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 쥐에서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1 차단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의 억제

        조민섭,유기동,박찬범,조덕곤,조규도,진웅,문건웅,김철민,이선희,왕영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의 증식과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뇨병은 VEGF의 발현과 연관되어 정상 혈당상태에서 보다 세포의 증식을 더욱 촉진시킨다. 당뇨병쥐에서 VEGF 수용체의 선택적 차단이 손상된 혈관에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당뇨병 쥐의 경동맥 풍선손상 모델에서 위약을 투여하거나,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1(VEGFR-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항-Flt-1 펩타이드(anti-Flt-1 peptide; Gly-Asn-Gln-Trp- Phe-Ile)를 풍선손상 2일 전부터 0.5 mg/kg의 용량으로 2주간 매일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Hematoxylin- Eosin 염색을 하여 신내막의 형성정도와 혈관내강의 협착정도를 비교하였으며, 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 (PCN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여 세포의 증식정도를 관찰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를 고혈당환경에서 배양하고 transwell assay를 시행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혈당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혈관평활근세포에 50 ng/mL의 VEGF를 단독 또는 3 ug/mL의 항- Flt-1 펩타이드와 함께 처리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matrigel filter를 통과한 세포를 세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세포가 이동한 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에 세포이동 정도 측정 시와 같은 처리를 한 후, RNA를 분리하고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nase, MMP)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내막의 면적은 위약 투여 쥐는 0.24 0.03 mm2이었으나, 항-Flt-1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해 0.15 0.04 mm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내막 형성에 따른 내강의 협착 정도도 위약 투여 쥐는 61.85 5.11%, 항-Flt-1 펩타이드 투여 쥐는 36.03 3.78%로 항-Flt-1 펩타이드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신내막의 전체 세포수에 대한 PCNA( )인 세포를 백분율로 구하였으며, 위약 투여 쥐와 항- Flt-1 펩타이드 투여 쥐에서 각각 52.82 4.20%, 38.11 6.89%로 나타나 항-Flt-1 펩타이드를 투여한 쥐에서 PCNA( )인 세포가 유의하게 적음을 보이고 있다(p<0.05).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에서는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혈관평활근 세포의 이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또한,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MMP-3와 MMP-9 mRNA의 발현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론: 항-Flt-1 펩타이드는 당뇨병쥐의 경동맥손상모델에서 신내막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고혈당 환경에서 배양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MMP-3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출생초기 토끼망막에서 SPARC와 VEGF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한후재(Hoo Jae Hann)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Tissue-derived angiogenic factors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ngiogenesis. Among hese, SPARC and VEGF are known to be involved in physiologic and pathologic angiogenesis.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se factors in the rabbit retina, especially in the early postnatal period, remains unclear.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contribute to retinal angiogenesis in the rabbit retina, expression of SPARC and VEGF was studied by immunohistochemistry at postnatal (P) days 0, 7, 14, and 28. (1) SPARC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nerve fiber layer of the medullary ray and the pigment epithelium at all ages. In whole mount preparations, SPARC immunoreactivity was noted in many astrocytes surrounding nerve fibers or blood vessels in the medullary ray. (2)VEGF immunoreactivity of variable intensity was found in ganglion cel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some astrocytes. VEGF immunoreactivity was detected from P0, was maintained until P14, and was markedly lower at P28. The spatial pattern of SPARC expression suggests that SPARC functions as a crucial regulator that determines the selective location of the retinal angiogenic process. The temporal pattern of VEGF expression suggests that VEGF is a major angiogenic factor involved in rabbit retinal angiogenesis. 혈관신생은 다양한 혈관형성인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SPARC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는 다양한 혈관신생 관련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상수질(medullary ray)에만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토끼망막에서 출생초기 연령별로 이들 인자의 발현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인자와 망막혈관신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집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를 생후 0, 7, 14, 28일로 나누어 각 군별로 다섯 마리를 준비하였다. 각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PARC는 전 시기에 걸쳐 방사상수질의 신경섬유층과 색소상피층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SPARC 면역반응성은 신경섬유 사이 또는 혈관 주위에 분포하는 별아교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면역반응성은 신경절세포, 시각신경원반의 혈관내피세포 및 일부 별아교세포에서 관찰되었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발현강도는 전반적으로 약하게 나타났으며 망막혈관신생이 활발히 일어나는 생후 7일과 14일에 비해 생후 28일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방사상수질, 그리고 이에 위치하는 별아교세포에 주로 국한되어 발현되는 SPARC의 공간적 분포양상으로 보아 이인자는 토끼망막에서 방사상수질에만 혈관신생이 일어나도록 하는 조절자 중 하나일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혈관내피 세포성장인자의 시기적 발현양상은 이 인자가 토끼망막의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주요인자 중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SCOPUS

