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경(典經)』의 기사(記事)를 통해 살펴본 대순사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경』 속 인물을 중심으로

        박건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7 No.-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典經)을 중심으로 전경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대순사상적 의의와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경은 상제의 말씀에 대해서 그 신앙과 행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경의 말씀을 따른 종도의 기억을 통해 구성되었다. 즉, 전경은 상제의 종교적 행위와 가르침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으로 이해된다. 이는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 등 총 7편 17장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상제의 일생을 담은 행록과 교운 및 교법 그리고 예시 등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 행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편에서는 상제의 가르침과 신앙적 행위를 서술하며, 다양한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내용을 들면서, 대순사상의 요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소개가 각 편에서 나타남으로써, 전경의 말씀과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적 대순사상의 종교적 가치와 연계하여 전경에 소개된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순사상의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전경』 속 인물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대순사상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igur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ir contents.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is a record of the beliefs and deeds of Kang Jeungsan, composed through the memories of the followers of Kang Jeungsan who followed the words of The Canonical Scripture. In other words, The Canonical Scripture is understood as the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that contains the religious deeds and teachings of Kang Jeungsan. It is divided into seven parts and 17 chapters. Those seven parts, some of which contain more than one chapter, are as follows: Acts, Reordering Works, Progress of the Order, Dharma, Authority and Foreknowledge, Saving Lives,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particular, The Canonical Scripture records the deeds of historical figures from both China and Korea, and this prominently includes the life history of Kang Jeungsan, and this is an especially pronounced feature of the sections Acts, Progress of the Order,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addition, each chapter describes the teachings and faith-inspiring acts of Kang Jeungsan and presents the gist of the Daesoon Thought while referring to the lives and actions of various historical figures. In this paper, introductions to the figures that appear in each section are provided to help readers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major figures introduc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value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is, a contribution is mad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Daesoon Thought by specifically explor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figures who appear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is a surprisingly underdeveloped area of study in Daesoon Thought.

      • KCI등재

        영조대 전경문신(專經文臣)제도 연구 - 『전강등록(殿講謄錄)』의 내용을 중심으로 -

        이연진 교육사학회 2020 교육사학연구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governmental policy called “Jeongyung-Moonshin(專經文臣, Literati Officials who specialize in Five Classics,五經)”. The main text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Jeon’gang-dengrok』(殿講謄錄, The Record of Oral Tests on Confucian Classsics) during the Yeong-jo(英祖) Regime(1724〜1776). The policy dictated the literati officials under the age of 37. They were excluded from the list at the age of 41 years old. The selected had to take oral tests on Five Classics(五經) every first month of the four seasons each year.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e test scores, those who achieved high scores were rewarded with horse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attend the examination were questioned by judicial authorities but even this did not entail any further punitive measures on their assessment.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policy encouraging Literati Officials to master confucian books. The main purpose of this policy was for cultivating confucian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literati official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문신권학제도 중 하나였던 전경문신(專經文臣)제도의 원칙과 그 실제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당시 전경문신제도가 어떠한 배경 하에 법제화 되었는지, 그리고 그 규정들이 실제로 시행된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전경문신제도의 특징과 문신권학책으로서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영조대 전경문신제도는 37세 이하의 문관을 선발하고 41세가 되면 시험에서 면제시킨 규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젊은 문관의 오경 학습을 장려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오경을 학습하게 한 것은 과거를 합격한 문관들에게 지속적으로 유학적 교양을 쌓기를 바랐기 때문이며, 오경의 학습은 넓게 보면, 앞으로 문관들이 담당하게 될 직무능력의 기본 소양을 배양하는 일이기도 했다. 오경의 전반적인 학습을 위해, 사계절의 첫 달인, 1, 4, 7, 10월에 오경을 돌아가면서 시험 보도록 하여 특정 책에 편중되지 않고 오경을 두루 익히도록 했다. 암송 위주 보다는 글의 뜻을 깊이 있게 학습하도록 임강으로 시험 보았다. 또한 학습한 경전을 토대로, 토론을 장려하기 위해 주강 등의 경연에 참여하도록 했다. 학업 권장의 차원에서 시험결과에 따라 포상으로 말을 주기도 하고 처벌로 추고(推考)하기도 하였는데, 인사고과에는 그 결과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않는 대신, 시험에서 면제받을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구체화하고, 전강에 참석하지 않은 자에 대한 벌은 가중하였다. 본 연구는 영조대 전경문신제도를 살펴봄으로써 강경 또는 제술 출신 배경에 상관없이 젊은 문관의 유학적 교양 및 직무능력의 소양을 배양하기 위해 운영한 조선시대 문신 권학정책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전경문신제도의 의의와 그 위상은 전경문신 출신자들이 담당했던 관직 등의 진출 양상을 살펴보는 추후 연구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 KCI등재

