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힐링 비디오 아트의 감성과 색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The form of media has advanced and diversified substantially that human experience of today became more coherent with these media, making it possible for audio-visual media to expand its role to help treat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The "Healing Art", healing therapy using paintings, music, dynamic images etc. is practiced by specialized experts and also by individuals, which is becoming widely accepted. Healing art also has been used as a psychological stabilizer for these art forms. Particularly in this study, we define a various scope of videos that are manufactured based on healing music to induce stability and relaxation for the soul, as “a healing video art.”This study figures out healing colors that affects on the emotional message transfer from presentation elements of the healing video art, and then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 and healing color attributes. In order to build a framework of theoretical affect analysis in the healing video art, this study presents a new circumplex model of emotion by mapping Rusell’s circumplex model of affect and Hevner’s emotional adjectives model. The healing color is derived from IRI adjective image scale and color image scale in the new circumplex emotion model.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9 emotional adjectives such as 'satisfying', 'soothing', and 'tranquil' etc. are represented as emotional images of the healing video art. This study shows that these emotional adjectives are closely related with 10 healing main colors and 20 healing sub colors. These colors are neither excessively dynamic nor absolutely static in terms of the healing color positioning of the IRI color image scale. In addition, these colors do not seem neither soft nor hard. Also the characteristic analysis shows that the color attribute, which is related to healing of emotion, is affected immensely by the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in the color system rather than the hue. 다양한 매체의 발달은 인간의 체험을 점점 더 미디어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으며 미디어 수용자들은 시청각 매체를 휴식은 물론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음악, 그림 등 치유(healing)의 목적으로 제작된 힐링 아트(healing art)를 전문 기관이나 개인들이 활용하는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힐링 뮤직(healing music)을 기반으로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영상을 힐링 비디오 아트(healing video art)’라 정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힐링 비디오 아트의 영상 미학적 표현 요소 중 감성 메시지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힐링 색채(healing color)를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감성과 색채 속성의 상관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힐링 비디오 아트의 이론적 감성분석 기준 틀을 정립하기 위해 제임스 러셀(J. Rusell)의 감정원형모델과 헤브너(K. Hevner)의 음악적 감성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감성원형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분석을 위한 힐링 색채는 새로운 감성원형모델의 감성형용사를 기반으로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과 색채 이미지 스케일(color image scale)을 사용해 도출했다. 연구결과 힐링 비디오 아트의 감성이미지를 대표하는 감성형용사로 만족스런(satisfying), 위로하는(soothing), 평온한(tranquil) 등 9개의 감성형용사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감성형용사와 연관된 힐링 색채로 IRI 색채 이미지 스케일에 따른 힐링 색채의 포지셔닝을 통해 10개의 메인컬러와 20개의 서브컬러를 도출했다. 힐링 색채는 동적(active)이지 않으며 그렇다고 매우 정적인(static) 특성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냈다. 또한 이들 색채들은 매우 딱딱한(hard) 특성은 물론 매우 부드러운(soft) 특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힐링 색채의 특성 분석을 통해 힐링의 감성과 연관된 색채의 속성은 색상(hue)보다는 명도(brightness)와 채도(saturation)가 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힐링열풍과 관광개발: 개념,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례

        이진형,박종선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힐링관광(healing tourism)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와 홈페이지 및 신문기사에 나타난 힐링 관광자 원개발 사례분석을 통하여 탐색적 수준에서 힐링관광이 나타나게 되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찰해보고, 의료 관광, 건강관광, 웰니스관광과 힐링관광간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힐링의 개념을 도입한우리나라의 세 가지 관광개발 사례를(장흥 편백숲 우드랜드, 홍천 선마을 힐리언스, 제천 리폼 포레스트) 비교해 봄으로써 힐링관광개념을 도입한 관광개발이 어떠한 속성을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 하였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힐링열풍이 관광개발에 지속적으로 적용될 것인지 여부에 대 해서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힐링과 힐링관광은 학문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산업체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마케팅 용어에 가깝다는 점과 학문적으로는 웰니스관광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힐링관광은 개념적으로 보았을 때 크게 보아 헬스케어 관광 작게는 웰니스관광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명상, 요가, 트레킹(trekking), 스파(spa), 음식을 통한 치유를 그 핵심 콘텐츠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힐링열풍은 무제한의 물질주의와냉혹한 경쟁이 팽배해 있는 우 리나라에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추후지자체나 관광기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관광객들의 힐링 니즈를 잘 파악하여 새로운힐링 관광자원이나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나가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연구의 말미에서 힐링관광과 관련된 추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힐링 영상 콘텐츠의 예술 · 문화적 의미와 역할 -〈나쓰메 우인장〉을 중심으로-

