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근원적 허무주의

        이상엽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니체의 허무주의 철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 대부분은 허무주의를 ‘신의 죽음’, 다시 말해 절대적 진리나 가치의 부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다루어왔다. 간단히 말해 ‘신의 죽음’으로 인하여 허무와 공허가 지배하는 시대가 되었다는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허무주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포괄적인 관점이라 하기 어렵다. 우리는 니체가 말하는 ‘근원적 허무주의grundsätzlicher Nihilismus’로까지 논의를 전개시켜야만 허무주의의 본질을 알 수 있고 또한 그극복의 가능성을 제대로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근대에 ‘신의 죽음’ 이후 나타난 ‘유럽의 허무주의’와 인간 실존의근원 현상으로서의 ‘근원적 허무주의’를 함께 사유해야지만 니체의 허무주의의본질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유럽의 허무주의’는 근대 유럽에 나타난 특정한 형태의 허무주의를 가리키는 반면에, 니체가 말하는 ‘근원적허무주의’는 근대 유럽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실존의 근원적 현상이며‘동일한 것의 영원회귀’의 사유와 밀접한 연관 속에 있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본 논문은 니체가 허무주의의 원인에 대해 어떤 진단을 내리는지, 또한 이것의 극복을 위해 어떤 처방을 제시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려한다. 이를 위해서니체의 허무주의에 대한 이해가 시간의 경과 속에서 어떻게 변해갔는지, 유럽의허무주의와 근원적 허무주의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 근원적 허무주의와 동일한것의 영원회귀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피고, 마지막으로 니체의 허무주의 극복의 시도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니체, 허무주의와 운명애

        이상엽 ( Lee¸ Sang-yeop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본 논문은 니체 철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인 허무주의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허무주의의 다양한 유형들의 특성을 분석한 후, 니체의 허무주의와 운명애의 관계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언뜻 보기에 운명애는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방법이라기보다는 허무주의를 수용하는 체념적 태도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니체의 저작들속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관련 글들을 재구성하여 운명애가 어떤 근거에서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할 것이다. 허무주의라는 개념은 니체의 후기 사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니체는 자신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포괄적이면서도 적절하게 담고 있는 개념을 발견한 것이다. 물론 니체는 허무주의자로 남아 있지 않았다. 그는 허무주의의 본질을 인식한 후 그 극복 방법을 찾는 데 온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는 왜 사람들이 절망과 정향성 상실에 이르게 되는지, 왜 헛됨의 파토스와 무의미의 감정에 사로잡혀 허무주의자가 되는지에 관하여 숙고했다. 본 논문은 허무주의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절망’과 ‘정향성 상실’ 이라는 두 측면에서 파악할 것이다. 니체는 근대의 ‘신의 죽음’ 현상은 허무주의를 야기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신’은 진리와 가치 판단의 절대적 기준이었고 삶에 목표와 의미를 제공하던 정향성의 근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허무주의에 빠져 있지 않거나 허무주의를 회피한다. ‘신의 죽음’에 관해 관심이 없을뿐더러 실존적인 위기 없이 일상을 잘 살고 있다. 니체는 이 현상을 ‘불완전한 허무주의’라고 부르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그리고 니체는 허무주의의 본질을 인식한 ‘완전한 허무주의’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지, 그 특성들은 무엇인지에 관해 자신의 여러 글들에서 사유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허무주의 현상들에 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허무주의의 발생 원인, 불완전한 허무주의의 특성, 완전한 허무주의의 여려 유형들, 즉 급진적 허무주의, 수동적 허무주의, 능동적 허무주의, 극단적 허무주의 등이 갖고 있는 상이한 특성들을 분석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가치의 문제를 관점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한 후, 끝으로 운명애가 어떤 근거에서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understand Nietzsche’s account of nihilism, which is one of the main themes of Nietzsche’s philosophy. It thus examines the various types of nihilism Nietzsche himself discusse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nihilism and the notion of the love of fate (Amor fati). At first glance, the love of fate might be understood as a resignated attitude accepting nihilism rather than a way to overcome nihilism. This thesis also explores on what grounds the love of fate can be a way to overcome nihilism, by reconstructing the related articles scattered throughout Nietzsche’s works. The concept of nihilism plays a key role in Nietzsche’s later thinking. Nietzsche discovered a concept containing his philosophical problematization comprehensively and appropriately. Of course, Nietzsche did not remain a nihilist. After recognizing the nature of nihilism, he devoted himself to finding ways to overcome it. He pondered why people are lead to despair and the loss of orientation, and why they become nihilists by being caught up in the pathos of vanity and feelings of meaninglessness. This paper will analyze Nietzsche’s account of the causes of nihilism. Nietzsche predicted that the modern ‘death of God’ phenomenon would lead to nihilism. This is because ‘God’ was the absolute criterion for the judgment of truth and values, and the basis of orientation that provided goals and meanings for life. However, a vast majority of people neither fall into nihilism nor avoid nihilism. Not only are they interested in the ‘death of God’, but they also live well without existential crises. Nietzsche calls this phenomenon ‘incomplete nihilism’ and discusses why it occurs. And Nietzsche presents his thoughts in his various writings on types of ‘complete nihilism’, which recognizes the nature of nihilism, and on their characteristics. This thesis also tries to examine these nihilistic phenomena. Now, this paper deals with the causes of nihilism in Chapter 2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complete nihilism in Chapter 3. Chapter 4 compares various types of complete nihilism: radical nihilism, passive nihilism, active nihilism, and extreme nihilism. Chapter 5 deals with the issue of value in relation to perspectivism, and finally, Chapter 6 illuminates on what grounds the love of fate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nihilism.

