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의학의 전망과 법적 책임의 변화

        김기영(Kim, Ki-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의생명과학과 법 Vol.25 No.-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는 환자에 대한 개별적인 의료개념이며, 환자의 진료에 대한 의학문헌과 의사의 경험을 기준으로 시행되지만, 인구집단에서 특정 질병의 발생확률은 알 수 있으나, 그중 어느 특정 개인에게 해당 질병이 발생할지는 알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반면 빅데이터 분석에 따른 데이터 기반 의료의 요소는 집단적 구조적 의료의 개념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고유한 정보의 특성분석을 통해 개인별, 질환별 발생확률 계산이 가능하며, 개인에게 해당 질병이 발생하기 이전에 적절한 선제적 조치를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으리라는 가정을 가져 고전적인 인구집단 기반의 예방의학의 패러다임보다 진일보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현대의학”과 미래의 “현대의학”을 나누어 우선 현재의 “현대의학”의 변화분야로서 맞춤의학에 따른 치료개념의 변화와 현대기술의 발전에 따른 로봇기반의 수술 및 의약품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래의 “현대의학”과 관련하여 소위 의료분야에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위험과 기회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개념적 이해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용에 따른 의료책임의 변화와 유형들을 검토하고 있다. 의료책임의 변화에 따른 법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특히 의료수준의 기준에 대한 변화와 설명의무의 기준의 유형들로 구분하고, 특히 진료과실에 대한 책임을 진단상의 과실책임과 시간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책임의 법적 한계를 도출하고 있다. 아울러 새로운 의료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해서는 건강보험시스템의 도입 등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고 바람직한 의료실무와 의학교육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 결론을 맺고 있다. Existing traditional medical care is an individual medical concept for a patient, and it is implemented based on the medical literature on patient care and the experience of doctor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known whether this will occu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ment of data-based medical care according to big data analysis is a concept of collective structural medicin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for each individual and each disease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dividual information. With the assumption that preemptive measures can be designed and applied, it can be viewed as a more advanced concept than the classic population-based preventive medicine paradigm. In this study, the current “modern medicine” and the future “modern medicine” are examined, and first, as a field of change in the current “modern medicine,” the treatment concept according to customized medicine and the robot-ba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changes in surgery and medicine. In addition, in relation to “modern medicine” in the future, we examine the risks and opportunities of using algorithms in the so-called medical field, and examine the changes and types of medical responsibilities due to these conceptual understandings a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re doing Legal problems arising from the change in medical responsibility are classified into types of standards of obligation to explain and change i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particular, and responsibility for medical errors is analyzed based on diagnostic negligence responsibility and temporal standards. and deriving legal limits of li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new medical paradigm, reform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re necessary, and it is concluded on how to reflect it in desirable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의학의 지평을 확장시켜주는 위약효과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18 의철학연구 Vol.26 No.-

        위약효과는 활성 성분이 없는 위약투여나 무해한 의료적 시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몸에서 긍정적 효과의 치유가 일어나는 이상한 현상이다. 현대의학의 근간인 생의학은 위약효과의 생성 기전을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생의학 기반의 현대의학이 질병 치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글은 위약효과를 활용하여 현대의학의 문제점 개선에 기여하고자 먼저 위약효과의 위상을 현대의학의 두 축인 임상치료와 임상시험에서 간략히 살펴보았고, 이어서 생의학과 위약효과의 속성들을 각각 상세히 파악하였으며, 위약효과의 활용 가능성도 고찰하였다. 생의학과 상반적인 속성의 위약효과는 생의학 모델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생의학은 생물학적인 몸을 대상화하여 질병의 특이적 표적을 겨냥하는 텍스트 중심적인 사유체계에 바탕을 둔 반면에, 위약효과에서는 생물학적 몸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넘어 맥락의 영역까지도 다루고 있다. 기예-중심적, 질환-중심적, 경험적, 체화적, 수행적, 맥락적 측면들처럼 포괄적인 의학을 반영하는 위약효과의 특성들은 활용 잠재력이 지대하다. 위약효과의 연결적 속성들도 서로 상이한 영역들 간에 소통의 매개체 역할이 기대된다. 현대의학의 골칫거리로 치부되던 위약효과는 그간 우리에게 익숙해왔던 의학보다 더욱 지평이 확장된 새로운 의학의 세계로 여행을 허락해주는 여권 같은 존재일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전일의학을 위한 대체의학에로의 현상학적 접근

