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향교재산관리규칙」 연구

        김순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3 No.-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민을 교화하는 관학으로 유교 이념을 보급하기 위한 공교육기관이었다. 또한 향교 는 지역 양반 세력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여론을 주도하는 향촌기구의 하나였다. 개항 이후 근대사회가 되면서 향교는 신문화, 신문물에 대한 반감으로 신교육체제로 전환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하 였다. 이러한 향교는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일제강점기 향교는 모든 사안에 대하여 관의 지시와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10년 일제는 「향교재산관리규정」을 시행하여 향교 재산을 부윤(府尹 )․군수(郡守)가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관유화하였다. 이 규정은 1920년 6월 「향교재산관리규칙」으로 개정 되는데 두 법령의 차이점은 세입예산 지출에서 나타난다. 「향교재산관리규정」에는 공립보통학교의 운영 경비를 향교 재산수입 가운데서 부담하도록 하였다. 공립보통학교는 국민들에게 가장 기초적인 교육을 시키는 공교육기관이다. 그런데 이 기초 공교육기관의 운영비를 지방 향교에서 부담하게 한 것은 총독부 가 조선인의 교육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뜻이다. 총독부는 1920년대 향교 재산을 담보로 하여 도지사, 군수들의 주도하에 친일유림단체의 조직을 정책적 으로 장려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3․1운동 이후 거세어진 향촌 사회 민족운동을 차단하고 독립운동을 저 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화사업에 향교 재산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총독부는 향교에 직원을 두어 관리하게 하고 3․1운동 이후에는 장의회(掌議會) 기구를 두어 운영하게 하였다. 장의는 명예직이었 기 때문에 지역의 유지들로 선임되었다. 일제는 장의를 포섭하여 친일파로 만드는 한편 향교에서의 일정 한 역할을 부여하였다. 향교 재산이 매각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도로 확장, 수로 개통, 한해 대책 사업 시행, 엽연초 저장소 건 축 등 식민통치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향교재산의 매각을 승인하였다. 향교의 신축이나 지방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사업에 향교재산을 매각한 사례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일제는 향교 재산을 그들이 필요한 목적에 사용하였다. 「향교재산관리규칙」은 유림계를 장악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yanggyo is th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to spread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school which reforms local residents in the Joseon Dynasty. Hyanggo ha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Yangban power was one of the country organizations which led opinions. Hyanggyo became an obstacle which changed the existing system to the new educational system due to antipathies to the new culture as the Joseon Dynasty became modern society after opening the port. This Hyanggyo got to change greatl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yanggyo got instructions from the government and was controlled by it about all the issue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0, Japan made the government own Hyanggyo’s property by making Buyun(府尹) and governors( 郡守) manage it through enforcement of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egulations」. This rule was revised to be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ule in Jun. 1920. The differences between two legislations are shown in expenses of estimated receipts. In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egulations」, the property and income of Hyanggo should bear operation expenses of public primary schools. The public primary schools are the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educate the basics to the people. By the way, making local Hyanggo bear the operation expenses of these basic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mea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never be interested in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s peopl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olitically encouraged the pro-Japanese Confucian organizations under governors’hegemony on security of Hyanggo’s property in 1920s. This measure was done to use Hyanggo’s property in the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to block the social and racial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countries which had been violent since the March Fi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de its employees manage Hyanggo by sending them to it and operate it by making Jangeuhwoi(掌議會). Local community leaders were appointed because Jangeui was a honorary post. Japan made Jangeu the pro-Japanese group by bringing them over to it and granted Hyanggo’s specific roles to them. As for an actual example that Hyanggo’s property, sales of Hyanggoy’s property were approved only when it is necessary for colonial administrations inculding road-widening, cutting channels, carrying out countermeasures in a year, building the storing place of tobacco. The examples which sold Hyanggo’s property for the projects to build it or develop talented persons could not be found. Japan used Hynaggo’s property for the purpose that it needed.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ule can be found to be one of the methods to size the Confucian world.