        궈후이팅(Guo Hui-ting),박성원(Park Sung-w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5

        세계 각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유명하며 ‘힐링’, 이 단어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통해 세계로 나간다. 힐링은 ‘healing’이라는 영어 단어에서 유래한 말로 회복, 치료, 유합함(감정적 상처의 유합)을 의미하며, 이는 건강을 회복하거나 순화하는 행위를 뜻한다. 힐링은 사람들의 내면의 두려움과 슬픔을 치료하는 예술이다. 이는 일종의 부가체로, 점점 사람의 심리 및 감정 상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심리적 부담이 누적된 사람이 스트레스를 덜 받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이자 수단이다. 현대사회의 빠른 생활 리듬은 사람들의 심신을 지치게 한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마음의 안정과 즐거운 방법을 찾고 있다. 그래서 ‘힐링물’ 애니메이션의 시장은 시장과 사회적 욕구, 발전 여력이 크다. 이 때문에 ‘힐링물’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상업적인 오락효과를 추구하는 영화도 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 만화가 미도리카와 유키 씨(緑川 ゆき)의 애니메이션 작품 〈나쓰메 우인장〉 속의 캐릭터 디자인 부분을 통해 ‘힐링’ 요소와 결합해 애니메이션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힐링물’ 요소의 예술적 치유 기능을 분석한다. 연구의 이론적 성과를 통해 ‘힐링’ 문화, ‘힐링’ 영상의 인지, 전파와 심리적 치유의 작용에 대해 많은 전문가와 일반 시청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논문은 주로 문헌연구법과 영화 관람의 방법을 적용해 힐링 영상 소재의 치유 기능을 논증하는 새로운 논점과 아이디어를 찾다. 논문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따라 네 사람을 인터뷰했다. 인터뷰의 결과는 사람들이 애니메이션 속의 평범한 디테일에 쉽게 감동할 수 있고, 느린 스토리 리듬과 쉬운 스토리 내용, 현실의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캐릭터가 피로한 마음을 치유하는 기능이 있다. The word “healing department” is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through Japanese animation. “Healing” is derived from the English word healing; healing; healing; healing(of emotional wounds), the act of healing or purifying a person. “Healing is the art of healing people’s inner fears and sorrows. It is an additional vehicle that implicitly influences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ditions. It is an act or device used to relieve stress by people who are under excessive stress or psychological strain. Today’s fast-paced life is exhausting, and people are constantly looking for ways to relax and enjoy themselves. Therefore, the “Healing Department” animation market has great market, social demand and development space. As a result, more and more films are labeled “healing departments” but are pursuing commercial entertainment. So this paper seeks to find out how to animate the movie effectively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healing and the elements of healing system through the character design part of Japanese cartoonist Yuki Nogawa’s book “Hatomiya”. Art Healing Function. It is hoped that the theoretical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appeal to more professionals and general audiences to pay attention to the culture of “healing”, the cognitive spread of “healing” images, and the role of psychological healing. The paper mainly uses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movie viewing research method to find new arguments and ideas to prove healing function of healing image material. Four friends were interviewed for supporting and reliability of thesis arguments.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everyone is easily moved by the ordinary details of the animation, the movie is easy to see, the plot is simple, the characters are close to the real world, and the ability to heal people’s fatigue.

