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론장·의사소통행위 이론에 비추어 본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개념과 방법

        노명환 한국독일사학회 2024 독일연구 Vol.0 No.56

        본 논문은 역사이론에 관한 것으로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에 관한 것으로 주제의 배경으로서 독일현대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공공역사(public history)란 무엇인가? 왜 해야 하는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을 두고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공공역사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공역사의 실체가 들어서는 시기와 전개되어 오는 과정 및 양상을 사학사적인 관점에서 파악·분석하는 것이 의미 있겠다. 그런데 필자는 이와 함께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공론장과 의사소통 행위 이론에 비추어 봄으로써 공공역사의 개념과 의의 및 방법을 한층 더 깊고 넓게 정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공공역사는 근본적으로 공론장의 성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이해하고 역사의 방향을 잡는 가는데 있어서 공론장의 사회가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공공역사를 공론장 속에서 전개되는 역사로 이해하고, 그것의 방법은 의사소통 행위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공공역사에서 말하는 공공성 및 참여성이란 공론장의 성격과 상통한다. 기록관리와 기록학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 붐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기록물의 평가 기준을 공론장과 여론에서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는 그의 후속 세대들에 의해 보다 체계화되었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전개와 함께 이들은 공론장을 위해 아카이브 플랫폼의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 전개는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배경들이 되어 주었다. 자본주의 사회의 진척과 함께 와해의 방향인 공론장의 구저변동을 보던 하버마스는 디지털 플랫폼 시대를 새로운 공론장의 구조변동으로 진단했다. 디지털 플랫폼은 무엇보다도 사실의 왜곡을 막을 수 없다고 보고 하버마스는 매우 큰 우려를 표하고 비관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필자는 아카이브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고, 아카이브 플랫폼에 기반한 공론장의 발전을 내다 본다.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ry and public history based on an archive platform, and is deeply related to modern German history as the background of the topic. What is public history? Why should we do it? What should we do?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is ques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it would be meaningful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period when the entity of public history was established and the process and aspects of its developmen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oncept, meaning, and methods of public history can be established more deeply and broadly by reflecting on Jürgen Habermas's theories of public sphere and the communicative action. This is because public history fundamentally includes the nature of a public sphere. A society of public opin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history and determining its direction. Here, we understand public history as history unfolding in the public sphere, and its method can be seen as an act of communication. Publicness and participation in public history ar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public sphere. There was a great change in archival science, and as seen in the case of Hans Booms and his subsequent generations. They led a movement to find standards for evaluating records in the public sphere and public opinion.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age, they began to focus on the social role of archive platforms for the public sphere. This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became the main background that made public history based on an archive platform possible. Habermas, who saw changes in the public sphere in the direction of collapse along with the progress of capitalist society, diagnosed the digital platform era as a new structural change in the public sphere. Habermas, who believes that digital platforms cannot prevent the distortion of facts above all else, expresses great concern and presents a pessimistic outlook. The author presents a vis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rough an archive platform and foresees the development of a public sphere based on the archive platform.

      • KCI등재

        역사의식의 함양을 위한 협동학습 적용

        경태윤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Students will have the vague feeling or thinking about history through the mass media. These thoughts and feelings may be included such as exaggerated or error, distortion and bias. Therefore wrong information to know the students should be modified properly. It shall form the student unique historical view through such experience. This experience will be provided by the school. But history lessons now are often not able to provide such a learning experience. I looked at existing research on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is paper. Based on this, I discuss the level of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possible in the actual class. In psychology, it has reported that enhance or modify the individual's 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oughts and feedback. Wak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can actively cultivate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can be in history lessons. Cooperative learning is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compared to other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as a way to cultivate historical consciousness among teaching. Thus I proceeded to Korean history lessons during one semester to apply the Kagan Cooperative Learning targets high school freshman. After the semester ended, cooperative learn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our students to look at the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sult, the active interaction occurred in history lesson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was increas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history lessons. In addition, student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reconstructed. 학생들은 매스미디어 등을 통해 역사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생각이나 느낌에는 과장이나 오류, 왜곡과 편견 등이 개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역사교육에서는 학 생들 스스로 이러한 왜곡이나 편견 등을 바로잡고 자신의 역사적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학습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중등학교의 역사수업은 그러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역사의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실제 학교수업에서 함양할 수 있는 역사의식의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개개인의 의식은 자신 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상호작용하면서 강화되거나 수정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중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도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면 학생들의 역사의식이 함양될 수 있다. 협동학습에서는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역사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필자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케이건의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한 학기 동안 한국사 수업을 진행했다. 학기 종료 후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역사의식 함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명의 학생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그 결과 협동학습을 통해 역사수업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이 발생했고, 그에 따라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가 증가했으며, 학생들의 역사의식도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 KCI등재

