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강안학(江岸學)과 고령(高靈) 유학(儒學)에 대한 시론(試論)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이 용어가 탄생한 것이니, 강안학은 16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범위, 상주에서 창원에 이르는 공간적 범위, 유학사상이라는 학문적 범위를 포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하기에 족하다. 고령지역은 김숙자가 현감직을 수행하면서 초기 사림이 뿌리 내리기 시작했고 김종직의 후손이 살면서 사림파 着根의 한 표본이 되었다. 강안학의 특징은 기호학과 영남학, 혹은 퇴계학과 남명학의 會通性, 박학에 바탕 한 실천정신을 지닌 實用性,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보된 獨創性을 들 수 있다. 강안지역에 위치한 고령지역은 이 같은 강안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도 고령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회통성의 경우 고령 유학은 畿嶺學의 회통성보다 退南學의 회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퇴남학의 회통성에서도 남명학 쪽으로 다소 경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남명학의 저류와 그 발전적 면모를 통해 고령 유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에 입각한 실천정신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의병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령 유학이 지닌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독창성은 朴而章의 양명학 수용 가능성과 서양철학 도입을 통한 李寅梓의 유교개혁사상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하며 고령 유학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고령지역의 강안학적 특수성을 살리면서도, 회통성과 실용성, 그리고 독창성이 역동적 상생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응전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and then prospected its future.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fucian thoughts through a new hypothesis called `Ganganhak`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ng which is located along the shores of the Nakdong River.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escaped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Yeongnam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oegyehak and Nammyeonghak and that it applied Ganganhak, that covers the entire nation including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o Goryeong region. The term `Gangan`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poetry literature of Yeongnam region and then employed to renew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That is, `Gangan` was used to recreate Yeongnamhak, which had been divided into Toegye school on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nd Nammyeong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river, into Hanryeo school in the regions around rivers to build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Yeongnamhak. Given that the term Gangan emerged under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Ganganhak is Confucian thoughts created in the area from Sangju to Changwon in the 16th century. If Ganganhak is further expanded, it may develop into a concept that renew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tudies based on rivers. It was through regions around the rivers that Korean Confucianism was imported, and later Sarim faction also grew up.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and Kim Goeng-pilpursued their studies and carried out academic activities in the regions around the rivers. Sarim faction emerged in Goryeong region while Kim Suk-ja was the country magistrate called `Hyeongam` of Goryeong. Later, Sarim faction took root in Goryeong due to the efforts of Kim Jong-jik`s descend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Ganganhak is characterized by the conciliation of Gihohak and Yeongnamhak or Toegyehak and Nammyeonghak, practicality based on wide knowledge, and creativity based on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Goryeong region located around the riv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ganhak and had its own geographical peculiarities. As for the conciliation,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ere more conciliated with Toenamhak than with Giryeonghak. Especially it was more conciliated with Nammyeonghak, a part of Toenamhak. Therefore, the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can be examined though the development of Nammyeonghak. Practical mind based on practicality were embodied into interests in history and Uibyeong`s activities, which are the biggest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th regard to creativity, Park, I-jang`s possibility of accepting Wang Yang-ming School and Lee In-jae`s Confucian reform though the instruction of Western philosophy can be discussed. Given all this, it is expected that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by maintain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oryeong region and building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ts features, conciliation, practica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정우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and then prospected its future.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fucian thoughts through a new hypothesis called ‘Ganganhak’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ng which is located along the shores of the Nakdong River.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escaped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Yeongnam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oegyehak and Nammyeonghak and that it applied Ganganhak, that covers the entire nation including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o Goryeong region. The term ‘Gangan’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poetry literature of Yeongnam region and then employed to renew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That is, ‘Gangan’ was used to recreate Yeongnamhak, which had been divided into Toegye school on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nd Nammyeong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river, into Hanryeo school in the regions around rivers to build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Yeongnamhak. Given that the term Gangan emerged under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Ganganhak is Confucian thoughts created in the area from Sangju to Changwon in the 16th century. If Ganganhak is further expanded, it may develop into a concept that renew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tudies based on rivers. It was through regions around the rivers that Korean Confucianism was imported, and later Sarim faction also grew up.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and Kim Goeng-pil pursued their studies and carried out academic activities in the regions around the rivers. Sarim faction emerged in Goryeong region while Kim Suk-ja was the country magistrate called 'Hyeongam' of Goryeong. Later, Sarim faction took root in Goryeong due to the efforts of Kim Jong-jik's descend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Ganganhak is characterized by the conciliation of Gihohak and Yeongnamhak or Toegyehak and Nammyeonghak, practicality based on wide knowledge, and creativity based on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Goryeong region located around the riv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ganhak and had its own geographical peculiarities. As for the conciliation,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ere more conciliated with Toenamhak than with Giryeonghak. Especially it was more conciliated with Nammyeonghak, a part of Toenamhak. Therefore, the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can be examined though the development of Nammyeonghak. Practical mind based on practicality were embodied into interests in history and Uibyeong's activities, which are the biggest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th regard to creativity, Park, I-jang's possibility of accepting Wang Yang-ming School and Lee In-jae's Confucian reform though the instruction of Western philosophy can be discussed. Given all this, it is expected that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by maintain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oryeong region and building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ts features, conciliation, practicality and creativity.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이 용어가 탄생한 것이니, 강안학은 16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범위, 상주에서 창원에 이르는 공간적 범위, 유학사상이라는 학문적 범위를 포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하기에 족하다. 고령지역은 김숙자가 현감직을 수행하면서 초기 사림이 뿌리 내리기 시작했고 김종직의 후손이 살면서 사림파 着根의 한 표본이 되었다. 강안학의 특징은 기호학과 영남학, 혹은 퇴계학과 남명학의 會通性, 박학에 바탕 한 실천정신을 지닌 實用性,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보된 獨創性을 들 수 있다. 강안지역에 위치한 고령지역은 이 같은 강안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도 고령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회통성의 경우 고령 유학은 畿嶺學의 회통성보다 退南學의 회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퇴남학의 회통성에서도 남명학 쪽으로 다소 경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남명학의 저류와 그 발전적 면모를 통해 고령 유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에 입각한 실천정신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의병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령 유학이 지닌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독창성은 朴而章의 양명학 수용 가능성과 서양철학 도입을 통한 李寅梓의 유교개혁사상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하며 고령 유학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고령지역의 강안학적 특수성을 살리면서도, 회통성과 실용성, 그리고 독창성이 역동적 상생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응전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한국사상의 회통성과 코로나19의 정보소통

