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高麗) 현종(顯宗)과 사수현(泗水縣)ㆍ사주(泗州)

        변동명 ( Byeon Dong-mye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4 No.-

        고려 현종과의 관계 속에서 사천지역의 역사를 더듬었다. 먼저 현종이 사수현에서 생활하던 동안을 검토하여, 현종이 사수현 지역사회의 후원을 받는 등 둘 사이에 일종의 유대관계가 성립되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사천 지역사회가 그처럼 현종에게 관심을 보이며 도움을 주고자 나선 배경을 살폈으며, 마지막으로 현종의 즉위 후 그러한 후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얻어냈음 직한 결과를 음미하였다. 현종은 유년기 한때 사수현에서 생활하였다. 유배당한 부 안종 욱을 뒤따라와서의 일이었다. 사수현 지역사회에서는 안종 부자에게 관심을 보이며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현종을 좌우에서 받들며 근로하였다는 彦孝와 孝質이 그와 같은 사례였다. 안종 욱이 풍수지리와 성황신앙에 의지해 지역사회의 관심과 도움이 지속되도록 유도한 것도 그러한 속에서의 일이었다. 사수현 지역사회가 안종·현종 부자에게 그처럼 관심을 베풀고 도움을 주며 후원하는 동안둘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유대관계가 형성되었으며, 그리하여 후일 사수현은 豊沛之鄕이라 불릴 만큼 현종과의 긴밀한 관계를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 사수현의 유력계층에서는 안종 부자의 장래성에 주목하였다. 저들 부자가 중앙에서 완전히 제거되어 소외된 존재가 아님을 파악하였다. 저들에게서 장래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그리하여 어린 현종이 장차 `成龍`하리라는 기대감에서 도움을 베푸는 등 안종 부자를 후원하였다. 저들을 통해 중앙의 관심을 유도하고 더불어 중앙과의 연결을 도모함으로써, 내내 변방의 작은 고을로서 소외당해 왔던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왕위에 오른 뒤 현종은 泗水縣을 泗州로 승격시켰다. 또한 유년시절 자신에게 도움을 주었던 사람들을 포상하고, 부족한 民田을 公田으로 보충하여 고을주민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었다. 어려운 시기에 힘을 보태며 후원을 마다지 않던 사천 지역사회에 대한 배려인 셈이었다. 지역사회의 입장에서 보자면 노력을 통해 얻어낸 보상이었으려니와, 그럼에도 애초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현종의 즉위와 같은 중앙에서의 정치적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만한 역량을 지역사회에서 미처 갖추지 못한 데 따른 일이었다. The aim of this article lies i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region of Sacheon county with relation to King Hyeonjong(1009~1031) of Goryeo dynasty. Hyeonjong had once lived in Sasuhyeon county in his childhood. It was an occurrence that he came down Sasuhyeon to follow his father Anjong Wuk who was exiled from capital. The community of Sasuhyeon held out hands of help to the father and son, Anjong Wuk and infant Hyeonjong. It was due to a certain hope of Sasuhyeon community for the father and son. Sasuhyeon community helped the father and son in expectation that the infant Hyeonjong would succeed to ascend the throne in future and it led to mak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leading class in Sasuhyeon county noted the father and son, Anjong Wuk and Hyeonjong. The leaders of this community understood that those father and son were not taken away and excluded completely from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They found possibilities of the father and son and helped them. It led to mak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 and latter. They tried to draw attention of the central figures and connect themselves with the center depending on the father and son. By way of undergoing such process they inten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o have been disregarded all along as a small county in a remote region. After coming to the throne Hyeonjong raised the grade of Sacheon county from Sasuhyeon to Saju. Hyeonjong awarded the people in Sacheon who helped himself in his childhood and reduced the burden of duty of the inhabitants in Sacheon. Such measures were Hyeonjong`s concern over the Sacheon community to help him in his difficult times and make a cooperative relationship. From a perspective of Sacheon community, they were a kind of compensation for their own efforts. But the results were not good in comparison with the expectation of Sacheon community at the start. It was the cause that the community didn`t possess the capacity to respond to the political movements of the center actively such as Hyeonjong came to the throne.