      • KCI등재

        저항적 허무주의를 넘어서 있는 니체의 광인에 관한 고찰

        이주향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5 No.-

        Nietzsche’s Nihilism was the logic and attitude of the fall of absolute values,which were showing powerful strength before modern society. If today, where theabsolute values are ruined, is Nietzsche’s Nihilism meaningless?Lee Jin Woo says that Nietzsche’s Nihilism is a thorough introspection abouthistory. But even though the modern situation became substance where theexisting value system is crumbling, I believe Nietzsche’s Nihilism is providing animportant view which can not be locked on the paradigm of modern philosophy. Because, even though Nietzsche’s Nihilism was starting at the thoroughintrospection of history, it is a serious introspection about ultimately going againstlife. Nietzsche was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 of brevity. I think Nietzsche’sNihilistic view came from a discernment which means nothing is eternal andunchangeable truth does not ultimately exist. Nietzsche was influenced by Turgenev, and it is told that he was influenced byRussian Nihilism. So, first in this thesis, we will examine in what ways Bazarov ofTurgenev, by whom Nietzsche was influenced, and the madman of Nietzsche arehow different and how similar. After that we will review philosophical Nihilism inwhich Nietzsche is writing negatively ,Turgenev’s resistant Nihilism, and whatNihilism is in finality while reviewing the Nihilism of Korean scholars. And I agreewith the stance of Jung Dong Ho, who wrote actively Nietzsche’s Nihilism into the concept of universe Nihilism and saw futility as an ontological situation withwhich humans are faced. I think what Nietzsche sought through madman was freedom, rather thanNihilism, and the situation of futility is the rite of passage humans have to face inorder to become free men. 니체의 허무주의는 근대 사회 이전 막강한 힘을 발휘했던 절대적 가치들을 몰락케 하는 논리요, 태도였다. 그렇다면 절대적 가치들이 몰락한 현대에 니체의허무주의는 무의미할 것인가? 이진우는 니체의 허무주의가 역사에 관한 철저한성찰이기 때문에 허무주의의 탈역사화는 니체에게서 보여졌던 비판적 성격을완전히 박탈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기존 가치체계가 붕괴되는 근대적상황이 질료가 되는 했어도 니체의 허무주의는 시대적 상황이 창출해낸 근대철학의 패러다임에 가둘 수 없는 중요한 시선을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니체의 허무주의가 역사에 관한 철저한 성찰에서 시작했어도 그것은 궁극에서는 삶을 거스르는 것에 관한 진지한 성찰이기 때문이다. 나는 궁극에서 니체가 본 허무주의는 “우주 운행방식인 영원회귀에서 불변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항구적인 것은 없다는 통찰”이라는 정동호에 동의한다. 나는 궁극의 허무주의는 『금강경』에 나오는 “범소유상 개시허망(凡所有相 皆是虛妄)”의 정신처럼 탈역사화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하며, 능동적 허무주의의 탈역사화는 니체에게서 보여졌던 비판적 성격의 특징이 실존적인 것임을 드러낸다고 보는 것이다. 니체는 투르게네프를 좋아했으며, 러시아 허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니체가 좋아한 투르게네프의 바자로프와 니체의광인이 어떤 점에서 닮았고 어떤 점에서 다른 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우리나라 학자들의 허무주의를 검토하면서 니체가 부정적으로 쓰고 있는 철학적허무주의와 투르게네프의 저항적 허무주의, 그리고 궁극의 허무주의가 무엇인지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나는 니체의 능동적 허무주의를 우주 허무주의라는개념으로 다시 쓰며 허무를 인간이 마주할 수밖에 없는 존재론적 상황으로 본정동호의 입장에 동의하며, 그것이 바로 『불설비유경』의 안수정등(岸樹井藤)의상황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니체의 광인이나 밧줄을 타는 인간이 자유를 본 능동적 허무주의자라고생각한다. 나는 니체가 궁극에 추구한 것은 허무주의라기보다 자유라고 생각하며, 허무의 상황은 인간이 자유인이 되기 위해 마주하게 되는 통과의례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60년대 한국소설과 허무주의, 무거운 우울의 가능성: 김승옥과 니체의 허무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성진 ( Park Sung-j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4 No.-

