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소아치과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숙련수준이 사용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채연 ( Chaeyeon Kim ),김국현 ( Kukhyeon Kim ),류지헌 ( Jeeheon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언어적 상호작용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 및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설계 원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소아환자의 개발을 위해 효과적인 가상환자 설계 요소를 고려하였으며, 실제 소아환자의 외양과 언어적, 비언어적 특징을 반영하였다. 가상소아환자는 4단계의 문진절차(인사 → 인적사항 확인 → 개시질문 → 치아관찰)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시간 음성기반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전체적인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소아치과 전문의와 지속적인 협의를 거쳤다. 사용자평가는 임상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치의학 전문대학원 3, 4학년 40명(여학생=17명, 남학생=2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들은 모두 광역시 소재 4년제 국립대학의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이었다. 3학년은 28명(70.0%)이었으며, 4학년은 12명(30.0%)이었다. 4학년은 12개월간의 임상실습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소아치과환자를 다룬 경험을 갖고 있었다. 실험참가자의 평균연령은 29.45세(SD=3.15)였다. 이 연구의 측정변수는 사용유용성, 사용만족도, 가상환자실재감이었으며, 분석방법은 다변량분석 후 개체간 효과검증이었다. 또한 사용경험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참여자 중 4명을 편의표집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하여 가상소아환자의 사용유용성과 사용만족도를 높게 인식했다. 그러나 가상환자실재감에서는 임상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사용자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가상환자실재감보다는 기능적 유용성과 상호작용의 맥락성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소아환자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훈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verbal interaction training and to propose the principle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design and development. In this virtual simulation, a virtual child patient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 design factors of virtual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child patients such as appearance and verbal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The virtual child patient was designed to make a verbal conversation with the users. The virtual child patient was named as DANVI, which stands for Dental Avatar for Narrative Verbal Interaction. It was to emphasize the verbal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DANVI can demonstrate facial expression and various gestures enabling emotional conversation during the clinical review. It consists of 4 steps as greeting → personal information check → opening question → dental observation. For the user evaluation of the developed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ty dental students (female=17 and male=23) participated. They enrolled in a graduate studies of dentistries at a public university.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ere twenty-eight (70.0%) and twelve (30.0%) for junior and senior respectively. The seniors had a clinical experience so that they had a clinical practice to treat child patients during the practicum for twelve months. The average age was 29.45 (SD=3.15).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usefulness, satisfaction, virtual patient presenc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our participants was conduct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senior students with pre-clinical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the virtual avatar than junior students with no pre-clinical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 virtual avatar pres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means that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usefulness or satisfaction were not caused by the presence of the virtual patient, but by functional usability and the context of inter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s of simulation education for verbal interaction.

      • KCI등재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학습 자기효능감 및 실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박연경,김태경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학생에게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학습 자기효능감, 실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 D 대학교에 재학 중에 3학년 간호학생 61명을 대상으로 2시간씩 10주 동안 운영 후 사전-사후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SPSS 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 전.후에서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t=.3867, p<.001), 학습자기효능감(t=.7732, p<.001) 및 실습몰입(t=.712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 후 학습 자기효능감과 실습몰입(r=.383, p=.003)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의 대상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간호학생 정신간호 실습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A one-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pre-post test distribut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61 nursing students in the junior year at D college in Busa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t=.3867, p=<.001), learning-efficacy(t=.7732, p=<.001) and flow experience(t=.7125, p=<.001). The correla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r=.383, p=.003) showed to be positivity correlated. There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was effective education method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among nursing students.

      • KCI우수등재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윤지아(Yun, Jiah),강인순(Kang, In-Soon),손민서(Son, Min-Se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 대학교 4학년 간호학생 중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Elo and Kyngas(2008)에 기반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한 주제는 ‘집중하기 어려움’, ‘실습 환경에 몰입’, ‘부정적인 심리변화’, ‘긍정적인 심리변화’, ‘간호역량의 향상’ 이었다. 고충실도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임상수행능력의 향상’, ‘실습환경의 생동감이 떨어짐’ 이었으며,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의사소통의 생생함’, ‘제한된 직접 간호 술기’, ‘SP 역할 숙련도’ 이었다.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예비 간호사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과정으로 인식했지만, 몰입감, 부담감과 한계 및 몇 가지 제약의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 효율적인 커리큘럼 운영을 위한 논의, 학습 효과 극대화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9 4th-year nursing students of D University were conducted. After the interview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Elo and Kyngas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pics commonly experienced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were: ‘Difficulty to concentrate’, ‘Immersion in the practice environment’, ‘Negative psychological chang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Improvement of nursing capacity’.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were: ‘Improvement of clinical performance capability’ and ‘Insufficiency of reality in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ere: ‘The vividn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limited direct nursing skills’, and ‘SP s role proficiency’. Nursing students perceived the simulation practice as a process to cultivat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nurses, bu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mersion, burdens and limitations, and several restrictions. For efficient simulation practice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cenarios, discuss efficient curriculum operation, and create an environment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 KCI등재