        신동엽 시에 나타난 전경인(全耕人)의 지각과 기억

        이은홍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memory of Jeongyungin living in Chasuseong-Segye based on Bergson's duration theory. If the helpless human being cut off from the past and the future and trapped in the meaningless present is Maengmok-Gineungja, an active human being who calls the historical past that meets the will of the future, constructs perception based on this, and discovers new possibilities in the present is a Jeongyungin. In this way, by constructing the present percep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irculation and duration, Jeongyungin create an opportunity for heterogeneous creation that will change the time of the enormous civilization. Jeongyungin constructs active perception by projecting past memories onto present perception in a oriented relationship rather than perceiving objects in a mechanical or habitual way. To this end, the past must be searched, and Jeongyungin seeks similar or contiguous memories from various levels and angles based on careful observation of the present. Shin Dong-yeop's method of perception in Chasuseong-Segye presupposes our potential with the power to change the time of a huge civilization. 이 연구는 신동엽의 시를 대상으로 차수성 세계에 사는 전경인의 지각과 기억의 작용을 베르그손의 지속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식물로 비유된 문명의 발달사는 청사진을 제공하지만,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차수성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신동엽이 제시하는 전경인적 지각과 기억의 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미래와 단절된 채 무의미한 현재에 갇힌 무력한 인간이 맹목기능자라면, 미래의 의지에 부합하는 역사적 과거를 호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각을 구성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현재에서 발견하는 능동적 인간은 전경인이다. 이처럼 지속을 지향하는 주체의 현재 지각에는 시간 의식이 투영되기 때문에, 전경인의 시간 의식과 지각의 방법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전경인은 순환과 지속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현재의 지각을 구성함으로써 거대한 문명의 시간을 변화시킬 이질적인 생성의 계기를 만든다. 식물은 종으로써 정해진 시간을 살지만, 자신이 놓인 환경에 대응하여 개체로서 다양한 개화를 실현하며, 식물의 뿌리, 가지, 잎들은 차례로 생겨나지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식물처럼 ‘지속하는 시간 의식’을 바탕으로 ‘개체’인 전경인은 창조적으로 순환하는 문명의 시간을 만들어 가며, ‘순환하는 시간 의식’을 바탕으로 ‘역사적 인간’인 전경인은 역동적으로 지속하는 시간을 만들어 간다. 이러한 시간 의식을 바탕으로 전경인은 기계화된 산업 사회를 지각한다. 전경인은 기계적으로 대상을 지각하기보다는 지향적인 관계 속에서 과거 기억을 현재의 지각에 투사함으로써 능동적인 지각을 구성한다. 또한 전경인은 습관화된 방식으로 세계를 지각하기보다는 과거를 적극적으로 탐색하여 현재를 강렬하고 섬세하게 지각하는 주의 깊은 식별을 한다. 마지막으로 전경인은 현재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바탕으로 이와 유사하거나 인접한 기억을 다양한 층위와 각도에서 모색한다. 신동엽이 보여준 차수성 세계에서의 지각 방법에는 문명의 시간을 변화시켜 나갈 우리의 잠재력이 전제되어 있다.