        여종현(Jong-Hyun Yeo) 한국철학회 2011 哲學 Vol.0 No.108

        본고가 정초하고자 하는 전일의학은 현대의학과 대체의학이 산술적으로 통합된 의학이 아니라 WHO에 의해 규정된 건강, 즉 “단순히 질병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그리고 영적으로 정상인 상태”를 충족시키는 의학이다. 이러한 전일의학은 현대의학을 중심으로 정초될 수 없고, 대체의학을 중심으로 정초될 수 있다. 그 까닭은 현대의학은 그것이 기초해 있는 철학의 성격상 대체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전일성을 가질 수 없고, 대체의학은 그것이 기초해 있는 철학의 성격상 현대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전일성을 갖기 때문이다. 현대의학이 심신이원론적인 데카르트적 철학에 기초한다면, 대체의학은 그러한 이원론적 철학을 극복한 철학에 기초한다. 데카르트적인 이원론적 철학을 극복한 철학들 중의 하나가 후설의 초월 현상학이다. 본고는 후설의 초월 현상학이 현대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대체의학의 전일성의 철학적 기초임을, 다시 말하면 대체의학의 전일성은 후설의 초월 현상학에서 의해서 정초됨을 보이고자 한다. ‘Holistic medicine’ in the sense for which I will here try to provide a foundation is not a mathematical combination of modern medicine and alternative medicine, but an approach to medicine that can meet the concept of health defined in 1998 by the WHO: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This holistic medicine should be founded with not modern medicine but alternative medicine as its central approach. (This is one reason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getting a spotlight as a new medicinal approach for the 21st century.) The reason is that modern medicine is strongly influenced by a philosophy in which alternative medicine cannot be involved, a Cartesian philosophy of mind?body dualism, while alternative medicine is based on or amenable to philosophies in which modern medicine can be incorporated, philosophies that overcome this Cartesian, dualistic philosophy. One such philosophy i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may be an appropriate philosophical basis for an alternative medicine in which modern medicine can have a place.

      • KCI등재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임영채 한국의철학회 2012 의철학연구 Vol.13 No.-

        의학지식과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현대의학의 첨단적 치료요법인 ‘개별 맞춤 의학’은 환자 개개인과 개개 질병의 특성을 반영하는 특정 표적을 대상으로 질병 치료를 시도하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생의학적 체계에 기반을 둔 ‘개별 맞춤 의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생의학적 측면에서 ‘개별 맞춤 의학’은 특정 유전학적 또는 여타 특정 표적만을 겨냥하여 치료하므로, 이들 표적 이외 여러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 가능성을 간과하고 배제함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질병의 증상 완화에만 그친다는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인 ‘일반적인 치료요법’을 주목하고 더욱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별 맞춤 의학’을 대하는 인간의 욕구와 관련된 의철학적 측면에서, 현대의학의 치료기술에 대한 지나친 확신으로 인하여 질병치료 수준을 뛰어 넘는 환자 개개인의 과도한 욕구는 자칫 무분별한 의료상품화와 상업적 의학의 문제를 파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질병치료에 대한 욕구의 표출과 자제 사이에 적정한 균형이 필요하다. 이와는 상반되게 질병체험과정에서 환자 개개인이 겪는 주관적이고 고유한 감성과 내밀한 실존적 욕구는 거의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환자 개개인의 생물학적 수준에만 맞추어주는 생의학의 한계에서 비롯되므로, 질병의 치료과정에서 직접 체험하고 있는 환자 자신만의 주관적인 영역에도 다가가서 실제 도움을 주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요구된다. 이밖에도 ‘개별 맞춤 의학’은 의료비용의 상승이라는 의료경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비록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개별 맞춤 의학’이 현대의학에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할지라도 생물학적 수준을 넘어 환자 개개인의 주관적이고 고유한 욕구까지도 맞추어 줄 수 있는 보다 온전한 맞춤 의학의 단계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실질적인 ‘개별 맞춤 의학’의 실현을 위해서는 관련 분야들의 다학제적 접근이 절실히 요구된다.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仁心仁術”의 서방 사유 주도 하에서의 현대 의학 - 唐 孫思邈의 <大醫精誠>의 현대적 해석 -

