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건축 중정(中庭)공간에 나타난 유형적 특성 연구

        허범팔,이정민,김선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5

        A courtyard, in modern architecture, is a part of exterior space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a courtyar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conventional architecture, an exterior space and an interior space were clearly divided, but a courtyard is an interface between the exterior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and it reflects the tendency of ex-typical expression and incorporation of two spaces in modern architectu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buildings with courtyards, including residential buildings, school buildings, office buildings, galleries, museums, a factory, a hospital, a shopping mall and a research center building, are investigated and the shap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courtyards are analyzed and compar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courtyards are divided into an exterior type, an interior type, space-connecting type, a labyrinthine type and an open type in terms of location, and are divided into a courtyard as a public place, a courtyard as a place with system and a courtyard as an interface between an exterior space and an interior space in terms of function. And in terms of shape, courtyards are divided into a square type, a circle type, a dot type, a bar type and a free type, and in terms of mode of openness, they are divided into a patio type and a garden type. The division of courtyard by structural features also shows that a courtyard has more functions than a garden, and it is an independent space where nature and modern ideas are incorporated into each other and it provides various meanings to a place it belongs to. In conclusion,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of help in understanding courtyards and their meanings to space design. 현대건축 형태에서 나타나는 중정(中庭)은 외부 공간으로서의 일부분을 이루어 왔으며 건축공간으로 둘러싸여 있는 중정의 공간구성은 건축공간 설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정의 형태는 과거 내·외부 공간이 서로 폐쇄적인 관계였던 것에서 탈피하여, 점차적으로 공간의 형태가 탈 정형적, 혹은 비경계적으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공간의 내·외부의 접합면이 개방된 형태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건축물에서 중정이 있는 작품 중 주거, 교육기관, 사무건물, 미술관, 박물관, 공장, 병원, 쇼핑센터, 연구소 등을 선정하여 중정의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들을 평면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정의 위치에 따라, 내부형, 외부형, 공간 연결형, 미로형, 개방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중정의 기능에 따라, 열려있는 공공장소로써의 중정, 체계를 갖춘 장소로써의 중정, 내․외부의 공간소통 장소로써의 중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정의 형태에 따라, ‘ㅁ’자형, ‘원’형, ‘점’형, ‘ㅡ’형, ‘자유’형 등으로 나타났으며, 개방유형에 따라서도 내부공간에 관입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외부공간에 마당의 형태로 존재하며 공간의 개방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중정의 유형적 특성 분류’를 통하여, 중정이 사용된 공간이 마당의 역할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자연의 법칙과 기존의 질서를 부여 받아 다양한 유형으로 건물 내·외부의 공간에 자리하며, 그 유형에 따라 공간적 의미가 다양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현대 공간에 나타나고 있는 중정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로 앞으로 중정 공간이 사용된 공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艮卦 六五 ‘中正’에 관한 韓·中학자의 해석

