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의 조성에 관한 고찰 :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여

        손진상(Shon, Jin-Sa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성적역사문화도시는 지난날 한 나라의 정치·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 있는 옛 도시를 총칭하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도시이미지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문화도시, 역사도시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사회적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가의 정체성 확립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보전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동시는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도시로 문화유적이 자리잡고 있고 역사적·전통적 삶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도시이다. 그러나 미흡한 점도 많다. 그것은 안동이 역사도시라고 자신할 만큼 다양한 시대의 역사유적을 보존·관리하지 못했고, 문화도시에 걸맞는 공간 및 시설과 활동이 아직 부족하다. 이는 역사문화경관을 문화재가 있는 지역으로 인식하는 편협한 시각이 지배적이었던 우리나라의 기존 문화재보존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역사문화도시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관리되어 왔고, 문화재가 아닌 것은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하여 문화재주변의 난개발을 막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동시의 역사문화유적을 정비·보존하고 도시공간을 재정비하여 안동시를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여 관리하는 데에는 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적 역사문화도시 조성 및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법적·제도적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도시를 실현하여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주민참여가 더욱 중요하다. City of history & culture is a center of politics and culture of one country on the past including concept of ancient city that has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alue. In 21st century city of history & culture is introduced as image of city become brand. With changing of social paradigm each country in the world try to forward a project about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ong city is a traditional city that has original form of confucian culture. Also it can be representative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ife style. But Andong city has weekness that is problem of protecting and managing historical heritage in various period. This perspective go along with policy that has narrow minded cognition that consider historical & cultural scenery as place with cultural property. Systematic device for city of history & culture is managed b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nd make historicity and cultural heritage an object. This kind of logiclet things that are not cultural property develop. Development thoughtless could be done around area of cultural property as the result of above reason. Therefore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for policy of protecting cultural property will be needed for managing and promoting Andong as city of history & culture. Managing and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fixing structure of city are also needed with above mentioned measure. In this research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is presented to establish historical identity with restoring historical frame and promote image of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reviewing systematic way of managing & promoting city of history & culture. Inten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community particapation are much important than applying systematic device through law to make a regional improvement through becoming city of history & culture

      • KCI등재

        무산소역치 측정을 위한 심박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성옥(Seong 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무산소역치를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 측정 방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바탕으로 무용수의 심박수를 이용한 무산소역치를 측정함으로써 무용수의 운동능력을 평가하고 무용 연습 기준의 설정 등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무용교육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피험자는 무용전공 여대생 8명이며, 트레드밀을 이용한 다단계 운동부하 검사 시 심박수, 산소 섭취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환기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심박수 및 환기변인을 통하여 심박수역치와 환기역치를 결정한 후, 두 역치 간에 4가지 측정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심박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둘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산소섭취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셋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05)넷째, 환기역치 및 심박수역치에서의 환기량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의수준 α=0. 05)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점증적 다단계 운동부하방법을 통하여 결정된 심박수역치는 무산소역치를 추정하는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goodness-of-fit of AT measurement with heart rate as a plan to measure AT easily, which has already been used variously, in technical and economical aspects. By measuring anaerobic threshold using dancer's heart rate with these verification, it may supply foundation of more scientific and reasonable dancing education such as estimation dancer's exercise ability and establishment of dancing practice standard. 8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dance were involved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heart rate, oxygen consumption,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ventilation were measured in graded exercise stress test with a treadmill. After determining heart rate threshold and ventilatory threshol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heart rate and respiratory gas, whether the two thresholds have differences in their four measured factors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heart rate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heart rate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oxygen consump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at the ventilatory threshold and the ventilation at the heart rate threshold. (Significance Level α=0. 05)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o use heart rate threshold determined by graded exercise test is regarded as a proper method to measure the anaerobic threshold.

