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사회 내재적 종교성과 베버의 동양사회론 - 『힌두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유승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Max Weber’s view on Asian society is a requirement in studying the Asian society,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issues in the origin of capitalism and the recent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the Asi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which stems from the inherent religiosity in the Asian society. This perspective is unlike that of Weber’s, which was based on the European religion that features Messianic prophecy, something which was absent in the Asian society. In discussing these issues, this study offers a critique on Weber’s view on the Asian society, mainly focusing on his work, The Religion of India, which manifests his insight into the Asian society. In The Religion of India, Weber asserts that the mystical nature and mag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Asian religions such as Hinduism and Buddhism did not assist the uneducated masses to lead a rational life style. Rather, he insists that the practical world achieved by the Western society can never be realized with such religiosity and culture, and further identifies Hinduism or Buddhism as a detractor in social development. However, this is merely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Asian society with the perspective which stems from the European relig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this study, Asians demonstrate remarkable adaptability, for which Weber himself admitted but did not provide evidence. It is likely that this outstanding adaptability stems from the ideological element - this is defined as HAPSHIMism(合心主義)- that attempts to connect one’s mind with a target, whether it is a thing or a person. Such an element, or religiosity is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While this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has emotional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which has an advantage in making a capitalistic adaptation, it also has moral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shown prior to the adaptation. One can infer it is the latter religiosity that acted as an ideological cause,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ilings and slower development in capitalism in the modern Asian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finding is, without a doubt, in the attempt itself to critically examine Weber’s view, which employs the perspective absent in the Asian society. However, such an attempt can only actively ensue after future and further study is thoroughly cond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and the changes in the Asian society. 본 연구는, 동양사회를 연구함에 있어서 ‘베버의 동양사회론’은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대상이라는 인식 하에, 막스 베버의 ‘등가물’ 즉 서구의 구원종교를 기초로 만들어진 잣대가 아닌 그리고 그런 점에서 동양사회의 부재(不在) 잣대가 아닌 동양사회 내재적(內在的) 종교성의 잣대를 사용하여, 자본주의 기원의 문제와 최근 동양사회의 발전의 문제를 동시에 논의해 봄으로써, 베버의 동양사회론 비판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버의 동양사회론을 담고 있는 『힌두교와 불 교』를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힌두교와 불교』에서 베버는 동양사회의 종교, 그 중에서도 특히 힌두교와 불교가 지닌 신비주의적 성격과 주술적 성격이 평신도의 생활영위를 합리적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주술의 정원으로 둔갑시켰고, 그러한 종교성 및 종교문화로부터는 서구 근대가 이룩한 합리적 세계상이 결코 도출될 수 없음을 주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힌두교 혹은 불교는 사회발전의 장애물이 되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서구적 기원을 갖는 종교성의 잣대로 해석된 결과일 뿐이다. 오히려 본 연구에 따르면 동양인들은 놀라운 적응능력(오늘날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간주되는 능력)을 갖고 있는 바(이는 베버 자신도 인정한 바이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입증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대상에 행위자 자신의 마음을 합하려는 이념적 요소 즉 유교와 불교의 합심주의적 종교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물론 합심주의적 종교성은 자본주의적 적응에 유리한 ‘심정 중시의 합심주의 종교성’의 얼굴도 갖고 있지만 그 변색 이전의 얼굴 즉 ‘심성 중시의 합심주의 종교성’의 얼굴도 갖고 있는 바, 바로 후자는 전근대 동양사회의 자본주의 불임 및 저발전의 이념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발견의 의의는 무엇인가? 두말할 나위도 없이 동양사회 부재적(不在的) 요인에 의한 베버의 동양사회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려는 시도 그 자체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이 연구의 후속과제, 즉 이러한 비판의 도구로 활용한 합심주의 종교성과 동양사회의 변동 사이의 관계를 본격적으로 탐색해 보는 후속 과제를 완성한 다음에야 충분히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지속과 변화: 표준사회학적 인식과 동양사회사상적 상상력의 융합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4

