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숙아로 태어난 쌍생아에서 호흡 곤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이수민 ( Su Min Lee ),임호경 ( Ho Kyung Im ),김영훈 ( Young Hun Kim ),이진 ( Jin Lee ),국진화 ( Jin Hwa Kuk ),최영륜 ( Young Yo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동일 재태 주령의 단태 미숙아에 비해 쌍생아에서 호흡 곤란 증후군 빈도가 높은지 알아보고, 출산 순서에 따른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와 임상 경과 및 예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만 5년간 의정부성모병원과 전남대학교병원에서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쌍생아에서 호흡 곤란 증후군이 초래된 쌍생아 52쌍 중 두 명 모두에서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한 25쌍을 A군(첫째 A1, 둘째 A2), 한 명에서만 발생한 27쌍 중 첫째에서만 발생한 14명을 B1, 둘째에서만 발생한 13명을 B2로 구분하여 총 77명 쌍생아에서 출생 순서, 성별, 분만 방법, 재태 주령, 출생 체중, Apgar 점수, surfactant 사용 빈도 및 사망률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단태 미숙아에 비해 쌍태 미숙아에서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가 높았고( p<0.05), 총 대상 77명 중 남녀 비는 1.6 : 1이었고 특히 A군에서 2.3 : 1로 남아가 많았다. A1과 B1 또는 A1과 B2 사이에는 재태 주령( p<0.01, p<0.01)과 출생 체중( p<0.05,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망률은 A군에서 12.0%이었으며, A1 (8.0%)에 비해 A2 (16.0%)가 두 배였고, B1군 사망률 에 비해 B2군이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 미숙아인 쌍생아의 경우 단태 미숙아에 비해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이 높았고, 둘째 쌍생아에서 사망률이 다소 높아 둘째 쌍생아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whether the incidence of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premature twin is higher than in premature singleton, and to see the clin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Methods : Seventy seven premature twin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ho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or 5 years from Jan. 1998 to Dec. 2002 were enrolled. They were classified with group A in which both of twins have RDS (A1=25, A2=25), group B1 (B1=14) in which first twin has the RDS and group B2 (B2=13) in which second twin has the RDS. Incidence rate of RDS, birth order, gender, delivery mode, gestational week, birth weight, Apgar score, use of surfactant, and mortality rate between groups were also compared. Results : Premature twins have higher incidence of RDS than premature singletons. The RDS is more often than in female. The average gestational week was 30.5 in A, 32.6 in B1, 32.1 in B2, and the average birth weight (gm) was 1,470 (A1), 1,464 (A2), 1,803 (B1), 1,687 (B2). Gender, delivery mode, Apgar score at 1 minute and 5 minute, use of surfactant, and mortality rate and morb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Premature twins are more prevalent to RDS than premature singletons. The second twin don`t likely to have the RDS than the first baby, but the special care is required because their mortality rate and morbidity were more or less higher.

      • KCI등재

        만삭아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에서 혈청 효소의 의미

        안영석 ( Young Seok An ),김인욱 ( In Uk Kim ),양무열 ( Mu Yeol Yang ),정혜령 ( Hye Ryeong Jeong ),김희섭 ( Hee Sup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4

