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김은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The characteristics of Hyeonmoyangcheo-ism (wise mother, good wife) in the 1950s, which were observed through the girls' school curriculums and homekeeping textbooks, were arranged as follows.Firstly, Hyeonmoyangcheo-ism in homekeeping textbooks in the 1950s stressed the modern housewife. The Confucianwomen's virtues, such as submissiveness, faithfulness and samjongjido (obedience to father, husband and son), that were in girls'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was a part of girls' education built on democracy and equality asserted by a new Korea, the 'modern nation'.Secondly, with the increasing demands for women's labor after the Korean War, women's occupations were reinforced and incorporated in homekeeping textbooks in the 1950s. Even though having a job was a secondary task to the role of a homemaker, the details of women's occupation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Hyeonmoyangcheo-ism in this period of time.Thirdly, The resident practice program emphasized the tradition women's behavior along with the modern homemaker, the rational designer of homekeeping. This seems to have been reinforced from the criticism towards women based on Wester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1950년대 현모양처가 구성되는 조건은 매우 다양했다.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본 1950년대의 현모양처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첫째, 1950년대 가사교과서에 나타난 현모양처론은 일제시기와 달리, 유교적 여성 규율을 배제함으로써 성별분업에 근거한 ‘근대적’ 전업주부상을 이상화하였다. 1950년대 가사교과서는 일제시기 여학생 수신교과서에 등장하는 ‘순종’, ‘정절’, ‘삼종지도’ 등과 같은 유교적인 여성덕목이 사라지고 직분론에 근거한 ‘근대적’ 주부상을 강조하였다. 이는 ‘민주주의’를 표방한 신생 대한민국의 국가 이념이 여성교육에 차별적으로 적용된 결과였다. 둘째, 가사교과서에서 여성 직업에 관한 내용을 강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1950년대 현모양처론은 여성에게 가사 관리자뿐 아니라 생계 담당자의 역할도 아울러 부과하였다. 기혼여성의 직업활동은 현모양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었지만, 가사교과서는 이것을 가정경제를 운용하는 ‘현대적’ 현모양처의 임무로 수렴하였다. 셋째,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과 생활관교육과 같은 실제 교육 내용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은 ‘근대적’ 주부상과 ‘전통적’ 규범을 내재한 여성상을 접목한 것이었다.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은 순종적 부덕보다는 ‘민주주의’에 부합하는 여성 인재의 양성에 목표를 두었지만, 실제 교육은 여전히 현모양처주의를 중시했다. 교육이념과 실제 교육의 이중성은 50년대 처음 시도되었던 생활관 교육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생활관 교육은 가사의 합리적 설계자로서 ‘근대적’ 전업주부를 이상적 모델로 하면서도 ‘전통적’ 여성 규범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50년대 현모양처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은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이념에서 유교적 여성규범을 일면 강조했던 일제시기의 그것을 탈피하면서도 실제 교육 내용은 여전히 ‘전통적 부덕’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1950년대 현모양처는 가정개량과 양육을 책임지는 ‘근대적’ 전업주부 모델이었지만, 또 한편으로 ‘서구화’에 물들지 않고 ‘전통적 부덕’을 계승해야 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는 서구의 ‘근대적’ 전업주부상과는 달리, 윤리적으로는 ‘전통성’을 체현하는 한편 가정을 ‘근대적’으로 개량하는 주부상이었다고 하겠다.

      • 동계올림픽 개회식 포맷의 양상 : 2014 소치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김관섭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스포츠 메가이벤트 올림픽은 방송미디어를 통해 스포츠 전지구화를 획득하며, 특히 현대의 올림픽 개회식은 자국의 문화콘텐츠를 전 세계에 알리는 콘텐츠 페스티벌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4 소치동계올림픽 개회식 프로그램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 동계올림픽 개회식 포맷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올림픽 개회식 포맷 연구 및 스포츠 메가 이벤트의 방향성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모양처론에 대한 근대 남성지식인의 비판 담론

