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지의 향연 -칸트의 자유의지, 니체의 힘에의 의지, 그리고 율곡의 춘의(春意)-

        김동희 한국수사학회 2021 수사학 Vol.- No.42

        In this research, Kant's Free Will, Nietzsche's Will to Power, and Yulgok's Spring-Will(春意) are fully considered in turn. Concerning a research method, this paper explores how they make it signified the joint signifier of Will. Kant synthesizes the intelligible world of thing-in-itself and the sensible world of phenomena with the middle concept of Free Will as the practical ability of reason, and internalizes the transcendental idea of freedom into the universal autonomy of the rational subject. However, as Kant said, the transcendental ideas are an irresistible illusion of reason that seeks to overcome the limits of experience. If so, the universal autonomy of Free Will, into which the transcendental idea of freedom is internalized, that is,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the moral law can be a symptom of illusion created by the practical desire of the rational subject. In other words, Kant regulates the sensible desire of the body with the desire of the rational subject under the signifier of Free Will. On the contrary, Nietzsche subverts Kant's rational subject's desire into the body-subject's desire under the signifier the intoxicated Will to Power, which is uncontrollably overflowing and swollen will. The world and ‘Body-I’ are nothing other than the Will to Power in terms of interacting forces, so all beings in the world are only relative on the premise of others. Therefore, for Nietzsche, ‘free will’ is not a self-causing autonomy, but only a free spirit obtain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oneself from the interaction of forces. In that regard, ‘Body-I’ in totality is ‘a great reason’, and Kant’s ‘reason’ is ‘a small reason’ that ‘Body-I’ plays with. Yulgok's Spring-Will(春意, Chunyui) is in line with Nietzsche's Will to Power. However, for Nietzsche, since there is a self-overcoming person (Übermensch) who rises up through her(or his) own made split in the world of ‘the wheel of existence’, the world of eternal recurrence can be emergent; so to speak, ‘Body-I’ as a self-overcoming person, ‘Body-I’ creates a world of eternal recurrence. On the other hand, Yulgok's seongin(聖人) is not the creator of a becoming world that recurs infinitely, but the tuner who positions his(or her) own will of mind-and-heart toward the Heavenly Way(天道) of the Heaven-and-Earth(天地) that constantly circulates with giving birth restlessly. In other words, Yulgok's self-overcoming person is not ahead of the Heaven-and-Earth. Rather, as a tuner toward the Heavenly Way the ‘small body’ becomes a ‘big body’ by being united with the Heaven-and-Earth, a becoming world of Li-Gi-Myohap, 본 연구에서는 칸트의 자유의지, 니체의 힘에의 의지, 그리고 율곡의 춘의(春意)를 차례로 고찰하며, 방법론적으로는 칸트·니체·율곡이 의지라는 공동 기표를 어떻게 의미화해 가는지 그 과정을 탐구한다. 칸트는 이성의 실천 능력으로서 자유의지라는 매개념으로 물 자체의 예지세계와 현상의 감성세계를 종합하고, 초월적 자유 이념을 이성 주체의 보편적 자율성으로 내면화시킨다. 그런데 칸트의 언명대로 초월적 자유 이념은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이성의 저항할 수 없는 가상이다. 그렇다면 초월적 자유 이념이 내면화된 자유의지의 보편적 자율성, 곧 도덕적 정언명령은 이성 주체의 실천적 욕망이 만든 가상의 증상일 수 있다. 말하자면, 칸트는 자유의지라는 기표 아래 이성 주체의 욕망으로 몸의 감성적 욕망을 규율한다. 이에 반해 니체는 주체할 수 없이 넘쳐나고 부푼 도취 된 의지로서 힘에의 의지라는 기표 아래에서 칸트의 이성 주체의 욕망을 몸-주체의 감성적 욕망으로 전복한다. 세계와 ‘몸-나’는 힘들이 상호 작용하는 힘에의 의지 외에 아무것도 아니고, 세계의 모든 존재자는 타자를 전제한 상대적 실존일 뿐이다. 그러므로 니체에게 자기 원인적인 자유의지의 자율성이란 없고, 힘과 힘의 상호작용에서 자기를 극복하는 자유롭게 된 정신만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몸-나’ 전체는 큰 이성이고, 칸트의 ‘이성’은 작은 이성으로 ‘몸-나’의 작은 놀이이다. 율곡의 천지의 의사로서 춘의(春意, 봄 의지)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와 상통한다. 그러나 니체에게 있어서 영원회귀의 세계가 창발적일 수 있는 것은 탈출 불가능한 ‘존재의 수레바퀴’라는 세계에 틈을 내고 상승하는 자기 극복자(Übermensch)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자기 극복자로서 ‘몸-나’가 영원회귀의 생성 세계를 창조한다. 이에 반해 율곡의 성인은 영원 회귀하는 생성 세계의 창조자가 아니라, 생생불식(生生不息)하며 순환불이(循環不已)하는 천지의 천도에 그 심지(心志)를 향하도록 입지(立志) 하는 조율자이다. 말하자면 율곡의 자기 극복자는 천지의 천도에 앞서지 않는다. 오히려 조율자로서 ‘작은 몸’이 창발적인 리기묘합의 세계인 천지와 하나 됨(同體)으로써 ‘큰 몸(大體)’이 된다.