        목적 : 출생 직후 호흡곤란을 겪은 만삭아에서 출생 초기에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transient tachypnea of thenewborn, TTN)과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주산기 가사는 신생아에서 호흡곤란 질환과 연관성이 높다. 이에 저자들은 주산기 가사의 생화학적 표지자와 RDS, TTN의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10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출생 24시간 이내의 호흡곤란 증상으로 동국대 일산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정상 체중의 만삭아 중 RDS군과 TTN군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18시간 이상의 조기양막파수를 이유로 입원한 만삭아로 호흡곤란을 비롯한 이상 증상 및 감염의 의심 소견이 없이 퇴원한 환자로 하였다. 전체 질환군과 대조군, RDS군과 TTN군, 저산소 허혈 뇌손상(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이 동반되지 않은 RDS군과 HIE가 동반된 RDS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특징 및 혈청 lactate dehydrogenase (LDH), aspartate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creatine kinase (CK) and myoglobin을 비교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 80명 중 RDS는 27명, TTN은 27명 이었고 HIE가 진단된 6명은 모두 RDS군 환자였으며, 대조군은 26명 이었다. 전체 질환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 AST, ALT, LDH, CK가 전체 질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5),RDS군과 TTN군의 비교에서는 AST, LDH만 RDS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HIE가 동반된 RDS군, HIE가 동반되지 않은 RDS군의 비교에서는 AST, ALT, LDH가 HIE 동반 RDS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ROC 곡선에서 RDS를예측하는 표지자로서 LDH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LDH의 cut-off 값을 720 IU/L으로 정하였을 때 sensitivity63%, specificity 86%로 높은 진단적 가치를 갖는다. 결론 : LDH는 출생 직후 호흡 곤란을 겪는 만삭아에서 RDS와 TTN을 감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Purpose : Perinatal asphyxia is a major factor correlated with diseases that cause respiratory distress ina neonate. So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nd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with plasma biological markers of perinatal asphyxia in full-termneonates. Methods : Full-term neonates with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TTN) and respiratory distresssyndrome (RDS) who were admitted within 24 hours after birth were enrolled in a study group. And controlgroup are infants with premature rupture of amniotic membrane without significant findings. Serum lactatedehydrogenase (LDH),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creatine kinase (CK) andmyoglobin were measured at admission. Results : Of the total 80 infants, 54 were of the study group and 26 were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ofRDS and TTN groups were 27 and 27, and the numbers of RDS with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and RDS without HIE were 6 and 21 retrospectively. Serum AST, ALT, LDH and CK were significantly higherin the study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5). When RDS group and TTN group were compared ASTand LD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DS group than TTN group (P<0.05). Serum AST, ALT and LDH weresignificantly higher in RDS with HIE group than RDS without HIE group (P<0.05). A prediction of RDS byLDH analysis showed good correlation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P<0.05). A cut off level of720 IU/L for LDH was the best predictor of RDS (sensitivity 63% and specificity 86%). Conclusion : LDH is an excellent predictor to differentiate RDS from TTN soon after birth in full-termneonates with respiratory distress.

      • KCI등재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

        심규홍 ( Gyu Hong Shim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4

        과거에는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미숙아는 기관 삽관과 함께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하는 치료 주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과 같은 비침습적 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출생 후 미숙아에서 조기에 기관 삽관을 하여 치료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이 기관삽관 후 침습적인 환기를 적용 받는 미숙아에 비하여 기관지폐 형성 이상 또는 사망의 위험도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근에 미숙아의 호흡곤란에 일차 치료로 비침습적 환기를 적용하는 것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에 반해 폐표면활성제를 언제 어떻게 투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생 후 비강 내 양압환기요법을 받고 있는 자발호흡이 있는 미숙아에서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이 고안되었다.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에는 기도 내 도관 삽입법, 분무주입법, 후두 마스크법 및 인후 내 점적법 등이 있다. 최근 여러 임상연구에서는 기도 내 도관 삽입법을 이용한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이 기관 삽관과 침습적 기계환기 적용 빈도를 줄여 단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최소 침습 폐표면활성제 투여법은 비교적 안전하고, 실현가능하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앞으로 국내에서도 미숙아의 호흡곤란증후군 치료에 많이 적용되리라 생각된다. For many years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have been managed with a combination of intubation and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It is now recognized that applying noninvasive ventilation (NIV) such a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n preterm infants i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early intubation after birth. Recently, nasal CPAP has shown a benefit with a small reduction in the risk of the combined outcome of death 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the use of NIV as primary therapy for preterm infants, bringing with it the dilemma of when and how to give exogenous surfactant.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problem,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to spontaneously breathing infants, allows them to remain on CPAP in first days after birth. MIST has included administration of exogenous surfactant by brief tracheal catheterization, aerosolization, laryngeal mask, and intrapharyngeal instillation. In recent clinical trials, surfactant delivery via brief tracheal catheterization was found to reduce the need for subsequent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mprove short-term respiratory outcomes. In conclusion, MIST is gentle, safe, feasible and effective to perform in preterm infants and will also be used commonly in Korea.

