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불교의 “호법”과 참여불교의 “호국”

        고영섭(Young Seop K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4

        이 논문은 국가와 종교, 교단과 왕권 사이의 갈등과 상생을 모색하기 위해 논구한 글이다. 붓다의 가르침을 실현하려 했던 전륜성왕들은 ‘바른 법으로 나라를 다스린다’[정법치국(正法治國)]는 원칙 아래 ‘국가를 보호하여’[호국(護國)] 왔다. 그리하여 인도 서역의 전륜성왕은 불국(불국(佛國))을 실현하기 위해 정법에 의해 나라를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때문에 ‘정법을 역설하는’ 교단(불교)와 정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국가(왕권)는 일종의 사회계약을 맺은 관계와 같았다. 하지만 불교가 동아시아로 전래된 이후 불교 지형은 변화하였다. 전륜성왕 추구와 호국사찰 건립 및 문두루비법(文豆屢秘法)을 통한 외침 격퇴 등은 종래 역사 밖으로 벗어나는[脫領土化] 사상으로 인식되었던 불교를 역사 안으로 들어 가는[再領土化] 사상으로 재인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때문에 붓다의 가르침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나라를 보호하려는 제왕에 의해 주도된 호법불교는 타자화된 국가불교이며, 불자에 의해 주도된 호국불교는 주체화된 참여불교라고 할 수 있다. 불교를 통치 이념으로 했던 우리나라의 고대 사국과 통일신라 및 대발해와 고려시대와 달리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하는 조선시대 국왕들의 불교 보호적 경향은 지극히 미미하였다. 때문에 불자들은 호국(護國)적 참여를 통해 불교의 존재감을 스스로 확보해야만 했다. 국왕의 부름에 의해 의승군(義僧軍)의 궐기가 촉발되었지만 그들이 월계(越戒)를 감수하면서까지 일어선 것은 그 역사의식과 시대정신의 체인(體認)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때문에 호국불교는 특정 정권에 충성하는 ‘어용불교’가 아니라 역사 속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동참한 ‘참여불교’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국왕이 주체가 되는 국가불교와 달리 불자가 주체가 되는 참여불교는 역사 안으로 동참하고 시대속으로 투신하는 불교이다. 다시 말해서 역사 밖에서 국왕에 의해 실현되는 정법치국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호법(護法)과 달리 역사 안에서 불자에 의해 구현되는 극락정토를 주체적으로 움켜안는 호국(護國)은 실천불교의 다른 이름이었다. 그것은 ‘근왕’(勤王)만을 위해 이루어진 것도 아니고, 국왕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국왕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법적 국가불교와 달리 불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국적 참여불교이었다. 따라서 ‘호법’은 국왕들의 불교정책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호국’은 불자들의 불교 참여에 의해 자내화된 불교정신을 실현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국왕에 의해 실현되는 정법치국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호법이 아니라 불자에 의해 구현되는 실천 불교를 주체적으로 움켜안는 호법이었다. 나아가 역사와 현실에 대한 소극적인 ‘피투’(被投, 던져짐)가 아니라 적극적인 ‘기투’(企投, Entwurft, 던져감)였으며, 오늘 여기의 현실을 뛰어서 넘어가는 ‘초월’(超越)이 아니라 지금 이곳의 현실을 껴안고 넘어가는 능동적인 ‘포월’(抱越)이었다. 이러한 기투와 포월의 마음가짐은 오늘날 생태와 자연과 환경 및 통일과 인권 문제 등과 같은 현실적 이슈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동참으로 나아가는 참여불교와 상통하고 있다. 조선시대 의승군이 보여준 ‘호국’을 위한 불교의 의미 역시 바로 이러한 주체의 능동성과 적극성에서 비롯된 ‘참여’로 나아간 불교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oexistence between country and religion or Buddhism and king. The ideal king who realized the lesson of Buddha for ruling ideology ``protected country`` with the principle, ``ruling country with proper law``. Therefore, the ideal king of the western areas of India became the king through an order and they ruled and edified country with an order. Therefore, there was a some kind of social contract between ``Buddhist order (the Buddhism) that advocates an order`` and the country (king) that rules country with an order. However, the Buddhist topology has changed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to East Asia. The search for ideal king, construction of state-protection temple and repulse of Japanese invasion through mundurubibeop(文豆屢秘法) created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Buddhism, which was previously recognized as the existence out of the history, as the existence in the history. Therefore, in the viewpoint of Buddhism, the national Buddhism that was led by king to rule and protect country with the lesson of Buddha can be deterritorialized Buddhism and the engaged Buddhism that was led by Buddhists can be reterritorialized Buddhism. Unlike ancient 4 countries, United Sila, Balhae and Koryeo that adopted Buddhism as a ruling ideology, the kings` tendencies to protect Buddhism were very timid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that adopted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Therefore, Buddhist should secure own sense of being through state-protection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king, the foundation of monk army was triggered. However, they could rise bearing exceeding precept(越戒) by recogniz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spirit of the age. Therefore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was not the government-inspired Buddhism devoted to a certain government but it can be a model of ``engaged Buddhism`` participating in the history actively. Unlike national Buddhism that is led by king, engaged Buddhism that is led by Buddhists is the one to participate in the history and the age. Unlike the state protection of king that has an objective viewpoint out of the history, the state protection of Buddhists that has a subjective viewpoint in the history was another name of engaged Buddhism. It was not only for the loyalty to king or it was not motivated by the command of king. Unlike the state protectional of othered national Buddhism that was led by king, it was the state protectional of engaged Buddhism that was led by Buddhists. Although ``Buddha Dharma protection`` was performed by the Buddhist policy of othered king, ‘state protection’ could be a subjective Buddha Dharma protection as subjective Buddhists participates in Buddhism. It was not a passive geworf(被投) about history and reality but an active entwurft(企投). It was not the passive transcendence running of today`s reality but the active embracement & transcendence embracing today`s reality. The mind of entwurft and embracement & transcendence corresponds to the engaged Buddhism that is active for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reality issues such as ecology, nature, environment, unification and human right. The meaning of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shown by monk army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uddhism that was led by ``engagement`` originated from the activeness of subject.