        역사와 치유

        엄찬호(Eom Chan-H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역사는 과거의 기억을 바탕으로 지나간 사건이나 일 가운데 오늘 우리가 되새겨볼만한 것들을 들추어내어 앞뒤 관계를 연결하여 설명하고, 때로는 모호한 것들을 규명하며, 거기에 나름대로 그럴듯한 가치를 덧붙여서 이야기하고 글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역사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의 일을 돌아보고 분석하여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에서 정신질환자를 치료하기위하여 행하는 일련의 절차와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은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자행되었던 수많은 억압과 폭력에 의해 생성 되어진 역사적 정신질환이라 할 수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성 장애(post-trauma stress disorder)’의 치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은 근현대사를 지나오면서 외세의 침략에 따른 정신적인 충격, 제국주의 침략, 한국전쟁, 독재정권하의 민주화 투쟁과 이념논쟁 등 여러번에 걸친 역사적 외상을 겪었고, 아직 많은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외상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한국정부에서는 과거사에 대한 진실규명작업의 목적중의 하나로 이들의 역사적 외상에 대한 치유를 언급한 바 있다. 역사는 과거의 문제를 분석하여 역사적 외상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치유의 길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역사에서의 치유는 과거의 특정한 정치적ㆍ경제적ㆍ문화적인 사건으로 인하여 충격이 주어짐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충격으로 인한 억울함을 풀어주는 것이 치유이다. 따라서 역사치유에서는 무엇이 마음을 억압하는지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왜 억압되어 왔는지를 알아내어 스스로 그 억압의 주체로부터 자유함을 찾는 것이 치유에 이르는 길이 될 것이다. 역사적 치유를 이루어가는 과정은 국가주도에 의한 진실화해위원회와 같은 활동도 필요할 것이나 개별 희생자들에 대한 트라우마의 치유는 가져오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비판적 역사읽기나 역사쓰기, 구술사를 통한 역사 조명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과거의 역사속에서 깊은 상처를 입은 희생자들의 마음의 병을 치유하여야 할 것이다. History connects and explain front and back relation because we search for things which is worth again today among event or event that pass with past memory. Sometimes, talk value that is relevant there because examine closely ambiguous facts in addition and express by writing. Therefore, history passes through process that adjust because reviews and analyzes the past matter to solve current problem. This can think that is each other similar with procedure that progress to treat mental patient in psychanalysis or psychology. History present path of healing to people which trouble in historic trauma because analyze past problem. Solve disease that is mortified soon of mind that healing of history occurs being shocked from the past particular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event. Therefore, history healing is important that what searches whether oppress mind. Also, will become path that to find that I do freedom from subject of the suppression naturally because find out why have been downtrod reaches to healing. Process that achieve historic healing need activity such as finding out the truth by country leading. However, the healing of trauma about individual victims can not achieve it. Therefore, individual’s scar should be attained healing through private history searching examination.

      • KCI등재

        한국영화 DB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가능성

        이종승(Lee, Jong Se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본 연구에서는 대중적 전파력과 영향력이 점점 증대되는 영화를 역사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국 역사영화 DB 작업을 진행했다. 먼저 영화와 역사교육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다양성과 역사교육적 측면에서의 국내외 연구들을 정리하고 영화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논의했다. 이어 실제 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 사용하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이러한 영화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 교과서 8종을 분석해 보았다. 교과서에서 언급된 영화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과서 내 영화서술이 지나치게 특정 단원에 편중되어 있었고 둘째, 교과서 내 영화자료의 활용이 대부분 역사학습의 단순 보조자료로 이용에 그치고 있는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영화를 활용한 교과서 수업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한국 역사영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보았다. 그 결과 1917년부터 2015년까지 제작된 약 6,752여 편의 한국영화 중 역사영화로 분류될 수 있는 영화의 편수는 총 315편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를 다시 고등학교 한국사 6개 단원에 적용시킬 수 있게 분류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Korean historical film database to use films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Recently, films are getting influential and popular in many classes. First of all,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value of film in history class in terms of literature review mentioning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history. The study analyzes the eigh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how to use the films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and educationally.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films mentioned in the textbooks, history textbooks has just focused on a certain section using film. Furthermore, films in the textbooks are used for simple auxiliary materials for history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Korean historical film database in order to use film in history class effectively and to improve the problems discovered by the textbook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collects about 6,752 films produced between 1917 and 2015 in Korea. There are 315 historical films among them. Finally, this study divides historical films up into six periods in the textbooks.