        蕭宏恩(Siu, Hung-Yan)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0 No.2

        “인심인술(仁心仁術)”은 줄곧 중국 전통 아래 의학 방법이었지만, 오늘날 보기에 과연 그렇게 신빙성이 있을까? 이러한 의문의 연유는 한 편으로는 의술인의 “마음이 바르지 못함(心術不正)을 제거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하는 데에 있고, 또 다른 한 편으로는 마음(心)과 술(術)을 서로 나누었기 때문에 그 양자의 필연적 결합을 보장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 사실상, 이것은 오늘날 의학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중국 전통 의학의 일원적 사유는 결코 양분된 문제가 아니다. 전통 의학은 어진 마음(仁心)이 없으면 곧 어진 의술(仁術)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러하다면 설령 최고의 의술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또한 의술에 깊지 않은 것이었다. 이러한 의술의 극치는 당대(唐代) 명의 손사막(孫思邈)이 저술한 <대의정성(大醫精誠)>에 잘 표현되어 있다. 이 서적은 오랜 세월을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분명 그 시대적 의의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손사막과 1300여 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있고, 의료환경에 있어서도 또한 자연과학과 기술을 모범으로 삼는 현대의학(의학과학)의 발전 때문에, 완전히 그의 시대와 다른 거대한 전환이 있었지만, <대의정성>은 우리들이 처한 사회문화 배경에 있어서도 우리들에게 이해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또한 깨달음을 주는 바가 있다. 현대 생리, 병리, 치료관계, 생명윤리 등 난해한 의제에 대하여, 관념적으로 반드시 시대적 전환에 부합하는 바가 있어야만, 비로소 문제 해결의 방도를 열 수 있을 것이며, 관념의 전환은 또한 반드시 그 과거의 시대적 의의와 가치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문은 곧 이러한 의도에 기초하여, 당 손사막의 <대의정성>에 현대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관념의 전체적 전환에 보탬을 기할 것이다. The art of benevolence and benevolence has always been the traditional practice of Chinese medicine, but today it seems so unreliabl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on the one ha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doctor will be able to avoid "psychological irregularities" and on the other, that the mind and art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at the inevitable combination of "two" is not guaranteed.In fact, this view is based on today"s medical science,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the unitary thinking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s to be unsympathetic, or benevolent,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become a doctor even if it has any superior skill.In this way, Sun Si-miao, a famous doctor of the Tang Dynasty, wrote The Great Doctor"s Essence.Today, 1300 years after Sun Ssu-miao, the medical environmen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other times, and even though the "Prosperity of Great Medicine" is a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t is easy for me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today"s physical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of today"s life.Based on such an intention, this paper make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ang Ssu-mang"s Essence of Great Medici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formation of the whole concept.