        이난숙 한국공자학회 2020 공자학 Vol.42 No.-

        This paper studies the methodology of ‘Central and Right’ and the sentences of Zhouyi. Zhouyi sentences have analysis of Central and Right in Gengua Six-five’s 「Xiangchuan」. Central and Right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location of the Yao(爻) and attainment of right. Central and Right consists of six-two and nine-five. However, in Gengua Six-five, there is an exception mentioned in Central and Right. In this regard, th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methods and perspectives by Korean and Chinese philosophers were examined. In Zhouyi, a total of 17 episodes from Central and Right and a total of 5 episodes from Central and Right are expressed with different meanings. Gengua Six-five is Central and not Right. However, there are two viewpoint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appropriateness in 「Xiangchuan」. Firstly, Chinese scholar Zhu Xi and Lai Zhi-de maintained that the Central and Right of Gengua Six-five‘s 「Xiangchuan」 has error. Among Korean scholars who maintained the same interpretation were Seo Yoo-shin, Jeong Yak-yong, Shim Dae-yoon and Park Mun-ho. Secondly, there are scholars who considered Central and Right of Gengua Six-five’s 「Xiangchuan」 as correct. Chinese scholars who supported this interpretation are Wang Bi, Cheng Yi and Yang Wan-li. Korean scholars include Seok Ji-hyung, Yoo Jeong-won, Seo Yu-shin and Oh chi-gi. Seo Yu-shin though suspected errors, nevertheless, he interpreted the meaning and reason of Zhouyi’s sentences. In summary, it is clear that Central and Right of Gengua Six-five’s 「Xiangchuan」 has error in terms of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erefore, Chinese and Korean scholars are exegetist who underlined errors. Particularly, Jeong Yak-yong argued that central and right should be a right and well-matched middle. Jeong Yak-yong’s viewpoint reflects his thorough academic tendencies in the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 Shim Dae-yoon followed Jeong Yak-yong's argument. On the other hand, Wang Bi and Yang Wan-li did not take interpretation methodology for consideration which is considered unique to analyze Zhouyi. Korean scholars such as Seok Ji-hyung, Seo Yu-shin and Oh chi-gi also did not follow interpretation methodology. Considering middle as right ,these Chinese and Korean scholars delivered a right and well-matched middle. They did not point out the inaccuracies and were influenced by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and reason as logic in the Zhouyi. This is wh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central and right of Gengua Six-five’s 「Xiangchuan」 is significant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Zhouyi interpretation and sentences. 본 연구는 주역 간괘(艮卦) 육오(六五) 「상전(象傳)」의 ‘중정(中正)’ 해석이 상(象)의 해석방법론으로 예외이지만, 이에 대한 한(韓)·중(中) 학자들의 상반된 견해가 있음을 해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주역에는 총 17회 ‘중정(中正)’과 총 5회의 ‘정중(正中)’이 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다. ‘중정’은 효위(爻位)와 득정(得正) 여부로 판단하고, 육이(六二)와 구오(九五)가 해당된다. 취상설(取象說), 당위설(當位說), 중위설(中位說)에 의하면 간괘 육오 「상전」에 있는 ‘중정’은 중정이 아닌 중이부정(中而不正)이 된다. 따라서 ‘중정’의 해석방법론으로 보아도 단 1회의 예외인 상사(象辭)의 해석 경향성을 한(韓)·중(中) 학자들의 주석을 중심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육오 「상전」의 ‘中正’ 해석에 관해서 한중(韓中) 학자들은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하였다. 첫째, ‘중정’은 역사(易詞) 해석의 오류라는 주장이다. 중국학자 가운데 주희(朱熹)와 래지덕(來知德)이 있으며, 한국학자는 서유신(徐有臣), 정약용(丁若鏞), 심대윤(沈大允), 박문호(朴文鎬)가 오류를 주장하였다. 둘째, ‘중정’에 대해 의리론으로 해석한 주장이 있다. 중국학자 가운데 왕필(王弼), 정이(程頤), 양만리(楊萬里)가 있으며, 한국학자는 석지형(石之珩), 유정원(柳正源), 서유신(徐有臣), 오치기(吳致箕) 등이 있다. 서유신은 오류 가능성을 의심하면서도 의리론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육오 상전의 중정이 오류라는 것은 상(象)의 해석방법론과 취상설을 고려한 해석이다. 특히 정약용은 ‘중정’이 아니라 ‘정중(正中)’이라고 수정하였는데, 이는 주역의 해석방법에 철저한 경향이 나타난다. 심대윤은 정약용의 주장을 그대로 따랐다. 반면 왕필, 정이, 양만리와 석지형, 서유신, 오치기 등은 상(象)의 해석방법론을 염두에 두지 않고, ‘중으로써 바르다’는 점만을 강조한 의리론을 폈다. 그 내용은 실제는 ‘정중(正中)’의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사변상점(辭變象占)의 해석요소의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과 취상설, 당위성, 중위설의 근거한 해석방법을 고려하면, 간괘 육오 상전의 ‘중정’해석은 오류이다. 그러므로 예외인 간괘 육오 「상전」의 ‘중정’에 관한 학자들의 주석 경향은 학자들의 역리관과 역사(易詞) 해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 동다송의 중정에 내재된한국다도정신 연구