      • KCI등재

        향교의 법률관계

        배병일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0-1

        향교는 공자 등 선현에 대한 제사와 함께 유교문화보급 등 사회교육을 하는 단체이다. 향교는 전교와 장의 등 유림대표들로 구성되어 있고, 대성전과 명륜당 등 건물을 점유‧사용하고 있다. 당초 향교는 고려 때부터 지방공립학교로 설립되었고, 조선초기까지는 학교로서의 교육적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 제사적 기능이 커졌다. 향교는 설립초기에는 정부지원으로 학전으로서의 토지를 지급받았으나, 조선 후기에 와서는 향교 스스로 교전으로서의 토지를 기부받거나 구입하는 등 많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일제는 향교재산을 공공재산으로 인식하였지만, 토지조사사업에서는 향교의 소유로 사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향교가 소유하는 향교재산의 매매 등에 대하여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도록 하는 등 향교의 소유권의 행사를 제한하는 등 왜곡하였다. 해방이후 미군정은 향교와 향교재단을 분리하여, 향교가 소유한 재산을 향교재단으로 이관하면서 향교로부터 재산 소유권을 박탈하였고, 향교재산의 처분을 전면금지하였다. 현행 향교재산법은 향교와 향교재단의 분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지만, 향교재산은 향교재단이 소유하고, 향교재산의 처분에는 시도지사의 허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향교는 제사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권리능력없는 사단으로서 자체적으로 그 재산을 소유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제 일제와 미군정이 왜곡한 법률관계를 원상회복시켜, 향교재산법을 개정하여 향교재산을 향교에게 환원시켜 주든지, 향교재단을 폐지하고 향교로 단일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행법령상 향교는 전교와 장의 등으로 구성된 권리능력없는 사단이고, 향교는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향교재단과는 별개의 독립된 단체이다. 향교는 성균관의 하부기관이나 종속단체가 아니라 독립된 단체이다. 향교의 대표자는 전교이고, 향교의 사원총회는 장의총회로 보아야 한다. 향교는 그 목적달성을 위하여 스스로 재산을 가질 수 있고, 그 재산의 소유형태는 총유로 보아야 한다. A Confucian School is a body with religious service of Confucius and ancient sages, together with an intention to social education. The organization consists of representatives from Confucian scholars such as Jeon-gyo(chief executive representative) and Jang-ui(Confucian scholars delegate), and occupy and use buildings such as Daesungjeon and Myeongnyundang etc. Originally the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as a public school in Goryeo dynasty and since then served as an important education institute in early Chosun dynasty, but in latterly Chosun dynasty, ancestral ritual purposes gained its significance. At early time, Confucian Schools were aided by government with lands as the name of Hakjeon, later they accepted farmlands in forms of donation or purchased lands as the name of Gyojeon. Japanese imperialism perceived the properties of Confucian Schools as public property, but in the case of Korean cadastral survey, they assessed the properties as in possession of Confucian Schools. Nevertheless Japanese imperialism restricted the rightful acts of trading properties of Confucian Schools by making it necessary to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fter Independence, the US military government separated a Confucian School and its foundation, and transferred property of the Confucian School to the foundation, in doing so, deprived of an ownership to the property. Current Properties of Confucian Schools Act maintains the separation between Confucian schools and their foundation. However, a Confucian School is an organization for both ritual and educational purposes, and should approve its property rights. It is reasonable to restore current distorted legal relation, by returning property back to a Confucian school or unifying Confucian school and abolishing its foundation. Current statue states that a Confucian School is an unincorporated association consists of Jeon-gyo and Jang-ui, and i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from its foundation, which holds its properties. However, a Confucian School is not a subordinate part of Seonggyungwan, but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e leader of a Confucian School is Jeon-gyo, and the general meeting of members is Jang-ui. A Confucian School can possess its own property to achieve its goal, and the form of possession should be viewed as collective ownership.