        본 논문의 목적은 60년대 한국사회의 허무주의의 양상을 김승옥의 단편을 통해 점검하고 니체의 적극적 허무주의의 개념을 통해 허무주의의 극복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다. 본 논문은 60년대를 주제로 하는 김승옥의 소설이 단순한 염세주의자의 독백이 아닌 허무주의의 완성을 통해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시도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김승옥의 단편은 50년대 소설과 달리 허무의 상황과 가치가 무너지는 현장을 정면으로 직시하고 있다. 그리고 김승옥은 자기기만과 자기 합리화로 점철된 인생에서 성장은 환멸의 체험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모든 것의 배후에는 결국 ‘무(無)’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가치가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 새로운 질서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시 무(無)로 돌아가야 하며 ‘없음’을 완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허무주의의 완성을 통해 허무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김승옥의 시도는 니체가 근대의 가치가 무너진 허무주의의 시대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유와 그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신이 죽었다’는 명제는 플라톤 이래로 내려오는 합리주의의 몰락과 근대적 가치의 종말을 의미한다. 니체는 가치의 몰락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극적 허무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위해 기존 가치의 완전한 무너짐을 지향했던 니체의 철학은 김승옥이 60년대를 극복하기 위해서 치열하게 분투했던 모습과 유사하다. 그리고 니체와 김승옥의 이러한 시도는 현대라는 또 하나의 허무의 공간을 주유하는 우리들에게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은 자기세계를 정면으로 직시하고 허무의 완성으로 허무를 극복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n in depth analysis of the 1960s' nihilism through Kim Seung-ok's novels, and the possibility of coping with nihil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ositive nihilism. The novels of Kim Seung-ok have faced the field opinion where values have been seen to have been collapsed, by the incidence of an individual or humanity’s in general meaningless situation. It is noted that in his books, Kim emphasizes that life is dominated by self-deception and self-rationalization. Thus, the author believes that life for mortals is an experience of disillusion. It means that nothingness is a state of being that is left behind everything as experienced in the individual’s life. Kim's thought is unique and considered similar to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s trying to cope with the age of nihilism which is caused by the downfall of modern values. In this context, Kim notes that ‘God is dead’ as a slogan, which means that Plato's rationalism have been failed in the state of humanity, and it is a symbol of the end of the following of modern values in the general society. Nietzsche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positive nihilism is available to anyone who follows it, and which can cope with the idea of negative nihilism.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ntends to follow a perfect downfall of modern values, is similar with Kim's struggle to overcome the societal beliefs in the1960s in Korean society. Both of them have proposed an alternative measure regarding how we can escape from the space of nothingness or nihility. They have said that we have to face our nihilism and complete it.