      • KCI등재

        『노자』에서 현(玄)자(字) 의미 연구

        탁양현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60 No.-

        `玄`字正式文字的活用開始, 從『周易』和『老子』的. 以后大都玄的活用意味, 以修飾語黑與玄妙. 但『老子』中玄之又玄的意味, 不是單詞的槪念定義. 因爲玄的各種表現形狀, 玄學, 重玄學, 太玄, 老玄, 莊玄, 儒玄, 佛玄, 玄談, 玄風……. 對此筆者假定, 玄不是槪念與文字, 而是哲學的Image(畵). 哲學的Image引起哲學的思惟, 那是『老子』中論理體系是玄的思惟方式. 『老子』中玄的思惟方式的基礎, 無的論理, 不的論理, 反的論理. 這三種論理是玄的思惟方式土臺. 無的論理的基礎是①同時性, ②交叉性, ③無我性. 不的論理的基礎是①言·意不完全性, ②無所有性, ③自他平等性, ④知的無分別性. 反的論理的基礎是①生成性, ②對立性, ③反回性. 『老子』批評以這種玄的思惟方式, 深省人的本來混沌爲. 通行本(王弼本)『老子』使玄都12次. 避忌重復, 分辨①玄, ②玄牝, ③玄覽, ④玄通, ⑤玄德, ⑥玄同, 由此考察實際思惟方式的意義, 以『老子』的玄.

      • KCI등재

        『노자』의 `玄` 분석

        이임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7 No.-

        노자에서 "현(玄)"은 노자 철학 전체의 색깔이나 이미지를 대표하는 상 징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중요한 철학적 함의를 갖는 철학적 개념이다. 노자 1장에 대한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현(玄)"의 기본 함의는 "유무상생(有無相生)" 이다. 그러나 "현(玄)" 자의 문자적 함의, 노자 철학의 다양한 내용들, 노자에 출 현하는 여러 문자 자료 그리고 고대 신화의 상징을 토대로 노자의 "현(玄)"의 의 미를 분석해보면, 그 안에 "묘소(眇小)", "유원(幽遠)" 그리고 "박(樸)"의 세 가지 함의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玄)"과 연결 된 다양한 개념들, 즉 "현빈(玄牝)", "현람(玄覽)", "현덕(玄德)", "현통(玄通)", "현동 (玄同)" 등의 연구에 보다 진일보한 연구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의 재무적 제약과 현금주기 조정속도간의 관계

        신민식(Min-Shik Shin),김수은(Soo-Eun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2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적 제약과 현금주기 조정속도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재무적 제약 여부는 자본시장 접근성과 신용평점 수준으로 판단하며, 현금주기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분석 결과, 자본시장 접근성이 좋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현금주기를 더 빨리 조정한다. 이는 실제 현금주기가 목표현금주기를 이탈할 경우에, 자본시장 접근성이 좋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그 갭을 더 빨리 조정한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신용평점이 높은 기업은 신용평점이 낮은 기업보다 현금주기를 더 빨리 조정한다. 이는 실제 현금주기가 목표 현금주기를 이탈할 경우에, 신용평점이 높은 기업은 신용평점이 낮은 기업보다 그 갭을 더 빨리 조정한다는 의미가 된다. 그리고 기업특성변수 중에서, 현금흐름 비율, 수익성 비율, 매출액 성장률 및 레버리지 비율은 현금주기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규모는 현금주기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들은 목표 현금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현금주기가 목표 현금주기를 이탈할 경우에, 그 갭을 매년 부분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통적인 현금주기 결정요인들 뿐만 아니라, 재무적 제약 요인들도 현금주기 조정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 경영자들은 전통적인 현금주기 결정요인들과 재무적 제약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금주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현금보유정책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relations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cash cycle adjustment speed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The existence of financial constraints can be justified by the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the credit rating score. Firms with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high credit rating score are not financially constrained, because they can finance easily in capital marke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ms have the unobservable target cash holdings ratio, and adjust partially their cash cycle in order to their current cash cycle to be close to the target one.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firms is roughly faster than the capital market unaccessibility firms, and the adjustment speed of high credit rating score firms is roughly faster than the low credit rating score firms. That is, the cash cycle of financial unconstrained firms achieve faster than the financial constrained firms because they can finance easily in capital markets. Our findings suggest that firms adjust partially their cash cycle in order to their current cash cycle to be close to the target one, although endogeneity problem is reflected in partial adjustment model. In conclusion, SME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have the target cash cycle, and adjust partially their cash cycle in order to their current cash cycle to be close to the target one. The cash cycle of financial unconstrained firms achieve faster than the financial constrained firms, because they can finance easily in capital markets. Therefore, the former can maintain more stable working capital policy than the latter.

