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의 경험요인과 호감도의 상관관계 연구

        김소혜,신하연,최원형,고은경,강다혜,윤재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과거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형성했던 가상 인플루언서가 인공지능으로 자연스러운 콘텐츠를 생성하고, 최근MZ 세대의 지지를 받으며 하나의 마케팅 전략으로 확대되고 있다. 가상 인플루언서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경험 기반 분석을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의 경험요인이 사용자의 호감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경험요인을 일으키는 세부 요인을 유형화하여 사용자들이 몰입할 수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제작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경험요인 도출을 위해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해 알고 있는 10-30대 남녀는 대상으로 FGI 형식의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개방 코딩으로 분석하여 가상 인플루언서의 경험요인으로 ‘가상성’, ‘전문성’, ‘친밀성’을 도출하였다. 그 후, 실제 가상 인플루언서의 SNS에 게시된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실험물을 제작하고 경험요인과 호감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성과 호감도는 음(-)의 상관관계, 전문성과 친밀성은 호감도와 양(+)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들이 경험요인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사한 인터뷰 응답끼리 묶은 결과 상관관계 산점도 그래프를 따라 이미지들을 각 경험요인 별로 세 가지씩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가상성은 ‘가상성 강조형’, ‘가상과 현실 조합형’, ‘현실 강조형’으로, 전문성은 ‘전문성 의도 파악 가능형’, ‘전문성 의도 파악 유추형’, ‘전문성 의도 파악 불가형’으로, 친밀성은 ‘감정적 몰입형’, ‘감정적 무반응형’, ‘감정적 몰입 불가능형’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호감도에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험요인을 파악하고 각 경험요인을 일으키는 세부 원인을 유형화하였으며, 가상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제작과 사용에 활용될 수 있는방향성을 제시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카카오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에 따른 연령별 소비자 호감도 비교 연구

        이희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As the research subject, the preference factors of popular emoticons with people in their 10s-40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enagers preferred animal-shape and abstract substitute-shape emoticons in simple line-drawing style. Regarding the types of sentiment words led to purchase, a bit of cynical words were highly popular, so the playfulness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At the age in 20s, the emoticons containing images like‘love’,‘affection’, and‘good feeling’ were mostly preferred. Regarding the types of sentiment words, they preferred dialogic words that would be a lot used between lovers in daily life, so the usefulness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In their 30s, playfulness, such as emoticons with excessive expressions, was analyzed as a factor of preference. They preferred humorous sentiment words and wittily-expressed words mostly used at work. Lastly,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popular emoticons with people in their 40s, the character-type emoticons were the most popular. They also preferred gentle, but cute emoticons containing all sorts of greetings, so the familiarity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factors of emoticons shown differently in each age group by comparing them in two aspects such as preferred types according to each age group and emotional vocabulary used for popular emoticons. As objective analysis data of emoticons in each age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data for seeking new expression methods of emotic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요인과 각 연령별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를 비교하여 10-40대 인기 이모티콘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10대는 동물형과 간단한 라인 드로잉 스타일의 추상적 대리물 형태의 이모티콘을 선호하였으며, 구매로 이어진 감성어휘 유형은 다소 냉소적인 어휘들이 인기 상위권을 이루는 것으로 유희성과 심미성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0대는‘연애와 사랑’이 가장 활성화 된 시기이기 때문에 같은 표현이라도 '사랑' '애정' '호감' 등의 이미지가 담긴 이모티콘이 주를 이루었다. 감성어휘 역시 일상적으로 연인사이 사용이 많이 되는 대화체의 어휘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용성, 심미성 요인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30대는 표정이 다소 과하게 표현된 살아 있는 이모티콘등 유희성 요인이 호감을 주는 주된 역할을 하는것으로 분석 되었다. 직장 생활에서 주로 쓰는 어휘들을 재치있게 표현한 어휘들과 유머 있는 감성 어휘들을 선호 하였다. 마지막으로 40대는 인물형 이모티콘이 가장 많은 인기 순위에 진입해 있었으며 가볍지 않으면서 귀엽고, 각종 인사말이 담긴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것으로 친근성, 심미성의 요인이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각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형태와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 두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여 연령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이모티콘의 호감요인을 분석 하는것에 목적을 둔다. 이것은 이모티콘을 각 연령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객관적 자료로서 향후 이모티콘의 새로운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학술자료 제공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한류 인기 요인에 대한 지역별 차이와한류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 비교연구- 아시아, 미주,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