        Over the past 20 year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tried to cover the classics and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long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andard Sociological tradition. In this study, I’m trying to show how we can move forward based on those thoughts. This research orient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the work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new thinking systems and academic frameworks. In the meantime, Korean sociology is confined to the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it was immersed in the so-called discourse of modernity and failed to develop the method of reading the classics. For tho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reflected on ‘In what context are we confined?’. The academic research or cultiv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re trying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western centered ‘study as a profession’ at least. This attempt is simply acquiring knowledge and reaching the point that is off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production-consumption theory. On the basis of such cultivation and orientation, we intend to thoroughly study and analyze the western-centered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At the same time, as studying and reinterpreting ‘Asian Value’ or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cademic universality and global standard that are integrating both sides should be measured. As discovering and developing specific research topics and tasks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 from our perspective, it should interpret and set up the new outline through sociology or the social science’s objective concept, grammar and framework. There is no need to deny the strictness of the western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There is also no need to contradict the so-called “The law of game” against the discourse system of philosophy and ideology, which is hardly followed in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so-called “Invented Tradition” that is not inherent in the original value system, philosophy, and ideolog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its derived discourses, and move on to new reflective planning. 이 글에서는 표준사회학적 전통의 이론틀과 함께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 그 상상력의 틀을 아우르고자 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지난 20여 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갈 지평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이러한 연구 지향(orientation)은 새로운 사유체계와학문적 틀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작업이다. 그동안의 한국사회학이 미국과 유럽, 중국과 일본 등의 문맥에 갇혀 있고, 이른바 근대성(modernity)의담론에 몰입함으로써 동양사회사상의 고전에 대한 정독법(正讀法)을 학습하고 훈련하지 못했던 데 대한 반성 작용이며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동사학회는 최소한 ‘우리가 어떠한 문맥에 갇혀 있는가’를 정직하게 성찰하고자 했던 것이다. 동사학회의 학술 연구 내지 수양공부는 최소한 서구중심적 ‘직업으로서의 학문’ 범주를 뛰어넘어 보려 시도한다. 단순한 지식 습득과 교육전수의 기존의 생산소비론의 논의를 벗어나는 지점에 다다르려고 하는것이다. 이같은 수양공부와 지향의 터전 위에서 우리는 서구 중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을 철저하게 학습하고 분석하면서 이와 함께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 내지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을 학습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양측면을 통합 내지 융합하는 학문적 보편성과 세계적 표준(global standard)을 가늠해야 한다. 동양사회사상 특유의 연구 주제와 과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발견하고 전개하여 사회학 내지 사회과학의 객관적 개념, 문법, 이론틀을 통해 해석하고 새로운 틀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서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이 지니는 분석적 엄밀성을 부정할 필요가 없다. 서구적 이론틀에 경도된 철학 및 사상의 담론체계와 대척하는 이른바 ‘게임의 법칙’에 대립각을 세울 필요 또한 없다. 동양사회사상의 본래적 가치체계와 철학 및 사상 고유의 것이 아닌, 이른바 ‘만들어진 전통(Invented Tradition)’과 그에 파생한 담론들을 극복하여 새로운 성찰적기획(reflexive planning)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문화 : 경성제국대학 안의 "동양사학" - 학문제도,문화사적 측면에서 -