      • KCI등재

        고려 현종과 봉선홍경사

        김명진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8

        King Hyeonjong of Goryeo (Daeryangwon-gun) founded ‘Bongseon Honggyeongsa’ in Cheonan (Jiksan-hyeon) in 1021. He was born illegitimate in 992. The life of Hyeonjong, who was born due to the biggest sex scandal in the Goryeo Dynasty, was difficult. However, Hyeonjong overcame this and ascended to the throne in 1009. He was forced to flee because of the Khitan invasion in 1010. On the road to escape, I forgot my worries for a while at the site where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would be built. When Gangjo was removed during the war with the Khitans, Hyeonjong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lead state affairs.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 purposes such as remembrance of his father and a transportation center, Hyeonjong founded Bongseon Honggyeongsa. Hyeonjong started building Bongseon Honggyeongsa in 1016 and finished it in 1021. Next, ‘Gwangyeon Tonghwawon’ and ‘Bongseon Honggyeongsagal’ were completed in 1026. The reason for the lengthy construction period was that the Khitan invaded again in 1018. Hyeong-geung was the general manager of Bongseon Honggyeongsa, and the supervisors were Kang Min-cheom and Kim Maeng. The main personnel mob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Bongseon Honggyeongsa were monks and slaves from nearby Cheonheungsa, as well as civilians from Jiksanhyeon and Cheonanbu. Bongseon Honggyeongsa’s economic rights must have been a set of rights to Gongju Myeonghakso. 고려 현종(대량원군)은 1021년에 직산현(천안) 봉선홍경사를 창건하였다. 그는 992년에 안종과 헌정왕후의 불륜에 의해 태어났다. 고려시대 최대 성 스캔들로 인하여 태어난 현종의 삶은 고난하였다. 그런데 이모인 천추태후도 김치양과 불륜을 벌이어 아들이 태어났다. 그녀는 이 아들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현종을 죽이려 하였다. 이러한 그녀의 행동으로 인하여 현종은 왕위 계승자로 주목받았다. 마침내 현종은 1009년에 강조의 정변으로 즉위하였다. 그는 1010년 거란의 침입 때문에 부모에 대한 현창 작업을 할 수 없었다. 전세가 악화되어 현종은 피란을 가게 되었는데, 피란길에 사산현(직산현)의 훗날 봉선홍경사가 들어설 자리에서 잠시 시름을 잊기도 하였다. 이곳은 과거 아버지 안종이 유배가면서 무언가 격정을 토해냈을 장소였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1010년 고려 거란 전쟁의 와중에 강조가 제거되자, 현종에게 국정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안겨졌다. 아버지에 대한 추모와 교통의 중심지 같은 실용적인 목적 등을 감안하여 현종은 봉선홍경사를 창건하였다. 현종은 1016년에 봉선홍경사 조영을 시작하여 1021년에 마치었다. 이어서 광연통화원과 봉선홍경사갈이 1026년에 완공되었다. 총 공사 기간이 길어 진 이유는 1018년에 거란이 다시 침략해왔기 때문이었다. 봉선홍경사 창건 총 책임자는 형긍대사이고, 관리 감독자는 별감사 강민첨과 김맹이었다. 봉선홍경사 창건에 동원된 주요 인력은 가까이 있었던 천흥사의 승려와 노비 그리고 직산현과 천안부의 민이었다. 봉선홍경사의 경제권은 공주 명학소에 대한 일단의 권리였을 것이다.

      • 조선후기 보령현과 남포현의 사족의 동향(動向)

        김영모(Kim, Young-M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9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7 No.1