      • KCI등재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 대흥사 호국대전을 중심으로 -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22 정토학연구 Vol.37 No.-

        본 논의는 호국불교 관련 콘텐츠와 호국삼화상인 휴정, 유정, 처영의 콘 텐츠화에 대해 고민하였다. 나아가 해남 대흥사의 호국대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동안 불교사회연구소의 호국불교 학술연구활동 성과의 토대가 탄탄히 구축되었기에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원천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다음으 로 구비설화는 개발에서 활용의 범주 및 콘셉트에 맞도록 재정리하고 이 야기 소재를 발굴하여 활용한다.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생생 한 이야기 소재를 추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호국불교, 호국의승장 관련 문 화유산의 디지털화를 통한 원천자료의 확보가 핵심적인 요소이다. 호국불교가 지닌 가치와 의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공 간성이 투영되는데 바로 표충사에 응축되어 나타난다. 호국대전은 의승군 의 호국 얼을 기리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과 문화의 공간으로서 가치가 있 다. 논자는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현대 복합 문화정보기 관인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이에 실감미디어아트를 구현하고, 실감콘텐 츠를 통해 의승장이 내방객들이 등장할 때마다 반응하고 응대하며 관객과 감응하는 콘텐츠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실감콘텐츠를 활용하여 호국 성지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호국대전의 불사를 원만하게 회향하여 다양한 쓰임새로 확산하여야 한다. In this discussion, content related to patriotic Buddhism and contentization of the three monks of patriotism, Hujeong, Yujeong, and Cheoyeong, were discussed. Furthermore, we proposed a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battle of national defense at Daeheungsa Temple in Haenam. Since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Society Research Institute's academic research on patriotic Buddhism has been solidly buil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research results and secure the source data. Next, oral narratives are rearranged to fit the category and concept of use in development, and story material is discovered and utilized. It is necessary to digitize data such as newspaper articles to extract vivid story material. Next, securing source data through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Buddhism and Victory of Patriotism is a key factor.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patriotic Buddhism is reflected in its spatiality in terms of succession of history and tradition, and it is condensed in Pyochungsa. The Hall Of National Protection (Hogukdaejeon) commemorates the Righteous Buddhist Army (Uiseunggun)'s patriotic spirit and is valuabl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author proposed Larchiveum, a modern complex cultural information institution that converges the functions of a library, archives, and museum.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implement realistic media art and develop content that responds to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whenever the Leader of Righteous Buddhist Army appears and responds to the audience through realistic contents. It is necessary to breathe life into the holy land of patriotic content by using realistic content, and to spread the immortality of a Hall Of National Protection(Hogukdaejeon) smoothly to various uses.

      • 한국과 일본의 불교수용기사에 나타난 호국불교적 요소

        김춘호(金春鎬)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4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0

        호국불교란 '나라를 지키는 불교', 내지는 '국가를 위한 불교'리고 정의될 수 있디. 이러한 호국불교는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한 점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관고는 한국과 일분의 불교수용 기사에 나타난 호국불교적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나 백제의 경우 전래당초부터 불교의 수용과 정칙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그 이유는 불교의 국기적 소용에 주목히였기 때문이디. 특히, 국기제의와 불교가 연관되어 언급펀다는 점에서 불교의 호국적 소용을 기대하고 있다고 보인다. 신라의 경우 고구려나 백제와는 달리 전래당초에는 국가적 차원이라기 보다는 개인적 치원의 불교라는 인식이었지만, 그것이 점차 불국토신앙이나 호국사찰의 건립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불교로 전개되어 간다. 일본의 경우 불타를 일본재래의 호국신들과 동일선상에서 이해하고 있다는 점과 불타도 그들 신과 마찬가지로 현실의 인간에게 복과 별을 줄 수 있는 신이며, 특히 질병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국가적 재앙과 불교교연관시켜 보고 있는 점 등이 특정적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불교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호국의 신앙과 논리를 국가애 제공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개인적 신앙이나 수행 등의 차원과는 다른 불교의 국가적 소용과 그에 대한 기대가 강조된다는 점에서 호국불교라고 해야 마땅할 갓이다, 護国仏教とは、'国を護る仏教'または、'国のための仏教'と定義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護国仏教は、韓国仏教文化の重要な特徴として指摘されている。その点は日本も同様である。本稿は、韓国と日本の仏教受容記事にみられる護国仏教的要素についての考察である。 高句麗や百済の場合、伝来当初から仏教の受容と定着に国家が積極的にすすめているが、その理由は仏教の国家的所用に注目したからである。特に、国家祭儀と仏教が関連づけられて言及されている点において仏教の護国的な所用を期待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新羅の場合、伝来当初は国家的な次元よりも個人的な次元の仏教という認識があるが、それが徐々に仏国土信仰や護国寺刹の建設といった国家的な次元の仏教へと展開して行く。 日本の場合、仏を日本在来の護国神らと同一線上で理解している点や、その護国神と同じく、現実の人間に福と罰を与える神であり、特に病気や天災地変のような国家的な災殃を仏教を関連してみている点などが特徴的である。 このような内容は、仏教自らが積極的に護国の信仰や論理を国家に提供する段階ではないが、個人の信仰や修行のような次元とは異なる仏教の国家的所用とそれに対しての期待が強調されている点で護国仏教をみるべきであろう。

