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유럽의 성범죄자 화학적 거세제도에 관한 연구

        허경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1

        The Nordic europe castration system originated from an eugenic background. Denmark was established in 1929, Norway in 1934, Finland in 1935 and Sweden in 1944. It was changed from physical castration to chemical castration. The issue of chemical castration in the Nordic countries is firstly criticized a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sexuality of criminal justice workers. Second, it is a matter of chemical castration effect and spontaneity. Third, chemical castration has an eugenic intent and this is a criticism that it leads to the social breakdown of sex offenders pretending to treat. Fourth, it conflicts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The UN Convention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of the European Union . Fifth, there are problems of side effects and reversibility of hormone therapy. Sixth, there is a problem of medical ethics and the absence of standard chemical castration manuals. They are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the medical staff in charge of each subject is different and the medical staff is obliged to replace the duty of the criminal justice authority. In order to reduce the human rights abuses against chemical castr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eek system improvement by modeling the case of Northern Europe. The government pays for the cost of the treatment, and the execution of the order of remedy should be done during offense rather than termin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reatment manuals so as not to be contrary to medical ethics, and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so that they do not violate the human rights spirit of international norms such a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북유럽의 거세제도는 우생학적 배경에서 덴마크가 1929년, 노르웨이가 1934년에, 핀란드가 1935년에 스웨덴이 1944년에 각각 관련법을 제정하여 시행되었다. 이는 물리적 거세에서 화학적 거세방법으로 변화되었다. 북유럽국가의 화학적 거세에 대한 이슈는 첫째, 형사사법기관 종사자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몰이해라는 비난이 있다. 둘째, 화학적 거세 효과와 그 자발성의 문제이다. 셋째, 화학적 거세가 우생학적 취지를 담고 있고, 이는 치료를 가장한 성범죄자의 사회적 단절을 가져온다는 비난이다. 넷째, 국제인권규범과 충돌하고 있다. 즉, 유엔의 고문 및 기타 잔혹한,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에 관한 협약, 세계인권선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유럽연합의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보호를 위한 유럽협약 등의 정신에 반한다는 점이다. 다섯째, 호르몬 치료의 부작용과 그 효과의 가역성의 문제가 있다. 여섯째, 표준적인 화학적 거세 매뉴얼의 부재와 의료윤리의 문제가 있다. 화학적 거세 대상자 마다 담당하는 의료진이 다르며, 형사사법기관의 의무를 의료진이 대체토록 한다는 비난에 직면한 것이다. 한국도 화학적 거세제에 대한 인권침해 시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북유럽의 경우를 모델 삼아 제도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국가가 치료비용을 부담하며, 치료명령의 집행은 형기종료가 아니라 형기 중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의료윤리를 존중하며, 유엔의 고문 및 기타 잔혹한,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에 관한 협약 등 국제규범의 인권정신에 반하지 않도록 전반적인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 KCI등재

        물리적 거세법안의 의료법적 성격과 한계 - 미국(텍사스주)의 물리적 거세법을 참고하여 -

        정재준 한국의료법학회 2012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0 No.1

        2010년 7월 화학적 거세법이 통과된 이후에도 우리 사회의 성폭력 범죄는 줄어들고 있지 않으며, 화학적 거세에 대한 한계와 효과에 대하여 문제점 지적이 계속되는 가운데 12명의 국회의원들이 2011년 1월 물리적 거세법안을 발의하였다. 그러나 화학적 거세법에서도 제기되었던 법적 충돌의 문제(이중처벌, 비례성의 원칙,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등)가 물리적 거세법에서도 더욱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물리적 거세법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분석한 연구 논문은 전무한 상황이다. 미국을 비롯한 몇몇 유럽 국가들은 거세법을, 상습적 성폭력 범죄자들의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입법정책적 수단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 미국의 텍사스주에서 물리적 거세법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법적 논리와, 현실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물리적 거세법안 발의에 대한 비판적 제언을 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의 화학적 거세법 도입과 더 나아가 물리적 거세법안 발의에 대한 문제제기(I)를 하였다. 화학적 거세법의 도입과 현황(II)에 대해서 살펴본 다음, 물리적 거세법의 도입배경과 법안 내용(II-2), 미국의 물리적 거세법의 실제(II-3)를 통하여 물리적 거세법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III 단원에서 물리적 거세의 부작용, 입법되었을 때의 헌법적 한계와 법률적 제문제 등을 고찰한 후 최종적으로 이에 대한 비판적 제언(IV)을 담았다.