      • KCI등재

        함양향교 소장문서에 나타난 총동원체제기 조선총독부의 향교 동원과 변형

        서동일(徐東一)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총동원체제기에 지방 향교에는 어떤 역할이 부여되었을까? 조선총독부 및 경학원이 하달한 시국 관련 지침을 신속히 이행하는 단기적 ‘동원’의 역할에 그쳤을까, 아니면 식민지 조선사회 구조의 변동과 관련된 장기적 ‘변형’의 역할까지 부여되었을까? 함양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공문철(1937)을 통해 이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후 경학원이 함양향교 등 전국 향교에 발송한 공문을 통해 경학원의 단기적 지시사항과 함양향교의 이행결과를 살펴보았다. 다른 지역의 향교와 비교해 유사점과 차이점이 모두 발견되었다. 또한, 총동원체제의 개시가 향교의 주요 의례와 지방의 유림조직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지방 향교에 부여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확인하고자 했다. 함양향교는 경학원의 지시에 따라 시국에 관한 좌담회와 순회강연회를 열고, 전쟁상황을 찬미하는 시문을 채집해 보고하는 등 ‘동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뿐만 아니라 국민정신총동원 인식의 보급에 유림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해달라고 할 정도로 적극성을 보였는데, 여기에는 함양 출신의 경학원 강사인 정순현이 개입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함양향교 등 전국 향교는 경학원의 지시에 따라 주요 의례인 삭망분향례와 석전에 전쟁승리를 기원하는 서원문 낭독 및 서고식의 절차를 추가하고, 소규모의 관변적 유림조직의 결성을 촉진하는 역할도 부여받았다. 이는 지역 유림은 물론 향교 의례에 참여하는 지역 주민의 의식을 장기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판단된다. What roles did Hyanggyo(鄕校: local national Confucian school) played in colonial Joseon, especially in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Did it just play a role to deliver local Confucian scholars Gyeonghagwon(經學院)’s instructions, or did it more active roles, for example, to transform the religious rituals of Hyanggyo and the organization of local Confucian scholars? For this study, the documents possessed in Hamyang Hyanggyo were used. Hamyang Hyanggyo appropriately played the role as a Intermediary for the mobilization in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s Gyeonghagwon gave Hamyang Hanggyo the task to lead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to understand their roles in the war, Hamyang Hyanggyo immediately held a symposium for the local Confucian and collected the poetry to support Japan and sent Gyeonghagwon as soon as the Hyanggyo received the instruction. And, Hyanggyo played more active roles to transform the Confucian rituals and the residents’ daily life so that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residents could cooperate positively Japan. It was done in two field. One was to add Seo-go-shik(誓告式) in the ritual of first and fifth day every month and read aloud Seo-go-mun(誓告文) in Seogjeon(釋奠) in spring and autumn every year from, both of them meant to support Japan cause the war. The other was to encourage local Confucian scholars to establish small organizations to support Japanese ideology of colonization.