      • KCI등재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

        김용태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7 No.-

        본고에서는 한국불교사에 나타난 호국의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을 신 라, 고려와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의 특성을 시대 성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먼저 신라의 호국사례는 고대 적 호국신앙의 발양이라는 측면에서 불국토와 호국사찰, 호국법회와 의 례, 호국신앙으로 유형화하여 해당 사료를 검토하였다. 다음 고려는 불교 국가로서의 특성을 전제로 승려의 전쟁 참여, 불교의례의 국가적 설행, 호국신앙과 불교의 습합, 국난 극복을 위한 기원과 대장경 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전기의 경우에는 불교를 비롯한 전통적 호국신앙 및 관 념의 지속과 변화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조선후기는 임진왜란의 승 군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 유교사회의 시대성에 부합하는 충의 의 실천을 통해 불교가 존립할 수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호국불교라는 개념은 식민지 전시체제, 해방 후 국가민족주의의 고양이라는 근현대의 상황 속에서 대두한 것이지만, 한국불교사의 전개과정에서 호국불교의 전통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다만 각각의 시대적 함의와 특징이 다르므로 시대성에 입각한 차별화된 이해가 필요하다.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cases in which Buddhist people or value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ecurity of the country, or in which Buddhism was deemed crucial in protecting or saving it. Also examined are the people's views of the “Buddhist role” in the issue of defending the country, which slightly differed from time period to time period, as from Shilla to Goryeo, or from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to the latter. Al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been reflecting the aspects of all the respective time periods. First, regarding the Shilla dynasty period, in which an ancient form of a religious philosophy (with Buddhist colors and tone) to 'save-the-country' emerged for the first time, relevant sources are examined to reveal three important aspects: A) The "Buddhist Land" concept and all the Buddhist temples which were designated as crucial monasteries for their roles in saving the country, B) Buddhist Ceremonial gatherings and ritual codes related to the Saving-the-Country philosophy, and no other than C) the Saving-the-Country religion. Next, regarding the period of Goryeo, which was a Buddhist country, many aspects including the Buddhist monks' participation in the war efforts, the dynastic Buddhist rituals and events that were overseen by the state and the government, the merging of Buddhism and the Save-the-Country religion, and the people's hope for overcoming dynastic crises through the creation of Grand Collections of Buddhist Sutras, are all examined. Then regarding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examined are both the continuation as well as changes that happened to not only Buddhist traditions but also ‘Saving-the-country’ sentiments, while the Buddhist army members' fi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war in the 1590s is examined for the Joseon's latter half. It seems that Buddhism was able to survive the Joseon period by prioritizing the values of the era, which were loyalty and justice. The concept of “Guarding-the-Country Buddhism” was created during the modern period, in the wartime mobilization phas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also during the promotion of state-generated Nationalism throughout the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Yet the Buddhist tradition of contributing to the safety and welfare of the society had always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Korean Buddhist history. Surely, the actu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they had changed by the passage of time, so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the part it played in service of the country, would only be possible by taking that point into account.