        서유선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3

        This study is research on the dado spirit of Korean jungjeong in Dongdasong's fifteen-song. Jungjeong means harmony with balance, not less and nothing more. Analogical inspirit of impartiality is classified into fairness, cultivation, sentiments, and one's first intention. To achieve impartiality, cultivation is necessary, and it makes clearly desirable thing through sentiments. Even if it's all, it is very important to don't forget our original intention. Dongdasong's jungjeong contains many significations. These immanent spirits are arranged to Korean basic tea ceremony in this research. Tea culture involve much more than conduct thing. It is reason that many wise men always near the tea. Tea let us know one's right essence and it helps get close to Tao. 본 논문은 동다송의 15송에 있는 중정(中正)에 대하여 한국의 다도정신을 연구해 보았다. 중정(中正)은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으면서 균형(均衡)과 조화(調和)를 이루는 것이다. 중정에서 유추한 정신은 중정, 수양성, 정념, 초심으로 나누었다. 중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양성이 필요하며, 수양은 정념(正念)을 지켜나갈 때 온전한 수양이 이루어진다.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지더라도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자기발전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다송에서 중정은 많은 내재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재적 정신을 잘 살려 한국다도의 기본적 정신을 나름으로 정리해 보았다. 차 문화는 행위적인 것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행동과 정신적인 수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많은 현인들이 옛 부터 차를 가까이 한 이유이다. 중정(中正)에 내포된 다도정신은 차(茶)를 통해 자기의 본질을 바로 알고 나아가 도(道)에 가까이 다다설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 초등학교 내 중정공간의 형태와 유형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한 특성 분석

        성이용,윤희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quired into the type of lay-out of elementary school included courtyard through research compared with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Korea and though the comparison the type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of courtyard concepts and the characters of space orgarnization will be drawn. Secon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courtyard-typed elementary school will be chosen, and then some planning Data such as architecture scheme, design concepts and drawings will be collected. So the types of courtyard-typed elementary will be drawn. The results through the comparison research the courtyard-typed elementary school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area are as follows. The domestic elementary school was mainly planned as quadrangular-type in view of shape, planned as center three-sided type in view of layout and planned as high-rise section type and complex section type in view of elevation section. But the foreign cases of elementary school have various courtyard type.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교사 배치에 있어서 중정을 포함하고 있는 국외의 중정형 초등학교와의 비교를 통해 중정배치의 형태와 유형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관련문헌조사를 통해 중정의 개념과 변천과정 및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국내, 국외의 조사대상 중정형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각 건물의 건축개요, 설계개념, 각종 도면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중정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 및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 외 중정형 초등학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중정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형태는 사각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중정의 배치는 중심부 3면형 50%, 중심형 25%, 나머지 자유 분산형, 건물사이 손가락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정의 단면에 따른 분류는 고층 단면형과 복합단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필로티, 썬큰형이 하나씩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초등학교는 형태는 사각형, 배치는 중심부 3면형, 단면은 고층 단면형 및 복합 단면형으로 계획 되어지고 있으나 국외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중정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중정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이스 칸은 중정을 물리적으로 만나는 장소이자 마음이 만나는 장소로 인식하고 있다. 루이스칸의 건축에서 중정은 본질적인 구성요소로 Hurva Synagogue, Phillip exeter library, Dhaka Assembly 등 그의 주요한 건축에서 등장하는 공간이다. 중정은 주변의 작은 실들로 둘러싸여 있는 중심공간이다. 중정에 계획되어 있는 천장은 초월적인 공간분위기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칸의 건축에서 룸은 독립된 구조와 빛을 갖는 공간으로 정의되는데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중정을 룸의 구체적인 실체로써 초월적 경험이 가능한 공간이라는 점을 그의 건축적 사고와 작품을 통해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건축적 공간이 그의 건축적 개념과 연관되어 있음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urtyard planed in Louis Kahn’s works. Kahn recognizes courtyard as a physical meeting place and a meeting place of mind. In his architecture, the courtyard is an essential component, revealing in important architectural works such as the Hurva Synagogue, the Phillip exeter library, and the Dhaka Assembly. The court yard is a central space surrounded by small rooms around it. And the top light planned in the court yard is an important element to create a transcendental spatial atmosphere. In Khan 's architecture, room is defined as a space with an independent structure and light. In this sense, this paper research that the courtyard is a place as a reality of the room for transcendental experience. For this, this paper examine documents and records left by Kahn,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nd the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of Kahn 's thoughts and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of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in Kahn’s works by seeing that the architectural space in his architecture is related to his architectural concept.

