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도전

        김환석(Kim, Hwan-Su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과학기술학의 역사는 ‘사회적인 것’에 대한 일련의 도전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도전의 첫 번째 시도는 과학기술학의 초기접근인 과학지식사회학이 대표한다. 과학지식 사회학은 ‘사회적인 것’을 ‘과학기술적인 것’과 엄격히 분리하는 전통적 사회학의 협소한 범주를 극복하려고 시도 하였다. 즉 과학지식사회학은 ‘사회적인 것’을 확장하여 그 속에 ‘과학기술적인 것’까지 포함시키려 하였고, 이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구성주의로 불리게 되었다. 행위자-연결망이론은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두 번째 도전을 대표하는 접근이다. 그것은 과학지식사회학이 아직 ‘사회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또는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는 이원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이러한 이원론을 비인간 존재들에 행위성을 부여함으로써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비인간행위성에 관한 과학지식사회학과 행위자-연결망이론의 서로 상반된 시각은 이른바 “인식론적 겁쟁이 논쟁”을 초래하였다. 이 논문은 행위자-연결망이론이 비인간 행위성을 인정함으로써 ‘사회적인 것’(내지 사회과학)을 폐지하려 하는 것인가의 문제를 탐색하려고 한다. 아울러 비인간 행위성을 인정하는 것은 단지 과학기술학의 발전에 중요할 뿐 아니라, 근대주의의 결함을 넘어서는 정치의 생태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한국의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쟁을 사례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도전이 사회학의 혁신에 대하여 갖는 함의에 대하여 성찰하면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The history of STS can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challenges to the social.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SSK) represents the first of such challenges. It attempts to overcome the narrowly conceived category of the social, which is strictly separated from the technical, within traditional sociology. SSK seeks this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social to include the technical, hence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or-Network Theory(ANT) represents the second challenge of STS to the social. It criticizes SSK in that the latter is still based on the dualism of the social vs. the natural (or the human vs. the nonhuman). ANT seeks to overcome this dualism by attributing agency to nonhuman entities.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SSK and ANT on nonhuman agency have led to the so-called ‘epistemological chicken debat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whether ANT seeks to abolish the social (and thus the ‘social’ sciences) by recognizing nonhuman agency or not. It will als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recognition of nonhuman agency can contribute to the ecologization of politics through the cas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4 Major Rivers Project. This paper concludes by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this challenge of STS to the social for the innovation of sociology.