      • 佛敎의 心德思想이 和成就의 護國에 끼치는 영향 연구

        조용길 진주산업대학교 2006 마음사상 Vol.4 No.-

        불교의 심덕사상은 호국사상과 호법사상과 일치한다. 이러한 사상은 중생이 일체 존재의 속성인 사법인을 깨우쳐 깨달음을 이룩하는 동시에 중도적인 실천을 통해 사성제의 이상정토를 성취시키는 현실에 기반을 둔 자비덕화의 길이기 때문이다. 중생이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한 사법인과 사성제의 연기(paticcasamuppāda)적 세계는 팔정도의 중도적 실천이다. 말하자면 번뇌·망상과 무지·무명에서 중생들로 하여금 일심삼매(samādhi, 一心三昧)의 길을 걷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바로 중생의 애민섭수를 위한 자리이타의 덕성이다. 왜냐하면 잠재된 중생의 불성을 끌어내어 중생들에게 자비의 덕화실행인 사무량심(catuapparimānamamas)과 사섭법(catusangahavattu)을 두루 내어 베푸는 일을 가르쳐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이 논문은 이러한 의미에서 중생들이 모든 곳에서 자기 마음의 깨우침을 통해 불법의 화합을 성취하여 호법호국하며, 덕행으로써 교화되는 중생사회를 연출시키는 것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Ⅱ장에서 일체의 중심이 존재하는 개인이므로 이것을 일깨워 주신 불타의 세계ㆍ우주관을 살펴 일체중생 실유불성의 대우주관을 직관해보고, 불교의 인간관과 불교의 실천관을 살펴 37조도품, 4무량심, 4섭법을 통해 심덕 사상이 일체 중생세계의 호법이 곧 호국이며 덕화의 성취의 세계임을 살펴보기로 한다. Ⅲ장에서는 초기경전상의 덕화의 호국관을 부처님 당시의 사례의 예를 들어 고찰해 본다. 여기에는 불교초기의 자연국가기원설과 불교의 현실·이상적인 호법호국관을 살펴 일곱 가지 국가사회가 쇠망하지 않는 진리를 살펴보고, 이러한 진리의 법을 쓰는 Ⅳ장은 전륜성왕의 심덕사상이 되는 법왕통치의 개념을 고찰한다. Ⅴ장에서는 불교의 일심삼매라는 덕성의 실천이 화목한 중생사회의 입장에서 자리이타의 현실·이상의 정토 세계가 어떻게 성취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아함성전의 심덕의 사례로 화합의 세계를 열거할 것이다. 그리고 Ⅵ장에서는 계·정·혜 3학에 관련된 화쟁이라는 불국정토의 심덕관을 제시하여 결론을 맺고자 한다. 삼학 중에 계학은 도덕적 세계가 준수되도록 중생사회의 윤리·도덕적 덕성을 불성으로 끄집어내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정학은 훈련과 수련과 연습을 통한 일심삼매의 집중이며, 일체의 중심적 가치를 세우는 수행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혜학이란 이러한 계(sīla)와 율(vināya)을 세우고, 지키고, 닦는 일련의 과정이다. 또한 화합대중이라는 중생세계의 지혜와 슬기의 세계를 일컫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삼자가 조화와 균형을 이룩하는 것이 사회중생의 덕화의 길이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불교의 심덕사상이 화합성취로 나아가 국가사회를 지키는 호국이 되는 초기경전을 통한 고찰이다. 불타의 법의 가르침은 일체의 중심이 자심이므로, 이 마음을 크고 넓게 깨우치는 사법인과 사성체의 이상세계를 통해 일체중생은 본래 구족한 본성이 밝고 맑은 불성을 본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불성을 자각시키고 그 불성의 내재된 덕성을 내어 씀으로써 중생사회의 흐트러진 세계를 덕화로 성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는 연기적 자각관, 오온의 무아관, 불교의 심의식의 잠재 인식관과 실천관을 통해 나란 존재는 홀로가 아닌 일체만유와 동고동락적 존재임을 재인식시켜 중생세계의 일체의 주인이 자기임을 파악함으로써 호법이 호국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경전의 호국관을 통해 불타의 현실적 호국관과 당시 불타의 덕화를 입은 왕들의 예를 열거했다. 그리고 이상적인 지도자인 전륜성왕의 법치통치와 근본경전속의 심덕화의 사례를 언급하였다. 끝으로 이 전체의 덕화의 호국관은 지킬 것은 지키고 버릴 것은 버리는 계와 심성의 순화를 위한 훈련 기도인 정과 지혜의 슬기와 판단력인 혜 등이라는 3학의 실천으로 이룩되어야 한다고 고찰한다. Buddhist virtue philosophy can be compared to ideas about national protection (護國) and the dharma king (護法) philosophy because it counsels benevolence and moral influence based on realization of the 'four dharma seals' (私法人), which enable every being to prosper through moderate practice and so to achieve the 'ideal pure land' (理想淨土) of the 'four noble(四聖諦)truths.' A world view based on dependent arising (緣起世界觀) and the four dharma seals offers a practical means to achieve the 'eightfold novle path' (八正道). on other words, it enables people to walk in the way of 'samadhi one mind' (一心三昧), whether conditions are suffering, delight, ignorance or illusion. Moreover, it strengthens the mofal character towards altruism, (自利利他) because oit induces latent Buddha nature and teaches people how th bestow the four immeasurable minds(catuapparimanamamas, 四無量心) and the four means of salvation (catusangahavattu,四攝法), as a benevolent practice. This paper considers the pot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society, which can enable all people to achieve the Buddhist idea of harmonious co-existence by living according to prescribed dharma king functions and thus, pursuing a moral course for national protection. In ChapterⅡ, we will take a look ath Buddhism's view of the world and universe in light of the great vision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 nature.'(一切衆生 悉有佛性) And, in light if the human world and Buddhist practice, we will also consider the question as to what constitutes te center of existence on relation to Buddhist virtue and dharma king philosophies, in the context of national protection and moral influence, with reference to the 'thirty-seven branches of enlightenment' (catvari-apramana -cittani, 三十七 助道品)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nd the four means of salvation. In Chapter Ⅲ, we will consider the view on national protection by moral influence in light of exemplars from Sakyamuni Buddha's own accounts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we also will reflect on the origin of nation in early Buddhism, and appraise the seven kinds of society and countries, which did not downfall by the truths, and scrutinize the ideal view according to Buddha, 'King of dharma' (法王) and 'Buddhist national protection' (護法). In Chapter IV we will further examine the concept of dharma king in its relation to Buddhist virtue philosophy. In chapter V, we will consider how realistic is the idea of a pure land, based on the altruism' and whether it is achievable from the view of human society. Here, I will describe a world of harmony, taking as an example the Agama text's ideas on virtue. The conclusion in Chapter VI, suggests a Buddhist view of virtue based on the pure land principle of reconciliation(和諍) and embracing threefold learning; moral precepts(戒), mental clarity(定) and insight (慧). Concerning the three practices, training in moral precepts means to transform the moral character of human society such that Buddha-nature informs the moral world view. Mental clarity is concentration of samadhi (三昧) through training and practice, which establishes the central view of valuing everything is equally. Wisdom is attained by a process which establishes and preserves the exercise of cultivating ethical purity and vinaya. Therefore the three things achieve harmony and balance and are ways of influencing human morality. In the above, we have considered how Buddhist virtue philosophy was developed through the early scriptures, to achieve of harmony and protect nation and society. In understanding that Buddha's dharma is the center of everything and is one mind, we recognize that all people can have bright and clean Buddha-nature through the ideal world of four dharma seals and four noble truths, and come to realize mind greatly and widely. Thus,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distracted world of human society towards morality by manifesting the moral character inherent in Buddha-nature.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five aggregates of dependent arising we develop the view of selflessness and Buddhist mind practice, and so recognize that we are not independent beings but that all existence is interrelated with everything. And so we understand that the master of everything is, the king of dharma which becomes national protection. Also, we considered the realistic view of Buddha's national protection and the example of king who was blessed by Buddha's moral influence through the view of national protection in early scriptures. Additionally, from the basic scriptures, we learned of the Buddhist ideal King, who is an ideal leader and exemplar of virtue. And, in conclusion, the holistic view of national protection and moral influence can be achieved by practicing the three-fold training, such as cultivation of ethical purity that protects what should be protected and abandons what should be abandoned; mental clarity to purify the mind by prayer and meditation; and wisdom and wise judgment.