      • KCI등재

        다기관 연구를 통한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초기 폐표면활성제 투여의 시간에 따른 결과 비교

        이나미 ( Na Mi Lee ),이정주 ( Jung Ju Lee ),김천수 ( Chun Soo Kim ),김은령 ( Eun Ryoun Kim ),심재원 ( Jae Won Shim ),임재우 ( Jae Woo Lim ),김민희 ( Min Hee Kim ),박상기 ( Sang Kee Park ),이영아 ( Young Ah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2

        목적: 미숙아에서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 후에 치료하는 것보다 예방적으로 일찍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하였을 때 환자들의 예후가 좋다는 것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다기관 연구를 통해 초기 폐표면활성제 투여의 시간과 그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8개의 병원에서 태어난 출생체중 1,500 g 미만, 재태연령 34주미만의 환아들 중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들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폐표면활성제 투여시간을 출생 후 2시간을 기준으로 나누어 군간 비교 분석하였고, 그 다음으로 투여시간을 출생 후 30분을 기준으로 나누어 군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아들의 초기 폐표면활성제 투여시간은 평균 140.0±114.3분이었다. 동맥관개존증 발생률, 인공호흡기기간, 입원기간은 출생 후2시간 이내에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한 군이2시간이후에 투여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적었다. 30분이내에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한 군도 30분이후에 투여한 군에 비해 동맥관개존증 발생률과 인공호흡기간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미숙아에서 폐표면활성제는 출생 후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Purpose: The prophylactic surfactant treatment has been found to improve patient outcomes, compared to the rescue treatment. We performed a multicenter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ing of the initial surfactant treatment and patient outcomes. Methods: One hundred and seventy one neonates, born at eight different centers, from January 1, 2004 to December 31, 2005, were enrolled. The included subjects were gestational age less than 34 weeks, birth weights less than 1500 g and ha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that received surfactant. First, a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within two hours after birth was compared to a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after two hours. Next, a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was compared to a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after 30 minutes. Results: The mean time after birth at which the initial surfactant was administered to neonates was 140.0 ± 114.3 minutes. The incidenc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duration of ventilatory support and hospital day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within two hours after birth. The incidence of PDA and duration of ventilatory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hat received surfactant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 KCI등재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이나리,Lee, Na Ri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2

        유방암 환자의 흉막 전이는 흔한 소견이다. 흉수가 가장 흔한 증상이고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흉막 결절이나 흉막 판은 비교적 드물다. 본 환자는 말기 유방암으로 인해 흉수를 동반하지 않는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거대 흉막 종양이 생겨났고 그로 인해 심한 호흡곤란을 경험했던 환자로 보기 드문 증례로서 보고를 하며 이와함께 말기암환자의 호흡곤란의 치료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Pleural metastasis from breast cancer is a common manifestation. While pleural effusion is the most frequent finding, it is relatively rare for pleural nodularity and plaque that do not accompany pleural effusion. We report a patient with a rapidly growing huge pleural mass without pleural effusion caused by breast cancer. The patient was treated for severe dyspnea caused by the pleural mass. Along with the case report,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of management of dyspnea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KCI등재후보

        우심실에 생긴 심근내막섬유증에서 시행한 양 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 수술

        서영준,이덕헌,박남희,최세영,유영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7

        환자는 44세 남자로 호흡곤란과 동반된 복부팽만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심초음파상 우심방내의 종괴와 삼첨판막 협착증, 우심실내강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수술을 시행하여 우심방내의 종괴를 제거하였고 삼첨판막의 개구부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심실내부의 심내막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또한 우심방의 용적부하를 낮추기 위해 심방중격결손을 만들어주었다. 술 후 환자는 증세의 호전을 보였고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고 조직검사상 진단은 심근내막섬유증으로 내려졌다. 술 후 18개월 뒤 환자는 진행된 호흡곤란과 청색증으로 인해 다시 입원하였고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우심실내강이 이전보다 더 좁아져 있으며 폐동맥의 혈류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기능적 단 심실 상태였기 때문에 양 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수술을 시행하였고 술 후 호흡곤란과 청색증은 많은 호전을 보였다. 진행된 우심실의 심근내막섬유증에서 양 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수술의 시행은 술 후 초기에 효과적인 증상완화를 제공하지만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 사전학습 동영상 교육매체 개발 및 적용