        본 연구는 조선후기 보령현과 남포현의 사족의 동향을 『방목』, 지리지, 『청금록』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참고한 자료들은 조선후기 보령지방 사족의 동향 연구에서 절대적이었고 이들 자료에 수록된 성관들은 조선후기 보령지방에서 활동한 사족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조선후기 사족의 통혼권과 세거지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보령현은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광산김씨와의 혼연을 통한 사족의 입향이 이어졌다. 피란이나 우거 등의 연유로 보령현에 입향한 성관은 드물었고 조선전기에 광산김씨와의 혼연으로 입향한 성관들의 처변이나 외변에 의한 입향이 대부분이었다. 이것은 김성우가 사전(赐田)으로 받아 점유한 보령 점령지가 고만수영 일대를 비롯하여 청라동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으로 신사족들의 보령현 입향은 광산김씨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하였음이 입증되었다. 이와는 달리 남포현의 경우 통혼권과 세거지가 양립되었다. 재지사족의 경우 통흔권과 세거지는 남포백씨, 풍천임씨, 경주김씨, 경주이씨 등의 재지적 혼연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족의 세거지는 읍치의 외곽 즉 주산, 미산, 웅천의 북부지역이었다. 반면에 임진왜란 이후 입향한 신사족(피란; 장수황, 무송윤 등, 피화; 전주이, 혼연을 통한 처변이나 외변: 강릉최, 청해이)의 경우 신사족끼리의 혼연으로 이루어지고 세거지 또한 해안가나 재지사족이 점유하지 않은 지역이었다. 보령현과 남포현의 사족은 내성(來姓)으로 형성된 공통점이 있으나 조선후기 사족의 동향에서는 두 현은 큰 차이를 보였다. 보령현은 조선후기에도 경제력을 기반으로 한 광산김씨의 향촌사회의 영향력은 계속되었으나 17세기 후반 이후 한산이씨가 보령현 향촌사회를 지배하였다. 이것은 이 시기 한산이씨의 사마와 문과 입격자수, 향현사의 건립, 읍지편찬 참여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남포현은 보령현과는 달리 사족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여 지배사족이 부재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새로 유입되는 신사족과 재지사족이 서로 양립하였다. 재지사족은 향교를 중심으로 향촌활동을 이어갔고 신사족은 사마시를 통해 자신들의 세를 들어내려고 하였음이 향교의 『청금록』과 『사마방목』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토성인 남포백씨를 비롯한 조선전기에 입향한 재지사족들의 동향은 일부 성관의 묘비건립 등의 향촌활동 이외에는 알 수 없었고 18세기 초 10년 이후부터 신사족들의 문중사우나 묘비 건립 등을 통하여 현조를 선창하는 등의 향촌활동이 두드러졌다.

      • KCI등재

        지식범주의 변신, 現量 다시 읽기 ― 唯識佛敎의 認識論에서 古典詩學으로

        李鍾武(Lee, Jong-Mu)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7 No.-

        古代 印度 因明學에서 기원한 中國 唯識佛敎의 認識論은 인간의 인식상태를 설명하는 現量, 比量, 非量 ‘三量’과 ‘三境’, ‘三自性’으로 구성되어진다. 明淸시대 王夫之는 이러한 유식불교의 인식론 중 ‘現量’이 ‘現在’, ‘現成’, ‘顯現眞實’의 함의가 있다고 해석하며 ‘인식의 時空性’, ‘인식의 直觀性’, ‘인식의 眞實性’을 논증함으로써,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분석적인 유식불교 의 교리체계를 총체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의 기초 위에 왕부지는 유식불교의 인식론 체계를 중국고전시학 영역에 응용하여, 현량 범주가 창작영감의 찰나적 심미포착, 형상사유 결과의 진실한 투영등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그는 ‘卽景會心’, ‘情景交融’의 함의를 담고있는 ‘마음과 눈(心目)’의 개념을 통해 현량적 시학이상을 힘주어 주장 하였다. 본 논문은 유식불교의 인식론 범주로서의 ‘현량’과 시학명제들을 실증적으로 해석하는 시학범주로서의 ‘현량’에 대한 개념과 양자간의 내재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The study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t examine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knowledge category Pratyaksa(Xianliang 現量) of Chinese Buddhism originated in the ‘Hetu-vidyā research(因明學)’ of India. Second, systematically examin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urrent theory as a theory of poetry that expands and applies the present level of Chinese classical poetry to empirical interpretation of the propositions. The epistemology of Chinese Buddhism is composed of the Pratyaksa(Xianliang現量), the anumāna(Biliang 比量), the Non quantity(Feiliang 非量) Three doses, Three realm(Sanjing 三境), and Three self nature(Sanzixing 三自性) which explain human cognition state. The Wangfuzhi(王夫之) of the Ming & Qing(明淸) Dynasty interpreted that the Pratyaksa(Xianliang 現量) among the epistemology of Knowledge Buddhism has the implication of Present , Ready-made , and Display reality . Then, it proved the space - time of the cognition, the immediacy of the cognition, and the authenticity of the cognition. This is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logical, systematic and analytical doctrinal system of Knowledge Buddhism(唯識佛敎).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Wangfuzhi(王夫之) applied the epistemological system of Knowledge Buddhism to the Chinese classical poetics area, so that the current category can comprehensively explain the charac - teristic aesthetic capture of creative inspiration and the true projection of the result of the image of reason. In particular, he insisted on the current ideology of poetics through the notion of ‘Mind and Eye(心目)’ which implies the implication of ‘Instant understanding(Ji jing hui xin 卽景會心)’ and ‘Feeling and Setting happily blended(Qing jing jiao rong 情景交融)’.