      • KCI등재

        생명의 생태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 니체와 쉬바이처를 중심으로

        변순용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6 No.1

        In der vorliegenden Abhandlung handelt sich um den Begriff des Lebens bei A. Schwietzer und F. Nietzsche. Der Begriff des Lebens bei A. Schweitzer und F. Nietzsche ist wichtig in ihrer Philosophie. Während Schweitzer den Begriff des Lebens vor allem mit Solidarität und Verbundensein mit anderem Leben in Zusammenhang bringt, bedeutet das Leben für Nietzsche im wesentlichen genau das Gegenteil, nämlich Konflikt, Kmapf, Ausbeutung und Übermächtigung. Scharfe Kritik übt Schweitzer zudem daran, daß Nietzsche ganz offensichtlich den Willen zum Leben durchgängig in engste Verbindung mit dem Willen zur Macht bringe, d.h., den Willen zur Leben regelrecht mit dem Willen zur Macht identifiziere. Wenn man die Kraft, die nach dem Leben strebt, als Kraft im selbst die Akkumulation von Kraft für das Leben unterscheiden kann, dann den ersteren nimmt Schweitzer, und Nietzsche nimmt den letzteren. Denn ist der Wille zur Macht vielmehr immer und grundsätzlich eine Pluralität von Kräften. Für Schweitzer ist Lebensverneiung nämlich keineswegs immer einfach gleichbedeutend mit Verneinung des Lebens. Es mag sich vielmehr gerade auch hier ein Streben nach Lebensbejahung, nach Lebensverbesserung, nach Lebenssteigerung verbergen. Die beiden Denker haben eine gleiche Ausgangspunkt, aber durch anderen Weg, d.h. Solidarität und Ausbeutungscharakter des Lebens, sind sie zum gleichen Schluß, d.h., die Weltbejahung durch Lebensbejahung, gekommen. 생명 문제에 대한 최근의 논쟁들을 통해 생명에 대한 이해가 근본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기에, 이 논문은 생명에 대한 이해를 서로 상반되었다고 여겨져 왔던 쉬바이처와 니체의 생명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쉬바이처가 생명 개념을 연대성 내지 결합성, 혹은 다른 생명과의 조화를 향한 노력으로 정의한데 반해, 니체는 생명현상의 핵심으로 착취성격을 강조한다. 그러나 니체가 생명의지를 힘의 의지로 보느냐 힘의 축적의 의지로 보느냐의 문제가 남는다. 물론 힘의 축적의 의지도 넓게 보면 힘의 의지에 포함되겠지만, 만약 이 두 의지가 구분된다면, 즉 생명의지가 ‘살려는 힘의 의지 그 자체(Kraft als Kraft)’와 ‘힘을 (가급적 많이) 축적하려는 의지’(Akkumulation von Kraft)로 구분된다면, 쉬바이처는 생명의지를 전자 쪽에, 니체는 후자 쪽에 관심을 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생존을 위한 최소한 내지 적어도 상태유지라는 의미에서의 생명의지와 여러 종(種)간, 종내의 투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힘의 축적을 지향하는 생명의지는 같지만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쉬바이처에게 있어 생명부정은 단순하게 생명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긍정을 향한 노력, 생명개선, 생명의 상승 작용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 결국 쉬바이처와 니체는 생명긍정과 생명부정의 긴장관계에 대하여 힘으로서의 생명의지라는 동일한 출발점을 갖지만, 각각 다른 길을 통해 결국 최종목표인 생명긍정을 통한 세계긍정이라는 곳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니체의 ‘힘에의 의지’ : 자유의지론과 결정론을 넘어서

