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은(Myung-Eun Kim),김희경(Hee-K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confidence and executive ability after conducting field adaptation education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o start their first field practice. Thirty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evaluated with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before and after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 hours. Also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field practice.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executive ability, and direct practical ability before and after education.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s a results,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practical skills of after field adaptation program were increased than before that(p<0.05).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sub-regions correlated with “education content” and “support of field practice” among the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ub-regions(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ment various adapt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as it increases the adaptability of the first field practice and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 KCI등재

        경찰 · 경호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오세연(Oh, Se-Youn),김학범(Kim, Hak-Bum) 한국민간경비학회 201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8 No.-

        이 연구에서는 경찰·경호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ㆍ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경찰·경호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경찰·경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설문지가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첫째,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내용 및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실습담당자는 현장실습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 하거나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부정적이 내용이 더 많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현장실습과 전공수업과의 연계성 그리고 현장실습에 대한 졸업 후 취업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그 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의 인식 및 태도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현장실습에 대한 적극성과 성실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현장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실습담당자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장실습담당자의 실습생에 대한 관심정도 그리고 실습기관과 학교와의 적극적인 산학연계성에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위의 연구 분석 결과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향후 경찰·경호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교육이 현실성에 맞는 교육이 될 수 있는 대책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search and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about the field training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olice and Security Servic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study the problems and resolutions of the field training. We survey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olice and Security Services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survey through the depth interview. First, we analyze the satisfaction on the training contents and education and we get the negative result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ield training don't have professional information much. This study shows the low satisfaction in the connection of the field training and the major and the link of the field training and the career decision. Second, we research the satisfac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students. Students didn't have active and sincere attitude and have the lack of readiness. Third, we analyze the satisfac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ield train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field training have low care about students and low satisfaction on the active connection of the training organization and school. So this study analyze the problems of upper result and research the solutions to meet the field training reality of the department of Police and Security Services.

      • KCI등재후보

        관광관련학과 산학현장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 여행사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박창규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대학의 관광관련 학과에서 현장실습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해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여행사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실습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7~8월에 여행사에서 현장실습을 완료한 대학 관광관련학과 재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산학현장실습의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산학현장실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실습생의 성실성?과?실습의 유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습생이 어떠한 태도로 실습에 임하느냐와 실습이 향후 진로에 어느 정도 유용하느냐가 가장 큰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현장실습의 유용성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이 현장실습을 위한 여행사의 준비성, 실습생의 성실성, 실습을 위한 실습생 자신의 준비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산학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현장실습 유용성 극대화를 위한 현장실습기간의 조정, 실습업체의 관리체계 강화, 현장실습의 체계적 프로그램 운영, 현장실습생의 성실성 확보 등을 주요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차성종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by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relationship. So, we are trying to present the appropriate methods of improving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We surveyed 90 college students and 80 university stud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cross the country who participated i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professional leader were the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ractice preparations were the lowest i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all.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related variables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dicated that ‘major satisfaction’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s a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the college students and ‘major satisfaction’ factors, ‘private practice experience’ factors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major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ivate practice experience should be developed of improve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들의 현장실습에서 경험하고 학습하는 여러 구성요인 중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제별로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 제공기관 현장실습을 경험한 전국 2년제 문헌정보과 2학년 90여 명 및 4년제 문헌정보학과 4학년 8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년제와 4년제 학제 전부 실습만족도 구성항목 중에서 실습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실습사전준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학제별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2년제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 요인이었으며, 4년제 학생은 ‘전공만족도’, ‘개인실습 경험’ 요인이 현장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헌정보학 대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개인실습 경험 등의 영향요인을 기초로 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예비 음악교사의 학교현장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59