      • KCI등재

        힐링(Healing)과 연관된 개념의 변천과 트렌드 동향 분석 - 웰빙(Well-being), 웰니스(Wellness), 힐링(Healing)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최지안,이진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Although the 21st century society is in a convenient life and material abundance, it is aimed at the ideal healing that pursues the healing and recovery of the body and mind caused by the severe stress such as polluted environment and various diseases, It is spreading and changing.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collection, and previous research on the concepts related to healing, research methods to grasp these changes and trends were reorganized and the basis of classification analysis was laid ou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content and trend flow of Healing–related concepts such as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over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onsequently reveal features of Healing trend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selected within the treatis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 KCI, registered from 1996 to 2018 by apply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with keywords: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The search result showed 532 papers found with a key word ‘Wellbeing’, 573 for ‘Wellness’ and 229 for ‘Hea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ctorial analysis, Wellbeing was surveyed in the orde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Nature and Science > and Engineering and others. Wellness was in the ordered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Nature and Science > Engineering and others. Lastly, Healing was in the orde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Arts and Physical Education > Nature and Science > Engineering and others. The Research trends of Healing-related concepts were observed in various disciplines, and the studies in a field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hich include Design, Interior, Beauty Art, Physical Education, Health Care and Life Health Management, was especially shown to have increas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number of studies on Wellness started to outstandingly increase since 2013. This leads to a combinatio n of diverse fields, and in modern times where environmental problems and weather change s are common, all elements of Wellness are becoming essential elements for healing. It can be seen that Healing space inseparably applied to life is transformed into a total complex cultural space pursuing essential happiness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ransitions of Healing-related concepts and Healing trends, and is sincerely hop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Healing. 21세기 사회는 편리한 생활과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 있지만 오염된 환경과 다양한 질병 등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힐링을 지향하게 되면서, 다양한 힐링 문화가 모든 영역으로전파되며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힐링과 연관된 개념의 문헌과 자료수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술논문의 분야별 특성을 재정리하여 분류분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분석범위는 1996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의 KCI등재된 국내 학술논문으로 한정하여 ‘웰빙’, 웰니스’, ‘힐링’을 키워드로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웰빙, 웰니스, 힐링)의 시대적 변천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의 내용과 추세의 흐름에 관한 성향을 파악하여, 힐링 트렌드의 동향을 파악하고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웰빙’은 532편, ‘웰니스’는 573편, ‘힐링’은 229편으로 조사되었다. 분야별 분석 결과 ‘웰빙’은 인문·사회 >예술·체육 >자연·과학>공학·기타 순으로 조사되었고, ‘웰니스’에서는 예술·체육>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기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힐링’은 인문·사회>예술·체육 >자연·과학>공학· 기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힐링과 연관된 개념들의 연구 경향이 나타났고, 2013년 이후로는‘웰니스’의 연구가 월등히 높아지고 있었다. 이는 다양한 영역의 광범위한 분야의 결합과 확대로 이어지고,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기상변화가 일상화 되는 현대에서는 친환경이 아니라 이제는 필(必)환경시대에 진입했다는 사회적 분위기로 웰니스의 모든 요소가 필수적인 힐링을 위한 기본 요소가 되고 있으며, 힐링 공간은 총체적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힐링과 연관된 개념(웰빙, 웰니스, 힐링)의 변천과 힐링트렌드 동향을 조명하고, 힐링과 연관된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힐링목회를 위한 영성학적 힐링의 의미 고찰 - 헨리 나우웬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21세기 들어 한국인들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힐링을 갈망하고 있다. 목회가 시대 적인 필요에 대한 신학적 응전이라고 한다면 힐링목회를 위해 힐링의 신학적 의미를 고찰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연 구한 힐링을 필요로 하는 원인들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힐링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 으로 한국사회의 철학적, 사회복지학적, 그리고 종교학적 담론들을 살펴 보았다. 이어 서 힐링에 대한 신학적 이해에 참고하고자 융 심리학에 기초한 목회상담학적 관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융이 심리학적 힐링을 위해 종교경험의 중요성을 역설했음을 살펴 보았다. 끝으로 신학적 힐링목회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많은 목회자들에게 21 세기에도 영성적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헨리 나우웬의 목회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 다. 헨리 나우웬은 목회란 예수님의 사역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이해하며 세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과거의 상처들을 대면하고 치유하도록 돕 는 자이다. 일반적으로 신자들은 과거의 상처에 얽매어 하나님이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신자들에게 과거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영성적이고 신학적 으로 안전한 힐링의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다. 둘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현재 지속되는 새로운 상처들을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인간의 삶이란 상처를 주 고 받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기에 성령의 임재를 통해 지속되는 삶의 상처를 지탱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셋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현재의 지속되는 상처들을 지 탱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도록 영감을 불어 넣어야 한다. 대부분 의 신자들은 삶의 상처에 눌려 젊었을 때 추구하였던 바람직한 삶에 대한 비전을 상 실하고 살 수 있는데 목회란 그들에게 새로운 삶의 비전을 불어 넣는 것이다. 헨리 나우웬은 그러한 목회를 위해 목회자는 말씀묵상 훈련과 기도의 삶을 통한 영성훈련 의 삶을 지속해야 함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헨리 나우웬의 가르침에 의하면 목회란 상처를 받지 않는 삶을 약속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는 상처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도록 이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힐링을 갈망하는 세상에 서 교회가 추구하고 보여 주어야 할 삶의 한 양식이 될 것이다. Nowadays more and more Korean people are eager for the experience of healing, because they feel that they are overburdened by many reasons. If we define the task of ministry as the theological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people, the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eaning of theological healing. This research reviewed Samsung Global Research’s report that analyzes the reasons Korean people need healing. Then it explored the various aspects of healing: philosophical view, social welfare position, religious view, and pastoral counseling viewpoint based on Jungian psychology. Finally, it reviewed Henry Nouwen’s view on the ministry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Nouwen believed that the ministry is to follow the ministry of Jesus, which is characterized by making the church members confront their past sufferings, sustain their present sufferings, and lead them to the future of a life that fulfills God’ will beyond their ongoing sufferings. First, confronting past sufferings means to offer a safe moment of healing to church members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Many Christians live with unsolved past pains, so they are not healthy enough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for the life fulfilling God’s will. Second, to sustain the present pains means to live in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hile present pains remain persistent. The pastor helps the believers experience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ho goes through their consistent pains, just as the Father did with Jesus as He shared Jesus’ suffering on the Cross. Third, to lead the believers to the fulfilling life of the Father’s will is to offer the inspiration of that life to the church members because many Christians could live without the vision of achieving God’s will, especially when they are overburdened by the sufferings of life. Finally, Nouwen stressed that the pastor should live a spiritual life to imitate the ministry of Jesus, specifically his ministry of healing. He suggested two basic spiritual disciplines: mediation on the Word of God and prayer life. The Bible is full of stories that inspire people towards a life committed to God’ will. Prayer life makes the pastor filled with the inner life of God, so it overflows to their church members.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healing is not about a life without suffering, but about life alongside pain. Although Christians experience their ongoing sufferings it does not matter because of God’s grace. This is the theological meaning of healing which the church members are to experience and to testify to the suffering world.