        박광현 ( Kwang Hyeo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31 No.-

        경성제국대학 출신의 조선인 동양사학 전공자의 의식 속에 동양사학은 "국사학"이라는 권력과 잠재적 "국사학"=조선사학이라는 상상 사이의 중간지점에 있었다. 그들이 식민지 학문의 중추 역할을 맡았던 경성제대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런 학문의 권력 문제와 관련한 고민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였는지 모른다. 그들은 "동양사학" 출신자라는 학문적 동질감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학과와 달리 자신들만의 학술공간을 만들지도 못했다. 그와 같은 동양사학 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은 그들의 독립 이후 활동과 지위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들은 동양사학자의 지위에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건국과 함께 대학과 문부 행정에서 오히려 ``국사학=한국사학`` 건설에 깊이 관여하게 된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동양사연구자들 사이에서 동양사를 "조선 및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했던 이른바 조선학의 연구전통" 위에 "국사의 외연이나 관계사의 일환"으로 여기는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비판하는 결과에 이른다. 그런 자기반성의 중심에는 이 대학의 출신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경성제대 사학과의 전공편성과 관련한 정치성의 자장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였다. 따라서 그들의 존재는 한국의 동양사학 성립 과정에서 상징적이라고 할 것이다. When founded, Kyungsung(Keizo) Imperial University set it a goal to define the distinctive orientalism of Joseon based on cultural relationships with Japan and China. This is explained well by how Historical Studies department was organized. There were three majors including National History(that is Japanese History), Joseon History and Oriental History in that department. This was framed through modeling three major system in Imperial University in Japan while Joseon History major was included with World History left out. This disciplinary organization reflects how they tried to make this university as the supreme one in ``Japan empire`` as well as the center of ``oriental cultural studies``. Among three majors, Oriental History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one. It is notable tha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students majoring in Oriental History was posited in a conflicting intermediate terrain between ``Japan History`` as power and ``Korean History`` as potential. They couldn`t help but doubt that their education and work were related to imperial power as the Kyungsung univers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lonial studies. Obviously, the Korean students didn`t identified themselves with ``Oriental History`` in the university so that they couldn`t harbour their ambition of enlarging their work. Their unique identities as Oriental History scholars had a particular effect on the position that they occupied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They had instrumental in setting up National History(Korean History) as a new discipline und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n, they continu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at field. However, during 1970s the disciplinary scheme ran into the criticism from many researchers on the ground that it was narrowing Oriental History as a field by confining it to only "Korean History and other related countries` histories with it" and it came from colonial educational system, especially in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Several researchers in favour of this criticism were in fact graduates of this university. And they were even right in the center of this criticism. In sum, they couldn`t stay away from the politics related with the disciplinary system coined in that university. Their positions stands as symbolic ones on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Oriental History as a disciplinary in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양사회 내재적 종교성과 베버의 동양사회론 -『힌두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유승무 ( Seung Mu Lew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본 연구는, 동양사회를 연구함에 있어서 ‘베버의 동양사회론’은 반드 시 검토되어야 할 대상이라는 인식 하에, 막스 베버의 ‘등가물’ 즉 서구 의 구원종교를 기초로 만들어진 잣대가 아닌 그리고 그런 점에서 동양 사회의 부재(不在) 잣대가 아닌 동양사회 내재적(內在的) 종교성의 잣 대를 사용하여, 자본주의 기원의 문제와 최근 동양사회의 발전의 문제를 동시에 논의해 봄으로써, 베버의 동양사회론 비판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버의 동양사회론을 담고 있는 『힌두교와 불교』를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힌두교와 불교』에서 베버는 동양사회의 종교, 그 중에서도 특히 힌두교와 불교가 지닌 신비주의적 성격과 주술적 성격이 평신도의 생활영 위를 합리적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주술의 정원으로 둔갑시켰고, 그러한 종교성 및 종교문화로부터는 서구 근대가 이룩한 합리적 세계상이 결코 도출될 수 없음을 주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힌두교 혹은 불교는 사회발전의 장애물이 되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 나 이는 서구적 기원을 갖는 종교성의 잣대로 해석된 결과일 뿐이다. 오 히려 본 연구에 따르면 동양인들은 놀라운 적응능력(오늘날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간주되는 능력)을 갖고 있는 바(이는 베버 자신도 인정한 바이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입증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대상에 행위자 자신의 마음을 합하려는 이념적 요소 즉 유교와 불교의 합심주 의적 종교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물론 합심주의적 종교 성은 자본주의적 적응에 유리한 ‘심정 중시의 합심주의 종교성’의 얼굴 도 갖고 있지만 그 변색 이전의 얼굴 즉 ‘심성 중시의 합심주의 종교성’ 의 얼굴도 갖고 있는 바, 바로 후자는 전근대 동양사회의 자본주의 불임 및 저발전의 이념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발견의 의의는 무엇인가? 두말할 나위도 없이 동양 사회 부재적(不在的) 요인에 의한 베버의 동양사회론을 비판적으로 검 토해 보려는 시도 그 자체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이 연구의 후속과제, 즉 이러한 비판의 도구로 활용한 합심주의 종교성과 동양사회의 변동 사이의 관계를 본격적으로 탐색해 보는 후속 과제를 완성한 다음에야 충분히 이루어질 것이다.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Max Weber`s view on Asian society is a requirement in studying the Asian society,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issues in the origin of capitalism and the recent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the Asi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which stems from the inherent religiosity in the Asian society. This perspective is unlike that of Weber`s, which was based on the European religion that features Messianic prophecy, something which was absent in the Asian society. In discussing these issues, this study offers a critique on Weber`s view on the Asian society, mainly focusing on his work, The Religion of India, which manifests his insight into the Asian society. In The Religion of India, Weber asserts that the mystical nature and mag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Asian religions such as Hinduism and Buddhism did not assist the uneducated masses to lead a rational life style. Rather, he insists that the practical world achieved by the Western society can never be realized with such religiosity and culture, and further identifies Hinduism or Buddhism as a detractor in social development. However, this is merely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Asian society with the perspective which stems from the European relig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this study, Asians demonstrate remarkable adaptability, for which Weber himself admitted but did not provide evidence. It is likely that this outstanding adaptability stems from the ideological element - this is defined as HAPSHIMism(合心主義)- that attempts to connect one`s mind with a target, whether it is a thing or a person. Such an element, or religiosity is found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While this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has emotional HAPSHIMism (合心主義) religiosity, which has an advantage in making a capitalistic adaptation, it also has moral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shown prior to the adaptation. One can infer it is the latter religiosity that acted as an ideological cause,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ilings and slower development in capitalism in the modern Asian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finding is, without a doubt, in the attempt itself to critically examine Weber`s view, which employs the perspective absent in the Asian society. However, such an attempt can only actively ensue after future and further study is thoroughly cond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HAPSHIMism(合心主義) religiosity and the changes in the Asian society.

