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Recognition of Kore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ased on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Hee Joo,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cogni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the certificates in Korea. The 310 survey respondents included 100 floral design certificate possessors and 210 non-possessors. Both sets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engineer floral design (3.27) and craftsman floral design (3.13) the most, mostly due to the confidence provided by the certificates (3.56) and their usefulness in various practices (3.43). Compared to respondents without certificates, respondents who possessed certificates did not prefer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3.70) was greater than that with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3.03) (P < 0.001), with the highest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Americ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4.03). Although many certificate possessors had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domestic private certificates. Factors contributing to respondents’ levels of satisfaction onwith the certificate include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3.61), reliability given by certificates (3.45), and support for the practical work (3.41). According to respondents, all certificates except for the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2.80) were trustworthy. In particular, respondents thought the credibility of domestic engineer floral design (3.44) was higher than that of European, Japanese, and Kore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is surve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including improving their connection with employment and practical work, increasing fairness in the practical test evaluation, and strengthening testing and evaluation methods needed to be considered.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the criteria for the certification test and the national welfare benefits after obtaining a certificate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화훼장식 교육프로그램 분석과 화훼장식가와 지망생 직업만족도 비교

        문현선,홍종원,한고운,장유진,박천호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화훼장식교육프로그램을 분석 하고 화훼장식가의 직업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화훼장식사 60명과 지망생 60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화훼장식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가 경험한 직종 등에 대한 만족도, 관련 교육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인식도, 사회적 대우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일에 대한 관련전공자와 비 관련전공자의 만족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 교육기간 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사 능력에 대한 중요도, 직업의 발전요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직 화훼 장식가와 지망생이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모두 원예적성 그리고 장래성으로 나타났고, 화훼장식사 들의 전공별에서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도 현직 화훼장식가와 마찬가지고 만족도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경력과 교육기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를 보면 화훼장식 관련 교육 또는 수업경험과 강사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적을수록 더욱 낮은 만족도를 보였 으며, 화훼장식 지망생의 교육기간에 따른 결과를 보면 일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간과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전공에 따 라 능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는 현직 화훼장식가의 전공별 분석결과는 화훼부문과 장식 품제작부분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더 중 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품질유지 부문, 화훼장식부문, 그리고 화훼유통 및 경영부분에서는 관련전공자와 기타 전공자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를 보면 화훼부문, 화훼장식부문, 장식품제작, 화훼유통 및 경 영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 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품질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전 체적으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중요하게 생 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화훼장식가로 활동을 하는 데 있 어서 화훼장식전공자가 비전공자들에 비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육내용 중에서 원예관련 교육이 가 장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 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에 따른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To analyze our country’s education program for flower decoration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florist, 60 present florists and 60 applicant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satisfaction of florist,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satisfaction for occupation etc. experienced by attendants, contents of related education, recognition from society, social treatment. And this study analyzed followings : considerations to select occupation, satisfaction on job of person who majored in related subject and non- person without such an educational background, satisfaction on present occupation, satisfaction on education period, significance of florist ability, significance of requirements for occupational development. The points which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consider as important were aptitude for gardening and prospect. From the analysis by major of florists, majored persons had more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rom the analysis by applicant, as in present florists, majored persons had more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For the satisfaction by career and education period of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 related to flower decoration or learning experiences and lecturer’s teaching method showed that the lower the career is, the less the satisfaction is. Seeing the result by education period of applicants, the satisfaction on job was similar each other regardless of education period. For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ability by major of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the result of analysis by major of present florists showed that majored persons considered the ability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in the fields of gardening and making decorations. In the other hand, in the fields of quality maintenance, flower decoration, and fl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majored and non-majored persons about the recognition of ability. The result of analysis by major of applicants showed that majored persons considered the ability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in the fields of gardening, flower decoration, making decorations, fl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For the significance of quality maintenance, majored persons wholly considered the significance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working as a florist, persons who majored in flower decoration had more occupational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And among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education related to gardening was recognized as most important. But at present the systematic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o cultivate professional florists are defici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urses based on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which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are needed to solve education problem related to flower decoration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 KCI등재

        Current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loral Decoration in Pop-up Style Weddings in Korea