      • KCI등재

        무이(無二, advaya)의 중도적 의미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4

        이 논문의 주된 목표는 중관학파의 중도와 초기 유가행파의 무이 개념에 함축된 철학적 의미를 본질주의와 허무주의의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형이상학적 원리 또는 실체론을 주장하는 입장을 존재론적 본질주의라고 부르며, 가치의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입장을 허무주의로 규정한다. 사실 중도가 무엇을 위한 논증이었나를 다시 살펴보면 존재론적 본질주의와 가치론적 허무주의를 양 극단으로 인식하고, 존재론과 가치론의 딜레마를 연기설로 해결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도의 철학적 탐구는 존재론과 가치론의 문제를 한 자리로 가져와, 연기설을 통해 일체 현상의 발생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실체성을 거부하고 가치론적 허무주의에 대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론』에서 제시하는 중도관은 본질주의로 대표되는 상견과 허무주의로 대표되는 단견을 거부하는 입장이다. 더불어 양극단에 대한 비판이 『중론』 전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론』의 철학적 태도가 분명히 반본질주의적이라는 것은 확인된다. 반면 허무주의에 대한 거부가 과연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가는 의구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사실 21세기 철학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는 실체론을 비판하면서도 가치론적 허무주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중관학파와 유가행파 사이의 논쟁에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현대 철학의 딜레마를 해결하는 길이 발견되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그런데 우리가 이 길을 가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왜냐하면 본질주의 비판이 곧바로 허무주의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본질주의 자체가 가치론적 허무주의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질주의와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길이란 제일원리와 형이상학적 실재를 거부하면서도 나와 타자 사이의 인식 현상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것을 노정한다. 이 글에서는 인식적 공공성을 담보하는 길로서 『섭대승론』에 나타난 유가행파의 관점인 무이설에 근거해 의타기성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인식현상의 객관성은 일체의 대상세계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미혹과 번뇌가 창발(創發)하고 있는 우리의 의식세계 즉 인식적 토대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우리의 인식이 펼쳐지는 장을 의타기성으로 보았으며, 그것이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경험의 관점에서 염오와 청정의 근거라고 보았다. 다만 그 경험의 개인적 한계성 때문에 각자의 경험만이 있을 뿐이며, 우리는 타자의 경험 내용을 우리의 경험과 그 의미를 통해 추정할 수 있는 조건만이 같다고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지점이 형이상학의 영역에서 확보되어야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언어철학적 방법론에 의해 의식의 기능적 측면에서 찾아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의타기성에 대한 무이적 관점에 본질주의와 허무주의 극복을 위한 중도적 사유가 함축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the meaning of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n the concept of non-duality(advaya) in early-Yogācāra and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madhyamā-pratipad) in Madhyamaka from the lens of overcoming the essentialism and nihilism. We can call the idea of the metaphysical principle or the substantialism as the ontological essentialism and the position, can not present the standard of value, as the nihilism. Looking back to what the argumentation of the middle way was, it is likely to regard the ontological essentialism and axiological nihilism as the two extremes and try to solve the dilemma of the ontology and axiology through the view of the epistemology. Therefore,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base on the middle way gathering the problems of the ontology and axiology sounds like that refuse to the substantialism and respond to the nihilism by explaining the ground of the phenomenons through the dependent arising(pratītyasamutpāda). That is, the position of denying the annihilation represented as the nihilism and the permanent represented as the essentialism is the view of the middle way in Mūlamadhyamakakārikā. Through this critique of the two extremes in Mūlamadhyamakakārikā, the view of the middle way is clearly confirmed the anti-essentialism, whereas the rejection of the nihilism by the middle way is doubted. The hottest philosophical issue in the 21st century i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nihilism while criticizing the substantialism. Since the same debate was discovered in the argument between Madhyamaka and early-Yogācāra, I anticipate that this debate can give us the way to solve the dilemma of the modern philosophy. There are not many ways for us to be able to choose, because criticizing the essentialism does not directly connect to the rejection of the nihilism and the anti-essentialism itself can be considered as the nihilism. After all, to beyond the essentialism and nihilism is to seek for the objectivity of the recognition phenomenon in between me and others and to deny the metaphysical existence or the first principle. So, we can consider the dependent nature(paratantrasvabhāva) as the cognitive commonality based on non-duality, the perspective of early-Yogācāra in Mahāyānasaṃgraha. Because the objectivity of the recognition phenomenon cannot not be found in the objective world and our delusions and defilements should be presented through our consciousness emerged as the cognitive commonality. Therefore, I have found the field of our daily mental activity in the dependent nature and thought it as the original source of our delusion and defilements in terms of ubiquitous experience. There are just retrained individual experiences by the limitation of the experience. We can reach the agreement that we can only estimate other’s experiences through our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I claim that this agreement can not be secured in the area of the metaphysics, but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consciousness as a new philosophical approach. This also implies the evidence of the assertion of the middle way to beyond the essentialism and nihilism.