      • KCI등재

        행위자-연결망 이론(ANT)과 페미니즘의 동맹 가능성 - ‘테크노사이언스’의 행위자 개념을 중심으로

        황희숙 한국여성철학회 2015 한국여성철학 Vol.23 No.-

        라투르(B. Latour)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NT)’를 주창하면서, ‘테크노사이언스(technoscience)’의 용어를 사용해 과학과 정치, 지식과 사회의 구분을 거부한다. 그의 의도는 테크노사이언스가 만들어지는 실험실에서, 이질적인 행위자들 간의 연결망을 통해 기술과 사회의 모델이 동시에 구축되고 안정화되는 과정을 과학기술자들의 활동을 직접 좇아감으로서 보여주려는 것이다. 이 테크노사이언스와 그 안의 행위자(actors) 개념에 초점을 맞춰, ANT와 페미니스트 STS의 차이점과 접점을 고찰하려는 것이 이 글의 관심사다.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라투르의 ANT를 어떻게 비판하고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려 한다. 해러웨이(D. J. Haraway)에게 있어 페미니스트의 시선은 ‘테크노사이언스’에 대한 더 나은 설명, 대안적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해러웨이의 강조점은 실제세계에서 대상들의 잡종적 성격이고, 이를 통해 자연과 문화, 기계와 인간, 주체와 타자의 전통적 이분법과 성별구분의 붕괴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초국적 자본과 테크노사이언스의 합작에 의해 드러나는 새로운 세계체제에 대해 어떻게 페미니즘적 개입을 시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개념적 장치들이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여성인간ⓒ, 앙코마우스TM과 같은 인공물, 행위자들이다.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들에 대한 라투르와 해러웨이의 유사한 언급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혼종(잡종)이 누구를 위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따져 묻는 것이 해러웨이의 인식론적, 정치적 강점이라 볼 수 있다. 17세기 근대화학에서 보일(R. Boyle)로 대변되는 영웅적 남성인 ‘겸손한 목격자’는 여성에게 인식론적 행위성을 박탈했다. 이것을 비판하는 것이 오늘날의 페미니즘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 해러웨이의 눈에, 라투르의 프로젝트 속에서, 그 과학서사와 과학연구 학자의 담론 모두에서, 영웅적 행동구조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 부당하게 비친다. 형성중인 젊은 테크노사이언스 안의 행동들은 모두 힘에 대한 위업, 동맹(자)를 가입시키고 동원하는 일, 동맹의 힘과 숫자로 세계를 만들어내는 일, 즉 힘겨루기(trial of strength)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ANT와 테크노페미니즘의 결합 혹은 동맹은, 라투르의 이론에서 연결망을 확대하는 주요적인 행위자, 유대관계를 맺는 전사 노릇을 하는 행위자의 개념을 탈젠더화하는 것에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코리건(L. T. Corrigan)과 밀즈(A. J. Mills)의 제안대로, 젠더화된 과학실천에서 ‘과거(the past)’를 하나의 행위자로 간주해 볼 수 있다. 젠더화된 지식의 수행을 통해 행동에 참여하는 이 행위자를, 동원된 동맹으로서 테크노사이언스의 연결망에 연합되는 존재자로 생각하는 이 방식은, ANT의 확장을 위한 한 가지 새 비전일 수 있다.

      • KCI등재

        행위자-연결망 이론으로 기후변화 적응의 공간을 번역하기: 서울시 수유동 빗물마을 사업을 사례로

        김연수,김선현,황진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3 No.1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ANT), this paper aims to reveal various actors’ roles and their dynamic network formations in establishing a Rain Water Village in Suyu-dong, Seoul, for successful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urban hydrological cycle restoration in Seoul. Influenced by anthropocentrism that regards nonhuman as a resource or mere background for human activity, dominant policy analysis failed to capture the ways in which nonhuman agencies may affect human policy-making process by constructing heterogeneous network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with the advent of Anthropocene and global climate change. Through analysis, we found that since the appearance of a new actor Rain Water Village Project in the area, the Project actor brought human/nonhuman actors such as community organization, flower and tree, etc. to its alliance under the umbrella of ‘adapting to climate change’ and ‘restoring urban hydrological cycle’ in Seoul. Even since official project closed, the Rain Water Village is going well by maintaining its alliance formation. Consequently, we suggest that ANT need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future policy studies and policy-making.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과 대도시 물순환 회복의 일환으로 추진된 서울시수유동 빗물마을 사업에서 각 행위자의 역할과 행위자 간 연결망을 분석하고, 해당 사업이 성공적인 평가를 받게 된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이론으로는 과학기술사회학에서 논의되는 인간과 비인간(nonhuman)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을 포착하는데 유용한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을 활용한다. ANT를 정책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얻게 될 이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ANT는 개별 행위자 단위에 초점을 둔 기존 정책분석의 한계를 보완하여, 행위자 간 관계론적 역동성의 변화를 단계별로 파악할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가들에게 보다 다면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기존 정책분석은 인간 중심의 정책 연결망을 가정하고, 비인간들을 정책에 동원할 자원 혹은 배경막으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의 심화와 인류세의 도래로 인하여 인간의 예측을 벗어난 행위자성을 갖는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비인간들과 인간 행위자들 간의 ‘이종적 연결망’이 두드러지게 형성되면서 정책연구 또한 이러한 이종적 연결망 속에서 번역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례분석 결과, 서울시 수유동 일대에서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주도할 새로운 행위자로서 빗물마을 사업이 등장하였고, 이 사업은 서울시와 강북구, 마을공동체, 마을하천, 꽃과 나무 등의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을 자신의 연결망으로 성공적으로 끌어들였다.