        Chaewon Moon,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관한 인식과 선 호도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대부분 (7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응답자들 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으로 하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고 공간과 인원에 따라 맞춤 웨딩이 가능하며 예비부부가 주도하 는 개성 있는 웨딩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날씨에 따 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라고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공간으로는 실내공간보다 실외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공간에서 모두 현대적 스타일 건 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 훼장식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 택이 가능하며,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 품)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로는 웨딩카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를 중 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할 부분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폭넓은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을 제 공하는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으로 소비자들의 웨딩 화훼 장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431 adul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 of floral decorations in pop-up style weddings. The majority of survey respondents (74%) considered the pop-up style wedding positively, along with expressing the importance and need for floral decorations at the wedding. Respondents reported a number of advantages of the pop-up style wedding,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open communication with guests, customized wedding planning depending on the space and number of guests, and the ability to individualize the wedding and make it unique. However, the respondents also recognized some disadvantages to this style of wedding, and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poor weather conditions (humidity, heat, wind, etc.) was considered the major disadvantage. Respondents preferred outdoor space more than indoor space for the pop-up style wedding space, and modern-style buildings were seen as the most favorable structure both for indoor and outdoor ev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pondents preferred the floral decorations of pop-up style weddings because they felt they can emphasi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ersonal options for a preferred floral decoration and various objects. Respondents considered all floral design components as important except for wedding car design. In particular, wedding aisles, the bridal bouquet, and wedding aisles entrance decoration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parts for the floral decorations in pop-up style weddings, and the female group considered floral decoration more important than did the male group. These initial results point to the need to collect more information on floral decorations for pop-up style weddings targeting consumers with personal wedding preferences, and that customized floral decorations for pop-up style weddings would enhance the consumers’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

        윤덕규,김건우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9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ndscape image and preferences of flower decorations for the local residents of Goyang-si,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 decorations as urban landscape through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user needs for flower decorations in urban environments, to find effective flower decorating technique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maximizing landscape value. As a result, first, the concept,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decorations introduc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cases were reviewed, and five types were developed and arranged by reflecting the recent new trend. Second, with regard to the urban landscape of the flower decoration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flower decorations affect the urban landscape image and the need for flower decorations is high in the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Third, by analyzing the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s of each type of flower decorations, the preferred types of flower decorations, landscape images, and the factors were identified.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be a reference for finding directions and methods for flower decorations. In the future,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that analyze recognitions of flower decorations by experts of flower decorations, urban landscapes, architects, so that compares the results with data from ordinary people. Through the analysi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 typing new concepts of flower decorations is found by extending flower decorations to the landscape level. 본 연구는 고양시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화훼장식물에 대한 경관 이미지 및 선호도 분석을 통해 도시 경관으로서의 화훼장식물의 관계성을 알아본다. 또한, 도시 환경에서의 꽃장식물에 대한 이용자 요구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화훼 연출기법 모색 과정에 반영하여 경관적 가치를 극대화할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문헌과 사례를 통하여 그간에 도입된 화훼장식물에 대한 개념, 기능, 특성을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최근의 새로운 흐름을 반영하여 5가지 유형으로 보다 발전시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화훼장식물의 도시 경관성과 관련, 화훼장식물이 도시 경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화훼장식물의 필요성 조사를 통해 도시 경관에서 화훼장식물의 영향이나 필요성이 도시민의 의식 속에 높게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유형별 화훼장식물의 경관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도시민이 선호하는 화훼장식물 유형과 경관 이미지, 그리고 그 요인을 밝힐 수가 있어 향후 화훼장식물의 연출 방향과 연출기법 모색 시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향후, 화훼장식물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 전문가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화훼, 도시, 조경, 건축, 산업 종사자 등 전문가들의 인식 경향을 통해 전문가와 일반인들의 화훼장식물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를 비교하여 좀 더 나은 화훼장식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분석을 통한 함의로 화훼장식물을 경관적 차원으로 범위를 확장시켜 이에 대한 새로운 개념 수립과 유형화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제기능올림픽 화훼장식종목에 표현된 형태 분석 -핸드타이드와 절화장식을 중심으로-

