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병헌(李炳憲)의 금문경학적 『역경(易經)』 이해 -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를 중심으로 -

        安承宇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9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일제강점기 유학자로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측면에서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비롯하여,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經)』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생애 만년에 『역경』 연구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병헌이 금문에 기초한 『역경』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역경』 연구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역경』 관련 저작인 『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 『수화개벽설(水火開闢說)』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이병헌전집(李炳憲全集)』에 실린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경』에 공자의 미언대의(微言大義)가 담겨 있다는 이병헌의 기본 전제에 기초하여, 『역경』 상경(上經)의 괘서(卦序) 가운데 특히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화개벽설』에서 이병헌이 제시한 원세운회(元世運會)를 중심으로 하여 우임금 치수로 대표되는 태괘의 시대로부터 이병헌 당시의 비괘의 시대에 관한 그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서, 유가경전 특히 『역경』을 프레임으로 하여 사회와 역사, 세상을 바라보았던 이병헌의 고민과 시대에 대한 성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he had a academic characteristic to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New Text Confucian. He left behind his studies on Yijing, Shijing 詩經, Shujing 書經, Lijing 禮經, and etc. Especially in his later years,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the Yijing. This paper explor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Lee Byung-hun’s research on the Yijing, which is based on New Text classics. To do this, this paper focuses on his Yijing-related works, the Yeokgyeong Geummungo 易經今文考 and the Suhwa Gaebyeokseol 水火開闢說 and explores relevant contests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Lee Byung-hun 李炳憲全集.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ses the meaning of Tai 泰卦 and Pi Hexagrams 否卦 in the “Shangjing 上經”’s Hexagram sequences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Lee Byung-hun that the Yijing contains Confuciu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Fu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is discuss on from the age of Tai Hexagra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Yu 禹’s controlling waters, to the age of Pi Hexagram, which means the ear Lee Byung-hun liv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s how Lee Byung-hun recognized society, history, and world by using the frame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Yijing, as on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during Japanese Ruling Era.

      • KCI등재

        주역(周易) 금고문(今古文) 연구 서설

        임재규 중국학연구회 2024 중국학연구 Vol.- No.107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ask for the study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in our academic world. This study presented the double evidence method of Unearthed literature and ground literature as a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through this double evidence metho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methodology in the study of Zhouyi’s Jinguwen(今古文)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following important tasks in the study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First of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there have been no prior studies dealing with the issue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through the Unearthed literature in our academic world. There is no prior research on the issue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of chinese history of Yixue(易學) in our academic world, and furthermore, there seems to be no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through the Unearthed literature. Second, until now, there seems to be no prior research on the Feishiguyidingwen(費氏古易訂文) written by Wang Shunan(王樹枏) of the Qing Dynasty as well as in Chinese academia. The cause of this can be found because interest in the BC station is still almost insignificant, but in fact, this paper is thought to have presented a very important task in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is Feishiyi(費氏易).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Feishiguyidingwen(費氏古易訂文) of Wang Shunan(王樹枏). Third, in the study of Zhouyi’s variant text, this paper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written by Li Fusun(李富孫) of the Qing Dynasty,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study of Zhouyi’s variant text. Furthermore, this paper is considered to have presented a new task in the study of Zhouyi’s variant text, one of the most difficult fields in the study of Zhouyi, in that it presented the task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ground and underground literature by studying the Zhouyi’s variant text based on the Unearthed literature. Fourth,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Qing Dynasty’s Jinwen-Jingxue(今文經學), another important field in the issue of the Zhouyi’s Jinguwen(今古文),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studying Yijingjinwenkao(易經今文考) written by Lee ByungHun(李炳憲).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review Lee ByungHun(李炳憲)’s Yijingjinwenkao(易經今文考) through the Unearthed literature. 이 논문은 아직 우리 학계에서 연구되지 않은 주역(周易) 금고문(今古文) 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연구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논문은 연구방법론으로서 출토문헌과 지상문헌의 이중증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논문은 주역(周易) 금고문(今古文)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우선,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출토문헌을 통해서 주역 금고문 문제를 다룬 선행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지금까지 우리 학계뿐만 아니라 중국 학계에서도 청대 왕수남(王樹枏)이 지은 비씨고역정문(費氏古易訂文) 에 대한 선행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이는 비씨역에 대한 관심이 아직까지 거의 미미하다는 이유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사실 주역 금고문 문제에서 가장 관건적인 문제가 비씨역이라는 점에서 이 논문은 매우 중요한 과제를 제시했다고 생각된다. 셋째, 주역 이문(異文) 연구에 있어서 중국역학사의 대표적인 저작인 청대의 이부손(李富孫)이 지은 역경이문석(易經異文釋) 에 대한 연구도 중국 학계뿐만 아니라 우리 학계에서도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넷째, 주역 금고문 문제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인 청대 금문경학의 주역 연구와 관련하여 이병헌의 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 의 금고문 문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주역(周易) 금고문(今古文) 연구에 대한 방법론과 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물론 이는 앞으로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 논문에서 제시한 과제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을 때 그 진정한 의의가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이병헌의 작역원위 연구 ― 『역경금문고』를 중심으로 ―