      • KCI등재

        북한 전통해금 개방현 주법 연구

        정겨운(Jung Gyeo-Woon) 국립국악원 2022 국악원논문집 Vol.45 No.-

        본 연구는 1950~1960년대 북한의 악기개량사업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통해금 개방현 주법의 사용 양상과 음악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당시 북한에서는 전통 악기의 개선점으로 음역, 음량, 전조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를 주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방현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개방현은 남한의 전통음악에서는 사용된 바 없는 주법이며, 분단 이후 북한 해금 연주자들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한 주법임을 당시 사료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선예술』에 나타난 논의를 바탕으로 령산회상 및 산조에 출현한 개방현의 사용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음악적 효과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현의 사용으로 음역이 확장되었다. 해금이 발음 가능한 최저음을 연주하는 개방현은 주변 음과 관계되어 최소 8도에서 최대 17도까지 도약진행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개방현의 사용으로 음량이 확대되었다. 같은 활의 압력을 가지고 연주한다고 가정했을 때, 개방현은 줄을 짚는 왼손에 의해 진동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음량을 발음한다. 개방현은 합장단 및 장고점에 출현하여 셈여림을 더욱 대비시킬 수 있다. 셋째, 개방현의 사용으로 운지 유형이 확대되었다. 운지를 벗어난 저음의 출현 시 개방현으로 대체하여 운지의 이동을 최소화하였고, 현을 운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왼손에 휴지부가 생기는 개방현을 활용하여 음정 간격이 넓은 운지로의 이동 시 음정의 정확도를 상승시킨다. This study is to unveil usage patterns and musical effects of the playing method of open strings of the traditional haegeum that occurred during the musical instrument modifying project conducted in the 1950s-1960s in North Korea. At that time, North Korea discussed pitch range, volume, and transposition functions as a way to improv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open strings were used to resolve the issue concerning playing method. The technique of open strings has never been us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music in South Korea, an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historical sources at that time that the technique was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North Korean haegeum players since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is study classifies the usage patterns of open strings appearing in ryeongsanhoesang and sanjo into three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point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hown in Joseon Art . The results on the musical effec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l range was expanded by the use of open strings. The open string, which plays the lowest note that the haegeum can express, has the effect of clearly showing the leaping progress from a minimum of 8 degrees to a maximum of 17 degrees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notes. Second, the volume was enlarged by the use of open strings. Assuming playing with the same bow pressure, the open strings produce a relatively large volume because the vibration is not reduced by the left hand holding the string. Open strings appear on the strong beat of the rhythm, further contrasting the dynamics. Third, the types of fingering were expanded with the use of open strings. When a low note outside of fingering appears, it is replaced with an open string to minimize fingering movement, and compared to the case of fingering, an open string having a rest part on the left hand is used to increase the pitch acceracy when moving to a fingering with a wide pitch interval.