      • KCI등재

        성범죄자에 대한 약물치료명령에 관한 연구

        허경미 한국교정학회 2010 矯正硏究 Vol.- No.49

        약물치료명령은 성범죄자의 성적 환상 및 심각한 성범죄자의 충동을 약물을 이용하여 통제하는 치료 방법으로 그 도입이 확산되는 추세를 보인다. 우리나라 역시 2010년 7월에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성 범죄자에 대한 약물치료는 물리적 거세와 구분하여 화학적 거세라는 용어로 대체 사용된다. 화학적 거세는 이는 아동성범죄자를 포함한 상습적인 성범죄자 들에 대하여 성 충동 및 성적 호르몬(테스토스테른)을 감소시켜 성범죄를 예방 시키려는 의학적인 제재방법이다. 화학적 치료, 또는 의학적 치료라고도 한다. 화학적 거세를 위한 약물로는 남성호르몬을 억제시키는 시프로테론, 데포 프로 베라, 메드락시프로제스테른 등을 사용하며, 이들 약물은 남성의 섹스 충동, 강 박적인 성적 환상 및 성발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약물치료를 받은 범 죄자들에 의한 평균 재범률은 5%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가 대상자의 인권을 침해하며, 이중처벌이며,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등의 지적이 있다. 또한 화학적 거세가 필요한 의학적 진단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에 대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입장이 다. 첫째, 약물치료의 부작용은 대상자의 생명에 지장을 줄 만큼 중대하지 않으 며, 그 부작용 역시 매우 일시적이라는 점이다. 치료를 중단할 경우 성적 능력도 회복된다. 그러나 성범죄 피해자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피해는 평생 동안 지 속된다는 점에서 극단적인 성적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범죄자에게 약물치료는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화학적 거세의 효과는 매우 높아 성범죄의 재범률은 5%로 떨어진다. 이는 성범죄로부터 잠재적인 피해자, 그리고 지역사회를 보호 한다는 의미가 있다. 셋째, 의학적 치료명령은 이중처분이 아니라 보안처분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법원 역시 같은 태도를 갖고 있다. 즉 치료명령은 현재 치료감호법 및 보호관찰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치료명령 또는 보호관찰 등과 같이 보안처분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의학적 치료명령 시 성범죄자의 자발적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앞에서와 같이 의학적 치료명령은 보안처분의 일종이므로 대상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없으며, 의학적, 범행의 상습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사안이라고 본다. 이에 대하여도 법원은 같은 입장으로 확인된다. 다섯째, 의학적 치료명령을 결정함에 있어 검찰 또는 법원 은 의학적인 소견이 주요한 판단근거로 활용하는 바, 보다 정교한 의학적 진단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의사의 윤리적인 갈등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중요 하다. Chemical castration is the medication treatment designed to reduce sexual libido and sexual activity, especially for prevent rape, child molest and other sex crimes. Korea enacted the law of chemical castration to sexual offenders on July 2010, that is be realize since July 2011. The definition of chemical castration is same medical treatment, and chemical treatment. Chemical castration is not permanent make unavailable sexual activity about sex offenders as physical castration but make unavailable sexual activity temporary. Generally, Depo Provera, Cyproterone, Medroxy Progesterone Acetate are used to medicine chemical castration. The chemical castration is very effective control method to re-offend sex crime. The average recidivism rate of castrated sexual offenders is 5%. But there is some problem. For example, human right of castrated sexual offenders, side effect, and double penalty. But this research points do not agree that mentions. The key points like next. First, the side effect is not serious to sex offenders body. Besides, side effect is temporary phenomenon. But pain of victim is permanently. Second, the effect of chemical castration is very surprise. Tha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latent sex crime victims and control violent sex crime. Third, chemical castration order is not double penalty, but sicherheitsmassnahmen like education order or custody treatment order. This is same The court's position is the same. Fourth, the voluntary agreements of sex offender is not necessary to chemical castration order. Because chemical castration order is sicherheitsmassnahmen and necessary to control sexual drive of sex offender. But if some one who want chemical castration, voluntary agreements is necessary. Fifth, medical diagnosis to chemical castration should be Sophisticated. We have to make an accurate chemical castration diagnosis rules. But medicine doctor will undergo an ethical conflict

