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自警編』의 수용 및 간행 판본 연구

        임기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이 연구는 중국 宋나라에서 편찬되고 간행된 여러 서적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많이 읽히고, 간행의 빈도가 잦았던 판본들에 대한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自警編』의 편찬 및 중국 간행 사실에 관한 역사적인 배경과 관련 기록을 살펴보고, 더불어 중국에 전존하는 판본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후 판본의 유통 정황에 대한 기록을 사료에 따라 통시적으로 검토하고, 전존본의 간행 계통 및 판본의 서지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 같은 연구의 결과 『自警編』은 조선 초기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이후 17세기 말까지 꾸준한 빈도로 간행되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7세기 이후에는 朴世采의 증보판 『自警編』으로 알려진 『新修自警編』이 그 수요를 대변하면서, 官이나 私家를 막론하고 주로 유통되었던 정황을 알 수 있었다. 물론, 판본으로 간행되지는 않았으나, 조선 후기 私家를 중심으로 『自警編』의 편제를 모방하여 우리나라의 사례로 본문을 채운 후속 저술들도 속속 등장하고 유통되기도 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tried as a part of a series of books which have been widely read in Korea and published frequently in publishing and publishing in Song Dynasty. From this point of view, we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lated records of the compilation of Jagyungpyun and the facts of publishing in China,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versions existing in China. Then, the records of the publication of the version after the influx into Korea were examined by the feed, an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ing system and the version of the previous vers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Jagyungpyun was published at the steady frequency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fter it was published as the beginni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y, the Shinsujagyungpyun, which is known as Jagyungpyun edition of Park Se –chae, represented the demand, and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ituation that was mainly distributed to the public. Of course, it was not published as a version, but the follow-up writings that filled the text with the example of our country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 KCI등재

        자기치유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金浩然齋의 『自警編』

        성민경 근역한문학회 201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3 No.-

        본고는 金浩然齋(1681~1722)의 『自警編』에 발현된 글쓰기 치료의 기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저자가 내면의 고통을 극복하고 치유로 나아가는 과정에 주목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글쓰기 치료의 효능에 대한 검증은 주로 임상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자경편』은 글쓰기의 치유적 작용 기제인 ‘직면(Confrontation)’, ‘감정정화(Catharsis)’, ‘거리두기(Distancing)’, ‘인지적인 이해(Understanding)’를 모두 보여줌으로써 작자가 경험했을 치유적 효능을 충분히 유추할 수 있었다. 『자경편』의 글쓰기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조건과 그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적극적인 성찰의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줌으로써, 글쓰기를 통해 삶의 고통을 극복하고 치유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분투기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자경편』은 일차적으로는 호연재 자신의 치유를 위한 것이지만, 당대에 질곡을 함께 했던 여성들에게 읽힐 것을 염두에 두고 기술되었다는 점에서 문학이 갖는 시대적 공감과 치유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mechanism of writing therapy expressed in the book of self-admonition(白警篇), Kim Hoyeonjae attempts to focus on the process of overcoming internal pain and moving to healing. Although the validity of the writing therapy has been mainly clinical, the book of self-admonition(白警篇) has been found that the self-confident reading is the 'healing function' of the writing such as 'Confrontation', 'Catharsis', 'Distancing' By showing all the 'Understanding', we were able to deduce the healing efficacy that the author had experienced. The writing of the book of self-admonition(白警篇) is a struggle to overcome the pain of life through writing and to find a way to go to healing by showing the conditions of life given to him and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intending to protect his identity in it Can be given a new meaning. In the first place, the book of self-admonition(白警篇) is for the healing of the self, but since it is described with the idea that it should be read by the women who have accompanied the vagaries in the present time, it is actively practicing the function of the empathy and healing of the period can do.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 규훈서의 분노 감정 이해:『자경편』의 자기배려적 실천을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회 2022 한국여성철학 Vol.38 No.-

        본 논문의 목적은 김호연재(1681-1722)의 『자경편』에서 여성의 분노 감정이 다뤄진 방식에 주목하여, 분노 감정에 대한 유교적 여성의 수양이 단지 감정 억압이 아니라 윤리적 여성주체 형성의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자경편』안에서 일상생활의 표면 아래로 미끄러지는 여성의 분노를 포착하고 이를 통해 조선 여성들이 무엇에 분노했는지, 어떻게 분노했는지, 그리고 조선 여성의 분노 해소 방법이 어떻게 윤리적 인격 완성 차원으로 연결되는지 등을 논의한다. 이렇게 논의를 함으로써 조선 시대 여성 작가의 규훈서가 지니는 다양하고 복잡한 층위를 드러내고, 조선 여성의 감정에 대한 문제 및 윤리적 여성주체에 관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또한 조선 여성들이 가부장적 질서 안에서 어떻게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되고자 했는지, 도덕적 인격 완성과 윤리적 주체 형성에 관한 고민과 실천을 하였는지를 드러낸다. 그리하여 조선 여성들 역시 감정 다스림의 문제를 도덕 실천, 도덕 판단의 요인으로 이해하였다는 것, 감정 수양을 통해 유교 이념의 최종 목표인 성인-되기, 인간-되기에 참여하고자 했다는 결론에 이른다.