      • KCI등재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 연구

        이연진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4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of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policy during Jeong-jo (正祖)'s reg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is policy. Jeong-jo tried to actively operate the policy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 Yeong-jo (英祖)’s reg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are as follows. It was conducted periodically four times a year, which was for enhancing education regarding the Seven Military Classics(武經七書) for military officials. The procedures were also done in accordance with the way Yeong-jo has done and were listed in the Code of Law,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1785, the ninth year of Jeong-jo’s reign. Jeong-jo actively managed Jeon’gang (殿講) performed directly by the king, all the time. He strictly managed the test results for ensuring that the policy was operated effectively. Those who failed the test were retested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learning. Punishment was imposed according to the grades. Meanwhile, promotion benefits were given if the performers were outstanding. The expansion of the king's discretion w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operatio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military officials during Jeong-jo's regime. 본 연구는 정조 대 무신재교육 양상을 살펴보는 일환으로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정조 대 전경무신 제도의 운영 특징은 기본적으로 영조 대에 마련된 관련 절목의 시행방침을 준수하면서 정조 나름의 재량이 발휘된 점이다. 예컨대 매년 분기별 4차례 주기적으로 전경무신을 시험한 기본원칙은 준수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직접 시험을 주관하는 친림전강의 방식으로 주기적인 시행 원칙을 고수하였다. 특정한 사유가 있어 시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다음 차례에 이전에 실시하지 못한 전강까지 별도로 시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영조 대 전경무신 관련 절목의 주요 원칙은 정조 대 『대전통편』의 전경전강 조항으로 법규화되었다. 한편 정조의 재량권이 가장 두드러진 사안은 전경무신들의 성적 처리방식이었다. 정조는 전경무신의 성적에 따라 포상과 처벌방식을 직접 관리하였다. 직접 무신들의 무경 능력을 평가하여 우수한 무신들을 발탁하는 한편 무신 전반의 무경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처벌을 엄격히 하였다.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무신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해당 무경내용을 능숙히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입직시키는 것이었다. 영조 대는 불통자를 대개 의금부에서 관리하여 금추(禁推)하는 것으로 그쳤으나 정조는 병조의 책임 하에 해당자를 소속관아에 숙직시키고 재시험을 시행하여 그 학습 정도를 확인토록 했다. 재시험 성적 정도에 따라 수속(收贖) 등의 실질적인 처벌조치가 내려졌다. 한편 성적우등자가 특출할 경우 참하관은 참상관으로 승륙(陞六)하는 등의 인사상 혜택이 바로 주어졌다. 이러한 정조의 재량권 확대는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한 결과였다.

      • KCI등재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계측한 정상 한국 성인에서의 대퇴 경부 전경사, 비구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

        김범수(Bum-Soo Kim),김성태(Seong-Tae Kim),위승명(Seung Myung Wi),최원락(Won Rak Choi),김동석(Dong Su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목적: 정상 한국 성인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으로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의 값을 구한 뒤 정상 범위와 남녀 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 및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정상 성인 중 21세에서 49세 범위 내의 남자 118명과 여자 114명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좌우측의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를 측정하고, 합산 전경사를 계산하여 각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남녀 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가 있는지와 비구 전경사와 대퇴 경부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비구의 전경사는 남자에서 우측 15.3±6.1도, 좌측 15.3±6.6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5.3±7.6도, 좌측 1.5±9.2도였으며 여자에서 비구 전경사는 우측 16.8±5.4도, 좌측 16.3±5.8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10.3±8.2도, 좌측 7.9±8.2도였다. 남녀 간의 차이분석 시 좌우측 모두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좌우측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좌측과 우측을 비교하였을 때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측정법이나 Weiner 등의 측정법 모두 좌우측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남녀 간의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퇴 경부 전경사는 차이가 있었다. 개인별로는 좌우측 간에 대퇴 경부 전경사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Purpose: The authors measured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and the sum of the two values in normal Korean people by computed tomography. The authors examined the normal range of the value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ex and sid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ar antever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measured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in 118 normal Korean adult males and 114 females aged between 21 and 49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by computed tomography and calculated the sum of anteversion. The authors analyz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vestigated the sex differences and side differenc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etabular anteversion and femoral neck anteversion statistically. Results: The anteversion of the acetabulum in males was 15.3°±6.1° on the right side and 15.3°±6.6° on the left side.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in males was 5.3°±7.6° on the right side and 1.5°±9.2° on the left side according to the Hernandez et al. method. The anteversion of acetabulum in females was 16.8°±5.4° on the right side and 16.3°±5.8° on the left side. The anteversion of femoral neck in females was 10.3°±8.2° on the right side and 7.9°±8.2° on the left side according to Hernandez et al. method. No difference in acetabular antevers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No difference of acetabular anteversion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was no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measured by either the Hernandez et al. method or Weiner et al. method. The Pearson coefficient reveal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and acetabular anteversion. Conclusion: No difference in the acetabular anteversion was observe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No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 KCI우수등재