      • KCI등재후보

        원전에 비추어 본 현대의 요가 치유관

        김재민(Kim, Jae-min)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9

        현재 국내의 전 사회적인‘힐링’바람을 타고 요가에서도 내부적으로 ‘힐링 또는‘치료 분야가 이제 막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은 이론적·실천적 토대가 미흡하기에, 현시점에서 요가 치유의 방향 성 정립과 이론적 토대 구축 차원에서 원전에 근거하여 현대의 요가 치유관을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원래 요가에는 치유 관념이 담겨 있지만,‘ 요가 치유’라는 용어는 요가와 서구의 의학적·심리학적 지식을 통합하려는 노력이 담긴 현대의 신조어라 할 수 있다. 현대 의학은‘생의학적 패러다임’에 바탕을 두고, 인체를 기계와 유사한 것으로 파악하므로‘육체적 기능의 복구’에 초점 을 둔다. 이에 반해 고전 요가와 하타 요가는 인간을 육체적 존재임과 동시에, 정신적·영적 존재로 파악한다. 양자 모두 완전한 치유를 영성의 획득으로 보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그 획득 과정에서 전자는 정신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후자는 육체성과 정신성의 밀접한 연관성에 주목 하면서 그 둘의 매개체인 에너지 신체의 정화와 강화, 각성에 초점을 둔다. 이상에 바탕 하여 현대의 요가 치유관을 a.생의학적 패러다임, b.현대 적 관점, c.전통적 관점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면, c의 관점을 유지하려는 경향 (42%) 이 상대적으로 크긴 하지만, a와 b의 관점 (각각 29%) 도 적지 않다. 전통적인 관점의 영향력이 요가 치유 전체를 관통하고 있지 못한 이 유는 요가 치유사들이 치유 현장에서‘전통적인 요가 치유와‘현대적인 요가 치유 양자를 균형 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Today, healing or therapy is about to being invigorated in yoga reflected by the social trend, healing, in Korea. But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view of modern yogic healing on the base of the original text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yogic healing and building theoretical foundation. Yoga has concept of healing in itself. The term of‘ yogic healing’, however, is modern neologism reflecting the exertion of integrating med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s. Being based on ‘biomedical paradigm’, modern medical science focuses on‘ the recovery of function of body’. Because it consider the human being like machine. On the contrary, classical yoga and ha ha yoga regard human being as physical, mental, spiritual existence. Both have same point of view that complete healing is acquirement of spirituality. But in the process of the acquisition, there is difference. Classical yoga emphasizes ment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ity and mentality, ha ha yoga takes the focus on purification, strength and awakening of prā ic body which is Today, healing or therapy is about to being invigorated in yoga reflected by the social trend, healing, in Korea. But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view of modern yogic healing on the base of the original text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yogic healing and building theoretical foundation. Yoga has concept of healing in itself. The term of‘ yogic healing’, however, is modern neologism reflecting the exertion of integrating med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s. Being based on ‘biomedical paradigm’, modern medical science focuses on‘ the recovery of function of body’. Because it consider the human being like machine. On the contrary, classical yoga and ha ha yoga regard human being as physical, mental, spiritual existence. Both have same point of view that complete healing is acquirement of spirituality. But in the process of the acquisition, there is difference. Classical yoga emphasizes mental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ity and mentality, ha ha yoga takes the focus on purification, strength and awakening of prā ic body which is

      • KCI등재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 퇴계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김종성 ( Kim Jong-sung ),김갑중 ( Kim Gap-jung ),박주성 ( Park Ju-s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인간의 삶의 모습(행동조절체계)과 관련하여, 성리학에서는 이(理)와 기(氣)의 작용으로 유래되는 도심과 인심, 더 나아가 사단칠정의 모습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반면, 현대 의학은 뇌 과학적 기반의 해부학적인 언어로 설명하고 있다. 전혀 다른 학문적 토대 위에서 출발하여 서로 다른 언어와 학술적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리학과 뇌 과학이 설명하는 인간의 행동조절체계 이론에는 기능적·현상학적 차원에서 몇 가지 유사한 점들이 발견된다. 첫째, 현대 의학이 인간의 도덕성의 생물학적 기원으로 지목하고 있는 공감신경세포 이론은 `선천성`과 `관계성`을 근거로 성선설적 입장을 취하는 점에서, 성리학의 본연지성 이론과 현상학적으로 상통점이 있다. 둘째, 사회적·도덕적 지향성의 결정 여부를 고려할 때, 전두엽과 변연계에서 표출하는 정서들은 퇴계 심학(心學)의 도심과 인심에서 표출하는 사단, 칠정의 개념과 각각 현상학적 유사점이 있다. 셋째, 행동조절체계에 대해 현대 의학이 전두엽과 변연계의 기능적 균형으로 보는 시각은, 조선성리학자들 간에 이(理)와 기(氣)의 작용으로 사단과 칠정이 이루어짐에 대해 논란이 있었던, 이기호발 및 기발이승의 개념과 기능적·현상학적으로 근접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현대 의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 내지 유사성은 학제 간 연구 또는 철학과 의학의 융합적 관점에서 고찰해야 할 학술과제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으며, 의학연구, 임상진료, 의학교육에 성리학의 개념을 현대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garding human lives in terms of behavioral control, Neo-Confucianism explains it through the concepts of Tao Mind (道心) and Human Mind (人心), further with the figure of Four Beginnings (四端) and Seven Feelings (七情),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Li (理) and Qi (氣), while modern medical science explains it with anatomical languages based on the brain sciences. In spite of great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concepts and languages originated from entirely distinctive academic base, there are some functional or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and modern medical sciences on human behaviors control. First, in taking a stand with the theory that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is fundamentally good based on the innateness and relationship, the theory of empathy neuron which is pointed out by modern medical science as biological origin for human morality is considered phenomenologically similar to Neo-Confucian theory of Original Nature. Second, considering the social-moral appropriateness, the view of brain sciences in which the sense and sensibility are expressed from the frontal lobe and limbic system, are regarded as having phenomenological similarity with Toegye`s mind theory (心學) in which Four Beginnings (四端) and Seven Feelings (七情) are expressed from Tao Mind (道心) and Human Mind (人心). Third, the theory of modern medical science, which believes the functional balance between the frontal lobe and limbic system to control human behaviors, is thought to have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with the concepts that the Four Beginnings are manifested by Li and Qi follows that (理發氣隨) and the Seven Feelings are manifested by Qi and Li taps into that (氣發理乘), elicited from academic discussions among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Beginnings-Seven Feelings (四端-七情) and Li-Qi (理-氣). In conclusion,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in the human behavior control theories of Neo-Confucianism and modern medical sciences are worthy of discussion as multi-disciplinary academic issues between philosophy and medicine. In addition, it is greatly expected that the Neo-Confucianism will be of valuable use for research, clinical practice, and education for professionalism in medicine.