      • KCI등재

        역사정치 어떻게 할 것인가? ‘현재’ 기반의 ‘역사의식’에 근거한 ‘역사정치’의 매카니즘: 다원화된 사회에서의 역사정치에 대한 베아트릭스 부비어, 미카엘 슈나이더, 에드가 볼프룸, 하랄드 슈미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상욱,곽차섭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9

        This study redefined and analyzed ‘historical conflicts and disputes’ in the dimension of‘historical policy (Geschichtspolitik)’ in the pluralistic democratic society. Especially, it analyzesthe motive, process and intention of history policy in historical and democratic society. First, there is a view that correct historical policies in a pluralistic democratic society arepolitically approaching and attempting recognition, acceptance, apology and reconciliation. Critical reflection on this is needed. Secondly, the so-called ‘right past’ formed in this way isa matter of how independent of the current system is or is free from the system. Thirdly, it isimpossible to completely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historical policy’, which is open to‘historical distortions’ in the pluralistic democracy, is going to be done. What is more essential and important is that ‘correct reflection’ of ‘past’ should be givenpriority. Since then, the foundation of ‘present’ which is reflected through communicationwith this ‘past’ should be formed, and on this basis, ‘tradition’, ‘group identity’ and ‘politicaland historical legitimacy’ should be directed. Despite these problems, this approach to historicalconflict and conflict in the democratic society, which has been diversified from theviewpoint of historical policy, shows another viewpoint to resolve historical conflicts andconflicts. 본 연구에서는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 발생하는 ‘역사 갈등과 분쟁’을 ‘역사정치(Geschichtspolitik)’ 이론의 차원에서 다시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냉전이 종식된 이후의 시대, 소위 체제 전환의 시대 이후, 자본주의권의 승리가 공식화된 것처럼 보이던 시기에 과거 공산주의체제의 폐쇄적인 역사서술의 관행을 파악하고, 동시에 다원화된 사회 내의 역사 인식의 차이를 정치적 다원성이라는 특징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이 역사인식의 차이는 역사적 과거에 대한 갈등과 분쟁처럼 보이지만,실상 다양함이며, 그런 다양함은 역사정치라는 개념의 이론과 담론으로서술이 가능하다. 역사정치는 ‘과거’를 기억하는 ‘현재’가 어떤 모습인가에 근거하여 과거사실에 대하여 특수한 이념이나 또는 방향성을 가진 역사 재현의 정당함을 주장하고, 동시에 이를 의도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면 몰락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의 일부 편향적 역사재현(예를 들어 구동독)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또한 다원성의 이름으로 미화하는 서구의 역사서술 역시 역사정치의관점에서는 현재의 이해관계에 따라 재현되는 역사해석과 그 의도적 이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과거 사실에 대한 역사해석이 역사갈등과 분쟁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그 동기와 과정 그리고 지향점을 베아트릭스 부비어(Beatrix Bouvier), 미카엘 슈나이더(Michael Schneider), 에드가볼프룸(Edgar Wolfrum), 하랄드 슈미트(Harald Schmid)의 역사정치 (연구)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분석하였던 역사정치 이론들에 대한 다음과 같은문제 제기가 가능하다. 첫 번째,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의 올바른 역사정치는 과거의 역사 문제와 갈등에 대한 외면이나 거부가 아니라, 인정과 수용 그리고 사과와 화해가 ‘올바른 역사정치’라고 보는 이론적 관점(베아트릭스 부비어, 미카엘 슈나이더)이 있다. 여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는 특정한 ‘과거’ 또는 ‘역사’가보다 다양한 집단이나 개인에 의하여, 그리고 각각의 환경과 이해관계,이념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재현(Repräsentation)되기 때문이다. 즉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역사 문제의 해결 방안이 특정한 하나의 방향으로만 갈 수 없고,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올바른 역사정치’가 굳이 하나의지향점으로만 주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소위 ‘올바른 과거’는 과연 현재의 체제에서 어느 정도로 가치 독립적인가 또는 체제에서자유로운가의 문제 역시 검토해야만 한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다원화된 민주주의 체제에서 나타나듯이, 현실정치에서 일부 주도집단의 공공연한 ‘역사 왜곡’이 올바른 과거로 지향되고 있을 개연성을 과연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가는 숙고의 대상이다. 다원화된 민주사회의 역사정치에서 더 본질적이고 중요한 것은 현실정치가 이루어지는 ‘현재’에 대한 분석적인 이해가 형성되어야 한다는점이다. 이러한 현재의 기반에서 ‘전통’과 ‘집단 정체성’ 그리고 ‘정치 및역사적 정당성’이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정치 이론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닌 ‘현재의 현실적 이해관계를 위한 과거의 이용’이라는 차별화된분석의 틀과 방법론을 보여준다는 특성이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초등학교 6학년 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강필규(Kang, Pil 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초등 역사 수업에 주는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역사하기 동아리를 사례로 진행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는 초등학생의 역사하기 동아리 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그 속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초등 역사 수업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역사하기 과정은 ‘질문-자료조사-해석’의 과정이 꼬리를 물며 반복되었다. 역사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질문은 ‘궁금증을 제기’하는 질문과 ‘꼼꼼히 읽기’ 위한 질문으로 구분되었다. 초등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여러 유형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해석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사고양상은 수집한 자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초등 역사 수업에서 역사하기를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주변에 실재하는 사료들은 과거로 향하는 사고를 활성화시켰다. 둘째, 수업은 다양한 사료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역사적 의미를 구성하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인터넷 검색을 활용한 자료조사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Doing History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characteristics evident from cases of Doing History by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cess of Doing History by elementary students was a repetition of the “question-data search-interpretation” cycle. The types of ques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either “raising questions” or “reading carefully.” Elementary students used various methods to survey various types of data. The thinking patterns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ata. The following are the academic implications for Doing History in elementary history classes. First, elementary history classes should utilize the authentic historical data that exists around students for applying Doing History effectively. Second, elementary history class should provide an experience of analyzing various sources and organizing historical meanings. Third, research activities using internet are not suitable for Doing History.