        전경성과 전경 정보를 통해 본 한국어 조사 부류의 양립 가능성

        고동현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5

        본고는 조사 부류의 양립 가능성 및 불가능성이 조사가 지니는 의미들 사이의전경성 차이와 연관이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전경/배경은 어느 요소에 그 구분이 실현되는가에 따라 관계적 전경/배경과 내부적 전경/배경이 나뉜다. 또한 외적인 현상인 전경/배경 정보와 내적인 속성인 전경성은 별개의 개념이다. 이러한 전경성은 찬성/반대 검증법을 통해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보조사는 보조사 부류의 특징적인 의미인 대안집합적 의미와, 격조사의 의미와 동일한 비대안집합적 의미를 동시에 나타낸다. 각 보조사마다 두 의미 중 어느 의미에 내부적 전경성을 더 크게 부여하는지가 다르며, 이러한 차이는 격조사와의 양립 가능성과 연관이 깊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을 문법격 조사 ‘가, 를’, 그리고 보조사 ‘는, 도, 만, 까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영조대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친림전강(親臨殿講) 연구

        이연진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3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governmental policy called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which is carried out by King Yeong-jo(英祖). The main text is based on Jeon’gang-dengrok(殿講謄錄) during King Yeong-jo(英祖) Regim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scuss the meaning of the policy in what background it was activated.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had to take oral tests regarding the Seven Military Classics(武經七書) every four seasons each year. If they achieve high scores, they could be rewarded with a horse or promoti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ailed to the test, they could be punished even to losing their post.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such as a partisan fight, King Yeong-jo strengthened the royal authority and actively sought education measures for military officials. The king utilized Jeon’gang(殿講) carried out by king in which he could examine their knowledge and insight by face-to-face examination. Jeon’gang which took place every four time each year was the right method for the king to recognize their talent and make them study periodically. Such a in-service education for military official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king's academic excellence and academic maturity of Joseon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영조대 현직무신에게 무경학습을 장려한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친림전강(親臨殿講) 제도 규정과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법전규정과 영조대 실제 운영사항이 기재된 『전강등록(殿講謄錄)』을 중심으로 세부운영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 특징을 파악하고 영조대 전경무신 제도가 어떠한 배경에서 활성화되었는지 그 의미를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전경무신은 매년 분기별 4차례, 무경칠서(武經七書)에 대한 이해능력을 평가받아야 했다. 국왕은 친림전강의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경무신들과 대면하여 무경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묻고 자질이 있는 무신들을 계속해서 양성해갔다. 우등자에게는 누적성적에 따라 포상하였다. 연속 세 차례 우등자에게는 가자(加資)나 승륙(陞六)과 같은 인사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포상하였다. 연속적으로 우등한 경우가 아닌 경우, 숙마(熟馬) 등을 하사하는 방식으로 누적성적에 따라 차등 시상하여 학습을 장려하였다. 시험에 통과하지 못하면, 재시험을 시행하거나 정도에 따라 파직하였다. 당파 간의 싸움에서 왕위에 어렵게 즉위한 영조는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료재교육 및 관리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영조는 직접 대면하여 관료들의 견식(見識)을 알아볼 수 있는 친림전강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친림전강은 관료를 계속 교육하고 몸소 군사(君師)로서의 모범을 보일 수 있는 최적의 방식이었고, 영조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영조대 각종 전강의 재정비 및 절목(節目)의 반포로 이어졌다. 무신재교육을 위해 영조는 전경무신 제도를 활성화하였다. 재능있는 젊은 무신을 선발하여 주기적인 평가를 통해 무경지식을 계속 배양해가는 시스템을 체계화하였다. 이러한 인재양성 시스템은 국왕의 학문적 탁월성과 조선사회의 학문적 성숙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 KCI등재