      • KCI등재

        불교에서 본 남북한의 평화 소통에 대한 연구

        박용모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60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issues of peace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me up with ways to resolve thes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Many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of the nation following it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August 15,1945. But the long-cherished aspirations of Koreans,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seem to be far away. Inter-Korean relations enjoyed reconciliatory mood at one time and grew chilly at another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wo Koreas.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imperative that the Buddhist circle play a pivotal role in overcoming division of the nation to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is the history of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The lofty spirit of Korean Buddhism has been handed down continuously ever since it was established as the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by Buddhist master Uisang in the Silla Dynasty. The idea of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spirit of achieving and maintaining peace. The Buddhist Peace Movement led by the Buddhist circle is a way to realize the spirit of national protection Buddhism. Numerous efforts have been placed to overcome the tragic realities of the division over the past years. Several meaningful outcomes came out including the Joint Communiqué of July 4th 1972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and the June 15th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in 2000 reached the peak. It paved the way to change the relationship of distrust, enmity and hostile confrontation that has been a deep-rooted obstacl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o the relationship of trust, reconciliation and favorable mutual cooperation. The unification plan agreed by the top leaders of the two Koreas is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that include independent, democratic and peaceful unification.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in autonomous way without dependence on or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 and in peaceful way without using force by overcoming ideological gap. This is a way of realizing the spirit of national protection Buddhism by practicing the three sutras for national protection handed down from the Silla Dynasty that include the Inwang Sutra, the Lotus Sutra and the Geumgang-sammae(Vajrasamadhi) Sutra. Also it shares the same spirit with the Buddhist Peace Movement. Keeping pace with the improv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Buddhist circle has participated in many activities for promoting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spirit of national protection of Buddhism that has kept peace and saved the nation from crisis and peril will contribute much to communication and settlement of peace on the Peninsula. 본 연구는 불교의 입장에서 남북의 평화 소통에 관한 여러 문제들을 살피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8·15광복 이후 남북으로 분단된 지 오랜 세월이 흘렀는데도 온 겨레의염원인 통일은 요원하게만 보인다. 남북 관계는 서로의 정치 상황에 따라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거나 급속히 경색되기도 했다. 이러한 분단 현실을극복하여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통일을 이루는 데 불교계의큰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 불교의 역사는 호국불교의 역사이기도 하다. 한국 불교는 신라 시대 의상에 의해 호국불교로 정착된 이후 그 숭고한 정신이 면면히 이어져왔다. 호국불교사상은 곧 평화를 이루고 지키려는 정신이다. 지금 불교계가 펼치고 있는 불교평화운동은 호국불교의 정신을 실현하는 길이기도 하다. 지난 세월 동안 분단의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었다. 1972년의 7·4남북공동성명을 비롯하여 여러 의미 있는 성과들이 발표되었는데, 그 정점에 있는 것이 2000년의 6·15남북공동선언이다. 이를통해 그동안 남북 사이의 뿌리 깊은 장애물이었던 불신과 반목, 적대적 대결 관계에서 신뢰와 화해, 호혜적 상호 협력 관계로 전환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남북의 최고 지도자들에 의해 합의된 이 통일 방안은 자주화, 민주화,평화통일의 3대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즉,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그리고 무력을 행사하지 않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념의 차이를 극복하고 통일을 실현하자는 것이다. 이는 곧 신라시대 이래 전해져온 호국삼부경인 인왕경․법화경․금강삼매경을 생활화하여 호국불교의 정신을 실현하는 길이며, 불교평화운동과 궤를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남북 관계의 진전에 발맞추어 불교계에서도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을위한 활동들이 활발히 펼쳐지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 우리 민족의 평화를지켜오고 위난으로부터 나라를 구해온 호국불교의 정신이 남북 간의 평화소통과 정착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호국불교의 인도적 연원