      • KCI등재

        『易學啓蒙』을 통해 본 易의 ‘數’개념과 수비학(numerology)

        홍수빈(Hong, Soo-Bin)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역(易)’은 동아시아 전통의 과학사상과 서양의 그것을 비교하는 작업 속에서 흥미롭게 다루어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니덤(Joseph Needham)은 易의 ‘수’이해와 피타고라스학파의 수비학의 유사성을 지적하면서, 초기에는 서양과 비슷한 단계에 있었던 중국의 원형과학이 관료제라는 사회 문화적 특질로 인해 근대과학으로의 이행을 저지당했다고 여긴다. 이 글은 󰡔역학계몽󰡕에 나타난 ‘數’개념과 피타고라스학파의 ‘數’개념을 비교하는 작업을 통해, 위와 같은 니덤의 관점을 반성해보는 글이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우주가 수학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는 모든 현상 사물을 구성하는 본질적 원소, 즉 물리적 대상이라 여겼다. 「하도」와 「낙서」의 천지지수와 대연지수를 기본으로 전개되는 易의 수 개념은 우주의 요소들과 그것들의 자리, 작용·변화 과정을 그린다. 易과 피타고라스학파 두 체계에서 모두 ‘數’는 자연현상 및 사물들을 표현하고 있으며, 수리적 특성은 우주가 운행하는 원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그러나 피타고라스학파의 수비학은 수가 지니는 ‘영원불변함’이라는 가치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易의 數는 천지만물이 자연 그대로 변해가는 현상을 묘사하는 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피타고라스학파의 ‘수’ 개념은 ‘형상(form)’ 개념을 형성하여, 플라톤을 거치고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 과학의 전형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易의 ‘수’ 개념은 우주를 구성하는 개인으로서의 정당한 자리와 마땅한 행위라는 의리적 요소를 포함하게 되며, 이것은 주체 내면으로 눈을 돌리는 사유를 진행시켰다. 이를 통해 易의 자연과학적 요소가 의리적 요소에 의해 근대과학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손상당한 것이 아니라, 易의 ‘수’개념 자체에도 이미 의리를 추구하는 가치관이 내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원형과학이 다른 문화에 의해 속박된 것이 아니라, 동일하다고 여겨지는 두 원형과학 자체에도 이미 매우 다른 함의를 내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In some studies about Yi(易), it is stated that Yi(易) reveals scientific thought of Ancient China. Joseph Needham insists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a concept of number in Yi(易) and numerology of Pythagoreans. Then Needham insists that scientific thought of China had been comparable with that of Europe in an early stage, but it has been stagnant becau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 of bureaucracy. In both systems - Yi(易) and ‘numerology of Pythagoreans’, ‘Numeric’ reflects natural phenomenon, and reveals principle of the universe. But Pythagoreans' system regarded ‘numeric’ as primary essence of all things. In this system, ‘numeric’ stands for concept of ‘form’, which has been developed into modern science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law of nature, experimental attitude, and clarity of mathematical evidence. On the other hand, in system of Yi(易), ‘numeric’ focused on describing the changes of nature. It included concept of ‘ideal behavior’ as a part of the universe. Through this comparison, it would be found that scientific thought of Yi(易) wasn't damaged by cultural character, but already implied the character in its system.

      • KCI등재

        16세기 삼남의 虎豹皮 除役과 防納의 위상

        김동진(Kim, Dong Jin) 역사문화학회 201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6 No.2