        손경민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니체의 자유의지론 비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때문에 그는 결정론, 운명론, 비합리적인 신비주의의 옹호자로 종종 오해된다. 그러나 니체는 자유의지론도 결정론도 옹호하지 않으며, 그 이분법적 극단을 넘어 생리-심리학에 근거한 ‘힘에의 의지’라는 제3의 영토를 그려 보여준다. 니체는 자유의지론에 담긴 권력의지를 계보학적으로 추적하고 자유의지 개념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또한 그는 인간의 부자유 의지를 주장하는 결정론을 자연과학적, 도덕적 심급에서 각각 비판하여 그것이 결국 숙명론으로 연결되는 약자의 도덕이자 데카당 도덕임을 드러낸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로서의 이 세계의 유물론적인 메커니즘을 간파한다. 그러나 그것이 법칙을 갖는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는 법칙이라는 것은 인간이 만들어낸 기호 체계를 자연에 투사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며, 필연적 법칙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관념을 부정한다. 따라서 니체가 바라본 힘에의 의지로서의 이 세계는 어떠한 통일적인 법칙도 없이 다양한 힘에의 의지들이 전개되고 분화되어 나가는 끊임없는 생성의 과정일 뿐이다. 창조란 바로 이러한 철학적 관점의 토대 위에서 가능해진다. Nietzsche’s critique of the Theory of Free Will is well known. Because of that, he is often misunderstood as a supporter of determinism, fatalism, and unreasonable mysticism. However, Nietzsche does not support either the theory of free will or determinism and travels beyond the extreme of a dichotomy, so presents the third territory called ‘Will to Power’ based on physio-psychology. Nietzsche genealogically traces the will to power in the theory of free will and reveals the falsities of the concept of free will. In addition, he criticizes determinism which advocates a human’s lack of free will(unfree will) in natural science and on a moral level, hence he discloses that the determinism leading to fatalism is not only a moral of the weak but also a moral of décadent. He penetrates the material mechanism of the world as the will to power, but he denies it has laws. He regards laws as the things that human beings invent. These laws are no more than a system of signs applied to nature and Nietzsche denies this idea that necessary laws govern the world. Therefore, this world as will to power by Nietzsche is a constant, becoming course which various wills to power develop and differentiate without any unified laws. Creation can be possible on the basis of such a philosophical perspective.