      • KCI등재

        현순의 주미공사관 설립 추진과 논의

        김도형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3 No.-

        Warren G. Harding was elected the 29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n 1920. Harding pushed for the East Asia Policy, which blocked Japan’s rapidly expanding invasion policy after World War I. Hyun Soon, chairman of the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for Republic of Korea, asked President Syngman Rhee in Shanghai, China to approv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tion in the US. On March 20, 1921, Hyun Soon asked President Syngman Rhee, who was in Shanghai, China, to establish a Korean Leg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response to Hyun Soon’s request, Syngman Rheee initially opposed it, and on April 4, Syngman Rhee sent a telegram approving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tion and the appointment of a plenipotentiary. However, on April 7, Syngman Rhee sent Hyun Soon a telegram canceling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tion, accepting opinions from Philip Jaison and Henry Chung agains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U.S. legation. On April 4, 1921, Hyun Soon established the U.S. Embassy in Washington, 1325 Massachusetts Avenue on April 14 on the basis of a telegram authorizing the establishment of the establishment based on Rhee Syngman’s telegram of approval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egation. However, Syngman Rhee, who cancele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tion, dismissed Hyun Soon, chairman of the Korean Commission, and appointed Philip Jaison to the post. Hyun Soon, who founded the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officially asked Secretary of State Charles Evans Hughes for approval on May 11, 1921. The U.S. government showed no response because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Keywords: Hyun Soon, the Representative in America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for Republic of Korea, Synhman Rhee, Philip Jaison were severed in 1905 and became a Japanese colony from 1910. Philip Jaison, the new chairman of the Korean Commission, offered an official apology to the U.S. government, saying that the act of Hyun Soon was dogmatic and not approv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reason why Hyun Soon founded the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was because Koreans declared independence and established a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establish their status as a sovereign state. However, he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formal diplomatic mission with the U.S. was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by the time U.S. President Harding took office,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Japan were deteriorating as the U.S. sought to stem Japan’s expansion of power in East Asia. Sensing such a change in the situation, Hyun Soon found a gap between the U.S. and Japan and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Korean Legation to gain approval for Korea’s independence from the U.S. However, because establishing the Korean Legation is impossible by the arbitrary judgment of Chairman Hyun Soon of the Korean Commission, Hyun Soon obtained approval from President Syngman Rhee in Shanghai, China and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tion. Hyun Soon is also push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 diplomatic mission in the United States as a new strategy to raise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m Koreans in the Americas and to raise public loans from foreigners.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a legation in the U.S. based on the arbitrary judgment of the chairman of the Gumi Committee, Hyun Soon received a telegram approval from President Syngman Rhee in Shanghai, China, and push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legation in the U.S. based on this 하딩(Warren G. Harding)이 1920년 미국 제29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하딩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도로 팽창하는 일본의 침략정책을 봉쇄하는 동아시아정책을 추진하였다. 하딩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미국과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되어가자, 구미위원부 위원장 현순은 이 기회에 미국 정부로부터 정식으로 한국 독립을요구할 절호의 기회라고 보았다. 현순은 1921년 3월 20일 중국 상해에 있던 이승만 대통령에게 주미공사관 설립을요청하였다. 현순의 요구에 대해 이승만은 처음에는 반대하다가, 그해 4월 4일 이승만은 주미공사관 설립과 전권공사 임명을 승인하는 영문전보를 현순에게 보냈다. 그런데, 서재필과 정한경 등이 주미공사관 설립을 반대하는 의견을 받아들여, 갑자기4월 7일 주미공사관 설립을 취소하는 전보를 현순에게 보냈다. 현순은 1921년 4월 4일자 이승만의 주미공사관 설립 승인 전보를 근거로, 4월14일 워싱턴 매사추세츠 애비뉴(Massachusetts Avenue) 1325호에 주미공사관을설립하고 전권공사로 자임하였다. 그렇지만 주미공사관 설립을 취소한 이승만은구미위원장 현순을 해임하고 서재필을 그 자리에 임명하였다. 워싱턴에 주미공사관을 설립한 현순은 5월 11일 휴스(Charles Evans Hughes) 국무부장관에게 한국 독립의 승인을 공식 요청하였다. 미국 정부에서는 1905년한국과 외교관계가 단절되었고, 1910년부터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에 어떤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현순이 주미공사(대사)로서 미국을 상대로 외교활동을 펼치자, 신임 구미위원장 서재필은 현순의 행위는 임시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고하면서 미국 정부에 공식 사과를 하였다. 현순이 주미공사관을 설립한 이유는 한국민들이 독립선언을 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하여 주권국가로서의 위상을 갖추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과정식 외교공관을 설치하여 국가 간의 국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미공사관설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미국의 하딩 대통령이 취임할 무렵 미국은 동아시아에서일본의 세력 확장을 저지하고자 하면서, 미·일 간의 관계가 악화되어 가고 있었다. 이런 정세 변화를 감지한 현순은 미·일 간의 틈새가 벌어진 사이를 포착하여 미국으로부터 한국 독립을 승인받기 위해 ‘주미공사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게되었던 것이다. 또한 현순은 미주 동포들로부터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외국인들로부터 공채 모집을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주미공사관 설립을 추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미공사관을 설립하는 것은 구미위원장 현순의 독단적인 판단으로는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현순은 중국 상해에 있는 대통령 이승만으로부터 전보로승인을 받았고 이에 근거하여 주미공사관 설립을 추진하였다.