        본고는 실록과 문집자료, 『묵재일기』에 나타난 제역과 방납의 시행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16세기 삼남에서 시행된 제역과 방납의 역사적 위상을 확인하고, 그 실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의 공납제 운영에서 제역과 방납은 제역 민결(제역호) → (양호) → 담당 색리 및 수령 → 사주인(방납인) → 경각사와 같은 흐름에 놓여 있어 제역과 방납은 일련의 공물 수취 과정에서 각각 위상을 달리하였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에서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였고, 제역과 방납은 대납제에 기반을 두어 민호와 군현과 경각사 사이에서 톱니바퀴처럼 서로 연결되었다. 연대기와 각종 문집의 기록에 나타난 16세기 중엽 제역과 방납의 실상은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호표피의 제역에 대한 기록에 잘 부합 한다. 표피제역은 전결을 기준으로 시행되었고, 국역의 면제를 조건으로 값을 내는 행위였다. 除役戶는 養戶에게 값을 납부하고, 양호는 여러 제역호에게 값을 거두어 고가의 호피와 표피 등을 사들여 수령에게 혹은 수령을 대신해 중앙의 수납기관에 상납하였다. 그리고 방납의 시행과정에서 제역과 양호는 짝을 이루어 시행되었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 지역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고 있었다. 국법으로 엄격히 금지된 방납과 달리 제역은 수령권의 사적 자치가 이루어지던 영역이었으며, 17세기 대동법의 시행으로 수령의 자치권이 크게 제한되고 재정적 측면의 중앙집권화가 더욱 심화하였다.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phase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performed in Samnam Region in 16th century by analyzing execution aspects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appearing in true records, materials of collections of works, Mukjae-ilgi and to explore the real state of affairs. Following are the results summarized. In operation of tributary systemin Joseo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were in a flow like Jeyeok Mingyeol (Jeyeokho) (Yangho) Saekri and Suryeong in charge Sajuin (Bangnapin) Gyeonggaksa. In 16th century, in three provinces of the lower half of the peninsula, most gun hyeon executed exemption from service, and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were connected between minho, gun hyeon and gyeonggaksa based on payment by proxy system. Appearing in records from chronicles and various collections of works, the realty i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copes well with the records of tiger-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 shown in Mukjae-ilgi. 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with the criterion of an arbitrary decision was executed, and it was executed as a behavior of paying the value on the condition of exemption from national service. Jeyeokho paid the value to Yangho, and Yangho collected the value from various Jeyeokho and purchased high priced tiger and leopard skins and delivered them to a local governor or to a receiver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proxy tax payment, jeyeok and yangho were conducted as a pair. Reaching 16th century, most gun hyeon in Samnam region performed exemption from service. Different from proxy tax payment which was firmly prohibited under the national law, exemption from service that was self-governed in a boundary of Suryeong jurisdiction, and along with 17th century Daedongbeop enforcement, Suryeong self-government was greatly limited and centralization in power in terms of financial aspects was deepened the more.

      • KCI등재

        역사문화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 연구

        임준철(Junchul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9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 사업에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별 지자체들이 권역 내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브랜딩 및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역사문화 소재는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가치와 연동하면서, 일반인들이 생활문화 속에서 쉽게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자체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차별적인 지역 문화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인 소재임에 틀림없다. 현재 개별 지자체들이 버링고 있는 역사문화소재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 은 권역 내 문화자원을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 콘텐츠로 구상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역사문화 소재의 경우, 특정 지자체에 독점적으로 귀속된다기 보다는 다양한 지자체가 활영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며, 이에 개별 지자체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다루는 양상이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공재 성격을 가지는 역사문화 소재를 특정 지자체가 독점하려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지역 간 치열한 소유 경쟁을 벌이는 모습마저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역사문화 소재를 다루는 관점 및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며, 현재 시점에서 지자체 간 상생발전의 의미를 재정위하고, 그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 또한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시대 가치를 담은 미디어로서 역사문화 소재가 지니는 핵심 테마와 콘텐츠를 복수의 지자체들이 공유하고, 이를 차별적으로 개별 도시마케팅에 활용하는 지자체 간 유기적인 공동체 운영모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지자체들이 역사문화 소재 핵심 테마를 공유하면서 유기적으로 연합할 수 있도록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의 개념을 독일 테마가도 및 메르헨스트라세 사례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국내 지자체 및 미디어 환경에 맞게 수용하면서 역사문화 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기로 하겠다. As public interes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and developing projects using local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s growing,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branding and marketing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ir region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 material that ordinary people can easily relate to in life and culture while linking with the values that dominate our daily lif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for local governments, it is undoubtedly an attractive material in that it can solidify their identity and elicit the sense of beloning of community members. The cultural content developing project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s to shape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into contents as a tool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thereby creating a business model that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in the case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historical fact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can utilize it rather than being exclusively attribu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it is true that the handling of them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trying to monopoliz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good, fierce competition for ownership of one material is even seen between region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ealing with the exist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mutually beneficial developmen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organic community operation model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local governments share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s media containing the values of the times, and use them for individual city marketing differently. The concept of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model was derived from the German case so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organically unite while sharing the core them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t could show operating model of K-style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