        권혜숙 ( Kwon Hye Suk ),이부영 ( Yi Bu You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7 No.-

        화훼 산업은 국가발전과 함께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큰 발전을 하였고, 화훼장식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에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출범과 함께 교육과 훈련, 국가 자격증 등 다양한 제도가 새롭게 시작되었으며, 출전자들의 훈련과 참가자들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의 발달과 확산이 이뤄졌다. 이것은 특히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심사기준이 대중적이며 실용성과 기술성을 고루 갖춘 상품 디자인 형식들에 맞추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화훼장식종목이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5회의 자료 중 매회 같은 종목으로 채택된 꽃다발과 절화장식 종목의 출품작에 대해 디자인 형태, 기법, 구조물사용 등을 분석하였다. 절화장식의 경우 초기에는 장식적인 형태가 높았고 식생적인 형태가 낮았으나 2007년에 식생적형태가 급증했다가 2009년에는 다소 낮아졌다. 이는 시대적으로 사회적 흐름과 디자인의 유행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사용의 유, 무를 보면 점점 더 구조물의 사용이 늘어났으며 특히 2009년에는 모두 구조물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기법을 보면 묶고 지지하는 노팅, 프라팅의 사용이 높으며 공간 확장을 위해 꽂는 피닝도 있었다. 구조물을 사용한 장식적 형태를 이용하여 절제된 재료에 여백을 활용한 디자인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화훼장식 조형적인 형태와 기법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꽃다발의 경우 형태적 특징은 장식적형태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선형적 특징도 나타났으며 식생적형태도 보여지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되었다. 구조물은 사용한 것이 많아서 재료의 투명감을 보여주기 위함과 기술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기법에서는 절화장식보다 많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절화장식과 마찬가지로 노팅과 프라핑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꽃다발과 절화장식의 각각의 특징적인 형태와 기법을 알고 화훼장식 실기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Although the flower industry has made great progress both quantitative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flower decoration development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and it can not rule ou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a variety of new programs 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national qualifications have been launched and new designs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through the training of participants. This is particularly true because the criteria for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are popular and tailored to product design forms that have both practicality and technicality. This study summarizes the data of five times from 2001 to 2010, When the floral design work was adopted as the official sport for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over the past 10 years, The design type, technique, and structure are used for the most representative hand tied bouquets and flower arrangement. The analysis of the arrangement showed that the decorative pattern was high at the beginning and the vegetative form was low but the vegetative form rapidly increased in 2007, but it was lowered in 2009. This can be considered as reflecting the trend of social trend and design in the times. In addition, as the use of structures increased, In 2009, all structures were used. Structural techniques show that the use of notching and punching to bind and support is high and pinning, which is plugging type for space expansion was also available. Using the decorative form using the structure, We could see the flow of the design using the margin to the cut material. This can be said to reflect the flow of decorative and decorative forms and techniques of flower arrangement and creativity in the times. In the case of the bouquet, th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mostly decorative, but also the formal linear features and the vegetative form were shown and they were designed in various forms. Many of the structures were used to show the transparency of the material and to use a lot of techniques. Structural techniques used more techniques than cut ornaments, and the most common use was notching and framing, as in the case of cut flo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vent by utilizing the difference between hand tied bouquet and flower arrangement and suggest it as a basic data of practice.

      • KCI등재

        화훼장식사의 국가기술자격증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숙 ( Jung Sook Kim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5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3 No.-