        학교현장 실습은 미래를 준비하는 교사로서 현장의 이해와 교과적용에 대한 전문성 함양을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음악교사들이 학교현장 실습에 참여할 때, 기존 4주의 실습과 학기제실습으로 구분하고 그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현장 실습에 참여한 예비 음악교사들에게 수업실연, 수업참관, 생활지도, 학급운영 등 학교현장의 전반적인 내용을 4주 실습과 15주 실습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으며, 만족도의 요인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학기제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실습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학교생활과 교사의 업무에 관한 관심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기제실습에서는 기존 4주의 실습에서 경험할 수 없는 창의적 체험활동, 학생 오케스트라, 자유학기제 그리고 음악동아리 등을 통하여 현장에 필요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경험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예비 음악교사의 현장실습을 보다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학기제실습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학교현장과 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래교육에 참여할 교사들의 학교현장 실습에 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전공교과의 현장 적용을 고려해야 하며,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습 모니터링 및 환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Field training for pre-service teacher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helps future teachers understand the school environment and gain expertise in teaching the subj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s of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undergone two types of field training in schools, namely, the existing four-week training and semester-based trai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ither four-week or 15-week field training programs to examine the overall content of the training, including class demonstrations, class observations,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subjects’ satisfaction factors to draw implication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mester-based program had high satisfaction levels as well as a strong interest in school life and teachers’ work. In particular, the semester-based practice provided concrete and realistic experiences of teaching required in the actual fiel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 student orchestra, the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clubs, which were unavailable in the existing four-week program. The result implies that to further enhance the quality of the field training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an organic linkage among school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s critical to enable the stable operation of semester-based training.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field training for teachers who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future education, the in-field teaching of major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curricula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ir continuous connections with partner schools should be systematically restructured.

      • KCI등재

        미용교육 현장실습 구성요인이 만족도 및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남경(Yoon Nam-Kyung),김민경(Kim Min-Kyoung),리순화(Lee Shu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2017년 4월 6일부터 26일까지 서울․인천․경기지역의 미용교육 관련 지도교사 55명, 실습생 108명, 현장실습지도자 103명 총 266명(응답율 100%)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및 53개의 미용 산업체 방문을 통해 미용교육 현장실 습 실태, 구성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현장실습 구성 하위요인이 교육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현장 실습운영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여 진로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현장실습 프로그램 지도 및 상담 횟수, 지도내용, 현장실습 지원, 근로조건에 대한 인식에서 대상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현장실습 하위요인 중 실습생 특성에 대하여 실습생은 높게, 현장실습지도자는 낮게 평가하였다. 학교지원에 대하여 지도교사는 높게, 현장실습지도자는 낮게 평가하였고(p<0.001) 실습생은 산업체 직원에게 가장 어려움을 느껴 직원 간 소통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현장실습 구성 하위요인이 현장실습 운영, 학교 지원, 산업체 근무환경 순으로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현장실습에 대하여 학교 지도교사, 실습생, 현장 실습지도자 사이에 인식 차이가 있었고 현장실습 운영프로그램, 학교 지원이 현장실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산업체와 학교가 실습생과 현장실습 지도자 간의 관계 개선 방안을 찾고 산학연계 교육 프로그램, 현장실습 매뉴얼을 개발하여 현장실습 운영과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field practice and recognition of sub-factors in beauty education and identify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field practi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set up directions for rational on-site trai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on & off - line survey and visiting 53 companies for 55 instructors, 108 students and 103 field practice instructors, total 266 repondents (100% of respondents) for beauty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from April 6 to 26, 201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in the field practice programs instruction and counseling frequency, instruction contents, field practice support, and recognition of working conditions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field practice, the students highly evaluat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 instructor highly evaluated about the school support(p<0.001). The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 with industrial workers, so it mean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mong them (p<0.001). Also, sub factor of field practice was positively (+) effect on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of field practice, school support, and industrial work environment (p <0.05). In conclusion, there was a perceptions difference of beauty education school or field instructors and students, field practice program and school support affected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elds and schools are improv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improving effects of ield practice program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developing field-education related programs and field practice manuals.