      • KCI등재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의 모색: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

        유승무,김보경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로서 불교의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동양사회사상학회는 지금까지 동양사상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사상적 연구를 넘어 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한국학을 통한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사회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문명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동양사상적 개념들과 한국사회의 고유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사회현상에 유관 적합한 사회이론을 모색하였다. 학회는 위와 같은 네 가지의 관점에서 정체성을 찾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는 동양사회사상의 개념과 이론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기존의 고전 사회학자들 및 현대 사회학자들의 /사회이론을 발전시키거나 극복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 사이의 유상성뿐만 아니라 차이성을 각 이론의 인식대상과 인식론(방법론)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으며, 그 구체적 차이에 기초하여 양자의 사회이론적 종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실체론을 부정하고 조건적 발생론(구성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유사성을 지닌다. 다만 이 둘은 연구대상 설정 문제와 인식론 문제에서 결정적으로 다르다. 불교에서는 연구대상을 무아(無我)와 무상(無常)의 속성을 가진 공(空)한 존재로서의 인간에 두었지만, 루만은 인간을 배제하고 사회적 체계에 두었다. 단지 인간은 체계의 환경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는 동시에 이 둘의 구조적 연동성이나 상호 의존성을 이론적으로 상정할 수 있게 하며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인식론에서도 불교의 연기이론은 ‘만남(결합)의 인식론’으로, 루만의 체계이론은 ‘구별(차이)의 인식론’으로 볼 수 있는데, 각각이 지닌 특징이 방법론적 상보성을 가지게 한다. 이상은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대화, 동양의 특수한 사회현상과 어느 정도 일반화된 사회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보편이론의 완성을 지향하려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또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해 나가기를 기대하며 연구한 사례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에는 역사가 없는가? -지나사, 동양사에서 중국사에 이르기까지-