        화훼장식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식물을 주 소재로 인간의 창의력과 표현능력으로 공간의 기능과 미적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술을 뜻한다. 화훼장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기능과 역할이 다양화 되었으며 화훼의 건전한 소비문화 정착 및 활성화에 따라 새로운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고도의 작업을 요구하는 화훼디자인이 전문영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성을 갖춘 화훼디자인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화훼장식가는 연령, 성별 관계없이 개인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고 평생 직업으로 선망의 직업으로 부상되었다. 화훼장식관련 사법인체에서는 자체내 자격 검정을 시행하여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고 배출하고 있으나 자격기준이 협회마다 달라 공정성과 투명성이 미흡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자격이 2004년 도입되어 국가기술 자격인 화훼장식기(능)사 제도가 시행되었고 시대적 요구로 대학에 전문학과가 신설되었으며 외국의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국내에 들어와 교육의 내용도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2014년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화훼장식 분야에 전문 교육자와 전문기능인의 양성할 목적으로 제정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체계적인 교육이수 후 취득한 국가기술 자격증 활용에 대한 개선방안의 제도적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loral art has been widely used in our daily lives and means a skill which enhances the spacial function and aesthetic efficiency by using the creativity and capacity for personal expression. The consumers’ interest has gradually grown due to the improvement of cultural level. That is why the demands of professionals who have great capacity are essential according to the desirable consumer culture and its activation. I, thus, suggest that the education of floral art is crucial in order that the floral art is regarded as the professional area which needs a high degree of skill. Regardless of the age or gender, the floral designer can display his or her ability and is valued as a craving career, a lifelong career. For example, several private foundations of floral art have fostered the floral designers after testing their own qualification. However, the transparency and fairness are not sufficient. So as to make up for these problems, the Craftsman Floral Art, or the national qualification was enforced in 2004 and the department of floriculture was established in a university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 variety of foreign educational systems were introduced, thereby starting a diversity of contents of education. Since 2014,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has been progressed as the systematic education which is combined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problems of education regarding the floral art. The purpose was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 educators and floral designer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pict the institutional demands when it comes to the utiliza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fter taking the organized educational program.

      • KCI등재후보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회복에 관한 연구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텔레마케터의 스트레스 및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손장호 행복한부자학회 2022 행복한부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텔레마케터의 스트레스 및 회복 탄력성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대구광역시 ‘ㅈ’구의 ‘ㅋ’ 회사에 근무하는 텔레마케터 50명을 각각 실험집단 25명과 비교집단 25명으로 선정, 8주간, 10회기의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적 특성을 보인 화훼장식 및 기법을 선정하여 이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회복 탄력성의 하위요소에 근거한 회기별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텔레마케터의 직무 스트레스 점수 및 코르티솔 수치를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01)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텔레마케터의 회복 탄력성 함량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01). 위의 분석 결과로 볼 때,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텔레마케터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 및 회복 탄력성 증진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직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텔레마케터의 심리적 회복 및 창의력 증진에도 효과 있을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KCI등재

        화훼장식기능훈련을 이용한 원예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작업수행능력 향상및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