      • KCI등재

        현사사비(玄沙師備)의 법계(法系) 연구- 현사에서 법안을 중심으로 -

        이국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5

        In this essay I investigate the Dharma lineage of Xuansha Shibei(玄沙師備) among the outstanding Tang Chan masters representing Xuefeng Yicun(雪峰義存)’s Chan. A question arises about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Dharma lineage of Xuansha after the death of Xuefeng(雪峰) and Xuansha(玄沙),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direct studies on this. This essay focuses on the historical writing associated with the transmission of lamplight, such as the Zutang ji(952), the Song gaoseng zhuan(987) and the Jingde chuandeng lu(1004), which are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Xuefeng Yicun’s Chan. In the historical writing on the transmission of lamplight, Xuansha was the first to enter Xuefeng’s lineage as a superior disciple of Xuefeng. After Xuefeng and Xuansha died, Gushan(鼓山) of Xuefeng’s lineage restrained Zhongta(中塔) who was designated as the successor of Xuansha and received the protection of Mr. Wang, commander in chief of Fujian province, and threatened to move Guichen(桂琛) to Xuefeng’s lineage. This action was caused by Gushan who attempted to maintain his power in Fuzhou(福州), capital of Fujian province, and to establish a Dharma lineage from Xuefeng to Gushan. Due to this influence, in the Zutang ji, he was completely denied entry into the Xuansha’s lineage after the death of Guichen. Guichen and Fayan were excluded from the Zutang ji but enrolled in the Song gaoseng zhuan and the Jingde zhuandeng lu, in its stead. Zhongta entered the Jingde zhuandeng lu but was excluded from the Song gaoseng zhuan. This was because each writing of lamplight transmission included intentional forms to reveal the Dharma lineage of its own. And because Gushan tried to separate the Xuansha group from the Xuefeng’s order, Fayan’s disciples emphasized the orthodox nature of the Dharma descent leading from Xuansha to Guichen and Fayan in the Song gaoseng zhuan and the Jingde zhuandeng lu. It can be seen that Fayan’s disciples resounded the praise of Xuansha’s Chan Dharma more than Xuefeng’s while considering the Xuansha sect as being orthodox, and sought the identity of their Dharma lineage from Xuansha’s tenets and from his Chan Dharma. 본 논문에서는 설봉계 선맥을 대표하는 뛰어난 선사들 중 현사사비(玄沙師備)의 법계(法系)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설봉(雪峰)과 현사(玄沙)가 죽고 난 후에 현사계(玄沙系)의 법맥전승 문제에 대한 의문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설봉교단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인 조당집 (952년) 송고승전 (987년) 경덕전등록 (1004년) 등 전등사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등사서에서는 설봉(雪峰)의 상수제자로 현사(玄沙)가 제일 먼저 입전되어 있는데, 설봉(雪峰)과 현사(玄沙) 입멸 이후 설봉계(雪峰系)의 고산(鼓山)은 현사(玄沙)의 후계자로 지목되며 민(閩의) 왕씨의 비호를 받게 된 중탑(中塔)을 견제하고, 계침(桂琛)에 대해서는 설봉계(雪峰系)로 옮길 것을 협박한다. 이것은 고산(鼓山)이 복주에서 자신의 세력을 유지하고 ‘설봉-고산’이라고 하는 법계(法系)를 내세우기 위한 행동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조당집 에서는 계침(桂琛)이 죽은 뒤에 그가 현사계(玄沙系)에 입전되는 것을 완전히 부정당하였다. 계침(桂琛)과 그의 제자 법안(法眼)은 조당집 에서 배제되고, 경덕전등록 과 송고승전 에서는 입전되어 있는데 중탑(中塔)의 경우 경덕전등록 에는 입전되어 있고, 송고승전 에서는 배제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전등사서마다 자가(自家)의 법계를 드러내기 위한 작위적인 형식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산(鼓山)이 설봉교단에서 현사계(玄沙系)를 분리시키려 하였기에 경덕전등록 과 송고승전 에서는 법안(法安)의 제자들이 ‘현사-계침-법안’으로 이어지는 법계(法系)의 정통을 강조하고 설봉(雪峰)의 선법보다 현사(玄沙)의 선법에 대한 극찬을 아끼지 않으며, 현사계(玄沙系)의 선법이 정종이라 하고 그들의 법계(法系)의 정체성을 현사(玄沙)의 종지, 선법에서 찾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