      • KCI등재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과 허무주의 극복의 문제: 허무주의의 본질로서의 존재역운과 무로서의 존재

        이관표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60

        본 논문은 현대의 시대적 문제로서의 허무주의와 그것의 극복에 대한 하이데거의 논의를 다룬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먼저 하이데거의 니체해석을 살펴보며, 그 안에서 무의 경험을 존재 자체에 대한 새로운 현상으로 전환시킨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전환이 허무주의 극복의 단초라는 점을 밝혀낸다. 먼저 우리는 허무주의와의 대결을 위해 하이데거가 수행한 니체 해석을 다루었고, 그것은 각각 니체가 말한 중요개념으로서 허무주의 자체를 제외한 다섯 가지 개념, 즉 ‘신의 죽음’, ‘가치의 전도(가치의 무가치화)’,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그리고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이었다. 그 이후 우리는 이러한 니체 해석에서 드러난 허무주의의 극복이 실패하였으며, 이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하이데거가 허무주의를 존재역운의 마지막 단계이자 존재가 스스로를 떠나보낸 존재망각의 현상으로 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 존재의 스스로 떠남으로 규정된 허무주의 안에서 발견된 무는 존재 자체와 공속하는 것으로 드러남으로써 새롭게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극복이란 모든 왜곡된 존재 이해가 깨어 부수어진 그 자리에서 마음대로 존재를 규정하거나 다른 존재자들을 나의 이익에 따라 이용하고 지배해왔던 존재의 모습을 버림을 의미한다. This paper deals the discussion of nihilism as a contemporary problem and Heidegger’s discussion of overcoming nihilism. To this end, I first present Nietzsche-interpretation that Heidegger attempts to find the ground (Grund) of nihilism, and after that, I show secondly the Being-thought (Seinsdenken) of Heidegger that overcomes nihilism by transforming the experience of Nothingness into a new phenomenon of Being itself. First, this paper discusses Nietzsche-interpretation that confronts nihilism, which consists of five concepts other than word nihilism : ‘death of God’, ‘valuelessness’, ‘will to power’, ‘Übermensch’, ‘eternal recurrence of the same.’ After that, it can be seen that Heidegger’s attempt at overcoming nihilism, which was revealed by Nietzsche-interpretation, has failed and that, to overcome the failure, Heidegger sees nihilism as the final stage of the revulsion toward the Being and the phenomenon of oblivion to the Being — that the Being has left itself. A new possibility of overcoming nihilism was presented by a fact that is disclosed within nihilism, defined as ‘Togetherness (Zusammengehörigkeit)’ between the Being itself and Nothingness. Finally, this overcoming implies the abandoning of the understanding of the Being, ie the distorted concept of the Being, that I am able to use and govern other beings according to my egoistic or egocentric interests.