        배영섭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본 연구는 근대 경학가이자 종교사상가인 이병헌의 역학관을 금문경학 사상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병헌은 ‘역원위’를 복희와 공자로 규정한다. 복희의 십언·육계를 근간으로 공자가 역경 의 64괘를 완성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문왕·주공을 작역자로 보는 삼성설과 사성설을 부정했다. 공자역 계승 적통은 시·맹·양구씨역으로부터 경방역을 통해 전해지는 금문 계보로 보았다. 공자의 미언대의가 약화된 것은 고문 계열인 고씨·비직역과 유흠의 공자관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종합해보면, 복희역 → 공자역 → 시·맹·양구씨역 → 경방역의 금문 계보를 정통으로 인정한 반면, 복희역 → 문왕·주공역 → 공자역 → 고씨·비직역의 고문 계보를 비판했다. 작역원위는 역경의 저자이자 창교자로서 공자의 위상을 밝히고, 금문경학의 계보를 공자역의 적통으로 하여 공교의 당위성을 세우는 논리로 귀착한다. 고문경학에 대한 이병헌의 비판은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비판이 아니라 원천과 근본에 대한 비판이다. 근대기 경학 사상가의 마지막 세대인 이병헌은 고문경학의 춘추좌씨전 과 송학의 도서상수역학에 경도된 조선후기 사회에 금문경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Yi-study(易學) to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Lee Byung-hun’s(李炳憲) study appear in the book Yeok-gyeong geum-mun-go(易經今文考). Regarding ‘the origin of Yi’(易源), it derived from Fuxi(伏羲) and was completed by Confucius(孔子). King Wen(文王) and Ju-Gong, generally accepted in history is not recognized as the person who wrote the 'book of change'. The development of ‘the origin of Yi’ is the genealogy of direct connections from Fuxi to Confucius. The pedigree of Yi after Confucius was passed down from Fuxi Yi to Confucius Yi and then to Shi, Meng, Liang, Qiu Yi(施孟良邱易) to Jingfang Yi(京房易) which is the ‘New Text Confucianism Genealogy(今文系谱)’. It could be said that the logical construction of Lee Byung-hun’s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is to establish that the ‘Yi’ is the only Bible of Confucianism and Confucius(孔子) claims to be the only saint of Confucianism. Through this, Lee Byung-hun tried to turn the Bible of 'Confucianism as a Religion' into a 'Yi'. And he wan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making Confucius the head of 'Confucianism as a Religion'. Lee Byung-hun’s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is an effort to revive the ‘Geum mun sang su Yi(今文象数易)’ of the Ha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as focused on ‘Do-seo-sang-su Yi Study(圖書象數易學)’ and ‘Treatment of Zuo Zhuan(春秋左氏傳)’ of the Song dynasty.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eum mun Yi(今文經學)’ system that he achieved can be said to be an undeniable great contribution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Korean dynamic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