      • KCI등재후보

        ‘화학적 거세’에 관한 쟁점과 논의

        이희경 한국보호관찰학회 2012 보호관찰 Vol.12 No.1

        최근 법무부 치료감호심의위원회는 2010년 7월 23일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 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 처음으로 성충동 약물치료 명령을 결정하여 국내에서는 최초로 ‘화학적 거세’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화학적 거세의 시행을 앞두고 성충동치 료약물의 효능과 부작용에 관한 문제, 성폭력범죄자의 인권침해 문제, 이중처벌금지의 원칙 위반 여부에 관한 문제 등 ‘화학적 거세’에 관한 주요쟁점이 논의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MPA나 CPA 등의 성충동치료약물을 투여했을 때 성폭력범죄의 발생률 이 낮아졌다는 보고를 하고 있으며, 성충동약물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약물투여 와 함께 심리치료프로그램도 병행해야 한다고 한다. 물론 성충동 약물치료의 경우 그 부 작용의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도 보고되어 인권침해의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아 동성폭력범죄에 대한 재범을 방지하고 성폭력범죄자의 사회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동법 의 성충동약물치료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위해가 있을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는 정도는 아니고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의 피해를 막기 위한 공공의 이익보다는 크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성폭 력범죄자의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와 자기결정권 등의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 니다. 또한 화학적 거세가 형벌이 아니라 장래 범죄의 예방을 위한 보안처분이라고 할 것이 므로 이중처벌금지의 원칙에 반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현행법은 만 16세 미만자에 대 한 성폭력범죄자에 대해서도 약물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화학적 거세를 규정하는 법률의 제정 이유가 아동성기호증환자 등에 의한 것이거나 성인에 대한 방어능력이 없 어 범행대상이 쉽게 되어 재범률이 특히 높은 만 13세 미만의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 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성충동약물치료명령의 대상자를 본래 동법의 법 률안에서 규정하고 있던 바대로 만 13세 미만의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성도 착증환자로 개정해야 한다.