      • KCI등재

        이서(李敍)『筆訣(필결)』의 학술사상적 이해와 王羲之(왕희지) 인식

        전상모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玉洞 李敍는 『筆訣』서예에서 正統性, 時中性, 中正性을 강조한다. 본고는 이러한 세 가지 관점에서 그의 서론을 학술·사상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 세 가지 방면에서의 왕희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옥동의 서예미학은 『주역』과 『중용』, 성리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자연의 생성과 변화와 발전의 규율이 내재된 서예의 구현이었다. 옥동이 『주역』과 관련하여 서예가 하도와 낙서에 근본 한다는 것과 글자의 형태는 팔괘와 홍범구주를 본 뜬 것이라고 하는 형이상학적 측면은, 經權論·中正論과 연계되어 있다.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中正性을 띤 서예였다. 중정은 不變과 變易의 통일이며 無過不及의 『중용』적 사유이다. 옥동은 이기의 관계를 음양의 측면에서 이가 발한 것은 正體에 근원하여 陽氣가 발한 것이라고 보고 정체에 근원한 서예를 正統性을 띤 것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形氣에 구속되는 것, 외부의 유혹에 끌리는 것, 습속에 얽매이는 것을 경계한다. 옥동은 서예의 본질을 易과 관련해서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이해한 것은 외양에만 치우쳤던 당시 서단에 대한 비평의식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으로, 隨勢處變하되 權而合宜한 서예를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相反相成하면서 균형을 찾아야 함을 강조하여 時中性을 강조한다. 요컨대 옥동의 서예미학은 자신의 시대에 맞는 서예세계의 구현이었다. 李敍(玉洞)在《筆訣》中强調著書法的正統性、適時性及中正性. 本文從上述三種觀點對其書法論的學術思想進行分析,竝對其對王羲之的認識進行了了解. 玉洞的書法美學以《周易》、《中庸》及性理學思想爲基礎,是內含自然的生成、變化和發展規律的書法表現. 玉洞關于《周易》"書法源自河圖洛書"以及"字形來自八卦和洪範九疇"的形而上學主張,與其經權論及中正論有關,他最終所追求的是帶有中正性的書法. 中正是不變與變易的統一,亦是無過不及的《中庸》性思想. 對于理和氣的關系,玉洞認爲在陰陽方面理源于正體,因而帶有陽氣,堅持著源于正體的書法帶有正統性這一觀點. 因此他對拘于形氣、惑于外部、困于習俗等現象十分警戒. 玉洞將書法的本質與"易"聯系起來,將其理解爲形而上學的層面,這源自他對當時書壇只注重外形的一種批判意識,他主張"隨勢處變"和"權而合宜". 因此,他强調著一種相反相成且平衡的適時性. 總之,玉洞的書法美學是對自身所處時代的書法世界的一種體現.