      • KCI등재후보

        방한 중국관광객의 힐링체험 관여도, 서비스 요구도, 행동의도 간의 관계

        손경희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4

        중국은 1997년 개인적인 아웃바운드 관광을 허용한 이래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관광시 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부산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112명을 대상으 로 힐링체험 관여도,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도, 힐링체험행동의도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힐링체험 관여도는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는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도가 힐링체험 관여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힐링체험 관여도는 힐링체험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힐링체험 행동의도 요인 중, 관광행동 변화의도 요인과 건강관련 상품선택 요인은 힐링체험 관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관련 상품선택 요인은 힐링체험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도가 힐링체험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힐링체험 행동의 도의 하위 요인 3개(관광행동 변화의도 요인, 건강관련 상품선택 요인,관광관련 상품선택 요인) 모두는 힐링체험 서비스 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ina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tourism market in the world since 1997, whichallowed individual outbound tour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relationship among healing involvement, service demand, and behavioral intention ofhealth tourism by Chinese tourists focused on Busan at october-december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ealing involvement has had apositive effect on healing service de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ealing service demand to healing involvement. Second, the healing involvemen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Behavioral intention among factors, health-related merchandise selection factor, andtourist behavior change factor we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ealing involvement. Then, the tourism-related goods selection factor was found not to affect the healinginvolvement. Third, the healing service dem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intention. Three sub-factors of behavioral intention (tourism behavior change factor,health-related merchandise selection factor, tourism-related product selection factor), allof which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ing service demand.