        이선자(Sun-Ja Lee),엄수진(Su-Jin Um),송종은(Jong-Eun Song),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화훼장식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문적인 원예치료가 이들의 작업수행능력을 향상과 직업재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직업적응 훈련을 위한 1차시기와 직업재활을 위한 2차시기 두 차례에 걸쳐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의 특수학교 고등학생으로 1차에는 대조군 35명, 실험군 33명이고, 2차에는 대조군 15명, 실험군 15명 비장애인학생 15명을 선정하였다. 1차는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총 12회를 하였으며, 2차는 2007년 1월부터 2월까지 주 1회 총 5회를 실시하였다. 화훼장식 기능훈련 프로그램은 1차에 꽃다발, 꽃바구니, 사방화와, 2차에는 꽃다발, 꽃바구니, 사방화(촛대), 부케 등을 선정하였다. 평가도구는 1차에 부모설문지, 작업수행평가, 생활만족도, 원예활동 수행능력 평가도구-심리행동 영역 등을 사용하였으며, 2차는 매회 화훼장식기능사 채점기준표로 평가하였다. 1차의 화훼장식 기능훈련 전ㆍ후 그룹별 작업수행능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작업 전 기능, 작업태도, 전체작업수행평가 모두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에서 화훼장식기능훈련 실시후 원예활동 수행능력 평가 결과 의존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항목인 위축, 참여성, 자신감, 흥미와 관심, 문제행동, 민감성, 정서불안, 욕구불만 영역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2차시기의 세 그룹의 결과를 보면 구성, 색상, 창의성, 기술능력 모든 영역에서, 비장애학생, 실험군, 대조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각 항목별 차이를 보면 꽃다발, 꽃바구니, 사방화, 촛대를 이용한 사방화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화훼장식 기능훈련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들의 작업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직업적응과 직업재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인들이 직업적응과 직업재활 훈련을 잘 마치는 것도 직업재활로 보고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이들의 직업재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the impact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floral decoration training (FDT) program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mprovement of their occupat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wice, with phase Ⅰ for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and phase Ⅱ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ubjects were 35 students from the special high school in Seoul in the control group and 33 in the treatment group in phase Ⅰ. In phase Ⅱ, 15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control group in phase Ⅰ, 15 students from the treatment group in phase Ⅰ and 15 normal students in the same age group. Phase Ⅰ was conducted from Oct. to Dec. 2006, which consisted of 12 terms once a week. Phase Ⅱ was composed of five terms from Jan. to Feb. 2007. The FDT program in phase Ⅰ involved making the bouquet, flower basket and centerpiece, whereas phase II involved the selection of the bouquet, flower basket and centerpiece (candle holder). The evaluation tools were parents' questionnaires, evalu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life satisfaction inventory and horticultural therapy performance assessment (HTPA-psychological behavior part) in phase Ⅰ, whereas phase II referred to the scoring standard for the florist test.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FDT in phase Ⅰ, the control group showed a reduc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level in all testing areas including the pre-vocational skill, vocational attitude and total occupational performance level. On the contrary, the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areas, such as prevocational skill, vocational attitude and total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horticultural activity performance ability test after the FDT, the treatment group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ub-groups, except in dependency factors, such as shrinking, participation, interest and pleasure, troublesome behavior, emotional insecurity and frus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DT in phaseⅡ, the averages were higher in normal students, followed by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at order in all areas including organization, color, creativity and technical ability. Furthermor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that were comprised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by area, the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higher average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reas of bouquet, flower basket, centerpiece and centerpiece using candle holder. As a resul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the FDT had a positive impact on occupational adapt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by improving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lthough it is importantfor them to directly get a job, as the completion of the occupational adaptation train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is considered as a kin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programs used in this study will be effective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individuals.

      • KCI등재후보

        화훼장식 작품을 활용한 정원의 조형성 연구

        오면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basic theory of the formativeness of structures, which is preferred as a new genre in flower decoration, and how they are formed into works. Expression techniques and symbolic meanings of work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types of expression techniques of structures constituting the structural frame of floral decorations were defined, and 39 types of flower works produced and published using actual structu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type of structure expression technique. The flower decoration works to be analyzed were the works that the researcher produced and presented using actual structures at the exhibition, and the shape of the structures applied to the flower decoration works and the formative technique centering on the representative formative theories used in gardens and flower decorations, analysis of works, materials used, etc.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respectively. Since most of the structures that make up the framework of the work are composed of shipping materials, the principle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was applied to the structural modeling, and the possibility of making various works could be seen through the basic modeling theory and method of making works. The representative structural modeling forms expressed in flower decoration are cross forming, bunch forming, parallel forming, square forming, horizontal forming, plant forming, wire forming, circle forming, cone forming, paper forming, texture forming, hanging forming, space forming, etc.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modeling expression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weaving, confusion, ladder, filling, striping, netting, knotting, propping, winding, threading, bending, plaiting, pressing, collage, conneting, floating, etc. 본 연구는 화훼장식에서 새로운 장르로 선호하고 있는 구조물의 조형성에 대한 기초이론과 어떻게 조형되어 작품으로 만들어지는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실제 조형 이론이 적용된 작품 39종을 선정하여 각 작품의 조형 형태와 표현기법 및 작품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화훼장식의 구조적 틀을 구성하는 구조물의 표현기법 유형을 정의하였고, 각각의 구조물 표현기법 유형에 따라 실제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 발표한 화훼작품 39종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화훼장식 작품은 연구자가 작품전에서 실제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발표 전시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원이나 화훼장식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조형이론을 중심으로 화훼장식 작품에 적용된 구조물의 형태, 조형 기법, 작품해석, 사용재료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작품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는 대부분 선적재료에 의해 구성되므로 입체조형의 원리를 구조 조형에 적용하여 기초 조형이론과 작품제작 방법 등으로 다양한 작품제작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화훼장식에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구조물 조형 형태를 교차조형, 다발조형, 병렬조형, 사각형조형, 수평조형, 식물조형, 와이어조형, 원조형, 원추형조형, 종이조형, 질감조형, 매달음조형, 공간조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조물 조형 표현기법들의 유형 및 특징은 weaving, confusion, ladder, filling, striping, netting, knotting, propping, winding, threading, bending, plaiting, pressing, collage, conneting, floating 등으로 구분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주간(聖週間) 가톨릭 전례 꽃장식의 선호도 분석

