 그 후손들을 가리킨다. 대화 이전에 건너간 백제계 씨족들은 畿內, 그 가운데에서도 河內와 大和지역에 대부분 거주했다. 이들은 서로 동족관계를 맺고 고유 직능을 바탕으로 기내의 다른 유력씨족들과 결탁하면서 유명한 문인집안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한편 660년 백제의 멸망 후 일본에 건너 간 백제 유민은 天智天皇과 中臣連鎌足의 대내외정책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천지와 겸족은 씨족정책의 일환으로 근강 천도를 단행하고 그 전후에 백제 유민들을 대거 근강 지역으로 이주시킨다. 백제 유민들은 근강 지역의 개발은 물론 천지조의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는데 많은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근강조정은 기내의 다른 씨족들과 기존 백제계 씨족들의 반발을 사기도 하였다. 임신의 난 이후 天武朝에 백제 유민들의 구체적인 활동은 보이지 않지만, 기존 백제계 씨족들의 활약상이 두드러진다. 持統朝에 정치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藤原不比等은 황위계승과 함께 지통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율령의 찬진과 시행을추진하고, 관료사회를 구축해 나아갔다. 지통천황과 등원불비등이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던 것은 황위계승문제뿐만 아니라 田邊史라는 백제계 씨족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등원불비등은 천황가의 장인이 된 후에는 『日本書紀』편찬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만큼 그의 조정 내 지위는 더욱 견고해졌다. 백제계 도왜인들이 율령이나 『일본서기』 편찬에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집안의 내력이나 개인적인 능력도 있었겠지만, 당대 가장 큰 세력가인 藤原不比等의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백제계 도왜인들은 藤原氏와의관계가 매우 밀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를 거친 백제계 도왜인들은 점차 율령제 국가의 관인으로서 일본 사회에 동화되어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인용된 『백제본기(百濟本記)』

        박재용 ( Jae Yong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0 백제문화 Vol.42 No.-

        『百濟本記』는 善光이 681~691년 사이에 武寧王에서 威德王까지의 백제의 역사를 정리한 사 서라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은 백제가 加耶지역으로 진출하는 과정과 이에 대한 加耶諸國의 대응, 그와 관련된 高句麗·新羅및 倭의 동향이다. 그러나 『百濟本記』의 편찬과정에서 백제의 대외활동 및 영역확장은 모두 천황의 영향력 속에서 이루어진 것처럼 윤색되었다. 『日本書紀』編纂局은 繼體·欽明紀가 편찬되는 과정에서 加耶諸國의 멸망 원인과 가야에서 활약하였다고 전하는 왜국내 유력 씨족들의 활동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善光에게 백제 문헌의 편찬과 제출을 요구하였다. 善光의 입장에서도 왜국내에서 다른 백제계 渡倭人들에 대한 우월의식 및 자신들의 사회적·정치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백제 문헌의 편찬을 받아들였다. 善光은 백제에서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야의 멸망 과정과 이에 관련된 백제의 입장을 변호하는 사서로서 『百濟本記』를 편찬하였다. "Baekjebonki", written by Seonguang from 651 to 691, is a historical writing that summarizes history of Baekje from Mooryungwang to Wedeokwang. The authority for compilation of "Ilbonsoki" asked Seonguang to arrange and submit Baekje-related historical records, for thed sunted to hand down to next generations the stories of historic actions that powerful clans of Japan allegedly took in Gaya and the causes of the fall of Gaya empire. From Seonguang`s standpoint, accepting the request of compilation of Baekje historical records was a good deal in a way that it could keep their social and political status higher than other Dowaein of Baekje origin. Seonguang gathered Baekje-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nd wrote "Baekjebonki" to defend the position of Baekje at the time when Gaya was collapsing. The details of "Baekjebonki" was about the courses of Baekje penetrating Gaya, and how Gaya, Shilla and Japan reacted to it. Jeetongjo is the time when chronological form of historical writing became a general tendency as the arranging work of Jeaki and Sanggojeasa was expanded at the 10th year of Cheonmoo. That is, "Baekjebonki" and "Baekjeki" were dealt with more importantly when "Ilbonsoki" started to be compiled. The most salient characteristic of the two historical records is that they write as if all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erritorial expansion of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Emperor. Yet, both "Baekjebonki" and "Baekjeki" describe history that cannot be seen in "Samgugsaki", so their value as historical records are priceless.