      • KCI등재

        금산향교 소장 고문서를 통해 본 19세기 錦山의 재지세력

        홍제연(Hong, Je-yeo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이 글은 금산지역 재지사족의 실태와 1871년 서원훼철령 직후 금산 유림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펼쳤는지 금산향교소장 고문서를 바탕으로 확인한 것이다. 금산향교에는 향교에서 작성한 문서류, 관에서 향교에 보낸 문서, 수집문서 등이 전해지고 있고, 내용을 보면 향교가 사족들의 집합소로 기능함에 따라 생산된 문서가 많다. 또한 기록 시기는 서원 남설과 재지사족의 전횡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던 18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금산은 이른바 ‘충청5현’이라 불리우던 기호유학 계열의 유학자들이 강학하던 공간이었고, 조선 후기에 8개의 서원 사우가 건립되어 중앙의 사화와 환국에 따라 치폐가 거듭되었다. 그러나 점차 서인 노론계가 금산지역을 장악하여 금산 사족의 성향도 노론계에 크게 기울었다. 그리고 이들이 19세기까지 기득권을 가진 계층으로 존재하였다. 서원이 부흥하는 동안 향교는 급격히 쇠퇴하여 1765년(영조 41) 전라도 관찰사 沈履之가 도내 서원에 보낸 절목에서 재지사족들이 향교를 업신여기며 폐단을 일삼는 사회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향교가 부상하게 된 것은 1871년 서원훼철령 이후, 서원소유의 재산이 향교로 이관되고 서원에서 활동한 사족(유림)들이 향교로 눈을 돌리면서 부터였다. 서원에서 활동하던 문중은 향교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향약계 사마재계 등을 조직하고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였다. 금산향교의 문서를 보면 18세기 금산 향교에서 활동한 주요 성씨는 조선후기부터 이어진 재지적 기반의 문중이었다. 그러나 1886년 고종의 윤음에 따라 관학원이 창설되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교육 체제가 시행되면서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동학농민혁명 후 유림들은 사재를 출연하여 향교의 대대적인 중수를 추진하는데, 참여자 명부에서 완전히 새로운 성씨가 등장하는 것이다. 금산향교 소장 문서는 매우 한정적이지만, 18세기 향교의 쇠퇴를 수령권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던 국가정책의 시행과 서원훼철 후 지방유림 사회가 향교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기존의 기득권층의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대사회가 시작되자 새로운 유력 집단이 등장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 case study on intended to monitor the trends of 19th-century Geumsan-Sajok(士族, Local literati) through the Geumsan-Hyanggyo records. And right after 1871(Seowon demolishing), identified the changes in Geumsan-Yurim. Geumsan-Hyanggyo has been a large collection of 18~19th century Manuscripts. It was material is compiled by hand and sent to Hyanggyo from the government and a collected books. In the 18th century, the abuse of power of the Jaeji-Sajok(在地士族) and an excessive number of Seowon were problems. Geumsan is where Kiho Confucianism called ‘Chungcheongohyeon’ taught students. And Eight Confucian Academy(Seowon) were established, with political activities centered around each Seowon. In the late Joseon period, Geumsan was dominated by Noron party and the Seowon was revived but the Hyanggyo has become weak. It was in 1871(Seowon demolishing) when the Geumsan-Hyanggyo regained its power. when the Hyanggyo came to possess the estate of the Seowon, students who studied at Seowon became interested in the Hyanggyo. In particular, Moonjung(Clan), the owner of the Seowon, organized a meeting and work together at Hyanggyo. In 1886 a public education system was crea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King Gojong, and in 1894, a new educational system was implemented. Then, the Yurim figures of the Hyanggyo paid their fortune to repair the Hyanggyo. At that time, a new class of people was involved in repairing the building. They were new people who became rich.

      •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書冊) 목록과 관리운영

        채현경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보 Vol.0 No.32

        이 연구는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과정과 서책구성 및 규모, 그리고 향교문고의 보관과 관리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에 편찬된 읍지에 실려 있는 서책목록과 향교의 소장 자료조사를 통해 발굴된 서책목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다. 향교문고의 형성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조선전기 중앙으로부터의 頒賜 둘째, 조선후기 대체로 興學에 뜻이 있는 지방수령의 기금조성을 통한 마련, 그리고 세 번째 개인기증의 방법이다. 향교문고의 구성은 四書三經을 비롯한 유교경전과 小學類, 역사서 및 성리학 서적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문집류를 적지 않게 구비하고 있는 경주향교의 경우를 보면 향교마다 서책의 규모는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향교에서의 서책관리는 지방수령이 교체될 때 후임 수령에게 인수인계해야 하는 물품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향교 내부에서는 ‘서책치부’를 갖추어 두고 관리하였다. 이를 담당하는 有司가 따로 있었고, 校任의 교체가 이루어질 때에는 치부기록과 소장서책을 일일이 검열하여 확인하였다. 향교의 소장 자료 가운데 서책목록이나 관련 자료를 더 조사하여 찾을 수 있다면 향후 좀 더 구체적인 향교문고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on the collection, category, scale, and management of books collected in hyanggos (the libraries of old confucian schools) in later Joseon. Primary data for this paper are the list of books printed in the town magazines published in the later Joseon and the collections in those old schools.The books were collected in three ways: first, they were distribu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arly period; second, some of them were purchased with the fund local governors raised who were very interested in educating people; lastly by personal donors. The libraries consisted of mainly Confucian books including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books for teaching children, histories, and Sung Confucianism. However, as we see in the case of Gyeongju hyanggyo which collected large amount of literary books, the scale of libraries must have been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the libraries were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es to be transferred when the governors were changed, each hyanggyo kept book registers to maintain them. There were librarians who took charge of them in hyanggos, and they checked the registers and books when the librarians were transferred.If the book lists or any related data could be found more in hyanggos, more concrete study of it will be carried out.