      • KCI등재

        18세기 玄風 道東書院 院位田 경영의 ‘中正’한 가치추구

        정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7 No.-

        이 글은 조선시대 서원에서 지양했던 학문의 가치가 서원 경영에도 적용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동서원의 강학공간인 ‘중정당’을 그 핵심가치로 보고, ‘중정’의 의미를 추적했다. ‘중정’의 근거는 『중용』에서 확인되며, 그 가치는 경영에 있어서의 적시성과 정확성으로 가정했다. 중정의 가치는 서원경영의 핵심인 원위전의 경영 사례 분석에 적용되었다. 이를 위해 『잡물전장』와 『전답수정기』에 대한 문헌적 분석은 물론 원위전에 대한 경영 원리를 추적했다. 18세기에 형성된 이들 자료에는 중정의 원리인 적시성과 정확성을 견지하고자 한 노력이 반영되어 있다. 도동서원은 창건당시 정구에 의해 제시된 ‘중정’의 가치를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토지의 사례에서 보듯이 제때에 정확하게 관리하는 경영 지침으로도 적용했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aspect Confucian concept impact on governing literary academy as well as scholastic study. Dodong Literary Academy-Dodong Seowon or Dodong private academy- established in 1607 with Bestowal of Title boards from the Choson government. The main lecture hall is ‘Chung Jung Hall(中正堂)’ and the name represents this academy’s goal. The letters-Chung Jung(中正)- were selected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by Jeonggu(鄭逑) who planned and designed this academy. The actual values and meanings of this letters are situationality and accuracy in governing which were adjusted from scholarly goal. Literary Academies were on the verge of demolition and disposal by the government in the 18th century, as too many Seowons were founded and they were keen to obtain financial support from the political power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adminstration members of Dodong Seowon(道東書院) endeavoured to sustain managemental stabilization adopting Chung Jung concept. Two main historic documents are analysed in this case which were 「Miscellaneous things taking over documents of Dodong Seowon(道東書院雜物傳掌記」 and 「Land register modification book of Dodong Seowon(道東書院田畓修正記」. The administration members concentrate effort on employing Chung Chung values, so they took over its miscellaneous exactly including their land records and figured out its exact land information considering changing situation. Seowon applied Confucian ideas encompass study and management. Dodong Seowon case suggests a possibility to explore other potential examples.

      • KCI등재

        <특집논문2> 불교의 한국적 변용과 특징: 한국적 독법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 : 최범술의 차 정신 “중정(中正)의 도(道)”-『한국(韓國)의 차도(茶道)』를 중심으로-

        이경순 ( Kyung Soon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본 연구는 『韓國의 茶道』를 중심으로 최범술의 차 정신을 고찰하고 있다. 그의 차 정신의 핵심은 ‘중정(中正)의 도(道)’이다. 차생활의 실제에서 중정은 차도용심, 간맞음, 알맞음으로 드러난다. 차도용심이란 차구, 물, 불 등의 성품을 살펴 그것들이 각기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간맞음이란 찻물을 우려낼 때 끓여서 적당히 식힌 물과 찻잎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차의 색·향·미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알맞음이란 차생활에 쓰이는 모든 것들이 조화로움을 잃지 않고 때와 장소, 상황과 법도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차생활의 목적은 중정의 도를 깨닫고 생활 속에서 각성된 삶을 실천하는데 있다. 차생활의 이념으로서 중정의 도는 불기(不器)와 대중의 멋, 지은보은(知恩報恩 은혜를 알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과 생명 살림으로 드러난다. 불기란 모든 사물이 각기 제 빛깔과 제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고 다양한 것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중의 멋이란 인간의 공통된 본성이 무한을 추구하는 마음에 있다는 것을 알고 시비, 분별을 벗어나 공공의 삶을 추구하는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은보은이란 한 잔의 차를 통해 일상의 모든 것들에 감사하면서 그 은혜에 보답해 나갈 때 진리의 기쁨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생명 살림이란 차라는 매개를 통해 세상 만물이 서로 의지하고 있음을 깨닫고, 생활 속에서 뭇 생명을 살려나갈 때 진정한 차살림(차를 통한 생명 살림)이 실현된다는 것이다. The research has illuminated Choi Beomsu`s ‘the mind of tea way’, focusing on his book, The Tea Way of Korea.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ce of his tea spirit must be ‘A Way of Impartial Justice.’ In the practice of tea, lifestyle ways of impartial justice are revealed as lifestyle of tea way, tastefulness, property. The lifestyle of tea way means to take care of tea equipments, mineral water, heating fire in order to make them respectively function properly. Tastefulness means to make color, flavor, and taste of the tea get harmony with each other, getting some cool water after being heated and some measured tea leaves in having a brew up of tea. Property means to arrange wearing clothes and a tea room in harmony with time, space, conditions, and etiquette. The aim of tea lifestyle is in just doing practice awakened life, realizing ways of impartial justice in one`s own life. The way of impartial justice as an idea of tea life can be revealed as Bulgi(not as a separated dish), style of folks, Beobhiseonyol(knowing others` gratitude and paying for it), and living economy in wellness. Bulgi means to embrace all the diverse things, knowing that everything has its own color and nature. Style of folks means for people to purse for public mind, recognizing that the common nature of humankind lies in the spirit in search of the infinite. Repayment of a kindness means to find out the pleasure of the truth in feeling the others` gratitude and paying for it through a cup of tea. Living economy in wellness means to make all the living units live a wellness life, awakening out that all the living things feel the will to help each other in the media of tea.