      • KCI등재

        近江朝 以前의 文學과 政治

        尹永水(Yoon Young-Soo)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2 No.-

        近江朝(A.D. 667~972년) 以前의 문학과 정치가 어떠한 양상을 띠고 전개해 왔는가 하는 문제를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인 연구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즉, 일본문학의 黎明期라 볼 수 있는 仁德朝의 문학과 역사에 대한 고찰을 비롯하여 和歌기원의 문제, 記紀歌謠와 萬葉歌와의 관련성, 그리고 初期萬葉歌의 세계에 나타난 정치적 상황을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近江朝 이전의 문학과 정치를 역사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고대한국에서 일본열도로 진출한 渡倭人들의 역할에는 지대한 면이 있었다. 즉, 일본고대문학이나 萬葉歌(和歌)의 탄생에 있어서 일본에 한자를 전해주고, 漢學에 뛰어나며, 고대일본에 있어서 문필과 기록을 주로 담당했던 한국에서 건너간 도왜인들의 역할은 참으로 컸던 것이다. 그들은 대륙과의 오랜 접촉과 창조적인 역사 속에서 형성된 선진의 문학관과 높은 정치적인 교양을 지니고, 서정시로서의 和歌의 발달을 촉진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萬葉歌의 탄생과 발전에도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고, 정치적인면에 있어서도 두드러진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승적·서사적·집단적인 성격의 고대가요(記紀가요)가 기록적·서정적·개인적인 성격의 和歌로 발전해 가는 初期萬葉시대에 있어서 천황 주위에서 궁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궁정을 대표하여 노래를 지어 바치기도 하고, 때로는 타인을 위해 代作도 하면서 和歌의 筆錄이나 傳承의 역할까지 담당한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한문학과 문필에 뛰어난 도왜인이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일본문학의 형성초기부터 萬葉歌를 비롯한 和歌가 한문학과 문필에 뛰어난 고대한국으로부터의 도왜인들의 주도적인 역할에 의해 탄생·발전·제작·代作·필록·전승·편찬이 거의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정치적인 면에 있어서도 천황이나 궁정 주변에 머물러 있으면서 지배계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볼 때, 近江朝 이전의 문학과 정치에 있어서 도왜인들의 역할이 얼마나 컸던가를 단적으로 나타내줄 뿐만 아니라, 도왜인들을 제외하고는 일본문학의 역사나 고대정치를 논할 수 없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The Writer has pursued this study on aspects of literature and politics before the omi Dynasty (A.D. 667~672)through the sociological viewpoint. The research findings hav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fter examining literature and history of Nintoku Dynasty regarded as the dawning of the Japanese literature, relation between Kikipoems and Manyoshu"s poem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revealed in earlier Manyoshu"s poems. Korean people moved to Japan in Ancient Korea played an important role from historical sociologic point a view on literature and politics before the Omi Dynasty. The emigrants form ancient Korea were experts in Chinese literature and they transferred Chinese characters to Japan. The emigrants especially played an active part in scholarship and literature in ancient Japan. The emigrants had sophisticated viewpoint on literature which is obtained from the continuous contact with a continent. They contributed to creation and development of Manyoshu"s poems, expedited the progress of Waka regarded as a lyric poem, and performed a primary role in politic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it was these emigrants who had talent in Chinese literature and writing that recorded Waka and transmitted it to descendants during the earlier Manyoshu"s poems when oral, descriptive, and common poems were developed into documentary, lyric, and personal poems. Moreover, the emigrants had close relevance to the court, wrote poems on behalf of the court, and sometimes wrote poems for other people. As a result, from the fact that creation,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of poems including the Manyoshu"s poems were almost accomplished by the emigrants from Ancient Korea who were excellent in Chinese literature and writing,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emigrants closely related to the court, the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emigrants had great influence on literature and politics before the Omni Dynasty and examining Japan literature and politics without the emigrants" contributions isn"t reason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