      • KCI등재

        지역간 철도역의 열차운행체계 연구

        이진선,김경태,박범환 대한교통학회 2007 大韓交通學會誌 Vol.25 No.5

        지역간 철도역을 운행하는 열차운영계획 또는 열차 정차횟수에 대한 논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까지 철도운영회사는 지역의 민원, 통행패턴, 현재까지의 운행실적 등을 근거로 하여 필요할 때마다 열차운행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의 추가역 설치 또는 정차횟수 증대 요구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 정차횟수 선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정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수송수요를 근거로 하여 예정된 정차역을 대상으로 적정 정차횟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차의 문제는 수송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송수요는 여러 독립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역별 이용자수는 해당역의 정차빈도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역 통과에 따른 통행시간 절감으로 인해서 타 교통수단에서 전환되는 수요와 역 통과에 따른 해당역의 이용자수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정차역 선정은 먼저 전체적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예측된 수송수요를 최대한 수용하는 방향으로 정차역을 설정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역별 정차횟수를 기준으로 적정 열차운행계획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운영자의 관점에서 수송수요를 최대화하는 전략 이외에도 운행비용을 고려하여 수익을 최대화하는 전략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ail service patterns by train class. The emphasis in intercity rail planning is to more efficiently use of existing station facilities. Rail transit operations are affected by the system layout and ridership patterns and by work rules. Operations are also influenced by past practices and the institutional setting. Main factors to decide train service patterns are the locati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land use and travel demand of the station. In this context, the travel demand of intercity rail station is of crucial significance. Tests on a KTX case shows that train service frequency can be efficiently decreased in weekday to transport the same passenger demand. The work has shown many subjects that need further research includ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train frequency. This study serves the railroad authorities in planning and determining business strategy in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 of regional rail transport.

      • KCI등재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 확보-⌈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조병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 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 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 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 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 (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 (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 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 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 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소나 말 따위 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 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 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 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 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 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 (闕額: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

      • 공간스토리텔링과 인문건축 : 서울역 북부역세권 스토리텔링 작업을 중심으로

        김세익(Kim Seilk),최혜실(Choi HyeSil)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근대 이후 급속도로 불어 닥친 사회변화 속에서 서울은 급격한 도시공간구조의 통합과 팽창 변화를 겪어왔다. 서울의 관문으로 기능한 서울역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숱한 증축과 개축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서울역의 증·개축은 수도 서울로 유입된 유동인구가 최초로 맞닥뜨리는'서울의 얼굴'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단지 기능적 필요성과 경제논리를 우선하여 이뤄졌다. 때문에 연담화가 이루어진 거대한 매스들은 구 서울역사가 지니는 역사성·장소성과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지니지 못한'무가치의 정체성'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레일은 지난 2009년 4월 이후로 서울역 북부의 선로부지를 활용한'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향후 추진예정인'서울역 남부역세권 개발사업'과 함께 기존 서울역 공간은 남-북으로 확장하는 사업의 일부로서 향후 서울역의 정체성을 재규정할 대규모의 사업이자 서울역 공간을 중심으로 한 도시 구조적 맥락을 일신할 역사(役事)다. 이 시점에서 본고는 기능성과 경제성의 논리에 경도되기 쉬운 건축적 맥락의 사각(死角)을 채울 수 있는 서사적 방법론의 개발에 대하여 실제 수행된 연구용역 작업을 바탕으로 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코레일과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발주한'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스토리텔링 개발연구' 용역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배경이자 역을 오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얽혀있는 서울역 공간(Space)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스토리텔링의 개발에서는 대상지가 지니고 있는'장소의 혼' 개념이 주요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장소의 혼' 개념을 토대로 창조된 장소(Place)는 지속가능한 향유가치를 지녀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서울역의 과거·현재·미래적 가치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단지 전체의'중심서사'를 창출하는 과정을 전개하는 한편 도출된'중심서사'를 세부 공간에 적합하게 적용시키는'보조서사'로서의 세부 공간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After modern times in raging social changes at speed Seoul has been experiencing rapid integration expansion and alter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Seoul Station functioned as the gateway of Seoul also went through number of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process in this flow til now. However this process didn't properly reflect the value as the'Face of Seoul' which floating population entering capital of Korea first encounters and has done only giving priority to functional necessity and economical logic. On account of this giant masses in conurbation are existing in'identity of worthlessness' keeping no links between historicity and placeness which Old Seoul Station bears, Under the circumstances Korail is promoting'The Nor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using track site of Seoul Station's Northern Area since April 2009. This project is as part of business extending the existing Seoul Station's space to north and south with'The Sou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scheduled to be carried forward it is a large-scale project which will redetermine Seoul Station's identity henceforward and also a construction which will renew urban structural context focused on Seoul Station's space. At this point this study tried to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methodology able to fill the blind spot of architectural context which easily devotes at logic of functionality and economics based on actually fulfilled research service. This study is described based on'Research on Storytelling Development of the Nor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service ordered from Korail and Samoo Architects & Engineers. Considering the quality of Seoul Station's Space as the main background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involved in numerous people's stories passing the station the'genius loci' concept that site carries is needed to be used leadingly in storytelling development of Seoul Station Northern Area Development Project. Also the created Place based on'genius loci' concept must have sustainable enjoyable val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the process creating'main narrative' of the whole complex able to organically connect of Seoul Station's past present and future value at the same time proposed the developing process of detail-space storytelling as'adjuvant narrative' which suitably applies deducted'main narrative' in detail-space.