        임순옥(Lim Sun Og),이미경(Lee Mi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일개 간호대학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시뮬레이션 사전학습 동영상 교육 매체를 개발하고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동영상 교육 매체는 ADDIE 수업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 학생 요구도와 환경을 분석하고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설계단계에서는 학습목표와 학습구조를 설계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동영상 교육매체와 평가지를 개발하였고 실행단계에서 동영상을 사전학습 자료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운영하였다. 마지막 평가단계에서 사전 학습 동영상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관련 지식, 간호수행 자신감, 교육 후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사전학습 동영상 교육 전, 후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관련 지식(t=-5.43, p<.001)과 수행 자신감(t=-3.21, p=.004)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육만족도는 평균 4.35점으로 지식향상에 대한 만족도가 4.54점으로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신생아 응급 상황에 대처 할 수 있는 사전 학습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또한 다양한 사례의 사전학습 동영상이 개발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Video-Audio Media for prior learning simulation focusing on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ursing. The Video-Audio Media programme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 the analysis phase, the student needs, learning environment and literature review were analyzed. In the design phas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structure were designed in order to establish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 phase, video-audio media and evaluation form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developed video-audio media programme was applied to prior learning simulation. In the evaluation pha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Video-Audio Media for prior learning simulation on knowledge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nfidence in nursing practic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to June in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about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t=-5.43, p<.001) and selfconfidence(t=-3.21, p=.004).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was 4.35, which was the highest with 4.54.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deo-Audio Media for prior learning simulation focusing on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ursing is needed in the education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hese areas.

      • KCI등재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이명남,김희순,정현철,김영희,강경아 한국아동간호학회 2013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9 No.1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지식 적용-기술 수행, 문제 해결 능력,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데있다. 방법단일군 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고위험 아동간호학을 수강하고있는 간호학과 4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조를 구성하여 매주 3개조(4-5명/조)로 시뮬레이션 운영 후 디브리핑을 60분간 실시하였으며,자신의 실습 수행에 대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시나리오는 간호진단을 포함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으며, 20분의 운영 시간 내에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 대한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능력, OSCE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지식 적용-기술수행 평가에서 간호진단을 제외한 5개의 범주 중 평가 단계가 지식 적용과 기술 수행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 적용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사정 단계에서 산소포화도 관찰, 평가 단계에서 산소분압과 산소포화도 확인이었고, 기술 수행에서는 중재 단계의호흡곤란 완화 간호가 높았다. 사정 단계의 검사 확인은 지식 적용 및기술 수행 영역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OSCE 수행 평가에서는 흡인수행 능력에서는 사용한 물품 정리 및 수행 후 손씻기, 산소 공급에서는 급습기 멸균증류수 확인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수행된 항목보다 수행되지 못한 항목이 흡인과 산소 공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본간호술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능력과 학습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으므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간호영역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Ureaplasma urealyticum의 집락에 따른 신생아의 임상 양상

        임인숙 ( In Suk Lim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병일 ( Byeong Il Kim ),김상덕 ( Sang-duk Kim ),이진아 ( Jin A Lee ),김이경 ( Eu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최중환 ( Jung Hwa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1

        목적: Ureaplasma urealyticum (U. urealyticum)은 태아와 신생아 폐렴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져 있으며 미숙아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졌다. 저자들은 U.urealyticum의 집락 여부에 따른 신생아들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출생 첫날 U. urealyticum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변 또는 기관지 폐포 흡인액중에서 PCR 또는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U. urealyticum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신생아 호흡 곤란증후군 및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출생 첫날 U. urealyticum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476명 중 재태 연령 32주 미만은 136명이었고 재태 연령 32주 이상은 340명이었다. 재태 연령 32주 미만의 환아에서는 18명(13%)이 U.urealyticum 양성이었고 이들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빈도는 U. urealyticum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8),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적었다(p=0.043). 생후 3일의 말초 혈액에서 총백혈구수는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03), 이차이는 중성구에서 더 뚜렷하였다(p=0.001). 총 IgM과 CRP는 U. urealyticum 집락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산모 양수에서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와 환아의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도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재태 연령 32주 이상의 환아에서는 23명(7%)이 U. urealyticum 양성이었고 이들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은 없었으며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감소하지 않았다 (p=0.605). 환아의 총 IgM은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증가하였으나(p<0.006) 환아의 총백혈구와 CRP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산모의 U. urealyticum 집락여부와 환아의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21). 결론: U. urealyticum의 집락은 재태 연령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고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감소시켰다. Objective: Ureaplasma urealyticum colonization is a significant cause of fetal and neonatal pneumonia and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preterm infant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neonatal morbidity Methods: We tested 476 infants for U. urealyticum on the first day of life among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03 to July 2006. Urine and endotracheal aspirates were processed by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or culture for U. urealyticum colonization. We compared the morbidity in the colonized group with the non-colonized group. Results: The study group consisted ot 136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340 infants more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In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18 (13%) of 136 infants had 1 or more positive specimens by culture or PCR. BPD occurred more in the colonized group than in the non-colonized group (p=0.058)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occurred significantly less in the colonized group (p=0.043). Total WBC counts on the third day of li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lonized group (p=0.003) and this significance was prominent in the neutrophil fraction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IgM levels nor C-reactive protein (CRP) level nor U. urealyticum colonization of the mother. Twenty-three(7%) of 340 infants more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had 1 or more positive specimens by culture or PCR. BPD didn`t occur and RDS didn`t de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p=0.605). Total IgM levels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p<0.006) but total WBC counts and CRP levels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U. urealyticum colonization of the mother (p=0.21). Conclusion: U. urealyticum colonization in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BPD and a decreased prevalence of RDS.