        이근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Korean quarantine of COVID-19 and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attributes the success of Korean quarantine to the traits of Korean thoughts to form the consciousness, emotion and attitude of citizen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or holistic traits of Korean thoughts. It contains ‘tong’ (通) which denies contradiction and opposition, and ‘chung’ (中) which poses at the pivot and fits the situation, and tries to enhance the livelihood free from pains and agonies.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COVID-19 in Korea was not helpful for the quarantine. It implies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which help the citizens to form mental immunity for overcoming depression, fear, and so on, and to form holistic think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omprehensive ethic which contains both ‘tong’ as compassion and solidarity and ‘chung’ as enlightenment of consciousness and mental pleasure. Comprehensive ethic contains the ess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among all beings. 이 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방역 성과의 의의를 한국 사상의 성격과 연관시켜 살펴보고, 어떤 연결 고리가 존재하는지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전개한 방역활동은 비교적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이 연구는 그 요인으로 시민 의식, 정서, 태도의 바탕이 되는 한국사상의 성격에서 그 단서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특히 조명해보고자 하는 것은 한국사상이 갖는 회통적 특성이다. 한국사상의 회통성은 모순 대립을 지양하는 ‘통’과, 중심을 잡고 상황에 적중하는‘중’의 가치를 실현하면서, 일심으로 향상의 삶을 지향하는 성격으로 정리해 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정보소통에 대해서는 K-방역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보도는 팬데믹을 극복하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못했고, 우울, 두려움을 넘어설 정신적 면역력과 종합적 사고에 도움이 될 정보 소통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한국사상의 회통성이 정보 소통에 주는 함의는 ‘통’의 가치로서의 공감과 연대, ‘중’의 가치로서의 의식의 각성과 즐거움이라고 정리하면서, 이들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회통의 윤리를 제안했다. 회통의 윤리는 유불선의 종지를 현대적으로 구현하는 윤리를 포함하면서 모든 존재의 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라고 규정해 보았다.