      • KCI등재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해서 본 태백시 물 공급의 지리학

        김나형(Na Hyeung Kim),김숙진(Sook-Jin Kim)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2008년 동절기 가뭄으로 태백시가 단수 및 제한급수를 실시하게 된 과정을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다양한 환경생태문제에 있어 인간 행위자뿐만 아니라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와 역할을 강조한다. 2008년 동절기 가뭄이 전국적으로 발생했으나 유독 태백시에서만 88일간 단수 및 제한급수를 실시하게 된 사실은 그 당시 태백시에 배태되어 있었던 인간,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와 이들 간의 복잡한 관계, 연결망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필요로 한다. 연구결과, 태백시청, 한국수자원공사 태백권관리단, 태백시민, 물공급 시설들, 광동댐, 노후한 상수도관, 지형, 토양, 산업 변화, 인구 등 다양한 인간, 비인간 행위자들이 다각적으로 작용하여 기존의 물공급망을 변화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정 로컬스케일에서 가뭄재해와 관련된 복잡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가뭄에 대한 적정한 대책을 강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zes the drought and restriction on water supply in Taebaek City during the winter season in 2008 using Actor-Network Theory. Actor-Network Theory emphasizes and brings into view the role and act of non-human actors as well as human actors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The fact that only Taebaek experienced restriction on water supply for 88 days although the winter season drought in 2008 affected the whole nation, requires a synthetic analysis of both human and non-human 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and networks embedded in Taebaek City at that time. This paper shows that both human and non-human actors including Taebaek City Hall, Korea Water Resource Corporation, Taebaek citizen, the water supply facilities, Gwangdongdam, obsolete water pipes, the topography of Taebaek, soil, the change of industry, and population interact one another transforming the geography of water in Taebaek.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complex processes related to drought disasters at a specific local scale and to provide appropriate measures to drought.

      •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이준석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6

        이 논문은 우선, 최근 형성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의 틀 두 가지를 살펴 보고나서 이 두 이론의 접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는 십여 년쯤 전 새롭게 등장한 환경현상학이다. 환경현상학은 환경담론 분야에서 새롭게 구성되고 있는 인류의 공통 경험을 해석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다만 아직 국내외 과학기술학계에서는 환경현상학과 연관된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의 앞부분은 이 새로운 사상조류를 검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환경현상학에서는 기술과학을 현존재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인간이 기술과학을 잘못 활용하여 현재의 환경위기가 발생하였다면 인간과 기술 사이에 올바른 거버넌스의 관계를 구축하고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두 번째 이론은, 과학기술학계에 등장하여 사회학, 인류학, 인문지리학, 생태학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이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기술과학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특히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주요 이론가인 브루노 라투어의 사상은 인간과 환경 및 기술과학에 대해 근대주의를 너머서는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이론의 접점을 모색해보고, 그것이 자연과 사회, 역사적으로 구성된 인간 주체와 물리적인 시간 속의 비인간 객체 사이에 프래그마토고니(pragmatogony)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제시할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이준석(June-Seok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1

        이 논문은 우선, 최근 형성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의 틀 두 가지를 살펴 보고나서 이 두 이론의 접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는 십여 년쯤 전 새롭게 등장한 환경현상학이다. 환경현상학은 환경담론 분야에서 새롭게 구성되고 있는 인류의 공통 경험을 해석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다만 아직 국내외 환경사회학 및 과학기술학(STS)분야에서는 환경현상학과 연관된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의 앞부분은 이 새로운 사상조류를 검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환경현상학에서는 기술과학을 현존재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인간이 기술과학을 잘못 활용하여 현재의 환경위기가 발생하였다면 인간과 기술 사이에 올바른 거버넌스의 관계를 구축하고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두 번째 이론은, 과학기술학계에 등장하여 사회학, 인류학, 인문지리학, 생태학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이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기술과학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특히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주요 이론가인 브루노 라투어의 사상은 인간과 환경 및 기술과학에 대해 근대주의를 너머서는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이론의 접점을 모색해보고, 그것이 자연과 사회, 역사적으로 구성된 인간 주체와 물리적인 시간 속의 비인간 객체사이에 프래그마토고니(pragmatogony)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제시할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ain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recently emerging theories about society and nature. These theories both deal with new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ants; values and facts. First theory is eco-phenomenology which emerged 10 years or so ago. In general, phenomenology regards the role of technology highly important to the experiences of Dasein. If man has developed incorrect or bad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and it resulted in current ecological crisis, then we need to redesign the link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ctor-Network Theory (ANT), the second theory that this article analyzes, is good at this task. ANT has been evolved since 1980’s by John Law, Michel Callon and Bruno Latour. One of its developers, Latour has been developing a non-modernist viewpoint on our nature and culture, namely amodernism and compositionism. Latour’s idea is to deny the old dichotomy that the modernism has been claimed. He created a neologism, pragmatogony to assert a new direction from nature to culture instead of from culture to nature. He also developed a theory of ecological politics to build a Parliament of Things to initiate Dingpolitik. We will research into these two theories, to see if a meeting between them can be arranged. When achieved, this new conjoined approach will help us to build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nature.