        김경애(Kim Kyung-ai)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2

        근대 여성주의 담론을 주도하였던 식민지시대 남성지식인들은, 근대적 개념으로 등장하였으나 가부장제를 전복할 만큼 충분히 근대적이지는 않았던 현모양처론을 옹호함으로써 여성을 새로운 가부장적 영역에 한정지으려 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을 막론하고 양주동, 이돈화, 신일용, 백파, 일소 등의 일부 남성지식인들은 현모양처론을 신랄하게 비판하였고, 근대 학교 교육이 현모양처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도 통렬히 비난하였다. 이들은 여성에게 ‘사람교육’을 하고, 전문지식을 쌓게 하여 사회참여 및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사회주의 근대 남성지식인들은 사회주의에 기반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현모양처론을 비판하였고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광수, 김기전, 양백화 등은 현모양처론을 사회참여 및 경제적 독립 추구와 배타적으로 선택해야할 역할이라기보다 병행해야할 역할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지식인들이 대안 및 병행하야 할 여성의 역할로 제시한 사회 참여 및 경제적 독립을 여성이 실현하고 나아가 사회개혁에 앞장서기 위해서는 사회 경제적 여건이 필수적이었으나, 당시의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열악한 지위로 인해 그 대안이 현실화되기는 불가능하였다. Male intellectuals who led the discourses on women's issue in the modern era have been criticised by feminist scholars who argue that they regulated women to a new form of traditional patriarchal roles of 'wise-mother and good-wife'. However, several male intellectuals whether socialists or nationalists, including Yang Ju-Dong, Lee Don-Wha, Shin Il-Yong, Baek-Pa, and Il-So expressed progressive opinion on women's issue, severely against the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that reinforced the idea. The male intellectuals called for schools to provide women education to establish self-esteem and self identity and to train them to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professionals in the society. It is also identified that even the male intellectuals, Lee Kwang-Soo, Kim Gi-Jun, and Yang Baek-Wha who have been particularly severely denounced by feminist scholars, had claimed that women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make contribution to its development even though they simultaneously argued that women should play roles as 'wise-mother and good-wife' at ho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ale intellectuals' arguments on the women's new role in the modern era were various. However, despite the encouragement by several male intellectuals for women taking part in the society and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the poor condition of the labour market prevented them from pursuing the goals. Women in the era had few alternatives except to take the limited role of 'wise-mother and good-wife' at home.

      • KCI등재

        1910∼20년대 재일본 조선유학생 친목회지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

        이경수(Lee Kyung-s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1 No.-

        이 논문의 목적은 1910년대에서 1920년대 사이에 출간된 재일본 조선유학생 친목회지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의 성격을 살펴보는 데 있다. 그중에서도 이 논문에서는 1914년 4월 2일에 창간해서 1930년 4월에 종간한 『학지광』과 1917년 12월 22일에 창간하여 1921년 1월에 종간한 『여자계』를 중심으로 1910∼20년대 재일본 조선유학생 친목회지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의 성격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신여성의 의미를 근대적 교육을 받은 여성, 그 중에서도 ‘고등교육을 받거나 해외유학을 한 각계각층의 지도적 신여성’의 범위에 한정하고자 한다. 2장과 3장에서는 『학지광』과 『여자계』의 신여성 담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결혼관과 현모양처 담론을 통해 당시 신여성 담론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는 판단에 따라 결혼관과 현모양처 담론을 중심으로 『학지광』과 『여자계』의 신여성 담론을 살펴보았다. 『학지광』은 민족주의 담론을 전개하면서 그 일부로서 신여성 담론을 구축했다. 『학지광』에서 주창되는 결혼관은 대개 국가관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생산담론에 동원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근대교육을 받은 여성이 가정의 근대적이고 합리적인 개조에 기여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가정을 위해 봉사하는 여성을 양성하는 현모양처 담론을 주장했다. 특히 모성을 여성의 본질로 규정하는 시각을 곳곳에서 드러냈다. 『여자계』는 주요 편집진과 필진이 남성지식층이긴 했지만 일부 신여성 지식층이 편집진 및 필자로 참여하고 있었고 무엇보다도 재일본 여자 유학생이 주요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었던 잡지였다. 이러한 매체적 특성은 『여자계』에 실린 글의 문체와 논조에 차이를 가져왔다. 『여자계』는 『학지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여성 담론이 주축을 이룬 잡지였는데, 결혼관과 현모양처 담론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남성 중심의 여성 계몽이라는 담론으로부터 『여자계』도 본질적으로 자유롭지는 못했지만, ‘여자도 사람’이라는 자각을 좀 더 분명히 드러냈다. ‘여자해방’이라는 용어도 종종 발견된다. 연애와 결혼을 통해 ‘이상적 가정’을 이루는 꿈을 좀 더 솔직히 드러내기도 한다. 『여자계』 역시 현모양처의 담론에서 궁극적으로 자유롭지는 못했지만 여성 필자의 글에서는 여성의 자아 각성과 행복 추구라는 문제에 좀 더 관심을 드러냄으로써 현모양처 담론으로 수렴되지 않는 균열을 드러냈다. 또한 당위적인 글보다는 실질적으로 육아에 도움을 줄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을 통해 현모양처 담론을 구축하고 있었던 점도 『학지광』과 다른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s on new women in reunion magazines of Joseon students studying in Japan published in the 1910s to 1920s. Expecially, it comparatively studies the features of the discourses on new women presented in H'akjogwang founded on April 2, 1914 and ceased publication on April 1930 and Yojagye founded on December 22, 1917 and ceased on January 1921. This paper limits the meaning of new women as women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specially those leading women of all social standings who received higher education or studied abroad. In chapter 2 and 3, this paper concretely looked into the discourses on new women in H'akjogwang and Yojagye. Particularly it focused on an outlook on marriage and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because they seeme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new women of that period very well. H'akjigwang unfolded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and as a part of it, constructed the discourse on new women. An idea of marriage advocated by H'akjigwang were mostly subjected to the view of nation and had the possibility of being mobilized by the discourse on reproduction. In addition, H'akjigwang supported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to train women who served for the family, judging that women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modern and rational reconstruction of their home. It expressed its viewpoint of defining motherhood as an essence of women. Though major editors and writers were male intellectuals, some intellectuals among new women worked as editors and writers of Yojagye and more than all, female students studying in Japan formed the main class of readers. This brought the differences in literary styles and the tone of an argument of writings published in Yojagye. Comparing to H'akjigwang, the discourse on new women was the main axis of Yojagye and therefore, the discourses on an outlook on marriage and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were different from H'akjigwang. Though Yojagye were also not free from the criticism of male-dominated women's enlightenment discourse, however, it expressed the self-consciousness that women were also human being more clearly. The term 'emancipation of women' was often used in the magazine. It sometimes presented its dream of making a happy home through love and marriage in a more straight-out way. Though it was also fundamentally not free from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by expressing its concern on the matter over women's awakening of self and pursuit of happiness in writings of female, it revealed the rupture which could not be converged into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Yojagye was different from H'akjigwang in that it constructed the discourse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with writing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s for childcare rather than just asserting the necessity.