        문효진,박성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3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real evaluation of Korean wave’s popularity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recipients in Europe, America as well as Asia.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good feeling for Korean contents is investigated which is expected to suggest reference materials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contents. As a result, the popularity factors of Korean wave’s cont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3 categories;fun and moved contents itself “contents interest”, fascination of Pop singers, actors and actresses who appear in TV, drama, and movies “humane attractiveness”, and drama and movies’ structured scenarios, shooting techniques, Korean stars’ acting abilities, and K-pop singers’ singing abilities “professional contents”. A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popularity factors and feelings for Korean contents, it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s in each region, which impacts on the feelings.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시작된 한류가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인기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그동안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살펴본 한류 연구를 아시아를 포함해 유럽과 미주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류의 인기요인을 실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상호 비교·분석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에 대한호감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데 있어 이들 인기요인이 참고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 콘텐츠 자체가 전달하는 재미와 감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흥미성’, K-Pop 가수들이나 드라마,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외모에 대한 매력도로 구성된 ‘인적 매력성’, 영화나 드라마의 탄탄한 스토리 전개나 촬영기술, 한류스타들의 연기력과K-Pop 가수들의 가창력 등을 포함한 ‘콘텐츠 전문성’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에서 지역별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정도에 차이는 존재했지만, 조사 지역 모두 ‘콘텐츠 흥미성’, ‘인적 매력성’, ‘콘텐츠 전문성’이한류 콘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日本と韓国の相手国·人·ことばに対する好感度及び形成要因について

        金庚芬(김경분),崔宰?(최재영),?崎博紀(세키자키 히로노리),姜錫祐(강석우),梁吉錫(양길석),國生和美(고쿠쇼 카즈미),金志?(김지희)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3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여러 세대 총 2,964명을 대상으로 앙케트 조사를 실시하여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호감도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흥미/관심 요인에서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관심은 일본보다 한국이 더 많았고, 특히 양국의 대학생들이 높은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으로는 대중 문화나 여행등의 분야에 관심이 많았고 한국의 젊은 세대들은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게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경험 요인에서 상대국 방문 경험은 한국이 일본보다 많았다. 상대국 언어 학습 경험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본이 약 10%에 지나지 않는 데 비해 한국에서는 약 50%였고 또 미학습자의 학습 의지도 한국이 높았다. 정보 관련 요인에서 한일 모두 국내 TV, 인터넷에서 상대국에 대한 정보를 얻으며 특히 일본은 TV, 한국은 인터넷이 가장 유력한 정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의 상대국 관련 정보는 부정적인 기사가 많은 것도 공통된 경향이었다. 상대국, 사람, 언어에 대한 호감도에서 일본은 좋거나 싫다고 확실히 나타내지 않는 소극적인 이미지가 많았다. 한편 한국은 일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줄고 일본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2,964 people from Korea and Japan,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images and the degree of their preference for country, people and language. The results show: 1. From the viewpoint of consciousness, Korean showed more interest in Japan, than Japanese did in Korea. Specifically, Japanese and Korean were equally interested in each other’s pop cultures and travel each other’s countries. The Korean younger generation showed high interest in Japanese animations and games. 2. From the viewpoint of experience, Koreans were more likely to visit Japan than Japanese to visit Korea. And, 50% of Koreans surveyed have learned the Japanese language, while only 10% of Japanese who was surveyed have learned the Korean language. 3.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both Korean and Japanese obtained information about each other’s country on domestic TV and the Internet. In particular, TV is the most powerful source of information in Japan, whereas the Internet is in Korea. 4. The Japanese tended not to make an expression that they like or dislike Korea,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s tended to have negative impressions of Japan, and to show less negative impressions of Japanese people.