      • KCI등재

        형사법과 의료의 잘못된 만남: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

        김지혜 ( Ji Hye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6

        2010년 7월에 제정된「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성도착증 환자``로서 재범 위험성이 있는 사람에게 ``성충동 약물치료``(이하 ``화학적 거세``)라는 명목으로 항남성호르몬제를 최장 15년 동안 투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화학적 거세에 관한 입법담론과 정치적인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처벌``과 ``치료``의 의미가 뒤섞이면서 약물을 통한 처벌을 정당화한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화학적 거세를 정당화한 근거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성도착증 환자인 성폭력범은 ``극도의 나쁨``에 ``원인불명의 아픔``이 더해져 비정상성과 위험성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통제를 위해 모든 권리가 박탈될 수 있는 ``괴물``로 여겨졌다. 화학적 거세는 거세효과를 의도하면서도 ``치료``라는 명목을 내세웠기 때문에 정상성을 회복해주는 의과학적인 방법으로서 정당화되었고, 의과학 지식과 전문가의 권위가 뒷받침되어 형벌에 병과적으로 부과될 수 있었다. 실제로는 의과학적인 근거와 검증이 부족한 채로 범죄자에게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지만, 판결로써 이루어지는 ``형사제재``라는 이유로 강제집행이 정당화되었고 외국 입법례와 국민의 법감정을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범죄의 의료화는 비의료적 집단의 주도로 사회 통념에 기초하여 정략적인 목적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정치적 과정을 통한 형사법과 의료의 잘못된 만남은 괴물을 만들어내고, 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정당화하는데 유용하다. 화학적 거세는 의료전문가의 진단 후에 이루어지는 의료기술의 개입이지만, 실상은 법원과 행정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약물을 주입하여 몸의 변형과 기능이상을 일으키려는 현대판 신체형이다. The law on chemical castration treatment for sex offenders was enacted in July of 2010. This law states that if sex offenders are diagnosed as a paraphilia by a psychiatrist and having the risk of recidivism, they are subject to the treatment through which the hormone drug is injected, causing the physical dysmorphism and malfunction. Through analyzing the legislative discourse and political context on the chemical castration, this paper aims to disclosing a mechanism justifying a punishment by medication with the semantic mixture of the “punishment” and “treatment” and critiquing bases for justifying the chemical castration. The medicalization of crime may be achieved depending on a political purpose based on a social common notion. The corporeal punishment which is outwardly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like the chemical castration may be created through a political process. Such a corporeal punishment may be justified as a criminal sanction to “treat” a monster abnormal and risky. This chemical castration is to harshly punish sex criminals under the pretext of medical treatment. Though medical intervention done after a diagnosis by a medical professional, chemical castration is the actually modernized corporeal punishment with a view to disabling a part of the body through injecting a drug under the decision of a court.

      • KCI등재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의 헌법적·형사정책적 검토

        박봉진(Park Bong- Jin)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7 No.-

        아동성폭력범죄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문제이며,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이나 가족들과 국민들의 불안감을 생각한다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야만 한다. 그리하여 2010년 국회는 화학적거세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2011년 7월24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화학적 거세는 의과학적으로 제안되는 약물을 주입하여 성충동을 억제시키는 방안이며, 일부외국에서는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그러나 성충동약물치료는 인권을 무시하고 침해한 졸속정책의 일환으로 본다. 그것은 치료명령부과의 주체, 초범자에 대한 약물치료의 허용, 심신상실자에 대한 약물치료의 허용, 약물치료대상자의 동의없이도 강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화학적거세의 부작용 및 실효성문제와 화학적거세가 대체형벌이 아닌 중복형벌로 가능하다는 헌법적·형사정책적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헌법적으로 보면 이중처벌금지의 원칙위반에는 해당되지 않겠지만 그 구체적인 집행에 있어 치료목적의 심리치료를 병행하지 않는다면 과잉금지 원칙에 위반할 것으로 보이며, 기존의 수형자에 대한 동의를 통한 치료명령은 그 동의의 적절성에 위헌의 소지가 있다. As a measure to prevent recurrence of sex crime, “Act on Medication Treatment of Sexual Impulse of Sex Offenders” was enacted on July 24, 201l. the researcher is able to reach a conclusion that the foundation of the Sexual Impulse Medication Treatment Act is insecure, and includes a number of unconstitutional factors. As long as people understand this act with such significance, it seems that there are almost no grounds for the Sexual Impulse Medication Treatment Act. Therefore, the Sexual Impulse Medication Treatment Act needs to be revised rather than being enforced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issues related to human rights abuses have not been completely resolved. Castration may be performed in two ways: through medication or through the surgical removal of the testes. chemical castration has ml issue of infringing upon light to self-determination in one’s body or reproduction, light to be not impaired in one’s body. If the administration of chernical castration is based on informed consent, castration doesn’t infringe upon the rights. chemical castration has been criticized as inhuman critical policy, in the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ity. As the law shows, a mandatory injection without consent could be unconstitutional. Although chernical treatments can decrease the aggressive fantasies of male offenders, it should be reviewed in line of criminal rationality and specific data-analysing. chemical castration is not the perfact solution to inhibit child molestation, additionally it discourages the rationality of criminology which dignifies human rights. sugical castration can not be considered as a reliable treatment for sex offenders. This raises the question whether the treatment can be considered legally permissible. It is also questionable if the procedure can pass the constitutionality test with regard to the prohibition of cruel, inhuman, or degar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fundamental rights to marry and found a family as well as to human dignity and integrity. The government should also by to give much safer options for them and invest many resources for solving their psychopathic problems.