      • KCI등재

        ‘현모양처’의 상징, 신사임당

        홍양희(Hong, Yang-He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2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이 재현되는 방식과 그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신사임당 담론에 작동하는 젠더 정치학을 고찰하였다. 러일전쟁 후부터 식민지시기에 이르는 근 40여 년간 신사임당은 무려 3번에 걸쳐 이미지 변신을 한다. 먼저 여성교육의 필요를 강변하기 위해 이율곡의 어머니로서 자녀교육을 잘한 ‘교육받은 여성’으로 의미화 되기 시작하였다. 이어 1930년대에는 근대 비판, 전통에 대한 향수, 신여성 혐오 등 일련의 정치학이 작동되는 과정 속에서 ‘현모양처’가 ‘전통’으로 재구성되고,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의 대표적 여성이 되어갔다. 나아가 식민지 말기 신사임당은 ‘군국의 어머니’, ‘총후부인’의 이미지로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현모양처라는 젠더 모델이 처음부터 국가 / 민족의 여성 젠더에 대한 호명으로부터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이의 식민주의적 전유는 처음부터 예정된 길이기도 했다. 결국 신사임당에 대한 담론적 재현은 당대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연동되고 있었으며, 이는 여성들에게 젠더 역할을 강화하는 정치학이었다. 신사임당은 국가/민족 및 사회가 여성 젠더를 호명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한 인물이 어떻게 다르게 재현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인물이었다. 더욱이 식민지시기 신사임당 담론은 ‘신여성’에 대한 혐오의 시선과 동전의 양면을 이루며 여성들에게 현모양처라는 젠더 역할을 강화하였다. 신여성 담론은 이후 1950년대 ‘아프레걸’ / ‘자유부인’ 담론, 그리고 현대의 ‘된장녀’ 담론으로 이어지며 지속적으로 여성의 성별 역할분담을 강화하고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gender politics operating on Shin, Saimdang discourses through searching for variability of representation on her. The Image of Saimdang had undergone the transformation three times for about forty years from 1905 to 1945. Firstly, She was called the ‘educated woman’ who well trained her children at home as Lee, Yulgok’s mother in order to arg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women. Secondly, Saimdang encountered the discourses on ‘a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was invented as a traditional and ideal woman, that i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1930s. There were historical contexts regarding the critiques of western modernity, nostalgic moods of past, and disgust of so-called ‘new woman’. Lastly, She was spent as the symbol of ‘militaristic mother’ and ‘woman in the rear ground’(銃後婦人). It was naturally colonialistic appropriation which stems from national demanding of women. These discoursive representations of Shin, Saimdang were connected with polit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Those were the politics reinforcing gender roles. In short, the images of Shin, Saimdang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national or colonialist demanding. Futhermore, Shin, Saimdang dicourses together with ‘new women’ discourses have reinforced gender identities in colonial Korea. In particular, the discourses on ‘new women’ continued to ‘après-girl’ or ‘Madame Freedom’ dicourses in 1950s and ‘Doenjang girls’[soy bean paste girls] dicourses in contemporary days.