        박명희,김미진,윤숙영,최병진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7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Catholics, priests, and monks on flower arrangements in the Holy Week. The research method produced 14 flower arrangement under the theme of Holy Week. In addition, interest in flower arrangements Catholic liturgy, importance of liturgical flower arrangement connection between Bible verses and flower arrangements, necessity of arrangements the Holy Week flower, and preferences of the Holy Week work were survey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as a percentage. The respondents were 1170 Catholics (388 men and 782 women), 97 priests and monks (69 men and 29 women).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reliable with Cronbach’s α=0.99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re are a lot, a lot" of interest in flower decorations was found to be Catholic(55.8%), Priests and monks (50.0%).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flower arrangements Catholic liturgy is "very important, important" was found to be Catholic (78.5%) and priests and monks (81.6%). The percentage of Catholics (79.4%) and priests and monks (55.1%) who answered "very much, many"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acrament and the flower decoration. In the case of the need for flower arrangements during the Holy Week,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needed and very necessary" were Catholics (84.0%) and priests and monks (71.4%). The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high for women in Catholics, for priests and monks, for men,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flower arrangements, the connection between Bible verses and flower arrangements, and the need for Holy Week flower arrangements. However,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need for flower arrangements in Holy Week was necessary for both men and women. Among the 14 works presented, as a result of overlapping responses to the preferred works, Catholics preferred prayer in Gessemani (12.2%), while priests and monks preferred the Last Supper (12.5%) and the Perfume (12.5%). 본 연구는 성주간 꽃작품에 대한 가톨릭 일반 신자와 성직자 및 수도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성주간의 성경구절과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14개의 전례 꽃장식을 제작하고 성직자와 일반 신자 1,268 명을 대상으로 전례꽃에 대한 관심도, 전례 꽃장식의 중요성, 성경구절과 꽃장식의 연결성, 성주간 꽃장식의 필요성, 성주간 작품의 선호를 설문 조사한 후 백분율로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응답자는 가톨릭신자 1170명(남자388명, 여자782명), 성직자 및 수도자 97명(남자 69명, 여자 29명)이었고, 설문조사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0.994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연구결과 전례 꽃장식의 관심은 ‘아주 많다, 많다’로 응답한 비율은 가톨릭일반 신자(55.8%), 성직자 및 수도자(50.0%)로 나타났다. 전례 꽃장식이 ‘아주 중요하다, 중요하다’로 응답한 비율은가톨릭 일반 신자(78.5%), 성직자 및 수도자(81.6%)로 나타났다. 성결 구절과 꽃장식의 연결성에 ‘아주 많다, 많다’ 고 응답한 비율은 가톨릭 일반 신자(79.4%), 성직자 및 수도자(55.1%)로 나타났다. 성주간 꽃장식의 필요성의 경우‘필요 하다와 매우 필요하다’로 응답한 경우 가톨릭 일반 신자(84.0%), 성직자 및 수도자(71.4%)로 나타났다. 성별에따른 선호도는 가톨릭 일반 신자의 경우 여성, 성직자 및 수도자의 경우 남성이 꽃에 대한 관심, 전례 꽃장식의 중요성, 성경 구절과 꽃장식의 연결성, 성주간 꽃장식의 필요성 모두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주간 꽃장식에 대한 필요성은 모두 남녀 구분 없이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한 인원이 가장 많았다. 제시된 14개의 작품 중 선호하는 작품을 중복 응답 한 결과 가톨릭 일반 신자는 겟세마니에서의 기도(12.2%)를 가장선호하였고 성직자 및 수도자는 최후의 만찬(12.5%)과 향유를 부음(12.5%)을 가장 선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