      • KCI등재

        『治平要覽』에 반영된 宋儒의 史論과 史觀

        홍승태(Hong Seung Tae)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5

        『治平要覽』은 朝鮮王朝 世宗 23년(1441)에서 27년(1445)까지 4년간의 편찬과정을 거쳐 완성된 150권의 史書이다. 중국 周代로부터 元代까지의 역사기록을 수록하는 동시에 비록 단편적이지만 國史를 수록하고 있다. 이 史書의 특징은 그 書名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治世의 요점을 일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된 일종의 역사평론서이자 정치교과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즉, 史實을 고증하거나 새로운 사료를 발굴한 史書라기보다는, 압축된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정치적 성패와 흥망의 원인을 유교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정리한 史論書라고 말할 수 있다.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治平要覽, 1445), which was compiled by 150-volume in Se-jong of Chosun dynasty, is a history book for looking at the rise and fall of past kingdoms in China and Korea. King Se-jong of Chosun dynasty wanted to acquire political lessons from past history of China and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leave a core of Confucian politics to his descendants.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contains the record of ancient chinese history from Zhou dynasty to Mogol empire, and Korean history from Gija(箕子) Chosun to Goryo. At the same time, a large numbers of historical essays and assessments, written by confucians in Song dynasty, were included in this book. Chosun dynasty set importance on historical experiences of Song Dynast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ecause there were a lot of similarities and a common system in the two dynasties.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is also like a political textbook or guide book provided for king s rule. and mainly adopted a principle that was reflected by Confucius 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with a view of Confucianism.

      • KCI등재

        한국사회의 젠더갈등에 대한 유교적 성찰: 김호연재의 분노 감정 수행성을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4

        본 논문은 분노 다스림에 대한 유교적 수양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젠더갈등과 그로 인해 산출되는 분노 감정을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노가 지니는 저항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인정하지만, 분노는 종종 보복, 상대방의 지위격하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적임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본 논문은 타자와의 관계성, 공동체성을 염두에 두는 성리학적 수양론과 감정론, 특히 조선 후기 여성인 김호연재(1682-1722)가 지은 「자경편」에 나타난 여성의 감정 수양에 주목한다. 「자경편」은 가부장적 젠더규범에 순응할 것을 강조하면서도 조선 여성들의 분노를 포착해 드러내기도 하고, 또 다른 한편 분노표출의 과정에서 여성의 윤리적 주체 형성이 훼손되는 것을 경계하는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호연재가 보여주는 분노 감정 다스림을 통해 분노를 그저 참음이나 용서 혹은 피해를 준 상대방에 대한 앙갚음, 되갚아주기의 측면이 아니라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자기배려의 실천적 차원에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현재 한국사회가 당면한 젠더갈등 및 분노 상황을 성찰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gender conflict that occurs in current Korean society and the anger produced by it, using the Confucian cultivation on anger management. While acknowledging the resistant and positive meaning of anger, I argue that it can often be problematic when it shows retaliation and degradation of the other person's position. To discuss this in detail, this paper focuses on Neo-Confucianism and Emotion which considers relationship and community, especially in Ja-Kyeong-Pyeon written by Kim-Ho-Yeon-Jae(1682-1722), a wo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because while emphasizing compliance with patriarchal gender norms, Ja-Kyeong-Pyeon captures and reveals the anger of Korean women and on the other hand is also vigilant about the ways in which women’s ethical subject formation could be damaged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anger. By discussing feelings of anger shown by Kim-Ho-Yeon-Jae, this paper seeks to reflect upon anger as not just patience, forgiveness, or revenge against the other, but as an issue of self-consideration in relations to subject formation.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gender conflict and anger we are seeing in current society.

      • KCI등재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연구의 쟁점과 문제를 중심으로-

        홍승태 한국사학사학회 2023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8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治平要覽, 1445) 150-volume, which was compiled by scholars from Hall of Worthies in Se-jong of Chosun dynasty, is a book for looking at the rise and fall of past kingdoms in China and national history. King Se-jong wanted to acquire political lessons from past history of China and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leave a core of Confucian politics to his descendants. This book has a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form of general historical books in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s’ which specifies the Lunar calendar and the reign of the monarch, is intentionally omitted. After completing the compilation of the book, Jung In-ji told Sejong, “This book is the Essential text over the historical record that transmits the Confucius’s mind.” This word originally came from A Commentar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ritten by Hu An-Guo in Song Dynasty. This book is also like a political textbook or guide book provided for king's rule. and mainly adopted a principle that was reflected by Confucius'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with a view of Confucianism. This thesis is a new perspective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based on the above 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