      • KCI등재후보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의 비극적 결말과 허무주의: <메이드 인 홍콩>과 <달콤한 열여섯>

        김성수 ( Kim Soung Su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들은 해체적이고 혼종적인 환상 세계를 관객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열린 결말 내지는 비극적이거나 허무주의적인 결말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극적인 결말이나 허무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영화만이 아니라 본래 지구촌 예술영화에서의 공통 주제였으며, 특히 예술적인 상당수의 사회적 리얼리즘(social realism) 영화에 들어있었던 내용이다. 주지하듯 사회적으로 소외당하고 있는 특정인 내지 집단의 삶과 환경을 매우 밀도있고 심각하게 묘사하는 영화가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다. 필자는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될 수 있는 허무주의와 비극적인 결말이 왜 사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해 보려 하였다. 분석의 대상 영화로서는 프루트 챈의 <메이드 인 홍콩>(1997)과 켄 로치의 <달콤한 열여섯>(2002)을 선택하였는데, 이 영화들은 20세기 현대의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 두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에서 허무주의와 비극적 결말, 폭력에 함축되어 있는 여러 중요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카타르시스’와 니체의 ‘인간적인 인간’ 개념이 주요 핵심 이론으로 활용되었다. <메이드 인 홍콩>은 홍콩에서 만들어졌으며, <달콤한 열여섯>은 영국에서 만들어진 영화이지만, 이 두 작품은 영화적 차원에서 허무주의와 폭력과 비극적인 결말이라는 내용이 잘 조화되어 있다. 허무주의는 인간과 사회의 비참함을 드러내는 유용한 도구이며, 폭력 이미지는 허무주의를 잘 드러내게 만드는 열쇠 중하나이고, 비극적인 결말은 인간의 한계 상황을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해 주는 영화적 장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는 사회의 문제점과 인간삶의 허무를 드러내는 데 적합한 것이다. 다만 이런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이렇게 인간과 사회를 볼 수 있게 연출된 영화라는 면도 분명하게 주지해야 할 부분이다. It is generally told that postmodernist films seek open or tragic and nihilistic endings to show audiences a deconstructed and hybrid fantasy world. But the tragic ending or nihilism was not only a common theme in postmodern films but also in global art films, especially in many artistic social realism films. As we all know, ‘Social Realism’ is a film that depicts the lives and environment of certain people and groups who are socially marginalized in a very dense and serious manner. In this article, I tried to consider why nihilism and tragic ending, which are linked to postmodernism, were introduced in social realism films. Among the films to be analyzed were Fruit Chan’s < Made in Hong Kong > (1997) and Ken Loach’s < Sweet Sixteen >(2002), which are good examples of what modern social realism films are like in the 20th century. In these two social realism films, I wanted to see how the various important factors that are implicit in nihilism, tragic ending and violence work. For this, the notion of catharsis and Nietzsche’s ‘most human human(human, all-too-human)’ was used as the main core theory. < Made in Hong Kong > was made in Hong Kong, and < Sweet Sixteen > was made in Britain, but the two films are well-matched in terms of nihilism, violence and tragic ending. Nihilism is a very useful tool for exposing the misery of man and society; the image of violence is one of the keys to revealing nihilism well; and the tragic ending is a cinematic device that clearly reveals the human limit situation. Social realism films are best suited to reveal social problems and the futility of human lif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ice that such a social realism film is a film directed which audiences can see humans and society in these contexts.