      • KCI등재

        한류콘텐츠의 인기 요인, 소비 경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인도네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문효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2

        The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dvance into the Indonesian market, focusing on hallyu contents such as Korean dramas, music and movies. To this end, we have empirically explored the reasons why local people in Indonesia like Korean wave contents, its consumption channels, its popularity factors for Korean wave contents and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contents were confirmed by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tself and the human appeal of the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path was mainly through television, and the favorable impression of Korean wave conten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feeling toward Korea and the willingness to visit Korea.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 음악, 영화 등 한류콘텐츠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이 한류콘텐츠를 좋아하는 이유, 소비 경로, 한류콘텐츠에 대한 호감도와 그효과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한류콘텐츠의 인기 이유는 콘텐츠 자체의 품질과 해당 콘텐츠의 인적 매력도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비경로는 주로 TV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한류콘텐츠의 호감도는 한국에 대한 호감도 및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헬리콥터 비행시험 최적화를 위한 실험계획법의 적용

        변재현,이건명,김세희,Byun, Jai-Hyun,Lee, Gun-Myung,Kim, Se-Hee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2 No.2

        항공기를 개발하는데 있어 형상 결정과 요구도 입증은 주로 비행시험 결과에 의존한다. 비행시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므로 비행시험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분석함으로써 비용절감과 일정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기동헬기에 적용된 진동 비행시험 사례를 적용하여 비행시험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부위에서 측정한 진동수준 값을 가지고 종합적인 진동수준 만족도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내기 위하여 호감도 함수를 채택하고 진동수준의 측정을 위한 비행시험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실험계획법의 하나인 부분요인배치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행시험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여 비행시험 횟수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developing an aircraft, configuration determination and requirement proofing depend on flight test results. Since the flight tests require much time and high cost, systematic flight test planning and analysis are needed to reduce cost and development time. This paper presents a desirability function approach to present an integrative measure of vibration levels at important positions and suggests a fractional factorial design which is one of the experimental design methods to help perform systematic flight tests. A method to perform flight tests in stages is also suggested to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flight tests.

      • KCI등재

        TV광고의 지각 차원과 효과: Schlinger's VRP측정

        정철근,최인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8 No.1

        This study measured viewers' ad perception of 150 TV commercials in pre-testing context using Schlinger's VRP scale of 32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or study 1 show that they confirm Schlinger's 7 dimensions with the variance of 57%, with 5 positive dimensions of entertainment, relevant news, empathy, familiarity, and brand reinforcement and 2 negative dimensions of confusion and aliena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study 2 reveal that 7 dimensions all have significant impacts on both ad like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4 of 7 dimensio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ad recall. Specifically, all of 5 positive dimensions have plus coefficients and both of 2 negative dimensions have minus coefficients. This means that Schlinger's VRP scale has face validity and it is reliably recommended that we could adopt Schlinger's VRP scale as a useful module for ad effect model in Korea. 본 연구는 Schlinger’s VRP 32개 항목을 사용하여 150개 국내 TV 광고에 대한 지각 반응을 측정한 자료를 2 단계의 연구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연구 1은 Schlinger 연구의 광고 지각 차원의 형성이 재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것이다. 57%의 설명 분산을 보이며 재미자극성, 공감성, 정보성/관련성, 독특성, 브랜드 강화와 같은 긍정적 지각 차원 5 개와 혼동성/불명확성, 비현실성/이질성과 같은 부정적 지각 차원 2개가 그의 연구와 동일하게 형성되었다. 연구 2는 이 7개 광고 지각 차원들이 광고 상기, 광고 호감도, 제품 구입 의사와 같은 광고 효과 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회귀 분석함으로써 기준 타당성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광고 상기에는 7개 차원 중 4개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광고 호감도와 제품 구입 의사에는 7개 차원 모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긍정적 차원은 정적 영향을 부정적 차원은 부적 영향을 보여 논리적 타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Schlinger’s VRP 척도의 안정성과 타당성은 광고 지각 척도로서 국내에도 확대하여 적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