      • KCI등재

        일본 歷史敎育者協議會의 수업안내서 『즐거운 중학 역사(わかってたのしい中學社會科歷史の授業)』의 특징

        전병철(Jeon Byong-Ch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2

        본 연구는 일본의 역사교육 단체인 歷史敎育者協議會가 개발한 수업 안내서, ‘즐거운 중학 역사(『わかってたのしい中學社會科歷史の授業』)’의 특징을 분석하고, 우리들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즐거운 중학 역사’의 전체 구성을 토대로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조선통신사 주제를 중심으로 이들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歷史敎育者協議會의 역사인식이 구현된 ‘즐거운 중학 역사’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즐거운 중학 역사’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수업들을 안내하고 있었다. 물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교사의 발문이다. 하지만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식 자체를 묻지 않는다. 그 대신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상상하도록 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은 일상적 대화 상황과 비슷하다. 이러한 발문 방식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본다. 한편, 그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현장 교사들의 수업 개선 노력은 주로 배움책으로서 교재에 집중된 측면이 많았다. 하지만 배움책은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 보완, 정리한 대안적 교재로서 학습 활동을 돕는 일종의 워크북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결국 수업이다. ‘즐거운 중학 역사’는 수업 자체를 변화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향후 국내에도 이와 같은 방식의 수업 안내서가 현장 교사들을 위해 보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a lesson guidebook published by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a civil group on history education in Japan, as well as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find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entire table of contents of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TongShinSa lessons. As a result,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field usability of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and investigate the discourse inherent in it. The guidebook includes the discourse of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the national discourse. The students recognize Japan’s wrongdoing in the past and think over what kind of nation they should build in the future, learning the history of Japan.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also proposes interaction-rich lesson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Those lessons are led by the teachers’ questions, but the teachers do not ask questions about knowledge itself but present materials to the students, encouraging them to imagine with the materials. Thus interactions happen like everyday conversations between them. Such a method will further promote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ssons. In short, South Korea will need to develop a lesson guidebook like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so that many teachers can share a lesson design plan to make diverse discourses fun to learn. Then history education will be able to make further contributions to the practice of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teacher group on history education have made “work books” to improve lessons, but “work books” are merely another teaching material to supplement the content of lessons. In the end, what is important is a lesson. “Joyful Middle School History Class” is a lesson guidebook to change lessons. There is a need to consistently develop such lesson guidebooks and distribute them to teachers in the field in future.