      • KCI등재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조유영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3

        본 논문은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이 지역 구곡문화가 가지는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에 낙동강의 본류가 시작되는 상주권과 낙동강의 중류를 형성하는 대구권의 구곡문화를 중심으로 20개소의 구곡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회통성, 개방성, 사상적 지향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특징을 구명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이러한 특징들은 논의의 편의상 세 가지로 분류하긴 하였으나, 서로 밀착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는 주자 성리학의 강력한 영향 속에서 남명학의 강좌와 퇴계학의 강우를 한강 정구를 통해 수용하고, 상하로는 기호학과 영남학이 경쟁하고 조화하면서 이 지역의 구곡문화를 형성해 나갔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적 지향성 속에서 구곡원림 설정과 구곡시가 창작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화를 도모하고 있어 개방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은 다시 회통성으로 수렴되는데, 낙동강 연안이 가진 이러한 회통성은 결국 다른 지역의 구곡문화와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불교 전통의 특성과 현실적 과제 一考

        이영호(Lee Young h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이 글은 현재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한국불교 전통의 특성을 들어내 보고, 현실적 과제를 나름대로 성찰해 보려는 서론이다. 그 동안 한국불교의 독특한 성격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하였는데, 그런 가운데 기존의 논의를 수렴하고 비판한 심재룡의 「한국 불교는 회통적인가?」라는 논문은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한국불교의 회통성을 처음 주장한 이는 육당 최남선이며, 이기영과 김영태 등 그 이후 대부분의 한국불교 학자들은 그의 견해를 따랐다고 보았다. 아울러 유동식의 혼합절충주의 내지 공리적 현실주의 등 부정적 견해를 소개하고, 자신도 통불교라는 용어는 합당치 않은 망발이라고 하며 독선적인 주장을 폈다. 필자는 그의 주장에 대하여 회의적이며, 한국불교 전통에 대한 현행 주류 종단과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계종의 종지와 종통 등 그 이념과 정체성을 표명한 종헌을 중심으로 과거의 전통을 오늘날 어떻게 수용하고 전개시켜 나가려는지 살펴보았다. 석존의 근본 교리를 바탕으로 하여 선종의 수행 특성을 중심으로 각종 교학과 수행을 통섭한 조계종의 전통과 취지는 통불교적임을 확인하고, 한국불교의 특성은 “회통적”이며 “통불교”라는 용어에 무리가 없고, 이는 매우 긍정적인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신라의 원효와 의상, 고려의 의천과 지눌 및 태고, 조선의 휴정과 초의 등 저명한 인물들을 관류하는 사상이며 전승되어야 할 긍정적 성격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자기가 하는 수행이나 일 혹은 주관적 견해 이외는 모두 부정하는 경향 등 편협한 독선주의자들의 행태를 들어, 오늘날 현실상황은 오히려 통불교 정신이 구현되는데 미진한 부분들이 적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를 개선하는 일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요즈음 지구촌 공동체의 열린 공간에서는 학계와 사회 문화계를 막론하고 경계의 제한을 해소시켜나가는 경향이 고조되고 있으며, 통섭 혹은 통합이나 연합의 물결이 각계를 흐르고 있는 차제에, 한국불교의 회통ㆍ융합ㆍ조화ㆍ협조의 사상과 수행은 더욱 조장되고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방면의 다각적 검토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Buddhism focusing o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 representative major Buddhist order in Korea, and the related tasks of present situation in the Order.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subject but not so popular. However, it seems noticeable that Sim Jaeryong s article on the subject as Is Korean Buddhism Total Interpenetrative? According to him, the first person who asserte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as the Total Interpenetrative was Yukdang Choe Namseon with his article, The Joseon Bulgyo (Korean Buddhism): the Position of Cultural History of East Asia in 1930 and this assertion was reckless or absurd. Sim evaluated that during the last decades the assertion of Yukdang, as a right view, has been followed by most scholars, for instance, Lee Giyeong and Kim Yeongtae, but on the other hand, the opposed view of Yukdang, as a Mixed Eclecticism or Utilitarian Realism, has made by Yu Dongsik. However, I have been skeptical on Sim s argument. To investigate the reality, I have checked out the Constitution of Jogye Order as a communal understanding and affirmation of mainstream Buddhists of Korea to their historical and practical tradition in terms of identity and purpose of the Order. I have confirmed that the Constitu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Interpenetrative or Syncretic Interpenetrative Harmonization as the principle and purpose for its followers. Then I have suggested some tasks to overcome the narrow-minded views for total interpenetrative integrity of the Order.