      • KCI등재

        전후문학(戰後文學)에 나타난 허무주의(虛無主義) 연구-<암사지도(暗射地圖)>를 중심으로-

        이정석 ( Lee Jung Se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2

        虛無主義는 휴머니즘과 함께 韓國 戰後文學을 지배하던 대표적인 문학적 경향이다. 그럼에도 허무주의는 否定的 現實의 克服意志나 미래에 대한 展望이 부재하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 일쑤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暗射地圖>를 대상으로, 허무주의의 美學的 築造過程과 이데올로기의 生産過程을 精緻하게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내재된 現實의 克服意志를 考究해 보았다. 이러한 탐색작업은 否定的으로 평가되던 허무주의의 肯定的 意義를 발굴함으로써, 그에 합당한 위치를 찾아주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暗射地圖>는 下降的 構圖 속에 퇴폐와 허무적 행태만을 보여주다가, 대단원에서의 획기적인 전환을 통해 母性과 사랑에의 意志를 긍정하면서 부정적 현실의 극복의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 작품은 허무의 심연을 딛고, 보다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意志와 慾望을 보여주는 텍스트라 평가할 수 있다. Along with humanism, nihilism, is a representative of a literary trend that permeated the post-war period. However, nihilism was often criticized for not having the will to overcome obstacles or the outlook for the future. Therefor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course of ideology, to have an aesthetical discourse of nihilism, and to study thoroughly upon the immanent desire of Utopia, so that the nihilism could find its proper place. This research will play such a significant role to confirm the truth and acknowledge the truth of nihilism. The love triangle of ‘Hyung-nam, Yoon-joo, and Sang-duk revolves around sex and the reality of dishonesty creates an awareness of emptiness. But the awareness of righteousness and the reality of injustice, though they are on the opposite ends of the spectrum they unite and form a significant text. But first, this text shows two men having an equal partnership with the girl. This shows a strange relationship between them Ignoring the existing system tends to go towards the wrong point of view. Over all, the text has the descent structure of descriptive composition. Regardless of the existing value system, they intend to show unlawful text through the existing system. But the discovery of motherhood and love converts the character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Hero, the text represents the world life in Utopia. The modern way of thinking and attitude will be the solution and most realistic settlement to overcome the reality of dishonesty`. The foundation of the text comes from the depth of nihilism but it also shows a longing and desire of mankind to live a better life.

      • KCI우수등재

        니체, 도덕적 이상에의 의지로부터 형이상학적 세계 해석의 탄생

        이상엽(Sang-Yeop Lee)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6 No.-

        니체는 허무주의의 현상학자이다. 니체는 ‘신의 죽음’의 경험이 가져다주는 필연적 귀결의 관점에서 현대 세계와 문화의 와해에 대해 사유하였고, 자신의 시대를 ‘허무주의’란 개념을 통하여 파악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니체의 현대에 대한 허무주의 규정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다. 이 규정은 유럽 정신사에 대한 진지한 관찰의 결과물이다. 그의 근본 명재는 2500년 유럽 정신사의 진행 자체가 바로 현재의 허무주의적 生起에 대한 이해의 열쇠라는 것이다. 니체는 유럽 정신사와 대결적으로 논구하면서 허무주의가 현대에 일어난 우연적 현상이 아니라 유럽 정신의 역사적 숙명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은 니체의 허무주의 생성사와 생성 배경에 대한 계보학적 관찰 중 형이상학 비판만을 서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니체는 형이상학의 등장이 도덕적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의 산물이라는 명제를 세우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 주장을 니체의 관점에서 논증하려 한다. 니체가 탈-고통을 약속하는 도덕적 이상 세계로 파악한 형이상학적 세계의 탄생 배경과 몰락의 필연성을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니체 자신의 인식론 및 진리관에 입각해서 철학적 전통 내에서의 인식 및 진리 개념을 비판하고 니체의 세계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니체의 형이상학 비판을 통해 허무주의의 등장이 서양 정신사의 역사적 숙명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암살의 유래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테러운동에 대하여