      • KCI등재

        화학적 거세의 의료윤리적 관점

        최범성,임명호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2

        성적가해자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은 오래 전부터 있었으나 가해자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매우 적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적 가해자의 윤리에 대한 연구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해자의 인권에 관한 문제제기도 이루어지고 있다. 성적 가해자에 대한 치료의 한 방법으로 외과적 거세 및 화학적 거세치료 즉 성충동조절 약물치료 등의 방법이 있지만 공공의 안전을 위해서 범법자에 대한 벌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임상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선택해야한다는 의견이 서로 상충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화학적 거세치료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첫째, 화학적 거세 즉 성폭력 범죄자의 성충동약물치료에 대한 의학적 효능과 부작용을 알아보고, 둘째,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화학적 거세의 주된 문제점들을 문답형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Although the topic of sexual offense has received increased public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medical treatment of sexual offenders. Treatment options for sexual offenders include surgical castration and chemical castration through the use of sexual impulse control drugs. Opinions vary on the most effective and appropriate methods for treating sexual offenders.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side-effects of the drugs used in chemical castration and discuss the main ethical issues involved in chemical castration.

      • KCI등재후보

        아동 성폭력 범죄자의 화학적 거세에 관한 고찰

        조철옥 치안정책연구소 2010 치안정책연구 Vol.24 No.2

        2010년 6월 29일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제정되어 2011년 7월 24일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있다. 일명 화학적 거세법이라고 하는 이 법은 16세 미만의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폭력범죄자에게 특정약물을 주사함으로써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감소시켜 성범죄의 재범을 예방하고자 한다. 성충동약물치료법은 최근에 빈발한 아동성폭력범죄에 대한 여론이 악화됨에 따라 2010년 6월 29일 하루만에 국회법사위 소위, 법사위 전체회의, 본회의의 모두를 통과하여 제정됨으로써 이 제도의 법적합성과 타당성, 합목적성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 법에 의한 화학적 거세는 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아니라 치료를 하는 것이 본질이다. 그러나 성충동 약물치료법은 상대방의 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약물을 대상자의 몸에 투여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치료가 아니라 처벌이라는 비판과 함께 법적, 의학적, 심리학적, 생물학적인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문제점들은 성도착증 환자의 판별, 성폭력범죄자의 재범위험성 평가, 이중처벌과 소급입법의 문제, 약물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과 부작용, 약물치료 대상자의 의무위반에 따른 무거운 형사처벌 규정 등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화학적 거세에 의해 범죄자들을 치료하여 성폭력범죄를 예방하고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복귀시킨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충동 약물치료법을 시행하기 전에 법 규정을 다시 조정하고,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약물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In Korea, chemical castration will be enforced against sexual assault(pedophile) to person below 16 years old from July 20th in 2011. The law on medicine treatment against sex arousal of sex violent offender, Korea 2010 is included into many problems in process of enforcing this law. The most big problem of this law is the identification of a sexual pervert against sexual violent offenders legally and medically. Also exact judgement on the probability or risk of recidivism is very important to first offender in the chemical castration. These problems are attributed to be object for chemical castration without person's agreement. Therefore chemical castration is to be imposed by agreement in case of the first offender, and recidivist is to be treated coercivel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objective index to evaluate recidivism risk is very important to treat pedophile exactly. When sexual violent offenderl is judged to be put on electronic anklet, KSOLAS(Korean Sex Offender Risk Assessment Scale) is of application. Medicine treatment on sex arousal injects specific medicine on body of pedophile coercively differently from electronic anklet. So index to evaluate the recidivism risk is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than the index on electronic anklet. Also in case of 「The law on medicine treatment against sex arousal, Korea 2010」, a problem of double punishment and retroactive law against pedophile is raised. Especially this law is prescribing too heavy punishment to pedophile to violate any duty and observance indications of this law. This law is to treat pedophile, not to punish. So these problems are to be reviewed legally. Medicine such as Depo Provera and Lupron for chemical castration has been reported to cause any dysfunction physically. Those dysfunctions are quite various including weight growth, tension, nerveless, cold sweat, nightmare, specks, muscular aches, or headache, mental depression,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men's breath changed into lady's breath. To resolve these dysfunctions, chemical castration was practiced in combination with medical treatment and cognitive program in the case of foreign in the case of foreign. Nevertheless, chemical castration was reported to cause serious dysfunction physi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refore chemical castration is not safety so much that it causes a failure of medicine treatment. Also the production of testosterone is known to be related with the pituitary gland of brain system. Accordingly the use of medicine influencing to the pituitary gland such as Depo Provbera and Lupron may cause the dysfunction of brain function. Consequently chemical castration is to be approached in respect to biological evaluation with legal and medical evaluation.