      • KCI등재

        대구권 성리학의 학문 지형도와 특징

        장윤수(Jang, Yun-su)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17세기를 중심으로 한 대구권 성리학의 학문적 지형도와 그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우선 지역학으로서의 한국성리학 연구가 한국사상사 정체론停滯論을 극복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전제가 되는 논의의 장에서 지역학으로서 ‘대구권’이 지칭하는 지역 범위와 특징, 임진란이 이 지역 성리학 부흥에 끼친 영향을 언급하였고, 그런 후에 대구권 성리학의 학문 연원으로서 남명‧퇴계‧한강‧여헌의 사상과 학맥이 이 지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대구권’은 종래 영남지역 성리학의 제3지대로서 영남 우도와 좌도, 남명학과 퇴계학의 접점지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이 지역의 성리학이 단지 교차 문화의 절충적 성격만 지닌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학문적 특징을 일관성 있게 유지해왔다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논지이다. 즉 대구권 성리학이 성리학적 논변에서 두드러진 인물은 적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방적 회통성과 실용‧실천성을 빼어나게 유지하였다고 보고서, 이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회통會通’, ‘자득自得’, ‘실천’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항목화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사례와 그 지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대구권 성리학의 전통과 정신이 미래지향적 가치와 의미를 충분히 담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Neo-Confucianism in Daegu Area in its academic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17th century. In the case of Korean Neo-Confucianism, by improving the study about Neo-Confucianism in each areas we can overcome ‘No-development theory’, the main negative outlook of korean thought. In this paper, I described the real range and characteristic that ‘Daegu Area’ has, and how Imjin War had influenced on revival of study in this area. After that, as the complement of study I described the academic genealogy and ideas of Nam-myeong, Toe-gye, Han-gang, and Yeo-Heon. ‘Daegu Area’, academically the 3rd zone in Yeongnam area(Gyeongsang-do) is generally considered as point of contact between Nam-myeong studies and Toe-gye studies. Neo-Confucianism in this area not only had the characteristic of compromise but also maintained its own characteristic consistently. Although there are very few Confucian scholars who was extraordinary good at theorizing in Daegu Area, Neo-Confucianism in this area excellently presents opened-integration and practicalit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in Daegu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integration, self enlightenment, and practicality. These characteristics are sufficient for containing future-oriented meaning and value.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조선 중기 고령유학의 특징