      • KCI등재

        설교의 문제에서 의지력의 적용 -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

        김충렬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본 연구는 설교에서 의지력의 적용을 목회상담학적으로 시도한다. 설교는 개신교의 교회를 지탱해온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인정된다. 그런 이유로 설교가 약화되면 교인의 신앙은 물론 교회의 성장에도 문제가 유발된다. 그러면 교인의 신앙이나 교회의 정체상태에서는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설교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설교의 문제로 보고, 이를 현대 설교의 역사적 관점에 기대어 고찰한다. 설교의 문제와 관련하여 현대설교를 그 바탕으로 한다. 개신교의 설교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정해진 본문을 통하여 정확한 말씀의 해석, 그 말씀이 주는 교훈, 그리고 기독교인으로서 말씀에 합당한 생활과 영적 성장 등 실로 다양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들은 모두 교인에게 힘을 주는 요소로서의 의지적인 요인을 부각시키지 않은 채, 단순한 신앙적 교훈이나 교리에 대한 교육에 치중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 이런 시각에서 이제 설교는 교인에게 힘을 주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해진다. 교인이 설교자의 설교를 듣고 생활의 활력을 얻어 세상에서 힘 있게 살아가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는 설교에서 힘을 주는 요소로서 의지력의 적용이 가능한지를 시도하려는 이유다. 이런 점에서 설교의 문제에서 의지력의 적용을 그 대안의 하나로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그 대안을 제시한다. 의지력의 적용은 설교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한다. 그래서 이런 시도는 다소 생소하기도 하고, 그에 대한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다. 그래도 이런 것이 시발점으로 되어 더 많은 설교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시 될 것이다. The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will power in sermon in view of ministry counseling. Sermon is recognized as the most powerful method to sustain Protestant church. Therefore if the sermon is weakened, not only the faith of the believer but also church growing has problems. There are several reasons of stagnant state of believer's faith and church growing. Among them the problem of sermon is at the center. Regarding this phenomenon as the problem of sermon, investigate it in historical view of modern sermon. Concerning the problem of sermo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ermon is the ground. Protestant sermon has various factors. Truly it is, for examples, the accurate interpretation of given passage, instruction of the words, proper life according to the words as Christian and spiritual growth, etc. But these factors stress simple religious instruction or doctrinal education regardless of will power as the factor of strengthening believers. This is the reason to find 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will power as the factor of strengthening in sermon. Therefore this argues that the main concern of the christian preaching is net on its rhetorical art, but on power of will to teach. Because of this, it is required the study of the factor that gives strength in sermon. Focusing on the problem of the sermon, this thesis has elucidated the application of will power in sermon as an alternative idea in view of ministry counseling. In effect, this study helps preaching to prospect its theological task and direction henceforward.

      • KCI등재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Until now the interpretations of Nietzsche’s will to power has been accomplished endless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it originally and it is meaningless to add to another thing which is trivial and commonsense. Nevertheless we should not ignore them. If so, how can we escape from this dilemma or moderate it? This paper suggests such a method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all illuminate the cardinal characteristics of the will to power by describing the sources of it independent of particular viewpoints. This requires that we should investigate Schopenhauer’s concept of will. Next among many interpretations we will analyse two representative i.e. those of Heidegger and Deleuze. The former shows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 and the latter post-metaphysical interpretation. Finally we shall make a starting point for criticising fascistic misunderstanding and further demonstrate which position is more probable. This course is made possible by means of the Dionysisch that Nietzsche had been interested in his all life. Because the direct comparison of two thoughts will make us fall in another hermeneutic circle which needs the preunderstanding of their whole work that is not yet possible.