      • KCI등재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이혜란,Lee, Hye 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4

        말기암환자들은 암의 진행으로 인한 여러 가지 육체적, 정신적 증상들로 고통 받고 있으며, 통증뿐만 아니라 피로감, 쇠약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호흡곤란 등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피로감은 여러 기전 및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치료 가능한 원인으로는 약물부작용, 빈혈, 심한 통증, 수면장애, 우울증 또는 불안감, 영양부족, 내과적 동반질환 등이다. 피로감의 주 기전으로는 사이토카인의 조절이상 및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의 기능부전, serotonin의 조절이상 생체리듬의 파괴, ATP에서의 변화 등이다. 치료는 치료 가능한 원인을 제거하고 환자의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활동을 계획하고, 교육해야 하며, 약물 치료로는 corticosteroid와 psychostimulants를 사용할 수 있다. 식욕부진과 악액질도 여러 가지 치료 가능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구내염, 구강 캔디다증, 구강 herpes, 구강건조, 변비, 통증과 호흡곤란같이 조절이 안 되는 증상, 섬망, 오심 구토, 우울증,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 역류성 식도염, 내분비 장애가 포함 된다. 식욕부전의 기전은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뇌의 생리적 기전의 이상과 관련, serotonin 분비 증가, IL-$1{\alpha}$, IL-1, IL-6, IL-8 TNF-${\alpha}$와 관련이 있다. 악액질의 기전은 에너지와 기질(substrate metabolism)에서의 변화, 종양에서 생산된 지질분해요소와 단백질 분해요소, 호르몬 이상, 암세포로부터 세포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빼앗기는 것, 에너지 섭취의 감소 등이다. 치료는 정신과 상담 및 환자와 가족의 교육인데, 교육할 때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식욕부진과 악액질이 암으로 인한 임종과정 중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알리며, 다른 행동으로 환자를 돌보는 방법 등을 교육한다. 약물치료로는 megestrol acetate와 dronabinol, steroid를 사용할 수 있다. 오심 구토의 원인 중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는 것으로는 약물, 요독증, 감염, 불안증, 변비, 상부위장관 폐쇄, 고칼슘혈증, 저나트륨증이 있고, 치료는 metoclopramide, haloperidol, olanzapine 또는 ondansetron 등을 사용해 볼 수 있다. 말기 암에서 호흡곤란의 증상은 폐의 특별한 병변이 없이도 환자가 호소할 수 있는데, 이 경우 opioids가 효과적이다. 말기 암환자에서 환자의 증상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완화치료는 매우 중요하며, 환자의 증상을 잘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해 줌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증상 호소에 더욱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Most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experience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during their illness. In addition to pain, they commonly suffer from fatigue, anorexia-cachexia syndrome, nausea, vomiting and dyspnea. In this paper, I reviewed some of the common non-pain symptom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guidelines to better understand and treat cancer patients. Cancer-related fatigue (CRF) is a common symptom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are reversible causes of fatigue, which include anemia, sleep disturbance, malnutrition, pain, depression and anxiety, medical comorbidities, hyperthyroidism and hypogonadism. Energy conservation and education are recommended as central management for CRF. Corticosteroid and psychostimulants can be used as well. The anorexia and cachexia syndrome has reversible causes and should be managed. It includes stomatitis, constipation and uncontrolled severe symptoms such as pain or dyspnea, delirium, nausea/vomiting, depression and gastroparesis. To manage the syndrome, it is importa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inform the patient and family of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Megesteol acetate, dronabinol and corticosteroid can be helpful. Nausea and vomiting will occur by potentially reversible causes including drug consumption, uremia, infection, anxiety, constipation, gastric irritation and proximal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Metoclopramide, haloperidol, olanzapine and ondansetron can be used to manage nausea and vomiting. Dyspnea is common eve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ithout lung disease. Opioids are effective for symptomatic management of dyspne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 should try to ameliorate these symptoms by paying more attention to patients and understanding of management princ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