        장윤수(Jang, Yun-S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은 조선 중기의 인물들인데, 이 시대는 우리나라 유학의 최전성기이다. 이 시대에는 특히 이론적인 리기理氣․심성心性의 학문과 도학道學․절의節義정신을 계승한 실천유학의 정신이 크게 일어났다. 그리고 학자들 간의 학설과 견해 차이로 여러 가지 논쟁이 일어나서 우리나라 유학계의 단조로움과 적막함을 깨뜨린 시대이다. 이들의 학통은 끊이지 않고 이어져 그 학풍과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고령의 유학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대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대이다. 고령 지역은 퇴계학과 남명학이 회통하던 지역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퇴계와 남명의 양 문하에서 함께 수학한 학자가 상당수이며, 또한 퇴계와 남명의 학통을 함께 계승한 한강寒岡정구鄭逑계열의 학자들이 대단히 많다. 퇴계와 남명이 직접 강학講學하던 시기에는 남명 연원의 학맥이 훨씬 우세하였지만, 그렇지만 광해군의 실각과 정인홍鄭仁弘의 실각, 그리고 뒤이은 일련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남명계가 급속하게 파괴되어 가고 그 자리를 퇴계학파가 대신하게 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먼저 고령유학의 더 큰 범주인 영남학파에 대해 고찰 하고, 이를 통해 퇴계학과 남명학의 특징을 대비하였다. 그러고 나서 ‘회통성’, ‘개방성’, ‘실천성’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고령유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우리는 여기에서 특히 한강 정구를 주목하였는데, 그는 비록 고령 출신은 아니지만 고령유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학자이다. Joseon Dynasty was confucian age. Confucianism was spread extensively over whole country from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and formed school according to local specific character in each area. And accordingly, Confucianism culture developed variously in each area. Specially, Joseon Dynasty middle age was best golden age of Korean Confucianism.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was same. This age was the most abundant quantitatively, and the most literary level was high age qualitatively. Goryeong area was point of contact detachment which Toegyehak and Nammyeonghak meet. So, there were many confucianists who take teaching from Toegye and name of others at the same time in this area. Goryeong area is point of contact of Kyongsang-bukdo and Kyongsang-namdo geographically, and it is point of contact Toegyehak and Nammyeonghak from thought. There is advantage of point of contact culture in expansive synthesis of various culture. We understood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by three, that is, ‘Synthesis’ ‘Opening’ ‘Practice’ greatly in this paper. Can overcome critical sight about Korean Confucianism if understand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by this method.

      • KCI등재

        조선 중기 고령유학의 특징-회통성, 개방성, 실천성을 중심으로 하여

        장윤수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은 조선 중기의 인물들인데, 이 시대는 우리나라 유학의 최전성기이다. 이 시대에는 특히 이론적인 리기理氣·심성心性의 학문과 도학道學·절의節義 정신을 계승한 실천유학의 정신이 크게 일어났다. 그리고 학자들 간의 학설과 견해 차이로 여러 가지 논쟁이 일어나서 우리나라 유학계의 단조로움과 적막함을 깨뜨린 시대이다. 이들의 학통은 끊이지 않고 이어져 그 학풍과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고령의 유학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대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대이다. 고령 지역은 퇴계학과 남명학이 회통하던 지역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퇴계와 남명의 양 문하에서 함께 수학한 학자가 상당수이며, 또한 퇴계와 남명의 학통을 함께 계승한 한강寒岡 정구鄭逑 계열의 학자들이 대단히 많다. 퇴계와 남명이 직접 강학講學하던 시기에는 남명 연원의 학맥이 훨씬 우세하였지만, 그렇지만 광해군의 실각과 정인홍鄭仁弘의 실각, 그리고 뒤이은 일련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남명계가 급속하게 파괴되어 가고 그 자리를 퇴계학파가 대신하게 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먼저 고령유학의 더 큰 범주인 영남학파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퇴계학과 남명학의 특징을 대비하였다. 그러고 나서 ‘회통성’, ‘개방성’, ‘실천성’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고령유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우리는 여기에서 특히 한강 정구를 주목하였는데, 그는 비록 고령 출신은 아니지만 고령유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학자이다. Joseon Dynasty was confucian age. Confucianism was spread extensively over whole country from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and formed school according to local specific character in each area. And accordingly, Confucianism culture developed variously in each area. Specially, Joseon Dynasty middle age was best golden age of Korean Confucianism.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was same. This age was the most abundant quantitatively, and the most literary level was high age qualitatively. Goryeong area was point of contact detachment which Toegyehak and Nammyeonghak meet. So, there were many confucianists who take teaching from Toegye and name of others at the same time in this area. Goryeong area is point of contact of Kyongsang-bukdo and Kyongsang-namdo geographically, and it is point of contact Toegyehak and Nammyeonghak from thought. There is advantage of point of contact culture in expansive synthesis of various culture. We understood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by three, that is, ‘Synthesis’ ‘Opening’ ‘Practice’ greatly in this paper. Can overcome critical sight about Korean Confucianism if understand confucianism of Goryeong area by this meth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