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은 지금까지 수없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독창적인 해석을 하기는 쉽지 않고 그렇다고 평범하고 일반적인 한 가지 해석을또 한 가지 덧붙이는 것은 큰 의미를 갖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기왕의해석들을 전적으로 무시하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의 논의가 이 난국에서 벗어나거나 최소한 그것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까? 이 글은 그러한 방식으로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우선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이 발원한 원천을제시함으로써 특정한 해석들에 의존하지 않고 힘에의 의지가 가진 근본 특성들을 조명해 본다. 이는 니체가 특히 초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던 쇼펜하우어의의지 개념에 대한 검토를 요구한다. 다음으로 많은 입장들 가운데 니체의 힘에의 의지에 대한 대표적 해석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하이데거의 해석과 들뢰즈의 해석이 그것들이다. 전자는 형이상학적 해석을 대변하고, 후자는탈(脫)형이상학적 해석의 전형을 보여준다. 끝으로 이 두 가지 해석의 공통점을통해 힘에의 의지에 대한 파시즘적 오독을 불식시킬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더 나아가 어느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를 논증한다. 이 과정은 직접 두입장을 비교하지 않고 니체의 전후기 사상에 걸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Dionysisch)에 관한 니체의 견해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이같은 방식을 택한 이유는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하이데거와 들뢰즈 견해의 직접비교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그들의 사상 전체에 대한 선이해를 요구하는 또 다른해석학적 순환에 마주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다른 기회에 이루어져야 하는 더큰 규모의 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힘에의 의지에 대한 건강철학적 해명. 힘에의 의지의 속성으로서의 "균형"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이상범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본 논문은 니체의 개념 "힘에의 의지"에 담긴 속성으로서의 "균형"을 건강철학의 관점에서 해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니체의 철학에서 실존의 균형을 잡는다는 것은 곧 내가 내 삶의 중심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과 악, 건강과 병, 상승과 하강, 성장과 퇴락, 행복과 불행 등 '가치의 경계'에 서 있는 존재이다. 하지만 가치의 형이상학적-종교적 이원화 속에서 그는 스스로 가치를 설정할 수 있는 힘과 의지를 상실했다. 그래서 니체는 인간의 실존적 건강에 중요한 조건을 바로 '실존의 경계'에서 이원화된 가치를 자기 삶의 조건을 바탕으로 평가할 수 실존의 균형을 제시했다. 그리고 니체는 자신의 철학에서 이와 같은 실존의 균형을 유지하는 인간 내면의 원리를 힘에의 의지로 제시한다. 힘에의 의지는 인간 안에서 매순간 변화하는 균형을 유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속성은 건강과 병에도 온전히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힘에의 의지의 균형은 의철학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ain "Balance" as an attribute contained in Nietzsche's concept "will to power "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philosophy. The Balance of Existence in Nietzsche's philosophy means the fact that I am the center of my life. Humans are essentially standing at the 'Boundary of Value' such as good and evil, health and illness, rising and falling, growth and degradation, happiness and unhappiness. However, in the metaphysical-religious dualization of values, he lost the Power and Will to set values for himself. Therefore, Nietzsche suggested an existential balance that can evaluate dualized values based on the conditions of his life in the Boundary of Value, that are important for human existential health. And in his philosophy, Nietzsche presents the principle of the inner human being that maintains this Balance of Existence as Will to Power. The Will to Power has the Attribute of maintaining a balance that changes every moment in humans. And this Attribute can be fully applied to health and diseas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Balance of Will to Power can also be applied to Philosophy of Medicine.