        자궁내막간질 육종의 성장에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및 염기성섬유아세포성장인자의 영향

        정진(Jin Jeong),오성택(Sung Tack 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1

        Objective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VEGF and bFGF in endometrial stromal sarcoma(ESS). Methods : We studied the effect of VEGF and bFGF on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cell after adding VEGF and bFGF into a culture system by autoradiography. The incorporation of [H3]-thymidine into cellular DNA was used as an index of cellular proliferation. Results : VEGF and bFGF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cells.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EGF and bFGF showed that there was slightly more potent growth effects on endometrial stromal sarcoma cells with bFGF however, there was no stas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GF and bFGF play an essential role in endometrial stromal sarcoma growth and our data adds new insights in the pathogenesis of ESS. This suggests that the involvement of growth factors may not only angiogenesis, but also play a critical role in controlling ESS cell growth.

      • 복막의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이 복막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호,탁우택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목적 :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는 신생혈관의 생성 및 투과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혈관확장 및 일산화산소 생성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후기당화산물(AGE) 및 고농도 포도당이 VEGF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이는 고농도 포도당 투석용액으로 장기간 투석했을 때 복막에도 VEGF가 발현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복막투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복막투석을 했을 때 복막에 VEGF의 발현정도와 VEGF의 복막축적이 복막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30마리의 흰쥐를 3군으로 나누어 Ⅰ군 (n=6)은 복강 내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은 대조군, Ⅱ군 (n=12)은 4.25% 포도당 투석액으로 투석한 군, Ⅲ군 (n=12)은 4.25% 포도당 투석액에 아미노구아니딘을 첨가하여 투석한 군으로 하였다. 투석액 교환은 25ml를 매일 3회 12주간 시행하였다. 복막투과도 비교를 위해 1시간 PET를 모든 군에서 1, 6 및 12주에 시행하였고, 복막의 조직학적 분석은 복막을 채취하여 H&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 AGE 및 VEG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복막 내 AGE 및 VEGF은 대조군에 비해 투석군에서 중피세포 및 혈관벽에서 유의한 발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아미노구아니딘 (AG) 치료로 AGE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VEGF는 다소 억제되는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복막투과도는 대조군에 비해 투석군에서 현저한 과투과도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AG치료로 다소 과투과도를 호전시키는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 장기간 복막투석이 복막 내 AGE 및 VEGF 축적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들은 과투과도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G 치료로 AGE를 의미있게 억제시킨 후에도 과투과도 현상이 유의하게 호전되지 않은 것은 AGE와 더불어 VEGF도 복막투과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라는 사실을 제시하는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eritone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and to analyze the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alterations of peritoneal membrane during long-term PD in rats.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group Ⅰ (n=6), control rats with PD catheter but not dialyzed; group Ⅱ (n=12), rats dialyzed with 4.25% glucose solution for all exchanges; group Ⅲ (n=12), rats dialyzed with 4.25% glucose solution containing aminoguanidine(25㎎/㎏) for all changes. Dialysis changes were performed 3 times a day with 25ml/each exchange for 12weeks.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using a monoclonal anti-AGE antibody and a polyclonal anti-VEGF antibody. One-hour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were performed at every 4-week for the comparison of peritoneal transport characteristics. Results: Expressions of peritoneal AGE and VEGF in dialyzed groups(group Ⅱand Ⅲ) were higher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level of AGE immunostaining in group Ⅲ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group Ⅱ. But peritoneal VEGF ex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dialyzed groups. In dialyzed groups, D/Do glucose was significantly lower whereas D/P u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ritoneal AGE and VEGF accumulation were directly correlated with D/DO glucose and D/P urea nitroge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DO glucose and D/P urea nitrogen between the dialyzed groups. Conclusion: Peritoneal accumulation of AGE and VEGF increased with time on CAPD in dialyzed groups. Intraperitoneal aminoguanidine was greatly suppressed peritoneal AGE accumulation but no attenuated long-term dialysis related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The VEGF formation may be one of the several mediators resulting the functional deterioration of the peritoneal membrane in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 KCI등재
      • KCI등재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에 적용된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가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허중보,윤미정,정창모,신상완,전영찬,Huh, Jung-Bo,Yun, Mi-Jung,Jeong, Chang-Mo,Shin, Sang-Wan,Jeon, Young-C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양극산화 임플란트에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코팅한 임플란트를 토끼의 경골에 식립하여 골과 임플란트 계면의 골유착 향상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마리의 토끼 양측 경골에 코팅을 하지 않은 양극 산화 임플란트(대조군)와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코팅한 임플란트(실험군)을 각각 한쪽에 2개씩 식립하였다, 토끼는 2주, 8주에 각각 3마리씩 희생하였고 전체 식립된 임플란트는 24개이었다. 각 시기별, 그룹별 임플란트 수는 각각 6개씩이었다. 임플란트안정지수(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회전 제거력(Removable torque measurement (RTQ))을 희생 시기에 측정하였다. 독립표본 t-test (SPSS Ver. 15.0, Chicago, USA)을 이용하여 2주, 8주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의수준95%에서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8주에서 우수한 골유착을 보였다. 특히 실험군에서 8주에 ISQ, RTQ 값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P<.05). 하지만 2주에서는 두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골형성 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하여 식립하는 것은 치유의 후반기에 골유착을 증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rhBMP-2) and recombinant hum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hVEGF) coated onto anodized implants on osseoint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Six New Zealand white rabbit were used in this study. Each animal received 4 implants that were either coated with rhBMP-2 and rhVEGF (Study group) or anodized implant (Control group) in both tibia. This was performed using a randomized split-mouth design. A total 24 implants were used.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 us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er and removal torque (RTQ) measurement were investigated at 2 and 8 weeks. The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pha}$=.05). Results: Control and study group showed good osseointegration at 8 weeks. The ISQ and RTQ values of study group were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8 weeks (P<.05).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t 2 weeks (P>.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rhBMP-2 with rhVEGF coated onto anodized implants can induce better osseointegration at late healing period.