      • KCI등재

        지역사회학교로서 향교의 기능에 관한 연구

        서재복(Seo Jae-bok) 교육종합연구원 2004 교육종합연구 Vol.2 No.2

        향교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지방문화의 중심지였다. 향교의 기능은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인재의 양성과 지방민의 교화라는 두 가지의 역할에 충실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서 향교의 기능은 점차 인재 양성보다는 사회 교육적 측면에서의 풍속의 교화적 기능에 초점을 두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향교는 교육기관이 아닌 문화재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에 향교가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은 그 변화 속에 향교와 다가와야 할 것이며, 평생교육사회에 있어서 향교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때 지속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교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the Hyang-Gyo as a regional school. The Hyang-gyo had continued as social institutions enlightening country people and as educational institutions fostering the best brains form the locality on a basis of Confucial ideas from Go-Rye to Choson Dynasty. Today, the Hyang-gyo executes education centered on performance showing the result numerical, but it should hold a very important position as a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 in local society through Hyang-gyo for the important education lik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succession of tradition easy to lose in the modern society. This study meditated the meaning of proper use on joint with the exis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s result of this study, the function of the Hyang-Gyo should be social education for the citizen.

      • KCI등재

        일제강점기 「향교재산관리규칙」 연구

        김순석(Kim, Soon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3 No.-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민을 교화하는 관학으로 유교 이념을 보급하기 위한 공교육기관이었다. 또한 향교는 지역 양반 세력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여론을 주도하는 향촌기구의 하나였다. 개항 이후 근대사회가 되면서 향교는 신문화, 신문물에 대한 반감으로 신교육체제로 전환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향교는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일제강점기 향교는 모든 사안에 대하여 관의 지시와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10년 일제는 「향교재산관리규정」을 시행하여 향교 재산을 부윤(府尹)․군수(郡守)가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관유화하였다. 이 규정은 1920년 6월 「향교재산관리규칙」으로 개정되는데 두 법령의 차이점은 세입예산 지출에서 나타난다. 「향교재산관리규정」에는 공립보통학교의 운영 경비 를 향교 재산수입 가운데서 부담하도록 하였다. 공립보통학교는 국민들에게 가장 기초적인교육을 시키는 공교육기관이다. 그런데 이 기초 공교육기관의 운영비를 지방 향교에서 부담하게 한 것은 총독부가 조선인의 교육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뜻이다. 총독부는 1920년대 향교 재산을 담보로 하여 도지사, 군수들의 주도하에 친일유림단체의조직을 정책적으로 장려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3․1운동 이후 거세어진 향촌 사회 민족운동을 차단하고 독립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화사업에 향교 재산을 사용하기 위한것이었다. 조선총독부는 향교에 직원을 두어 관리하게 하고 3․1운동 이후에는 장의회(掌議會) 기구를 두어 운영하게 하였다. 장의는 명예직이었기 때문에 지역의 유지들로 선임되었다. 일제는 장의를 포섭하여 친일파로 만드는 한편 향교에서의 일정한 역할을 부여하였다.향교 재산이 매각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도로 확장, 수로 개통, 한해 대책 사업 시행,엽연초 저장소 건축 등 식민통치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향교재산의 매각을 승인하였다. 향교의 신축이나 지방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사업에 향교재산을 매각한 사례는 찾아 볼 수 없 었다. 일제는 향교 재산을 그들이 필요한 목적에 사용하였다. 「향교재산관리규칙」은 유림계를 장악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yanggyo is th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to spread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school which reforms local residents in the Joseon Dynasty. Hyanggo ha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Yangban power was one of the country organizations which led opinions. Hyanggyo became an obstacle which changed the existing system to the new educational system due to antipathies to the new culture as the Joseon Dynasty became modern society after opening the port. This Hyanggyo got to change greatl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yanggyo got instructions from the government and was controlled by it about all the issue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0, Japan made the government own Hyanggyo’s property by making Buyun(府尹) and governors(郡守) manage it through enforcement of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egulations 」. This rule was revised to be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ule in Jun. 1920. The differences between two legislations are shown in expenses of estimated receipts. In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egulations」, the property and income of Hyanggo should bear operation expenses of public primary schools. The public primary schools are the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educate the basics to the people. By the way, making local Hyanggo bear the operation expenses of these basic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mea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never be interested in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s peopl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olitically encouraged the pro-Japanese Confucian organizations under governors’hegemony on security of Hyanggo’s property in 1920s. This measure was done to use Hyanggo’s property in the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to block the social and racial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countries which had been violent since the March Fi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de its employees manage Hyanggo by sending them to it and operate it by making Jangeuhwoi(掌議會). Local community leaders were appointed because Jangeui was a honorary post. Japan made Jangeu the pro-Japanese group by bringing them over to it and granted Hyanggo’s specific roles to them. As for an actual example that Hyanggo’s property, sales of Hyanggoy’s property were approved only when it is necessary for colonial administrations inculding road-widening, cutting channels, carrying out countermeasures in a year, building the storing place of tobacco. The examples which sold Hyanggo’s property for the projects to build it or develop talented persons could not be found. Japan used Hynaggo’s property for the purpose that it needed. The Hyanggyo property management rule can be found to be one of the methods to size the Confucian world.