      • KCI등재

        니체의 인과 비판과 주체의 문제 - 기연주의적 요소를 통한 ‘힘에의 의지’의 비인과성 고찰

        홍사현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Das Ziel dieser Abhandlung liegt darin, die nietzscheanische Kritik am Kausalismus, an der an Ursache/Wirkung und Absicht/Zweck orientierten Kausalität, hauptsächlich in Bezug auf den Begriff Wille zur Macht zu untersuchen. Dadurch zeigt sich deutlich, an welchem Punkt sich Nietzsches Denken von dem neuzeitlichen mechanistischen Weltbild wie dem teleologischen Denken und Determinismus scheidet. Hinsichtlich der Kritik am Mechanismus aber ist Nietzsches a-kausales Denken mit jenem Occasionalismus zu vergleichen, der in der Neuzeit kurz aufgetreten ist und gegen die mechanistische Kausalität von Descartes kritisiert hat. Nietzsche geht davon aus, daß der tiefe Glaube an Ursache wie Täter,Subjekt, Gott, Substanz, sogar Ding an sich und Wille als causa efficiens bzw. causa finalis in jedem unseren Urteil und im Wahrheit-Begriff wurzelt, und daßdieser Glaube jedoch auf keinem Tatbestand gründet, sondern auf der Fiktion,denn wir haben selbst solchen Ursache-Begriff in die Dinge und in das Geschehen hineingestellt, nämlich hineininterpretiert. In diesem Zusammenhang sagt Nietzsche, daß die Kausalität und die Wahrheit grundlegend in der Interpretation besteht, also im Irrtum. Nietzsches Kritik am Subjekt geht auch mit dieser Fiktionalität der Wahrheit Hand in Hand. Der Cartesische Ich-Begriff sei nach Nietzsche auch als wirkende Ursache erdichtet und konstruiert, und in dem Cartesischen Satz ‘ich denke’ befinde sich keineswegs das Unmittelbar-Gewisse. Statt des traditionellen Subjekt-Begriffes, der nach Nietzsche aus der Gewohnheit abgeleitet ist, an der grammatischen Struktur von Subjekt-Prädikat zu glauben, spricht Nietzsche von dem akausalen, aus Vielheit organisierten Leib-Subjekt, bei dem es sich um den Wille zur Macht handelt. 본 논문의 과제는 니체의 사유를 인과성 비판의 문제를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니체의 철학이 근대철학과 결별하는 지점과 그 내용을 드러내고자 한다. 근대철학에서는 인과적 힘의 소재가 어디냐의 문제를 둘러싼 입장차이가 있었지만, 인과적 힘의 상정은 당연한 전제였다. 그러나 현대철학에서는기본적으로 인과적 힘이라는 전제 자체를 거부한다. 이에 따라 ‘힘에의 의지’개념을 중심으로 니체가 근대 기계론의 작용인 개념이나 목적론적 필연성 개념을 왜, 그리고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니체의 비인과적, 현대적사유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근대에서 잠시 등장했다 거의 잊혀지다시피한 기연주의(Occasionalism)의 비인과적 사유가 니체의 사유와 비교가능한지 타진해 보는 일은 니체의 인과비판에서 우연적 원인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확인하고,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필연성이 전통적인 필연성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해명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니체가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관계에 대한 비판을 통해 인과적, 목적론적, 결정론적 사유를 거부한다면, 이때인과의 문제는 결국 진리의 문제와 연관된다. 참/거짓이 대립적 관계가 아닌니체의 사유에서 인과를 토대로 하는 진리 개념 역시 힘에의 의지라는 해석행위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인과 문제를 통해 전통 형이상학의모든 전제들을 비판함으로써 니체는 주체 개념의 극단적인 비판에 도달한다. 그는 원인에 대한 믿음은 궁극적으로 주체에 대한 믿음이기 때문에, 진리 개념과 마찬가지로 주체 개념 역시 인간의 해석 행위에 의해 허구로 구성된 것에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원인으로서의 전통적인 실체적 주체, 또는 데카르트적 이성적 자아 대신, 내재적이고 역동적인 힘들의 관계로 복합적 조직을 이루고 있는 비인과적인 몸주체가 니체의 힘에의 의지라는 주체 개념을 설명한다.