      • KCI등재

        감성소비시대의 힐링디자인 현상에 관한 연구

        임현숙 ( Lim Hyun-su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최근 시대적 화두인 ‘힐링’과 맞물려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힐링 현상’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 측면에서 그동안 전개되어 온 힐링마케팅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여 힐링마케팅의 수단인 힐링디자인의 활용 현황과 표현 특성을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론적 고찰은 선행연구를 통해,‘힐링’과 ‘감성소비시대’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감성디자인과 힐링디자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어 본론에서는 힐링마케팅 활동과 힐링디자인 활용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표적 사례를 자료 수집하였다. 힐링디자인의 활용과 그 표현적 특성 분석은 ‘감성 자극을 통한 심리적 힐링’, ‘시각(視覺) 자극을 통한 주관적 힐링’, ‘에코힐링 참여를 통한 관계적 힐링’으로 분류하여 힐링디자인의 현상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힐링마케팅 활동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추론하였고, 결국 힐링디자인은 감성자극을 통한 심리적 치유가 우선되고 있으며, 인간의 감각 중 시각중심의 주관적 치유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간의 사회적 참여를 통한 관계적 위안 및 치유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is a study on the 'healing phenomenon' which is activated more in conjunction with ‘healing', a topic of recent yea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healing marketing activit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in terms of marketing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o classify the utilization stat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healing design which is a means of healing marketing an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review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design and healing desig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ealing' and 'emotional consumption era'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n the main text, we collected data on representative cases using internet sites to analyze the healing marketing activities and examples of healing design use. The use of healing design and analysis of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emotional stimulation', 'subjective healing through visual stimulation', and 'relational healing through participation in eco-healing'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healing design. In conclusion, we inferr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healing marketing activities, finally deriving conclusions that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emotional stimulation is prioritized in healing design and the visual-centered subjective healing of human senses and the relational consolation and healing through the social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living with nature form the basis.

      • KCI등재

        기획논문 : 동양철학의 생명관과 힐링콘텐츠

        진성수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5 No.-

        오늘날 현대인들은 未曾有의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복잡다단한 문제가 서로 뒤엉켜있어서 마음의 안정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일까?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쉽게 우울해지거나, 외로움과 절망감에 빠지곤 한다. 간혹 ‘세상에 믿을 수 있는 것은 오직 내 자신뿐’이라는 착각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고립과 갈등, 좌절과 실망 등 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최근의 힐링(healing) 열풍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힐링 캠프, 힐링 투어, 힐링 산책, 힐링 독서, 힐링 避靜, 힐링 카페, 힐링 뮤직, 힐링 댄스, 힐링 요가, 힐링 명상, 힐링 코드, 힐링 푸드, 힐링 마사지, 힐링 논어 등 그야말로 힐링이 넘쳐난다. 힐링이란 달콤한 말을 이용하여 ‘힐링 마케팅’으로 일반대중의 소비감성을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힐링 열풍을 단순히 상업적인 이유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힐링에 열광하는 현상을 면밀히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질병[몸]에 대한 치료의 힐링’ 보다는 ‘상처받은 마음[내면] 치유의 힐링’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힐링콘텐츠가 넘쳐나는 사회현상에 대해 동양철학은 과연 어떻게 對應할 것인가? 나아가 현실적인 요청에 대한 수동적 ‘應信’이 아닌 미래적 대안으로서 능동적 ‘發信’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바로 이 문제에 대해 동양철학에서 ‘인간의 생명에 대한 이해’와 오늘날 한국 사회를 휩쓸고 있는 힐링열풍에 대한 ‘힐링콘텐츠로서의 동양철학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특히 동양철학의 생명관에 대해서는 유가와 도가를 비교하고, 힐링콘텐츠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가에 초점을 두고 검토할 것이다. 現代人生活於變化多端的時代, 不易於得到心靈的安寧, 人們似乎更容易 感到憂鬱、孤獨、渴望, 於是最近社會興起一股療癒(healing)熱潮. 目前韓國 社會有: 療癒之營、療癒之旅、療癒散步、療癒讀書、療癒避靜、療癒가배屋、療癒音樂、療癒之舞、療癒踰跏、療癒冥想、療癒美食、療癒按摩、療 癒論語等. 這些흔多是激發大衆消費感性的‘療癒營銷’. 但我們不能單從消 費的觀點來解釋療癒(healing)熱潮, 因爲若我們仔細觀察, 就可以發現人們所 要的與其說是‘療癒身體之傷’, 不如說是‘療癒心靈之傷’. 然而, 東洋哲學界要如何面對這種社會現象? 如何以積極的態度爲未來方 案做出‘發言’, 而不是以消極的態度爲現實要求做出‘回應’. 本文首先比較東 洋哲學中儒家與道家的生命觀, 進而以儒家爲中心探討運用東洋哲學的療癒 數字內容(contents)的可行性.