        황동란 ( Dong Lan Huang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본고에서는 우선 나카 미치요(那珂通世)의 『지나통사(支那通史)』와 구와바라지쓰조(桑原?藏)의 『중등동양사(中等東洋史)』라는 두 텍스트를 대상으로 메이지(明治) 시기 일본의 지나사와 동양사의 중국/동아시아 역사서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전자는 영국과 프랑스의 문명사관의 영향을 받아, 중국은 찬란한 고대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진(秦)나라 이후 정체되어 발전하지 못하였다고 여겼다. 후자는 랑케를 대표로 하는 독일 근대사학의 민족사 서술을 계승하여,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의 역사를 한족 및 주변의 여러 민족 사이의 경쟁사로 서술하였다. 다음, 청조 말기의 사학자 천칭녠(陳慶年)의 『중국역사교과서(中國歷史敎科書)』가 구와바라 지쓰조의 『중등동양사』를 수정하고 청조 학부에서 천칭녠의 개정본을 수정함으로써 "동양사"가 청조 정부가 인정하고 광범위하게 유통되는 공공지식의 "중국사"로 변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천칭녠은 중국의 전통적인 화이질서와 정통사관에 근거하여 구와바라 원저의 중원 왕조와 주변의 관계를 주종으로 나누지 않는 "동양사" 서술을, 중원 왕조를 주로 하고 주변을 종으로 하며 중원왕조를 정통으로 하고 주변을 비정통으로 하는 "중국사" 서술로 바꾸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Chinese history was described in Meiji Japan and late Imperial China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European historiography. Firstly, the author surveyed the formation of Japan`s historical descriptions of China and East Asia by analyzing two popular textbooks of Chinese history publish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a Brief History of China written by Michiyo Naka, and Secondary Oriental History Textbook by Jitsuzo Kuwabara. Naka, a student of Yukichi Fukuzawa, who was influenced by the progressive views of history from England and France, thought China had a glorious ancient times but had remained unchanging since the Qing Dynasty. On the other hand, Kuwabara, grounded in German historian L. Ranke`s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described the Oriental History as a history of fight and conflict among Han Chinese and their surrounding ethnic groups. Secondly, the author analyzed the Textbook of Chinese History written by Chen Qingnian, a historian in late Qing period. Chen based his work on Kuwabara`s Oriental History but rewrote it into a Chinese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of Huayi (suzerain- subject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surrounding areas). Differing from Kuwabara, who mapped out the Chinese dynasties and its surroundings equivalently, Chen described the Chinese dynasties to be superior to the surroundings. After being revised in more than 400 places according to the orders of the Qing government, Chen`s book was approved as an authorized textbook and played a role in the formation of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로버트 벨라의 종교사회학:

        유승무(Lew Seung Mu)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1

        Robert N. Bellah has been internationally known for his works related to the sociology of religion. Actually he was the author of “Tokugawa Religion”, “Religion and Progress in Modern Asia”, “Beyond Belief”, “Varieties of Civil Religion”, “Habits of the Heart”. “Religion in Human Evolution” etc. which were celebrated works as famous as Max Weber s sociology of religion. But unexpectedly Bellah have not well notified relatively by now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play the whole aspect of Bellah. For th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Bellah s viewpoi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religious reality and social change. On the ground of his perspective, we reviewed one by one his empirical studies. Finally, we discussed how to reappropriate Bellah s works, especially focusing to his writings related to Asia. Summar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of all Bellah s works provide us to important intellectual resources for understanding empirically the interrelation of religious reality(religious symbolics and its meaning) and social change. But Bellah s Asian study has limited implications in that it contain measure originated to the theory of religious evolution which estimate negatively the diverse way and varieties of interactions between religion and social development in Asia. 벨라는 생의 마지막 불꽃을『인류 진화 속의 종교(Religion in Human Evolution)』라는 대작에 바치고 2013년 세상을 떠났다. 그것은, 시간적으로는 구석기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리적으로는 대륙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던 벨라의 학문적 여정의 대미에 다름 아니었다. 이로써, 종교적 상징과 그 의미의 창을 통해 인류사회의 변동을 설명하는 종교사회학적 보편사가 완성 된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는, 베버 이래 베버만큼 중요한 학문적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한국사회에서 벨라 연구는 부분적인 경험연구의 소개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벨라의 종교사회학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조차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개괄적인 차원에서 벨라의 종교사회학의 전모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상징적 실재(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를 바라보는 벨라의 독특한 종교사회학적 시각을 밝혀본 다음, 벨라의 대표적인 경험연구의 내용들을 하나하나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기에서는, 벨라의 효율적 재활용을 고려하여, 전략적 차원에서 벨라의 방대한 경험연구의 내용검토를 종교진화론과 동양사회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벨라의 동양사회론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사회에서 벨라의 수용문제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우리는 벨라가 왜 종교사회학의 거봉으로 평가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벨라의 방법론적 도구인 상징적 실재론이 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였다. 그 도구를 활용하여 벨라는 실제로 종교진화론, 동양사회론, 시민종교론, 마음의 습속 등에 대한 풍부한 종교사회학적 성과를 남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특히 벨라의 동양사회의론에 활용된 척도, 즉 사회발전 및 진보의 척도가 종교진화론에 기초하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동양사회의 발전경로 및 그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진단으로 귀결되었다는 아쉬움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혹은 그렇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것은 동양사회에 관심을 갖는 후학의 과제로 고스란히 남아 있다.