        전경․배경 원리와 구조적 도상성

        최지영 한국독어학회 2010 독어학 Vol.22 No.-

        Die Simultanität unserer Wahrnehmung mit der Überlagerung durch verschiedenste Informationen erfordert eine Unterscheidung dieser Informationen nach ihrer Relevanz für den Wahrnehmenden. Im Prozess der Verarbeitung dieser Informationen wird differenziert nach zentraler Information, der Figur, nebensächlicher Information und dem Grund. Es wird angenommen, dass die Reihenfolge ,Figur – Grund‘ in der sprachlichen Realisierung die Dominanz der Figur über den Grund spiegelt und somit die ikonische Realisierung des Figur․Grund Prinzips darstellt. Durch die Analyse der Reiseführer-Texte, die im Rahmen dieser Arbeit vorgenommen wurde, zeigte sich jedoch, dass die lineare Ikonizität ,Figur–Grund‘ keineswegs sprachuniversell ist, denn in den koreanischen Texten ist die umgekehrte Reihenfolge ,Grund–Figur‘ definitiv dominant. Dies korreliert mit den Ergebnissen der sozialpsychologischen Experimenten von Masuda-Nisbett (2001): Sie haben in einer Serie von Experimente mit amerikanischen und japanischen Versuchspersonen herausgefunden, dass die wesentlichen Prozesse des Wahrnehmens und Denkens sich zwischen Kulturen unterscheiden. So denken Asiaten ganzheitlicher als Amerikaner und beachten in weitaus höheren Maße den Kontext, d.h. sie seien ,field-dependent‘, während Amerikaner offenbar zum analyitischen, ,field-independenten‘ Denken neigen. Dieser Unterschied entspricht den Varianten der linearen Ikonizität in englischen und koreanischen Texten. Auf der anderen Seite stellte sich heraus, dass die sprachspezifischen Varianten der Reihenfolge mit den strukturellen Eigenschaften der jeweiligen Sprache eng zusammenhängen. So sind die Nominalphrasen des Deutschen, die die Figur-Grund Elementen enthalten, stets linksperipher und die Satzstruktur Subjekt-prominent, während im Koreanischen die Nominalphrase ausnahmslos rechtsperipher und die Satzstruktur vorwiegend Topik-prominent ist. Zusammenfassend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ie Ikonizität des Figur․Grund Prinzips eher von struktureller Natur ist und die Linearität als ein Epiphänomen zu betrachten ist.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인지 원리인 전경․배경 원리가 언어적으로 표상되는 양상을 논의하려 하며, 특히 그 언어적 표상이 언어의 통사적 구조와 연관성을 갖고 있는가의 문제를 주된 관심사로 한다. 전경․배경 원리와 관련된인지언어학적 선행 연구는 주로 이를 선형적 혹은 순서적 도상성의 차원, 즉표면적 어순의 층위에서 논의해왔고, 전경 요소가 배경 요소에 선행하는 어순이 곧 언어 보편적으로 도상적인 실현 형태라고 간주한다. 그러나 서양인에게전형적인 분석적/독립적 사고와 동양인이 보이는 종합적/관계 중심적 인지 방식의 차이를 논하는 일련의 문화심리학적 실험 연구결과는 전경․배경 원리의 도상성이 언어문화권별로 상이한 양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논문의 목표는 일상 언어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상적 어순의언어별 변이 가능성을 언어 내적으로 검증하려함이며, 나아가 이와 같은 변이가능성이 해당 언어의 구조와 갖는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전경․배경 원리의 언어적 표상을 선형적 어순의 문제로 보았던 선행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어Masuda/Nisbett (2001)이 수행한 실험연구 결과를 소개하면서 선형적 도상성의 언어문화적 변이 가능성을 제기한다. 다음 3장은 여행안내서 텍스트에 나타난 전경․배경 원리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언어별로도상적인 어순을 가려본다. 또한 언어별로 전경․배경 요소가 실현되는 구조적 층위 및 층위별 분포율과 더불어 해당 층위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각 언어별 도상적 어순과 실현 층위의 구조 그리고 분포율사이의 연관성을 종합하여 전경․배경 원리의 도상적 어순이 그 어순을 도출해 내는 구조적 도상성의 문제임을 논의한다.