      • KCI등재

        여말선초 향교 건립의 추이

        신동훈(Shin, Dong-hoon) 한국사학사학회 2021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3

        고려 말 향교 복구는 국방의 안정화에 따른 지방 사회의 안정, 지배 이념으로 서 성리학의 위상 강화, 원의 향교 설치 조서 등에 의해 이뤄졌다. 복구된 향교 는 고려 향교의 영향으로 廟와 學의 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 교과 내용 을 확인할 수 없지만 학문 풍토의 변화에 따라 점차 禮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해 갔다. 조선 건국 후 향교는 전국의 군현에 설치되었지만, 향교 건립은 산발적으로 이뤄졌다. 고려부터 향교가 이어진 경우, 건국 즈음에 새롭게 지어지는 경우, 고 려부터 이어졌던 향교가 중건되는 경우, 건국 즈음에 새롭게 지어졌던 향교가 중건되는 경우가 제각각 이뤄졌다. 이러한 향교 건립 양상은 각 고을이 처한 정 치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향교가 건립되었기 때문이었다. 향교의 건립 상황에 따라 그 내부 구성 요소도 다르게 나타났다. 대성전의 경 우 위패가 아닌 塑像을 안치하거나 그림을 걸어둔 경우가 있었다. 이는 고려부 터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사용했거나, 혹은 위패 사용이 공식적으로 결정되기 이전에 지어진 경우에 해당했다. 강당은 대규모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만한 행 사가 있을 경우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있으면 좋은 것이지만 꼭 있어야 하는 건물은 아니었다. 樓는 혹서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향교의 필수 요소라기보 다는 ‘있으면 좋은’ 건물이었다. 강당과 루는 각 고을의 재정 형편에 따라 보유 여부가 달랐다. 향교 學舍가 건립되기 전까지 政廳·私家·절 [寺] 등의 공간을 빌려 교육을 행했다. 별도의 공간을 갖지 못하고 다른 공간에 거처하던 ‘寓居 향교’는 고려 말 지방 사회의 동요와 누적된 전란의 피해로 온전한 단독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The restoration of the Local Confucian School was carried out by the stabi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due to the stabilization of national defens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us of Neo-Confucianism as the ruling ideology. The restored Local Confucian School was not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the shrine[廟] and the study[學] are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oryeo Local Confucian School.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cannot be confirmed, it has gradually emphasized the practical aspects of courtesy as the academic climate changes.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nationwid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 was sporadic. This aspect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 Confucian School was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village. Therefore, each local Confucian school also showed different internal components. Local Confucian School even rented and used other place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t is estimated that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s showed a sporadic tendency due t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s while the financial situation of each village was assumed.