      • KCI등재

        <重訂南漢志> 소재 인물 관련 조목 ‘節義’, ‘孝子’, ‘烈女’ 고찰

        박소영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2

        본고는 1846년 홍경모가 편찬한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의 편찬 배경과 항목을 제시하고, 그중 <절의>, <효자>, <열녀> 항목에 수록된 인물 사례와 행적을 연구한 논의다. 『중정남한지』는 오늘날 경기도 광주(廣州) 지역의 사찬지리지로, 13권에 달하는 현전하는 가장 방대한 분량의 광주지(廣州志)로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그간 지리지에 관한 연구는 역사학과 지리학, 넓게는 역사인류학 분야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전통 지리지 양식, 즉 관찬지리지에 한정 지어 본다면 이는 타당한 결과겠으나, 조선 후기 사찬지리지가 확대되고 지리지 내 항목과 내용이 다양해졌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지리지라는 양식은 보다 넓은 학문 분야에서 재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그중 한 실례로서 『중정남한지』를 주목할 수 있다. 남한지(南漢志)라 이름한 데서 알 수 있듯,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건 현장을 바탕으로 서술되었기에 그 수록 양상이 매우 특징적이다. 그중 특히 절의, 효자, 열녀 등 인물(人物) 항목에 주목한 까닭은, 여타 지리지에 비해 인물과 사례가 많고 상세하기 때문이다. 또한 몇몇 인물들이 광주 지역과 관련한 전란(戰亂)의 아픔과 기억을 간직한 인물들이 선정되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절의(節義)는 남한산성이라는 공간이 단순한 자연적 지형 공간이라는 데서 나아가 의미를 지닌 심상적 공간으로서 전환된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병자호란(1636)과 관련한 김상헌, 정온, 삼학사(三學士) 등의 행적을 수록하여 광주에서 생장(生長)한 인물은 아니지만 충절을 지킨 인물임을 밝혔다. 효자(孝子)와 열녀(烈女)의 경우, 각각 20명, 18명으로 많은 숫자의 인물과 행적을 수록하였다. 그 인물 유형 또한 전형적인 사례들이 많지만, 광주 지역의 효자와 열녀 인물군과 행적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의 내용과 제재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다고 보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시대별로 나타나는 중정 건축의 특성 연구

        이정민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4 No.2

        중정 건축은 4대 문명 발상지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거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발전하였다. 중정이 있는 건물은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적의 침략을 차단하며 채광, 환기, 기후조절, 관조 그리고 거주자들이 모여 야외활동을 함께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이 있어 오늘날에도 전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정 주택의 기원과 발달 과정, 다른 나라의 중정들을 조사하여 중정을 시대별로 분류해 보고 그에 따른 유형과 특징을 연구해 본다. Courtyard imbedded architectures have been historically developed heavily influencing residential culture starting from the origins of ancient civilization. In modern days, buildings with courtyard are being built worldwide due to the variety merits i.e. privacy protection from the outer unexpected observation, light, air-flowing, temperature control and outside entertainment with the tenants. In this thesis, I categorized the courtyard architecture by time period and study typologies an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phase of its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