      • KCI등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역사교육의 실태

        조미정(Cho, Mi-Jung),김승희(Kim, Seu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역사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43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연구결과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이 매우 높으며 유아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 대부분은 역사교육의 주요 개념인 시간, 변화, 지속성이 유아역사교육에 포함됨을 알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의 연구결과는 유아역사교육의 방법으로 이야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별한 날이나 행사가 있을 때 가끔 역사교육이 시행되고 있었다. 이처럼 일회성의 행사로 역사교육이 그치지 않으려면 유아역사교육에 관한 교사교육이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가 과거를 통해 현재를 비판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역사교육의 주요 개념에 근거한 유아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연수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교육의 주요 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유아역사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reality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analyzed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very interested in history education and strongly felt the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ost of the teachers knew that time, change, and continuity as key concepts of history education were included in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narrative was used most frequently as a method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teachers conducted occasionally history education when special day or events opened. In order for history education not to be conducted as an one-shot event, teacher education about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operated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In order for young children to criticize present through past and predict future, teacher training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ey concepts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mmediately. As a resul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activation plan for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key concepts of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과 지향 - 회보 『역사교육』의 ‘수업이야기’를 중심으로 -

        정미란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is in an important position as a research group and an exercise group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It has been publishing a quarterly magazine History Education, the ‘Lesson Stories’ in the magazine is very meaningful as a material to study a aspect and direction of history teaching practice of history teachers. History teaching practice through history ‘Lesson Stories’ was characterized by persistence of orientation and change of practice method. The orientation of the association became more evident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such as waves of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nationalization’. This was embodied in history class contents reconstruction of emphasizing values of democracy, peace and human rights and so on. From the earliest days of the association, the method of historical material, drama, and discussion, which had been emphasized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y teaching, evolved to support reconstruction of valueoriented history teaching contents. In particular, the history teachers tried to make a history teaching by confirming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ing and the history perception in detail and reflecting and supplementing. At last seas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history class practice of the association was the offensive of political on history education contents such as history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This emphasized the character of the association as a historical educationrelated movement group, and has concentrated and exhausted their internal capabilities. I hope that the association will become more stable and active as a history education research group. 1988년에 결성된 전국역사교사모임은 역사교육 운동단체이자 역사교육 연구단체이다. 교사모임의 회보에 실린 역사 ‘수업이야기’는 학교 역사 수업의 성격과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하다. 역사 ‘수업이야기’를 통해 본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은 지향의 지속성과 수업 방법의 진화라는 특성이 있다. 역사교사들은 모임 초창기부터 역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교사모임의 지향은 <한국 근・현대사>교과서 파동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등 역사교육의 위기 국면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분명해지고 견고해졌다. 역사 ‘수업이야기’의 근현대사 수업 사례가 많아지고, 민주주의, 평화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내용 재구성이 강조되었다. 교사모임 초기부터 학생의 수업 참여를 북돋우기 위해 강조되었던 사료학습, 극화학습, 토론학습은 가치 지향적 역사 수업 내용 재구성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었다. 역사교사들은 이전보다 학생의 수업 반응과 역사 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여 배움이 있는 역사 수업을 만들어나갔다. 지난 시기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에 있어 가장 큰 변수는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 등 역사교육내용에 대한 정책 변동과 사회적 논쟁이었다. 이는 교사모임의 역사교육 운동단체로서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내부 역량을 집중시켰다. 역사교육 정책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선을 비롯한 현장 역사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교사모임의 역사교육 연구단체로서의 저력과 성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과 지향을 통해 볼 때 역사수업연구는 역사 수업의 주체와 학교 안팎의 교육 여건 및 관련 논의를 고려하여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인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