        정승석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30 No.-

        작은 왕국의 후계자였던 부처님이 출가하기 직전에 부왕에게 요청한 것은 호국이다. 이것을 호국불교의 시발로 간주할 만하다. 부처님이 성도한 이후 빔비사라 왕을 만나 역설한 것도 호국이다. 초기불교에서 호국에 대한 인식은 『뇌타화라경』에 잘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정법념처경』에서는 국왕이 호국을 위해 구족해야 할 규범을 37법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호국은 초기불교 이래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원론적인 호국 이념은 전쟁과 같은 국가적 위난에 봉착하지 않도록 정법을 호지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나 살생과 폭력이 난무하는 적대국의 침략에 봉착해서도 비폭력의 호국이 가능한가? 호국불교는 이 같은 딜레마와 고충을 나름대로 해소함으로써 성립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가적 위난에는 폭력으로 맞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호국의 전거는 일차적으로 『대살차니건자소설경』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호국을 위해 왕의 명령에 따라 싸우는 것은 죄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불전들에서는 이 같은 호국의 불가피성을 전설을 통해 우회적으로 시사한다. 유리왕이 석가족을 학살하는 과정을 서술하는 『증일아함경』의 전설은 폭력에 대한 소극적 수단의 한계를 묘사함으로써, 호국에 무능한 국가가 당하게 될 현실적 상황을 생생하게 각성시켜 준다. 또한 푸쉬야미트라에 의한 불교 박해의 전말을 서술하는 『사리불문경』의 전설은, 무자비한 폭력에 대처하는 호교(護敎)의 수단은 역시 폭력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시인한다. 이 전설은 호교의 결과로 호국의 왕이 출현하게 된다는 예언이자 그러한 염원일 것이다. 이 같은 호교와 호국의 연계가 동북아시아의 불교에서는 호교와 호국의 합일인 호국불교로 구현되었다. 동북아시아에서 한국의 호국불교는 가장 적극적인 사례에 속한다. 호국을 위한 무력 사용을 사실상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대반열반경』의 법문은 한국 호국불교의 전거가 될 수 있다. 국가를 파멸할 거대한 폭력에 대처했던 한국의 호국불교는 불전이 허용한 선교방편(善巧方便)이다. What Siddhartha, who was the successor of a small kingdom, asked for his father just before leaving home to be an ascetic was to protect the nation. It is worth consideration as the beginning of ‘nation-protecting Buddhism’. What Buddha emphasized to King Bimbisāra whom he met after obtaining enlightment was also to protect the nation. In the early Buddhism, the cognition of protecting the nation is reflected well into Raṭṭhapāla-sutta. And Saddharmasmṛtyupasthāna-sūtra suggests thirty-seven dharmas to the king as the necessary rules for protecting the nation. In this way Buddhist consideration for society places much value on protecting the nation. But just in principle, the Buddhist idea of protecting the nation is that the king keeps and practices right dharmas in order to avoid a national crisis such as a war. However is the protecting the nation by nonviolence possible in the case of facing with an aggression of hostile countries full of killing and violence? We can understand that the ‘nation-protecting Buddhism’ had been established by reducing like those dilemma and difficulties in its own way. We can find a chief source of protecting the nation in Bodhisattvagocaropāyaviṣayavikurvāṇanirdeśa-sūtra that violence unavoidably needs to resist violence in the case of facing with a national crisis. This text emphasizes that to fight during the war to protect the nation according to the king's order cannot be guilty. In several Buddhist texts, the inevitability of such a protecting the nation is indirectly suggested through the legends. The legend narrated in Ekottara-āgama describes minutely a story about slaughtering Śākyas by King Viḍūḍabha, and reveals vividly the limits of passive means through which reminds us realistic situations getting afflicted with the government’s inability to protect the nation. Moreover the legend of Śāriputraparipṛcchā-sūtra narrates the whole story of persecuting Buddhism committed by King Puṣyamitra. It indirectly admits the fact that the means of Buddhism-protecting to handle the cruel violence is also the violence only. This legend may be a prophecy that a king of protecting the nation will become to appear as a result of Buddhism-protecting, and may be such a wish. In Northeast Asia., the connection between ‘Buddhism-protecting’ and ‘protecting the nation’ have realized ‘Nation-protecting Buddhism’ as the oneness of those two. The ‘nation-protecting Buddhism’ of Korea belongs to the most active instance in Northeast Asia. The teachings of Mahāparinirvāṇa-sūtra is practically understood to admit application of force, and it can be a valid reference to Korean ‘nation-protecting Buddhism’. Korean ‘nation-protecting Buddhism’, which reacted to a massive violence about to destroy the country, is ‘the skillful expedient’ (upāya-kauśalya) allowed by Buddhist texts.