      • KCI등재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의 평가

        신동일(Syn, Dong-Yiel) 한국형사정책학회 2011 刑事政策 Vol.23 No.1

        2011년 7월 24일부터 발효되는 "성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은 아동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소위 화학적 거세를 가능케 하고 있다. 아동 폭력범죄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문제이며,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이나 가족들의 불안감을 감안한다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화학적 거세는 의과학적으로 제안되는 약물을 주입하여 성충동을 억제시키는 방안이며, 일부 외국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다만, 의학적인 부작용이 상당히 많이 보고되며, 모든 성범죄자가 이러한 치료에 효과를 보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또 한가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아동 성폭력범죄의 우리사회에서의 심각성이다. 비교적 우리 사회는 아동 성폭력 범죄의 발생수가 많지 않았다. 국제적인 기준인 만 13세 미만을 아동으로 판단할 때는 한 해 평균 100여건에 그쳤고, 법률처럼 만 16세로 판단해도 한 해 1000여건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정책은 극단적이다. 심지어 약물치료 대상자의 동의 없이도 강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화학적 거세가 대체형벌이 아닌 중복형벌로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헌법적인 측면에서 논란이 될 수 있다. 사실 형사정책은 과학이다. 그러므로 충분한 사실 자료의 관찰과 그에 따른 엄밀한 이론설계와 검증된 이론의 현실적용이 필요하다. 여기서 논의하는 형사제재로서의 화학적 거세가 이러한 기본적 과정을 거쳐서 등장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Chemical castration is the medical administration to reduce libido and sexual desire, in the design of preventing serious rapists, child molesters and other types of sex offender from repeating their crimes. Some of countries have already surgical castration, which means to remove the testicles or ovaries through an incision in the body. Chemical castration is not the way to castrate the person, nor is it a way of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medical report, the effect of chemical castration is just temporal, not permanent. Castration is considered reversible when treatment is discontinued. Side effects are the problematic concern. A medical report indicates that chemical castration can cause bone density loss because of Depo Provera use. Child molestation is a serious problem in the world. In Korea recently a few related child molesters are occurred and caught huge interests of mass media. People begin to think that the legal system is lenient with pedophiles, punishing them with insufficiently brief prison sentences. Some child molesters are released back into society. Legislation plans new law to activate chemical castration from 24th of July, to reduce biological desire of male pedophiliac, injecting Depo Provera or other chemical injection. However other experts argue that chemical treatment for castration is ineffective and will not prevent molestation. Forced castration may have the adverse effect of angering a criminal, increasing his violent tendencies. Additionally it easily reversible. Regardless, the chemical castration has been criticized as inhuman criminal policy, in the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ity. As the law shows, a mandatory injection without consent could be unconstitutional. Although chemical treatments can decrease the aggressive fantasies of male offenders, it should be reviewed in line of criminal rationality and specific data-analysing. Chemical castration is not the perfect solution to inhibit child molestation, additionally it discourages the rationality of criminology which dignifies human rights.