      • KCI등재

        지하철역의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과 역명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지하철 1호선을 중심으로 -

        오성진,김태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local image in subway canopies focused on subway line No.1 Daejeon City in Korea by analysing subway canopy design and emotional response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22 subway canopies of Daejeon City, and then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four factors of forms,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s in design.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e needs for canopy design are suggested and the sensitivity for canopy design related to local image is relatively high. The emotional response is higher to students and ordinary persons in natural geographical language such as 'Daejeon'(related to field), 'Gapcheon'(related to stream), 'Guam' (related to rock) subway, while higher in the busy subway stations to experts who are intensively interested in the canopy design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본 연구는 대전 지하철 1호선 22개 지하철역 출입구 캐노피를 대상으로 역명의 유래와 입지특성, 기능 및 동선, 외관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디자인의 인식 및 감성반영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모색한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관청, 교통 및 유통의 중심지에 분포하고 있는 대전 지하철의 역명은 월드컵경기장역․현충원역․정부청사역․시청역 및 중구청역의 5개역을 제외하고는 17개역이 지명을 역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주변 입지와 관련하여 ‘지족역’과 ‘월평역’이 비교적 양호한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의 역에서 폭원이 좁고, 장애자와 자전거 시설이 미비하였다. 출입구 캐노피의 외관 디자인은 지명유래를 고려한 지역적 특성의 반영보다는 표준형의 보급에 머무르면서, 각진 형태에서 아치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재료는 철골조 프레임에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와 강화유리, 색채는 청록색과 회색조이다. 지역의 지명유래가 비교적 명확한 10개의 지하철역 캐노피 디자인에 대한 설문 결과, 입지적 여건에 따른 진출입시의 접근성이라든가 인지 및 식별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나, 외관 및 형태상으로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현재의 캐노피 디자인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은 지명에 대한 설문자의 감성반영정도를 통하여 파악하였는데, ‘대전역’ 57.5%, ‘갑천역’ 50%, ‘구암역’ 49.5% 등 지연지명에서 유래된 곳이 절반을 상회하는 분포로 높게 나타나고, 이에 비하여 인공지명에서 유래된 곳은 비교적 낮았다. 이와 같이 현황조사에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준 지하철역 외관 디자인이 지명유래의 예시와 함께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물어보는 설문조사에서는 감성반영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지역 이미지를 반영한 새로운 개념의 캐노피 디자인 제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 확보 -『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조병로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To specifically explore the operation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 Gyeongsang-do,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and the problem of ensuring a post horse, this article analyzed 『Record of Seongdodo Station』 and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 or 『Case of Seonghyeon Station(省峴驛事例)』 and 『Section of Seonghyeondo janggyejiksa 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 Seonghyeondo means a station do system to control a bundle of many stations, covering the stations belonging to Jeonju-do (金州道) and Gyeongju-do(慶州道) in