      • KCI등재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에 유발된 욕창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와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효과

        나연경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4

        일에서 2008년 60.8일로 증가하였다(Nam & Lim, 2012). 또한 2005년 전국 가정전문간호사업소를 대상으로 가정 간호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욕창치료로 가정전문간호사가 방문한 사례가 1인당 월 29.5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욕창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Ryu, Park, Kim, Kwon, & Kang, 2008). 욕창관리를 받는 가정 간호 대상자 중 40.2%가 3-4단계의 욕창이었으며, 간호중재 방법으로 습포드레싱, 항생제 연고 도포 및 느릅나무 근피 드레싱과 같은 민간요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Kim, Cho, & Park, 1997; Kim & Park, 2009). 욕창의 조직재생과정은 일반적으로 염증기(inflammatory phase),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성숙기(maturational phase)의 3단계를 거치며, 특히 3기 이상의 욕창은 개방된 창상에서 현저한 조직의 결손이나 괴사 또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이차유합에 의한 치유과정이 일어난다. 치유과정을 촉진하는 인자로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형질변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등이 있으며(Gabriel, Mussman, Rosenberg, & Torre, 2003; R&D system, 2002), Dai 등(2012)은 FGF와 VEGF의 발현은 3-4기 욕창의 창상회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Hum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rhVEGF165)

        Chang Soo Kang,In Seok Bang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7 No.1

        대장균 발현 시스템 (Escherichia coli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한 단백질 생산 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내포체(inclusion body) 형성의 해결을 비롯하여 융합 파트너(fusion partner) 의 사용과 같은 분자생물학적으로 기술적인 진보 등을 토대로,혈관 생성에 관여하는 인간의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hum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165, hVEGF165)의 대량생산을 시도하였다. 효과적으로 선별 및 제작된 발현벡터에 합성된 hVEGF165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pET32a-hVEGF165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E. coli 숙주세포에서 재조합 융합 단백질 TrxA-hVEGF165를 생산하였다. TrxA-hVEGF165는 30°C의 0.6 mM IPTG 농도에서 4시간 배양하여 최적으로 발현되었다. TrxA-hVEGFi165는 HisTrap FF crude column의 75~100mM imidazole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되었으며,enterokinase 처리 후 HiTrap heparin HP column의 150-180mM NaCl 농도에서 재조합 단백질 hVEGFl165가 순수 분리되었다. 재조합 인간 혈관내피세포성장인 자 (recombinant hum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165,rhVEGF165)는 1L의 E. coli 배양액으로부터 94.1%의 순도로 3.2 mg 이 생산되었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