      • KCI등재

        성충동약물치료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미국의 ‘화학적 거세법’을 중심으로-

        류병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2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strengthening their penal law of sexual child abuse. In 2010, due to the public opinion, South Korea enacted the law of “Medication Treatment of Sexual Impulse of Child Sex Offenders” on July 2010. Also, in the United States the state of California was the first to implement a chemical castration statute in 1996 when it made the procedure a condition of probation for certain offenders. In both countries, people think that the chemical castration is very effective to prevent sexual child abuse. However, it always has had much problem legally and ethically. This law has created issues of constitution because this law violates human rights. Chemical castration is considered as merely a type of hormone therapy that takes away the offender’s sexual desire. It is difficult to think of the chemical castration law as cruel and unusual in any way. Additionally, there is a fundamental right to procreate as well as a right to refuse treatment, which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a number of constitutional concerns arise with the use of such a procedure, this proposes that chemical castration does not violate the Constitution. This solution is chemical castration, which a number of nations have already implemented. Many people find any type of castration an unsettling punishment due to its improper uses throughout history. However, chemical castr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restrictive ways to help treat child predators and keep children safe. So, I will discuss about chemical castration law by contrasting the American system of chemical castration and Korean system of chemical castration. Finally, I suggest an innovative way of operating this law without violating the constitution of human rights. 우리정부는 최근 사회적으로 알려진 ‘아동 성폭행 사건’을 계기로 성폭력 범죄를 예방하고 성폭력범죄자들의 처벌 수위를 강화하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들을 강화해왔다. 특히 2010년을 기점으로 국민여론에 편승하여 형사사법의 전분야 걸쳐 엄벌주의 입법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형사입법들 중 가장 극약처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실효성 및 인권침해와 관련한 위헌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이다. 본법의 입법취지로서 치료를 통한 재범방지효과는 그 효율성이 의심되고 있는 반면, 최근 입법된 다른 아동성범죄관련 법규들과 마찬가지로 ‘보안처분’이라는 미명하에 형벌보다도 더 가혹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범죄자에게 이중으로 부과하여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특히 당사자의 ‘동의’없이 강제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헌성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1996년 캘리포니아주를 시초로 ‘화학적 거세법’을 시행해오고 있는 미국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화학적 거세법’의 역사 및 위헌여부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성충동약물치료법’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성충동약물치료법’에 관해 논의되고 있는 이중처벌의 문제, 법적 성격의 문제, 법률내용의 문제, 운영상 부작용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권침해요소 최소화를 통한 합헌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보안처분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당사자의 자발적인 ‘동의’를 필수요건으로 규정해야 한다. 강제적인 약물투여는 재범자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한 할 수 방안을 강구해피처분자의 인권침해를 최소화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치료법’으로서 기능강화를 통한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성충동약물치료법’에 의한 ’화학적 거세‘가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처벌‘ 아닌 ’치료‘의 목적과 기능이 강화되어야만 한다. 지속적인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주된 치료방법으로 두고 심리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법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다. 셋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성충동을 억제·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고, 재범방지를 위한 전문 교육 및 심리상담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나아가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담 연구소를 설치·운영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