      • KCI등재

        관광학부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이 서비스 지향성과 현장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현주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3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filed practice program,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oriented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service orient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Three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On-sit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collect the data. A convenience sample of subjects was obtained from tourism major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or 9 days between December 16th and December 24th, 2019. Three hypotheses were studied to show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rvice orient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rvice orient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service ori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ield practice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use of emotion(UOE) and regulation of emotion(RO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rvice orient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tourism related service providers and college students. 관광전문인력 양성에 있어 매우 본질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참여대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서비스지향적 마인드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2년제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이 서비스지향성과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더불어 서비스지향성이 현장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3가지의 가설이 제시되었다. 첫째는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이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는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이 현장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 번째는 대학생들의 서비스지향성은 현장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2019년 12월 16일부터 24일까지 9일에 걸쳐 학교수업현장에서 이뤄졌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감성지능은 서비스지향성과 현장실습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감성지능의 하위차원인 감성활용과 감성조절이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대학생들의 서비스지향성은 현장실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서비스 제공자 혹은 서비스 기업에서는 현장실습 학생들을 채용하고자 할 때 감성지능을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김지영,권덕수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ums among three groups: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and instructing professors. The study subjects were 244 third-grade student teachers who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um for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major, 244 cooperating teachers and 17 instructing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in Gyounggi-do. The common factors for the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um were ‘effect of the teaching practicum’, ‘expertise of the student teachers’ and ‘supporting system’. The subfactors were ‘ability of cooperating teachers’, ‘assessment of teaching practicum’, ‘appropriateness of the institution’ and ‘basic quality of student teachers’, varying with the study subjects. The survey had 19 questions in total using a 5 point self-rating Likert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and instructing professors was 0.926, 0.901 and 0.977. T-test, One Way ANOVA, One Way ANCOVA and Scheffe were used to analyze the Mean and SD of the data. All analyses used SPSS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for instructing professors differed overal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for student teachers had a difference with all factors except for ‘expertise of the student teachers’, while those of cooperating teachers had no difference with any fact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between those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지도교사, 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의 학교현장실습을 수행한 3학년 학생 244명, 실습지도교사 244명, 실습지도교수 17명이다. 학교현장실습의 기대도와 만족도는 학교현장실습의 효과, 실습생의 전문적 자질, 지원체제를 공통요인으로 하고, 연구대상에 따라 지도교사의 자질, 실습 평가, 실습기관의 적절성, 실습생의 기본적 자질을 하위요인으로 추가 구성하였다. 모든 설문지는 총 19문항으로 Likert 5점 자가 평정척도이며, 신뢰도는 실습생 .926, 실습지도교사 .901, 실습지도교수 .977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일원공변량분석(One Way ANCOVA),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기대도와 만족도에서 실습지도교수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습생은 전문적 자질 이외의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기대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1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과 전공만족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경험은 1회가 15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퍼바이저 직위는 팀장이 가장 많이(35.3%) 행하고 있어 시설에서 현장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교육주기는 대부분 매일 등의 규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사회복지전공자의 현장실습 참여정도가 높았다. 둘째, 전공선택 시의 만족정도에 따라 현재 전공만족도 및 정체성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장실습 경험 횟수 및 실습 충실도는 집단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실습기관 직원수, 전공선택 부모만족도, 실습기관 오리엔테이션 실시 시점,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전공선택 본인만족도, 수퍼바이저 학력, 실습기관 선정시 의사반영, 실습기관 유형, 전공교과 수학 정도가 포함된 모형은 유의수준 .05에서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81.9% 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가 현장실습 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th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ship stress(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nship satisfaction except role overloa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how to deal with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ship program. Second, through this systematic study on the internship stress, basic data could be provided to the academia and the companies to increase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in the major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고 어떤 스트레스 요인이 실습만족과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D국제공항, I국제공항, J국제공항, 그리고 U공항 ), 국내 8개 호텔(제주HB호텔, 제주HY호텔, I호텔, 제주L호텔, 제주M호텔, PI호텔, 제주S호텔, 제주W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의 3개요인 중 역할과다(기각)을 제외한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이 실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1). 둘째, 현장실습 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H2).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전공분야의 진로결정의도를 증가시키도록 학계와 업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