      • KCI등재

        대한불교천태종 3대 지표 중 애국불교 -삼제원융에 입각한 이해를 중심으로-

        김영주 ( Yeung Ju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대한불교천태종이 구인사 창건 70주년이라는 일천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룩한 엄청난 발전상은 그 자체로도 종교학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연구대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은 발전의 토대였다고 생각되는 천태종의 ``새 불교운동 3대 지표`` 다시 말해 대중불교·생활불교·애국불교 가운데 하나인 ``애국불교``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애국불교는 동아시아 지역 전통불교의 특색 중 하나인 호국불교와 연관하여 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호국불교는 근대불교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초기불교의 국가관과 단절된 특수한 지역적전통일 뿐이었다. 따라서 찬란한 역사적 유물이기는 하지만, 미래를 향도할 오늘날의 불교사상이 되기에는 부적절한 것이다. 그리고 그 점은 천태종에서도 형식적 호국불교의 대안으로 실질적 애국불교를 제시한데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오히려 본 논문은 천태종 중창 직후 초기의 문헌자료들을 중심으로 원론적인 정의에 주목하였는데, ``새 불교운동 3대 지표``의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는 대중들이 함께 하는 대중들의 불교이고 생활을 떠나 있을수 없는 생활 속에 구현되는 불교로서 새로운 대승교단의 건립이 그 목표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애국불교는 이상과 같은 대중불교와 생활불교의 바탕 위에 모든 이들이 10선계에 따라 악행을 짓지 않으며 선행을 통해 보람을 찾아 살아갈 때 자연스럽게 건설될 수 있는 보편선(普遍善)이 구현된 공동체를 목표로 하는 불교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특히 애국불교는 기나긴 역사 속에서 국가주의의 명분으로 이용된 호국불교라는 기성의 개념을 대체할, 특별히는 왕조사회가 아닌 새롭게 전개되고 있던 민주사회에 걸맞은 단어 내지는 사상체계를 표현하는 언어였던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의 국제관계와 사회현실을 감안하여 필자는 다시금 국가주의나 전체주의에 매몰되지 않을 올바른 애국불교의 방안으로 반야공관(般若空觀)과 삼제원융(三諦圓融)에 입각한 이해를 제안하였다. 다시 말해 국가라는 것이 반드시 무엇이라고 규명되어지는 실체가 없는환경 내지 기능일지라도[空] 우리는 현실적으로 그곳에 터를 잡고 살아갈 수밖에 없으므로[假] 각성된 국민으로서 주체적으로 바른 길을 향하여 살아갈 수 있을 때[中] 천태종 새 불교운동의 애국불교라는 이념은 왜곡되지 않고 그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The wonderful growth of the Cheon Tae korean buddhist order[大 韓佛敎天台宗] in 70 years, the very short period, is must the essential object of research in the religious science. The present study is about the ``Patriotic Buddhism[愛國佛敎]`` in the ``Three Guidelines of New Buddhist Movement[새 불교운동 3대지표]``(that is, the Public Buddhism [大衆佛敎], the Life Buddhism[生活佛敎] and the Patriotic Buddhism) of the Cheon Tae order. By the way the Public Buddhism is usually understood by the connection of the Guardian Buddhism of the State[護國佛敎], that a specific feature of regional buddhist tradition in eastern asia. And by my study the Guardian Buddhism of the State is known as only a special historic tradition of the region, but the universal thought of buddhism in the future. And the Public Buddhism of the ``Three Guidelines of New Buddhist Movement`` in the earliest texts of the Cheon Tae order is the buddhism for the general public and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Life Buddhism is the practical buddhism in life and the buddhism within life. For this reason it is revealed that the Three Guidelines is aims to construct a new mahayana buddhist order, and the Patriotic Buddhism is a thought that the buddhism in order to create a society with common good. That is the society naturally builded by only good deeds and without all sinful deeds. Finally I suggest the buddhism with the principle of harmonized with the three aspects of truth[三諦圓融] for the righteous Patriotic Buddhism.