Goryeo Dynasty, where 13 stations such as Nueuli Station(無乙伊驛), Youngan Station(永安驛), Yongga Station(用家驛) located. Consolidated by new establishment and transfer of stations in Chosun Dynasty, they were reorganized as 19-sub-stations like Seonghyeon Station and Beomeo Station. The station site of Seonghyeon was built on a building with 114 kans including 16 kans of Asa(衙舍), 10 kans of Suweoljeong(受月亭), 6 kans of Hyeonsanru(峴山樓), 3 kans of Hyeongjiango(形止案庫), 14 kans of warehouse, 6 kans of Changsacheong(倉舍廳), 10 kans of Icheong(吏廳), 5 kans of Yangmacheong(養馬廳), 3 kans of warehouse(庫舍), 8 kans of public kitchen(官廚), 4 kans of warehouse(庫舍), 6 kans of civil warehouse(民庫), 4 kans of guest house(接賓館), 6 kans of grain lease warehouse(社倉庫舍), 4 kans of grain lease place(社倉舍), 4 kans of justice building(刑吏廳), 5 kans of stable(喂養間) . The post of Seonghyeon Station is a general name of station workers taking charge of some station work and domiciled at the station, and according to 『Record of Seonghyeondo Station』, 15 station officials(驛吏 : 時仕), 10 petty officials(知印), 10 duty officers(使令), 12 male public servants(官奴) 12, 9 female public servants(官婢) were dislocated. The post horse is a transportation means to smoothing perform the functions of a station such as the transmission of a royal order and a public document, and transport of an envoy and a load on the packsaddle (cargo carried on cattle or horse). The stations belonging to Seonghyeondo retained 146 horses divided to larger horses(大馬). middle horses(中馬). and packhorses(卜馬), but at the 2nd year of King Sunjo(1802) they decreased even by 100 horse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post horse was not properly satisfied due to Namgi(濫騎) using a post horse without taking a proper procedure, the steep rise of the post horse, and the private sale of horse field and the pillage of men of power. According to 『Section of Seonghyeondojeoliyeokgaijeong』, it enumerated the evils of the arbitrary Namgi of Gyeongjuin(京主人) coming and going to Seoul to deliver public documents and Ibyeongbang(吏兵房)’s Ipmajeon(立馬錢). To reform these horse evils(馬弊), 1) if the horse price lacked a fixed price((闕額), and it was decided again(改立), they were purchased by 6 horses with Gyeolbokjeon (結復錢-tax collected by Bokhogyeol), in which the horse price was paid for a large horse (大馬) by 350 nyangs, a mid horse(中馬) by 290 nyangs. 2) The purchase and delivery of the post horse was by Ganyangsaek(看養色) or footman(馬夫) in place of conventional Macha(馬差). 3) Instead of collection Ibyeongbangjeongjeon of Seonghyeongbon Station from horse merchants(馬商), action of six paragraphs was taken by paying that from Gyeolbujeon(結復錢), and covering that to entertaining envoys by change of local officials.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喂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 소나 말 따위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闕額 :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전(結復錢-복호결에서 거둔 세금)으로써 6필씩 사되 말값은 대마(大馬)는 1필당 350냥, 중마(中馬)는 290냥으로 정하였다. 2) 역마의 구매, 납품은 종래의 마차(馬差) 대신에 간양색(看養色)이나 마부(馬夫)가 맡는다. 3) 省峴本驛의 吏兵房情錢을 馬商에게 징수하는 대신, 結復錢에서 지급하여 지방관 교체에 따른 延逢(사신접대) 비용에 충당한다 등 6개항의 조치를 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