      • KCI등재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본고는 향교의 생활상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학의 기본 학령인 <학령>과 지방 향교의 학령인 <경주향교학령>, <안동향교학령>, <복천향교학령>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의 입학시험에 관한 것이다. 儒者나 평민이 향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교생 10인 이상이 입학 할 사람의 志學을 추천해야 했으며, 그 다음에 小學 과목을 講해서 粗通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가능하였다. 두 번째는 수업과 관련하여 향교의 교재, 수업방식과 벌, 휴가와 방학에 관한 것이다. 향교의 교재는 대부분 小學, 四書五經, 近思錄, 性理大全, 朱子家禮 또는 儀禮가 교재로 채택되었으며, 수업은 1교시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講을 통해 복습하고, 2교시는 새롭게 배운 내용을 토론을 통해 익혀 나가는 것이었다. 한편, 수업 중 집중하지 않거나 졸거나 할 때에는 회초리 또는 과제를 부과하는 벌이 가해졌다. 향교의 휴가 횟수는 각 지방향교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방학 도한 정기적인 것이 아니라 농번기나 흉년이 들었을 때 수시로 하고 있었다. 세 번째는 그 밖의 생활상으로 향교 일상생활에서 행해지는 일들을 살펴보았다. 향교에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적인 문묘참배 행사가 있었고, 교생이 起牀하여 아침식사를 하기까지는 세 단계를 거치고 있었는데, 침상에서 일어나는 단계, 의관을 정제하고 독서를 하는 단계, 식당에 가서 식사를 하는 단계였다. 식당을 출입할 때는 식당에 온 차례대로 식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자 순으로 식사를 하여 장유유서가 철저히 지켜지고 있었다. 교생이 守令, 師長, 鄕老, 先達 등을 대할 때는 교관과 동등하게 대우하였다. 이상, 향교에 대한 본고의 소개가 향교의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introducing the lifestyle of confucian school which was called hyanggyo. For this purpose, I considered several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system and regulation of hyanggyo. It includes both national school and regional school. I especially suggested Kyungju, Andong and Bokchun as representative examples for regional school. For the result, I found out some distinct features like following. First thing is about the entrance examination. If scholars or ordinary persons wanted to get into the hyanggyo, they need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rom more than ten scholars, and also need to get a prominent grade in the subject of Sohak(小學). Second thing is about the textbooks, teaching system, reward and punishment, and vacation. Usually, the nine chinese classics, Sohak, Keunsarok(近思錄), Sunglitaejeon(性理大全), Jujakarye(朱子家禮) were selected as primary texstbooks, and most hyanggyo used similar textbooks. The class was devided into two major periods. The first class was focused on reviewing what they learned last time, while the second class was focused on studying new materials by debating. If students didn't concentrate in class or doze over a book, then teachers caned their students or set extra tasks. The regulation holidays were given to the students on the eighth and twenty-third day of every month. However, it could be changed depend on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Third is about some diverse life style in hyanggyo. I looked after the periodical ceremony for Confucian shrine, the table manners, etiquette lessons.