      • KCI등재
      • KCI등재

        1940년대 출생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현모양처이데올로기와 산업화시기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

        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1

        본 연구는 교사로 정년퇴임한 1940년대 출생 전문직 여성 김지영의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산업화시기에 노동시장에 진출한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세 차례에 걸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김지영은 원가족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교원양성 및 충원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전문직에 진출하였다. 현모양처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김지영은 결혼과 동시에 퇴직하여 도시 중산층 가족을 형성하고 전업주부가 되었다. 현모양처의 이념과 전업주부 수행 사이의 갈등과 불일치를 경험한 김지영은 1980년에 교사임용고시에 응시하여 다시 교사로 복직하였다. 김지영은 교직의 구조적 조건에 적응하거나 저항하고 전문성과 만족감을 획득함으로써 강한 직업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직업정체성은 현모양처이데올로기와 강하게 갈등하는 형태로 경험되거나 표현되지 않았다. 자녀에 대한 어머니로서의 죄책감은 회고적으로만 존재했고, 직업정체성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ofessional women’s labor experienc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relation to the ideology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aim, three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im who was born in 1944. Her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as analyzed. Kim accomplished her higher education and became a teacher. A year later, as she got married, she quit her job as a teacher. She formed an urban middle class family and stayed in a housewife role for ten years. Experiencing the conflict between the ideology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the reality in the performance of the full-time housewife, Kim went back to school for teaching. Kim developed a strong job related identities as she adapted herself to or resist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workspaces, and as she achieved her professionality and her feelings of satisfaction. She involved in the diverse out-of-family activities after work. Only in her retrospect, Kim felt guilty about leaving her children at home while doing those activities. However, it seemed that her guilty was not a great influence on her job related identities.

      • KCI등재후보

        박노해 시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구명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This paper researches how Park Noh-hae, who had struggled during his life as a popular poet and labor-emancipator in 1800s when feminism literature became serious on a full scale, describes women especially in his collection of poems-"Dawn of Labor" and "The True Beginning". As a result, three kinds of womanhood in his works have been deduced. First, the man speaker begins to recognize the unfairness between men and women by experiencing the share of housework. That is, comparing with absolutism under patriarchism and the oppressive labor situation under capitalism, he realizes that his behavior is the same as that of women. Although those women who are described through such realization appear to be "a good wife and wise mother" in his poem, it makes some differe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good wife and wise mother" by illustrating the women who have strong comrade-awareness as working women. Second, he describes independent strong mothers and activist daughters in contrast with to obedient women. A woman as an activist, who is considered to be identified with a man, stands out as a leader of society. However, an activist woman is ideal only when they unite firmly with men in the field of labor. Ultimately, the woman who a man would want to be within in his whole life is described as a good wife and mother who assume home responsibilities. Third, women are supposed to be responsible with their typical roles such as housework, baby-sitting, looking after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at home,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women's original field. However, he gives so-called a "super woman" figure who must take the role of husband when the patriarch are away from home. In conclusion, Park Noh-hae has showed obedient, maternal, strong, and activistic women in a complicated way in the process of practising his ideals. 본 연구는 페미니즘 문학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80년대에 노동해방가로 민중시인으로 혁명가적 치열한 삶을 살아온 박노해가 어떻게 여성을 말하고 있는가. 그가 그려낸 여성상을 그의 시집 노동의 새벽과 참된 시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노해가 그려낸 여성상을 세 가닥으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첫째, 시적 남성화자는 가사의 분담체험을 통해 남녀 불평등의 깨달음을 얻게 된다. 즉 가부장제의 독재와 자본주의의 억압적 노동현장과 착취현실을 비교하여 자신의 행위 역시 그와 동일한 것으로 느낀다. 그러한 자각을 통해 그려진 여성은 순종하는 현모양처로 드러나지만, 일하는 여성으로서 강인한 동지의식을 동반한 현모양처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 현모양처와는 차이를 보여준다. 둘째, 순종적인 여성상과는 반대되는 굳센 어머니상, 투사적인 딸들의 주체적인 모습을 그리고 있다. 투사로서의 여성은 역시 남성(시인 자신)과 동일시되는 동지인 반면, 남성과 평등한 여성으로 사회의 지도자로 부각되어 있다. 그러나 투사적 여성상은 노동현장에서 동지의식으로 굳게 뭉쳤을 때의 이상적인 여성상이고, 결국 결혼해서 평생을 동고동락할 여성은 가정에서 살림만하는 현모양처를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여성의 고유영역으로 여겨져 왔던 전통적 역할 즉, 가사, 육아, 자녀, 교육 등을 일차적으로 책임져야 하면서도 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가장의 역할까지 말없이 수행해야 하는 ‘슈퍼우먼’의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다.이와 같이 박노해는 그의 이념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구체적 생활체험을 시화하면서 결국 순종적이고 모성적인 강인한 투사적 여성상을 복합적으로 그려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세기 전반(前半)의 중국 여성작가의 현모양처론(賢母良妻論) 진형철(陳衡哲)과 빙심(氷心)을 중심으로-