      • KCI등재

        법의 근원의 문제 - 헤겔의 자유의지와 니체의 힘에의 의지

        원준호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klar zu machen, wie der freie Wille bei Hegel und der Wille zur Macht bei Nietzsche als Ursprung des Rechts begruendet werden. Die Rechtstheorien von Hegel und Nietzsche gehen vom Willen aus und zielen auf Entwicklungen der Freiheit. Aber waehrend Hegel die Entwicklung der Freiheit aufgrund des freien Willen als Selbstbewegung der Idee der Freiheit behauptet, rechtfertigt Nietzsche die Aufdeckung der Freiheit aufgrund des Willen zur Macht als Instinkt der Freiheit. Hegel stellt fest, dass das Verhaeltnis von Recht und Pflicht anhand des Vertrags zwischen den abstrakten Rechtspersonen in das moralische, und ferner das sittliche Verhaeltnis aufgehoben werden soll, waehrend Nietzsche das Verhaeltnis von Recht und Pflicht durch einen Vertrag zwischen den Individuen als Grundmodell der Gerechtigkeit verteidigt. In Bezug auf die Strafe betont Hegel die Wiederherstellung des verletzten Rechts durch das Allemeine, waehrend Nietzsche die verkehrten Funktionen der Strafe kritisiert, welche mit Herrschaftsverhaeltnissen der Gesellschaft einhergehen, und ferner eine Selbstaufhebung der Gerechtigkeit anhand der Gnade vorstellt, welche sich von der Strafe als aeusserlichem Zwang unterscheidet. Trotz der unuebersehbaren Unterschiede zwischen Hegel und Nietzsche ist es zu erwarten, dass die Entwiklung des freien Willens eine stabile Verwirklichung der sittlichen Freiheit garantiert, sowie die Entwicklung des Willens zur Macht ein besseres Leben verspricht. 이 글의 목적은 헤겔에게 있어서의 자유의지와 니체에게 있어서의 힘에의 의지가 어떻게 법의 근원으로 제시되는가를 비교하는데 있다. 헤겔과 니체는 의지로부터 법의 근거를 정초한다는 점과 법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목적을 자유로 규정한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헤겔은 자유의 개념과 현존재를 일치시켜가는 자유이념의 자기운동으로 전개되는 자유의지를 근거로 자유의 진보를 주장하는데 비해,니체는 생명체의 자유 본능의 발현인 힘에의 의지를 근거로 자유의 성취를 주장한다. 또한 헤겔이 개인 간의 계약에서 구성되는 권리와 의무가 도덕적 및 인륜적권리와 의무로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규정한 데 비해, 니체는 개인 간의 계약을통한 권리와 의무를 힘의 균등함을 바탕으로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정의로 확정한다. 헤겔은 범죄자에 대한 보복이 아니라 범죄자 및 일반자의 권리를 복원하는데에 형벌의 의의를 두는데 비해, 니체는 채권자에 대한 채무자의 보복을 수반하는정의의 복구로부터 형벌의 기원을 봄과 동시에 이로부터 파생되어 확장된, 지배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위해 기능하는 형벌의 전도된 가치체계에 대한 비판에 주력하며 자비나 자기처벌 등을 통한 정의의 자기 지양을 제안하기도 한다. 자유의지와힘에의 의지가 법의 근원으로 제시되는 방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헤겔에게 있어서 자유의지의 발전이 인륜적 자유를 안정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이 되듯이, 니체에게 있어서 힘에의 의지의 발전은 범죄, 양심의 가책을 줄이고 보다 나은 삶으로나아가는 방법이 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 KCI등재

        니체의 언어 이론을 통해 살펴본 힘에의 의지

        탁은창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4

        이 글은 니체 철학의 주요 개념인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을 둘러싼 오해를 해소하고, 근대적 주체가 봉착한 궁지를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주체성을 사유하는 데 그의 언어 이론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힘에의 의지와 관련된 오해는 다양하지만, 그중 개념 자체로 인해 발생하는 오해는 섬세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근대적 주체성은 주어 중심의 문법에 대한 믿음에서 발생한다는 게 니체의 생각이다. 그렇다면 문법적 주어 자리에 있는 힘에의 의지 또한 그러한 믿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니체는 그의 언어 이론에서 주어와 술어 관계를 재정립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힘에의 의지라는 이름 자체가 술어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술어적 특성을 가진 주어로서의 힘에의 의지는 근대의 주체와 달리 변화와 생성을 사유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성이다. 실체성과 개체성을 기초로 하는 근대적 주체는 그 자체로 변화와 생성에 대립하기 때문이다. 현대의 사유와 학문은 세계와 인간 모두 변화하는 것으로 사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니체의 힘에의 의지는 이러한 흐름에 철학적 이해의 단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This article argues that Nietzsche’s linguistic theory is necessary to clear up the misconceptions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will to power, a key concept in Nietzsche’s philosophy, and to conceive of a new subjectivity to avoid the predicament of the modern subject. There are various misconceptions related to will to power, but the misunderstanding arising from the concept itself needs to be carefully examined. In Nietzsche’s view, modern subjectivity arises from a belief in a subject-centered grammar. If so, the will to power in the grammatical subject position cannot be free from such a belief. Nietzsche solves this problem by redefining the subject-predicate relationship in his theory of language. The very name “will to power” implies a predicative character. The will to power as a subject with predicative qualities is a new subjectivity that, unlike the modern subject, is capable of thinking change and creation. This is because the modern subject, based on substantiality and individuality, is itself opposed to change and creation. Contemporary thought and scholarship are moving toward thinking about both the world and human beings as changing. Nietzsche’s Will to Power provides a ground for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is trend, and it is important to clarify its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