        고성능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결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김지영(Kim, Jiyoung),허나래(Heo, Nar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는 고성능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결합하여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지역 1개 대학교 4학년 2학기 간호대학생으로 실험군은 노인간호학 이론 및 임상실습을 수강하고 고성능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결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은 34명, 대조군은 노인간호학 이론 및 임상실습을 수강하고 고성능 환자 모형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은 3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5일부터 2015년 12월 21일까지이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제해결 능력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실험군은 전후점수의 차이에서도 유의하게 높았다.(p=.042). 셀프리더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전후점수의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28). 실제 노인 간호현장을 기반으로, 고성능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결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개발하 여, 문제해결 능력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으로 적극 활용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combined with standard patien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leadership. A total of 69data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experimental group (n=34) comprised participants in a geriatric nursing class, nursing and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combined with standard patient. The control group (n=32) participated in a geriatric nursing class and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5 to December 2015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regard to self-leadership, findings show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28).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lf-leadership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imulation education based on high-fidelity simulator combined with standard patient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curriculums.

      • KCI등재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호흡기감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허정,윤영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A single-group before-and-after design for the nursing of infectious respiratory pati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rom March 2 to June 15, 2020, targeting 112 senior nursing students.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education program 'knowledge of lung infectious diseases', 'hand washing', 'wearing a mask', 'encouraging patients and caregivers to wear masks', 'intravenous injection', '3-way injection', 'surgical aseptic technique', 'disinfecting medical devices' , 'contaminated linen management', 'infected person management manual', etc., and 10 educational tasks were performed, and consisted of lectures, technical train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debriefing. After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tudents'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on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nd it was expected that it could be used for various infection control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질환 지식과 임상수행에 대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호학과 4학년생 1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전염성 호흡기계 환자 간호를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호흡기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폐 감염병 지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환자 및 간병인에게 마스크 착용 유도', '정맥주사' ‘3way 주사', '외과적 무균술', '소독 의료기기', '오염된 린넨 관리', '감염자 관리 매뉴얼' 등 10개 교육 과제 수행이며 강의, 기술 훈련,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호흡기 감염질환에 대한 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감염관리 실습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강희영(Hee-Young Kang),김은정(Eun-Jung Kim),오윤정(Yun-Jeong 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우리의 임상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학습에서 문제해결력과 학습 만족도를 평가함으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시나리오는 응급실에 내원한 간경화증환자의 고칼륨혈증 사례를 개발하여 간경화증과 관련하여 합병증과 증상에 대한 다양한 상황을 시행해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개발단계는 시뮬레이션 학습 목표 및 시나리오 상황 설정, 알고리즘 작성, 임상수행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디브리핑 준비 순으로 이루어졌고, 시나리오는 Jeffries가 제시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진행 개요에 따라 모니터 세팅(행동들), 환자/마네킨(행동들), 예상되는 중재(사건), 단서를 시간에 따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는 ‘임상수행능력평가’ 과목에 등록한 53명의 간호 학생을 4-5명씩 그룹화 하여 2011년에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 학습 적용 전 후 간호학생의 문제 해결력 점수는 학습 전 평균 4.05점에서 학습 후 평균 4.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t=-3.97, p<.001), 시뮬레이션 학습 적용 후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4.09점을 나타냈으며, 학생들을 수업의 주체로 이끌어 낸 점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인 간호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enario suited for our clinical situations and evalu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by evaluat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imulation learning. This study consisted of contents which could be applied for varied situations such as complications and symptoms related to liver cirrhosis, looking into hyperkalemia symptoms of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in emergency unit. The stage of developing scenario was organized in the order of setting simulation learning objectives and situations of scenario, making algorithm, writing checklists of clinical performance appraisal, and debriefing. The scenario was constructed with monitor setting(actions), patient/mannequin(actions), expected interventions(events), and cues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scenario progression outline of Jeffries (2007). The scenario was used in 2011, consisting of 4-5 people per group of 53 senior nursing students who registered for ‘clinical performance appraisal’ cours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d from a score of 4.05 before simulation learning to a score of 4.30 after simulation learning (t=-3.97, p<.001). The score for learning satisfaction after the simulation learning was high (4.09/5). Considering that simulation learning encouraged students to be the main body of class, this learning method can be the effective way of nursing education.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실습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곽은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provide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m. The simulation was designed to experience integrated nursing practice that solves the health problems of individuals with various concerns Nursing students’ changes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elf-efficacy regarding nursing competence, patient centered nursing care,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0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nsisting of 52 nursing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training and 50 nursing students in a control group who received traditional nursing skills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demonstrated highe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t=3.10, p=.003, F=20.47, p=.000), self-efficacy regarding nursing competence(t=3.35, p=.001, F=6.93, p=.010), patient centered nursing care(t=2.68, p=.009, F=4.08, p=.046),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t=2.48, p=.014, F=6.96, p=.010). This study confirmed that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nursing skill training in improving competence, patient-centered nursing,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통합간호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은 성인, 아동, 모성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통합간호실습을 경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간호역량 자기효능감, 환자중심 간호 및 환자안전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총 102명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 52명, 전통적 술기교육을 받은 대조군 50명이었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통합간호실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전통적 술기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t=3.10, p=.003, F=20.47, p=.000), 간호역량 자기효능감(t=3.35, p=.001, F=6.93, p=.010), 환자중심간호(t=2.68, p=.009, F=4.08, p=.046), 환자안전태도(t=2.48, p=.014, F=6.96, p=.010)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실습이 전통적 술기교육보다 간호대학생의 역량향상 및 환자중심간호, 환자안전태도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