      • KCI등재

        통합의학적 연극치료기법 연구-국내 최초 대학병원 내원 청소년기 우울증 환자 대상-

        김종현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3

        본 연구는 통합의학센터에 내원한 청소년기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기법 연구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는 2011년 2월 통합의학센터를 개소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연극치료를 의료행위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자는 홍유진 연극심리학박사와 이성재 의학박사가 협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분석하여 당시 세션에 적용된 연극치료기법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였다. 그 이유는 2년여 동안 S대 병원 정신과에서 상담과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던 우울증 환자가 통합의학센터에서 진행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홍박사의 주도하에 설계되었으며 8명의 보조치료사와 함께 2011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9개월간 시행되었다. 연극치료기법은 Landy의 투사적 모델과 역할모델, Johnson의 DvT모델, Jennings의 EPR모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치유명상, 미술기법, 음악기법, 동작기법 등 다양한 통합예술치료기법들이 적용되었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는 환자의 심리적 문제 중 우울감, 자존감, 불안감, 적대감, 신체화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증상의 변화는 초기-중기-후기 단계에 진행된 Aron Beck-우울척도와 Coopersmith의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통하여 증상이 호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한 증상을 호전시킨 연극치료기법의 적용, 치료과정의 동영상 분석, 관찰일지를 토대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병원에서 정식 의료행위로 채택된 첫 사례로써 다양한 통합예술치료기법이 적용된 최초의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치료가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신뢰성이 높은 병원이라는 장소에서 연극치료 진료를 받음으로써 자신의 심리문제에 보다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합예술치료적인 접근방법이 연극치료의 단일모델로 프로그램을 구성했을 때보다 환자의 심리 변화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생학문으로써 연극치료가 정식 의료행위로써 한 단계 더 도약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This is a study of a drama therapy technique intended for an adolescence depressed patient who came to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KUAH), Being the first medical center to adopt drama therapy as a medical practice in our country, KUAH opened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February, 2011. Through observation in a drama therapy program co-treated by Youjin Hong, a Ph.D in drama psychology, and Sung-jae Lee, a medical doctor in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the researcher noticed improvement in symptoms of a depressed patient after undergoing the program. It was interesting to see the patient who had rarely improved before with a treatment of counselling and medication in the psychiatry department of S University Hospital for 2 years change gradually throughout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systematized drama therapy techniques based on the medical treatment and daily record of the patient’s response from the drama therapy program conducted in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KUA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essions of the program and show the effect of drama therapy. The drama therapy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therapy techniques, and videos and daily records of the program. The drama therapy technique used in this program was led and designed by Dr. Hong. With the assistance of 8 therapist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1, for 9 months in total. It was based on Landy’s projective model and role model, Johnson’s DvT model, and Jennings’s EPR model.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from integrative arts therapy such as healing meditation, art therapy technique, music therapy technique, and movement therapy technique were applied. The focus of the drama therapy program was to make the patient recover from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elf-regard, anxiety, hostility, and somatization. The patient’s psych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by Aron Beck-Depression Inventory(BDI), Self-Esteem Inventories(SEI), an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This study was the first one to employ various integrative arts therapy techniques in a drama therapy program. Moreover, it was also new for a medical doctor to accept drama therapy as a co-trea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Considering the fact that drama therapy programs are commonly held in places outside the hospita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to respond to his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rust because he was treated in a hospital. The subject seemed to show more psychological changes due to the integrative approach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is study proposes innovative directions to future studies on drama therapy, a newly emerging research area which has not been develop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