        김은희 영남중국어문학회 2014 중국어문학 Vol.0 No.66

        Among the women writers who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in the New Culture Movement, Chen Heng-zhe(陳衡哲) and Bing Xin(心氷) are the representative women who embodied ‘Good wife and Wise mother’ and asserted the theory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These two women were influenced by the patriot of reformation who stressed the woman`s active role in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in the last day of Qing(淸). Chen Heng-zhe asserted that women`s housekeeping labor has the same value as man`s social labor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women is to nurture child and perform the role of wise mother, while Bing Xin put stress on home and ‘Good wife and Wise mother’ consistently and regarded her mother as an ideal ‘Good wife and Wise mother’. Bing Xin`s ideal ‘Good wife and Wise mother’ is the woman who not only has traditional virtue such as diligence, affection and sacrifice, but also is not lazy in developing oneself.

      • KCI등재

        중국 근대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 —청말민초 소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설금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The images of women in modern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China show that they have developed from the ‘wise mother, good wife’(賢母良妻) to the Women Students, Nuguomin(女國民). And the pace of evolution is very fast. Th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covered in this paper deserve to represent women’s images of early modern education, and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1901 textbook contains the Chinese people’s desire to leap from traditional to modern education. The 1907 textbook is an early female textbook that shows the image of a woman recognized by the time. The 1914 textbook describes the women’s image during the revolutionary era that women’s social roles should be fully expanded after the republic’s inauguration. This paper used the “role analysis” method to more effectively compare the appearance of women appearing in each textbook. A woman’s story is divided into four elements: the main character, space, role and counterpart. Using this method, the authors of textbooks can understand the intended female image more clearly. As modernization progresses, the space, roles, and types of people who appear in textbooks vary. The characteristic of women in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is to develop from incidental to self-reliant. From being limited to a woman who raised her child and helped her husband, it develops into a general who defeats the rebels. The women’s image in modern Chinese textbooks has changed from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中體西用) to Zhongxibingyong in both its content and its formal aspects. 중국 근대 소학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은 현모양처에서 출발하여 여학생, 여국민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그 진화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 본고에서 다루는 3종의 국어 교과서는 초기 근대 교육의 여성상을 대표할만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01년의 교과서는 전통 교육에서 근대 교육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열망을 담고 있다. 1907년의 교과서는 초기 여성 교과서로, 당시 왕정 체제가 수용한 근대 여성상을 보여준다. 1914년의 교과서는 공화국 출범 이후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전면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혁명 시기의 여성상을 표현한다. 본고에서는 각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역할 분석’ 방법을 활용했다. 여성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주인공, 공간, 역할, 상대라는 4개의 요소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교과서의 저자들이 의도하는 여성상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근대화가 무르익어가며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활동 공간, 역할 그리고 상대하는 사람들의 부류가 다양해진다. 이 시기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의 특징은 부수적 존재에서 주체적 존재로 발전하는 것이다. 자녀를 키우고 남편을 돕던 여인으로 한정되던 모습에서 반란군을 물리치는 장군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한편 중국의 인물로 한정되었던 사례가 중국과 서양 여성 인물의 병행하는 양상도 보였다. 중국 근대 교과서의 여성상은 그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모두 중체서용적 태도에서 중서병용적 태도로 변화해 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