      • KCI등재

        廣州鄕校의 移建과 重修

        김세민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5

        고려시대에 향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고 보았을 때, 현재 하남에 있는 廣州鄕校도 고려시대 어느 시점에 설립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조선 태종 18년(1418)에 前 廣州敎授官 皮子休 등이 왕에게 站夫의 수를 더 정하자고 진언한 내용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廣州敎授官은 향교에 파견된 교관이므로 1418년 이전에 광주향교가 설립된 것은 분명해 보인다. 현재의 광주향교 위치는 처음 설립한 위치가 아니라 옮겨온 장소이다. 그런데 옮겨온 시기나 이유, 그 위치에 대해서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즉 광주향교 移建의 시기는 『重訂南漢志』에서 숙종 29년(1703)으로 기록된 이래 지금까지 모든 자료가 이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고, 移建의 이유나 원 위치에 대해서도 문헌의 고증이 없었다. 그러나 광주향교가 이건한 연대는 『중정남한지』 기록대로 숙종 29년(1703)이 아니라, 경종 3년(1723)일 가능성이 높다. 홍경모는 『중정남한지』에서 숙종 癸未年이 이전한 연대라 기록하고 있으나, 『학교등록』을 검토해보면 경종 癸卯年이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홍경모가 다른 자료를 보고 인용할 때 계묘년을 계미년으로 잘못 서술했을 수도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향교가 고읍터로 옮기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원래의 향교가 건물이 헐고 무너질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당시 터만 남아있던 고읍터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단의왕후 심씨의 아버지인 청은부원군 沈浩의 묘 문제가 제기되는데, 심호의 묘가 원래 향교의 부근에 자리한 것은 사실이고, 또 그가 사망한지 약 20년 후에 터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지금의 양평으로 이전해 가는 것도 사실이다. 다만 전해오는 말대로 향교를 옮기는데 직접 관여했을까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광주향교의 중수에 대해서는 연산군 8년(1502) 지은 『허백당문집』의 「청풍루기」, 선조 35년(1602) 경에 작성된 오산 차천로의 「광주향교중창모재문」, 효종 10년(1659) 첨지중추부사 심광수가 올린 상소문, 정조 12년(1788) 「광주부교궁중수기」, 철종 10년(1859) 「광주부향교명륜당중수기」 등과 광무 7년(1903) 광주부윤 서리 양주군수 홍태윤이 중앙에 보낸 공문, 1956년의 「광주향교중수기 부명」 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 기록을 통해서 향교 건물이 꾸준히 중수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이 기록들을 통해서 향교를 이건한 당시인 경종 3년(1724) 경에는 紅箭門이 있었고, 최근에 복원된 동재는 헌종 12년(1846) 이전에는 존재했으며, 1956년 이전까지는 익랑도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향교 제사에 쓰이는 제향비용에 대해서 전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18세기 초의 경우, 특정 지역, 특정 가구의 民結 所納米로 사용되기도 하고, 19세기 말에는 향교 은행나무에서 열리는 은행으로 석채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송파장이나 사평장에서 세금으로 거두어들인 장세가 향교의 비용으로 충당된 것도 알 수 있다. 광주향교는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서울시의 강동, 송파, 강남 그리고 경기도의 광주, 성남, 하남의 넓은 지역을 아우르는 향교였다. 광주관아가 인조 4년(1626)년 병자호란에 대비하기 위해 남한산성으로 옮겨간 뒤에도 광주향교는 여전히 하남에 남았다. 광주향교는 창건된 이래 기록상 고읍 터로 한 차례 옮겨지기는 했지만, 지금까지 오랜 기간 하남에 남아 존속해 왔던 ... Although it is not known when Gwangju Hyaonggyo(country school) was established, scholars speculate that it was built in the Goryeo period, or more precisely, before 1418, as a historical record shows that Pijahyu, a former Gwangjugyosugwan(廣州敎授官), suggested the King that the number of the school staff should be increased in 1418(18th year of King Taejong). Gwangju Hyanggyo was transferred to a different place after it was founded, but the exact date of when the country school moved to where is controversial. For instance, according to a treatise entitled Jungjeongnamhanji, the school moved to a different location in 1703(29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hile a document entitled Hakgyodeungnok says it was not until 1723 that the school was established in a different location. Hakgyodeungnok also records that the school moved to the site of an old public office because the school building was worn out and about to be dismantled. However, rumor has it that Sim Ho, the father of Queen Sim, had the school moved to a different place in order to raise his tomb on that site. Although we do not know if Sim Ho was really involved in the transfer of the school, it holds true that Sim’s graveyard was near the school. Also, the school filed a complaint with the government several times regarding the matter of transferring Sim’s tomb in around 1724. Gwangju Hyanggyo covered its expenses for the maintenance of the school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okjeon ritual, which was held in spring and fall every year, by asking the local government to provide it with Wonrim and Gwandunjeon and allow it to possess the lot where the school stood before it moved to a new location. It also levied land taxes on Deukgyeong, Sullye, and Jatgeum, who lived in Dunji-dong, and taxes on salt shops and malted wheat wholesalers in the nearby markets including Songpajang and Sapyeongja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letters of appeal by government officials and records on the remodeling of the school building, which kept in the Gwangju Hyanggyo testify that the school had been renovated on a regular basis. Those records make scholars speculate that there was a gate called Hongjeonmun at the school when it was moved to a new site in around 1724 and Dongje, which was recently restored, and Iknang survived until 1724 and 1956,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