        김예은(Ye-Eun Kim),강희영(Hee-You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신경계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과 그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자는 4학년 간호대학생이다. 본 연구는 자발성 뇌출혈 환자 사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학생이 의식사정 등을 포함한 간호사정을 학습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간호사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가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it. This study was a pre-post test design with a single group an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ase scenario for a patient with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the simulation learning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hich was applied in this study, had improve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n nursing students. Through this study, the nursing student will grow up to be a professional nurse by learning the nursing assessment including consciousness assessment. Also, the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 should be developed in the various fields.

      • KCI등재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 자신감과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은정,남경아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m-based simulation training (TBST) on patient safety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mong the senior enrolled in an academic course in one nursing school, the convenience sample of 114 students was recruited. Participants received 15-session TBST (2 hours per session) over 8 weeks and completed the patient safety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y scales, and a questionnaire of participants’ responses to TBST.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test, a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safety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BST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BST is effective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y, and thus, team-based strategies can be useful to attain the goals of nursing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to refine the relations between patient safety and nursing competenc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 자신감과 기술적, 비기술적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조사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한 114명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3-4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8주간, 총 15회기, 회기당 2시간을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참여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환자안전 자신감과 간호역량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대응표본 t 검정,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참여 후 대상자의 환자안전 자신감과 간호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환자안전 자신감과 간호역량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과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교육에서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환자안전과 관련된 간호역량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저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이영희,안혜영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education on emergency management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as related to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ew nurses. Methods: A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applied. Fifty-five new nurses were recruited, 28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A simulation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rising knowledge lecture, team learning, skill education, team simulation, and debrief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Feb. 14 to 27, 2015.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and t-test using SPS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t=5.81, p<.001), clinical skill performance (t=10.08, p<.001), self-confidence (t=-6.2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2.42, p=.019), and learning satisfaction (t=4.21, p<.001)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i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new nurses to deepen their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learning emergency management. 본 연구는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여 응급상황관리에 대한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가 향상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과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응급상황 사례를 중심으로 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에게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양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임상현장에서 신규 간호사가 병원 입사 후 받는 신규 오리엔테이션 교육과정에 구조화된 교육 중재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신규 교육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국내에서 응급상황 시뮬레이션 교육에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교육의 횟수와 기간을 늘린 교육 중재 후 신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와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신규 간호사가 병원에 입사하여 실제 임상실무능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