      • KCI등재

        신동엽의 라디오 대본과 괴테 ≪젊은 베르터의 고뇌≫-신동엽 연구(9)-

        김응교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4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how Goethe’s “Young Werther’s Anguish” was cited in a radio script written by poet Shin Dong-yeop. Through this study, Shin Dong-yeop’s thought of love and Goethe’s thought of love can be revealed. When Shin Dong-yeop calls it “one-sided love”, the love goes beyond just love between men and women. It seems like simpl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but it is love that burns the artistic soul (Opereta <Sakyamuni’s Stone Pagoda 석가탑>). It seems like a love between a woman who escaped from the palace and a young man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but the love is a love that dreams of a start(Epic <Geumgang River 금강>. Through the accidental meeting of male and female soldiers who fell behind in the modern war, Shin Dong-yeop also recreated the tragic love of overcoming the Cold War (A poetic drama <The Shade of Their Lips 그 잎술에 파인 그늘>). At the heart of it lies the “Jeon Kyung-in(전경인, 全耕人) love,” which loves the earth, poetry, and revolution. Beyond the polarized human being, he described humans who passed “one life that embodied all perception in one body as a whole” as the term “Jeon Kyung-in.” The unrequited love of the foreground will be the nature, revolution, and the total love loved by men and women beyond the polarized love. The total love is in line with Goethe’s “Young Werther’s anguish” and later with Goethe’s “Faust”. Shin Dong-yeop might have written a radio script about love, a superficial theme in “Young Werther’s anguish,” and a revolutionary individual trying to break down stereotypes at that time. In the work, Goethe wroted which the first is very noble and pire love, the second is revolutionary will, the third is the ecological community. Goethe’s love, revolutionary will, and ecological community are similar to the world of Shin Dong-yeop’s work. Goethe’s worldview and Shin Dong-yeop’s worldview are much alike. It is a meeting between two writers who have never met, two accidental and beautiful thinkers. 이 논문은 시인 신동엽이 쓴 라디오 대본에서 괴테가 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어떻게 인용되었는지 분석한 연구다. 이 연구를 통해 신동엽이 생각하는 사랑, 괴테가 생각하는 사랑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겠다. 신동엽이 ‘짝사랑’이라고 할 때 그 사랑은 단순히 남녀간의 사랑을 넘어선다. 단순한 남녀간의 사랑 같지만 그 사랑은 예술혼을 불태우는 사랑(오페레타 <석가탑>)이다. 궁을 탈출한 여인과 혁명에 가담한 청년의 사랑 같지만 그 사랑은 개벽을 꿈꾸는 사랑(서사시 ≪금강≫)이다. 현대 전쟁에서 낙오한 남녀 병사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신동엽은 냉전을 극복하는 비극적 사랑(시극 <그 입술이 파인 그늘>)을 재현하기도 했다. 그 핵심에 대지와 시와 혁명을 사랑하는 ‘전경인(全耕人)적인 사랑’이 자리한다. 극분업화된 인간을 넘어 “모든 인식을 전체적으로 한 몸에 구현한 하나의 생명”을 지난 인간을 그는 ‘전경인(全耕人)’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전경인이 하는 짝사랑은 극분업화된 사랑을 넘어서는 자연과 혁명과 남녀가 사랑하는 총체적인 사랑일 것이다. 그 총체적인 사랑은 괴테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 그리고 이후에 ≪파우스트≫까지 이어지는 괴테의 사랑과 통한다. ≪젊은 베르터의 고뇌≫에 나오는 표면적 주제인 사랑, 이면적 주제인 당시 고정관념을 부수려는 혁명적 개인의 모습을 신동엽은 라디오 대본으로 쓰지 않았을까. 괴테의 이 소설에는, 첫째 지고지순한 사랑, 둘째 혁명적 의지, 셋째 생태 공동체의 사유가 들어 있다. 사랑과 혁명의지와 생태 공동체를 작품화 한 괴테의 세계관은 신동엽의 작품 세계와 유사하다. 그것은 A에게서 B가 영향을 받았다는 진화론적인 관계가 아니라, 신동엽의 아잇적부터의 사유가 괴테의 사유와 비슷했기 때문일 것이다. 괴테의 세계관과 신동엽의 세계관은 많이 닮았다. 만난 적 없는 두 작가, 우연하고도 아름다운 두 사상가의 만남이다.

      • KCI등재

        《典经》所见风水文化论

        리우찐청(刘金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4 No.-

        대순진리회의 종교문화는 여러 전통문화를 흡수하였으며, 풍수문화의 수용과 변천은 그 중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전경』의 기록에는 풍수문화와 관련된 내용들이 많다. 전경의 풍수문화는 전통풍수학설에서 핵심(혹은 정수)만을 취하여 많은 독창적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전경』에 나타난 대순진리회의 교리를 통해 풍수문화를 이해하고자 함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경』에 나타난 풍수문화내용을 정리하고, 지기(地氣), 산세(山勢), 명당(明堂)의 세 분야에서 대순진리회의 풍수문화를 논의하고자 한다. 풍수문화적인 시각을 통해 『전경』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함으로써 더욱더 전경의 깊은 내용과 신성한 의미를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Among the various influences from other ancient cultures observable in Daesoon Jinrihoe, the reference to and the transformation of Feng-Shui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Canonical Scripture, Feng-Shui culture is mentioned frequently. Feng-Shui culture in The Canonical Scripture not only draws upon a great deal of traditional Feng-Shui Theory but also inserts many innovation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understanding of Feng-Shui culture through Daesoon Jinrihoe’s doctrine makes The Canonical Scripture unique. Based upon the conscientious recapitulation of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essay aims at dealing with the Feng-Shui Culture of Daesoon Jinrihoe in regards to three aspects: Terrestrial Energy, Mountain Shape and Luminous Courts (Mingta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found contents and sacred significance of The Canonical Scripture can naturally be attained from applying a Feng-Shui cultur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