      • KCI등재

        동양철학의 생명관과 힐링콘텐츠

        진성수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5 No.-

        오늘날 현대인들은 未曾有의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복잡다단한 문제가 서로 뒤엉켜있어서 마음의 안정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일까?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쉽게 우울해지거나, 외로움과 절망감에 빠지곤 한다. 간혹 ‘세상에 믿을 수 있는 것은 오직 내 자신뿐’이라는 착각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고립과 갈등, 좌절과 실망 등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최근의 힐링(healing) 열풍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힐링 캠프, 힐링 투어, 힐링 산책, 힐링 독서, 힐링 避靜, 힐링 카페, 힐링 뮤직, 힐링 댄스, 힐링 요가, 힐링 명상, 힐링 코드, 힐링 푸드, 힐링 마사지, 힐링 논어 등 그야말로 힐링이 넘쳐난다. 힐링이란 달콤한 말을 이용하여 ‘힐링 마케팅’으로 일반대중의 소비감성을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힐링 열풍을 단순히 상업적인 이유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힐링에 열광하는 현상을 면밀히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질병[몸]에 대한 치료의 힐링’ 보다는 ‘상처받은 마음[내면] 치유의 힐링’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힐링콘텐츠가 넘쳐나는 사회현상에 대해 동양철학은 과연 어떻게 對應할 것인가? 나아가 현실적인 요청에 대한 수동적 ‘應信’이 아닌 미래적 대안으로서 능동적 ‘發信’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바로 이 문제에 대해 동양철학에서 ‘인간의 생명에 대한 이해’와 오늘날 한국사회를 휩쓸고 있는 힐링열풍에 대한 ‘힐링콘텐츠로서의 동양철학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특히 동양철학의 생명관에 대해서는 유가와 도가를 비교하고, 힐링콘텐츠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가에 초점을 두고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의 힐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조영아,김희정,김현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의 힐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부모 북한이탈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힐링 프로그램 및 힐링 활동 참여 경험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그 결과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힐링의 의미와 동기’, ‘힐링 활동’, ‘힐링의 요인과 효과’,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의 4개 영역과 12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에게 힐링의 의미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 돌봄과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힘을 얻는 것이다.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은 심신이완과 다양한 체험활동, 오감을 자극하는 동적 활동을 힐링 활동으로 선호하였다. 이를 통한 힐링 요인은 개인마다 다양하였고 힐링 효과로는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심신이 회복되며, 위로받고 힘을 얻으며, 자존감이 높아지고, 자녀와 더 친밀해지는 경험을 하였다.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긍정 정서의 확대, 이완 및 동적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참여 동기가 높은 대상자를 적극 발굴하고, 체험 위주의 힐링 활동이 구성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