      • KCI등재

        서산휴정의 불교사상과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 연구

        손병욱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Suosan Hyujeong(西山休靜) who lived the 16th century was the one of the highest Buddhism monks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He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ith his disciple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tudy on his thought has been limit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For example, a study on his view of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Buddhism, a study on his view of the inter-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Religion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is view of the Buddhism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etc. But, in this paper I made a great point of studying on his another thought expect his thought of Buddhism. Especially this author had the view point that the thought for the salvation of his country originated from the Guksun(國仙) thought which was related with Dangun(檀君) and Cheonghak(靑鶴)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has been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original identity. As a result, this author presented four features of his thought. These are the same as the thought of harmony, of inter-understanding, of nation and of revolution. The thoughts of harmony and of inter-understanding belong to his Buddhism. But another two thoughts belong to Guksun(國仙) thought. He was the great Zen monk, at the same time he was the Sun(仙) or Sunin(仙人) who was ideal human shape originated from Korean ancient thought.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was not limited as saving all sentient beings. He continually had had a strong will not only to revolute the wronged social systems but also to change social fundamental pattern. And these ideas appeared as the features of Sun[Sunin].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of interfering social affaires was beyond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His activities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not be explained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Finally I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give the opportunity to start a new study on Suosan thought beyond the trend from past to present researches. 조선조 중기인 16세기를 살았던 서산 휴정은 조계종 중심의 한국불교의 정통조사(正統祖師)로서, 현 조계종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그의 문도들과 함께 호국활동을 펼쳤다. 그 동안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그의 불교사상에만 국한되어왔다. 그리하여 그의 선교관(禪敎觀),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호국불교관(護國佛敎觀)을 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사상이 지닌 불교사상 외의 또 다른 측면을 구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특히 그의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은 그 연원이 호국불교가 아니라 ‘단군의식과 청학관념에 바탕한 국선(國仙)사상’에 있다고 보았다. 연구결과 그의 사상적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조화사상이다. 둘째, 회통사상이다. 셋째, 민족사상이다. 넷째, 개혁사상이다. 앞의 둘은 그의 불교사상의 특징이라면, 뒤의 둘은 국선사상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그는 선승(禪僧)이면서 선(仙), 혹은 선인(仙人)이었다. 불교적 견성체험 이후에 그가 걸어간 길은 단순한 하화중생(下化衆生)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구세(救世)를 위해 잘못된 사회의 제도 개선은 물론 은연중에 사회의 근본 틀을 바꾸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선[仙人]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깨달음 이후 그가 선택한 입세간(入世間)의 길은 단순한 대승보살도의 계승과 실천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것이 국난시의 호국활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본고의 시도가 앞으로 서산사상에 대한 기존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넓히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게 되기를 기대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서산휴정의 불교사상과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 연구

        손병욱 ( Byeong Ook S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조선조 중기인 16세기를 살았던 서산 휴정은 조계종 중심의 한국불교의 정통조사(正統祖師)로서, 현 조계종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그의 문도들과 함께 호국활동을 펼쳤다. 그 동안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그의 불교사상에만 국한되어왔다. 그리하여 그의 선교관(禪敎觀),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호국불교관(護國佛敎觀)을 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사상이 지닌 불교사상 외의 또 다른 측면을 구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특히 그의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은 그 연원이 호국불교가 아니라 ``단군의 식과 청학관념에 바탕한 국선(國仙)사상``에 있다고 보았다. 연구결과 그의 사상적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조화사상이다. 둘째, 회통사상이다. 셋째, 민족사상이다. 넷째, 개혁사상이다. 앞의 둘은 그의 불교사상의 특징이라면, 뒤의 둘은 국선사상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그는 선승(禪僧)이면서 선(仙), 혹은 선인(仙人)이었다. 불교적 견성체험 이후에 그가 걸어간 길은 단순한 하화중생(下化衆生)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구세(救世)를 위해 잘못된 사회의 제도 개선은 물론 은연중에 사회의 근본 틀을 바꾸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선[仙人]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깨달음 이후 그가 선택한 입세간(入世間)의 길은 단순한 대승보살도의 계승과 실천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것이 국난시의 호국활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본고의 시도가 앞으로 서산사상에 대한 기존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넓히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게 되기를 기대하였다. Suosan Hyujeong(西山休靜) who lived the 16th century was the one of the highest Buddhism monks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He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ith his disciple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tudy on his thought has been limit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For example, a study on his view of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Buddhism, a study on his view of the inter-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Religion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is view of the Buddhism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etc. But, in this paper I made a great point of studying on his another thought expect his thought of Buddhism. Especially this author had the view point that the thought for the salvation of his country originated from the Guksun(國仙) thought which was related with Dangun(檀君) and Cheonghak(靑鶴)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has been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original identity. As a result, this author presented four features of his thought. These are the same as the thought of harmony, of inter-understanding, of nation and of revolution. The thoughts of harmony and of inter-understanding belong to his Buddhism. But another two thoughts belong to Guksun(國仙) thought. He was the great Zen monk, at the same time he was the Sun(仙) or Sunin(仙人) who was ideal human shape originated from Korean ancient thought.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was not limited as saving all sentient beings. He continually had had a strong will not only to revolute the wronged social systems but also to change social fundamental pattern. And these ideas appeared as the features of Sun[Sunin].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of interfering social affaires was beyond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His activities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not be explained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Finally I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give the opportunity to start a new study on Suosan thought beyond the trend from past to present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