        이동매 ( Li Dong-me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20세기 초 암살은 아나키즘 운동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사실상 아나키즘과 암살의 결합은 ‘허무당’이라는 매개에 의한 것이었다. 1881년에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 2세가 ‘인민의 의지당’에 의해 암살당하였는데 이 사건이 동아시아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일본 지식인의 오독으로 인하여 테러리스트는 허무당(Nihilist)으로 소개되었다. 러시아의 허무주의(Nihilism)는 1860년대에 성행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나로드니키주의로 발전되었다. 나로드니키주의는 바쿠닌으로 대변되는 폭동파, 라브로프로 대표되는 선전파 그리고 트카초프로 대변되는 음모파 등 3개의 경향으로 나누어졌다. 바쿠닌의 폭동파는 전국적인 농민운동을 주장하였고 음모파는 개인적 암살이라는 수단을 선호하였다. 후에 음모파가 ‘인민의 의지당’으로 발전되었고 그들에 의해 알렉산더 2세는 암살당하였다. 바쿠닌의 폭동주장과 트카초프의 암살주장은 서로 달랐다. 즉 ‘인민의 의지당’의 테러운동은 허무주의를 온전히 대변할 수 없었던 것이다. 테러리스트를 허무당으로 소개한 것은 ‘인민의 의지당’의 테러주장을 허무주의로 확장시키는 오독을 야기했다. 1901∼1902년에 『社會主義槪評』과 『近世無政府主義』 두 권의 저작이 출간되었는데 이 저작들은 허무당이 알렉산더 2세를 암살하였다고 서술하면서 허무주의와 아나키즘을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바쿠닌의 이중적 신분으로 인해 발생한 오해라고 볼 수 있다. 바쿠닌은 허무주의자이자 대표적인 아나키스트이다. 때문에 20세기 초 일본 지식인들은 아나키즘과 허무주의를 혼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로 아나키즘은 암살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Assassination was once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anarchist mov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anarchism does not appear with assassination, the combination of anarchism and assassination went through a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Nihilist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1881, Tsar Alexander II was assassinated by Narodnaya Volya and this news was quickly spread to East Asia, but Narodnaya Volya was translated into Nihilists in this process. Additionally, due to the huge impact of the assassination of Alexander II, Nihilists was considered a party specializing in assassination. But Nihilists never appeared in Russia, the so-called Nihilists is a translation of Nihilism. Nihilism prevailed in 1860 in Russia and later became closely integrated with Populism. The Populist movement was divided into three schools : the Riots of Bakunin, the Conspiracy of Tkachev, and the Propaganda of Razrov. Among them, Bakunin advocated social change through nationwide peasant riots; Tkachov advocated overthrowing the feudal rule through personal assassination,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creed of Narodnaya Volya and Narodnaya Volya also succeeded in assassinating Alexander II. Therefore, the assassination claim is only a diversion of Nihilism, which was different from Bakunin’s claim. Socialist Review and Modern Anarchism were published in Japan during 1901 to 1902 successively, these works argued that it was Nihilists that assassinated Alexander II and claimed that Nihilists and Anarchist are the same party. There are two problems here : First, it described the assassin of Alexander II thanks to Nihilists, actually it’s stealing the concept ― it extended the assassination of Narodnaya Volya to the whole Nihilism (Populism), Nihilists is synonymous with assassination and Populist Bakunin is also seen as a person who advocates assassination. Second. Anarchism is not the same idea as Nihilism. Bakunin was both a populist and an anarchist, and because of his dual identity, early Japanese intellectuals mistakenly believed that Anarchism is Nihilists. So the assassination referred to by Nihilists was transferred to Anarchism again. Since then, Anarchism has been closely integrated with assass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