      • KCI등재

        친밀성의 위기를 넘어 동양사회사상의 바다로

        정승안 ( Jung¸ Seung-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사람은 누구나 미래를 궁금해하며 꿈꾸기 마련이다. 한국에서 사회학하는 사람들 중에는 청년기에 사회변혁을 꿈꾸었던 사람들이 많았다. 우리시대의 바로 앞을 걸어갔던 사회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계몽의 시대적 기획을 통해 각성되었으며, 변혁의 시대를 고민했던 세대들이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주된 키워드로 하는 오늘날의 시대에서 우리 사회학자들에게 2세대 선배들의 은퇴를 보는 감회는 새롭다. 그러나 이들은 우리동양사회사상학회와 같이 새로운 정체성을 통해 등장하는 작은 학회나 세대들에게는 오히려 새로운 길을 처음으로 열어가는 1세대에 가깝다. 한 인물과 그 세대에 대한 평가나 분석의 글이 지니는 위험성을 알면서도 조심스럽게 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는 이유이다. 선배교수의 은퇴에 비추어 우리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새로운 주춧돌로 삼고자 함이다. 건암 정학섭 선생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90년대 초반까지는 한국사회의 변혁운동의 흐름과 함께하며 지역의 노동운동 시민사회운동에 헌신하셨다. 이후 동양사상과 사회학의 만남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2011년부터는 7년간 동양사회사상학회의 회장을 맡아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의 확장에도 기여했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위기의 다양한 양상에 대해 퇴계사상을 접목한 ‘친밀성’과 ‘성찰성’의 사회학을 화두로 하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은퇴는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Gray세대와 함께 걸어가고자 하는 우리 학회 회원들의 마음을 담아 미래를 위한 자산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시작한다. Everyone dreams, wondering about the future. Many of the sociologists in Korea dreamed of social change in their youth. Most of the sociologists who walked right in front of our time were awakened through these enlightenment period projects, and were concerned about the era of transformation. In today's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s the main keywords, it is refreshing to see the retirement of second-generation seniors. However, they are more like the first generation to open a new path for small institutions and generations that emerge through new identities, such a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This is why they carefully attempt a sociological analysis of a person and his generation, knowing the dangers of writing about them and their generation. In light of the retirement of senior professors, we want to make it a new cornerstone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Gunam Jeong Hak-seop has been a professor of sociology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85. Until the early 1990s, he devoted himself to the labor movement and civil society movement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movement of Korean society. Since then, he has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theme of the encounter between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sociology. Since 2011, he has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for seven year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Oriental thoughts horizon of sociological interest. Recently, research has continued to be focused on the sociology of 'friendliness' and 'reflection', which incorporate Toegye ideas on various aspects of the crisis in modern society. Retirement marks a new beginning. I start writing with the hope of becoming an asset for the future with the hearts of our academic members who want to walk with the Gray Gene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