      • KCI등재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도시 포용성 연구: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중심으로

        이심홍,김민형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To newly discover the placeness of Xita Koreatown in Shenyang,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urban inclusivity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the main discourse of inclusive cities. It then applies a framework to the relevant space for analysis. We conduct the case study by first identifying a historical timeline by dividing the age from the founding of New China to the present into sprouting and developing stages of Xita Koreatown, extracting major actors out of time, and finally creating a network graph for each of the six periods representing changes in the region. Throughout this process, we not only analyze the aspect of transition in the urban inclusivity of Xita Koreatown but also prospect the feasibility of an inclusive city fo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and type of actors constituting Xita Koreatown have constantly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related actor-networks have also continued to expand in all indicators of urban inclusivity. Secondly, the agency of human actors such as Korean-Chinese, locals, and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representing the specificity of Xita Koreatown, has continuously improved. Lastly, due to the increase of cultural exchanges and related policy actors, the actor-network in this region has achieved an unprecedented leap forward. In conclusion, the urban inclusivity of Xita Koreatown in Shenyang shows significant growth in quality, with expectations of further improvement. 본 연구는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장소성을 새롭게 규명하기 위하여 포용도시의 주요 담론을 토대로 행위자-연결망 이론에 기반한 도시 포용성의 개념적 구조를 확립하고, 이를 해당 공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의 과정은 신중국 건국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서탑 코리아타운의 맹아기와 발전기로 나누어 주요 행위자를 추출하고, 이 지역의 변화를 대표하는 여섯 개의 시기별로 각각의 행위자-연결망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당 공간의 도시 표용성 변화 추이를 해석하고 포용도시의 실현가능성을 전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탑 코리아타운을 구성하는 행위자의 수와 종류는 한중 수교를 기점으로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행위자-연결망 역시 도시 포용성의 전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둘째, 서탑 코리아타운의 특수성을 대표하는 조선족, 한국인, 현지인, 북한인 등의 주요 인간 행위자들의 행위성이 비약적으로 증진하였다. 셋째, 문화교류와 관련 정책 행위자가 성장하면서 이 지역의 행위자-연결망은 유래없는 도약을 성취하였다. 결론적으로,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도시 포용성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도시 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잠재적 요인 또한 다수 관찰된다.

      • KCI등재

        동해안 김씨조상굿의 구성과 특징

        윤동환(Yun, Dong-hwan)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2007년 강릉에서의 김씨조상굿을 통해서 김씨 집안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무당과 비무당, 세습무와 강신무, 연행자와 관중 등에게 작동하는 연결망(network)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인적 관계망 외에 강릉이라는 지역과 대관령산당, 조상굿, 무구, 굿에 대한 기대와 상징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요소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의 시선으로 관찰하였다. 김씨 집안들은 조상 산소를 파묘한 후 화장하였는데, 이에 대한 의심과 의문이 조상굿을 하게 된 핵심적 사항이다. 화장 당시 자손들의 건강이나 사업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측면에서 조상굿을 하자는 담론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친족공동체의 사실로 받아들여졌을 때 조상굿을 해야 한다는 표면상의 이유가 더욱 명확해진다. 친족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상굿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행위자의 연결망은 더욱 강고해진다. 실제 조상굿을 통해서도 친족공동체는 더욱 강조된다. 신들린 무당의 조상굿을 통해 무녀는 강신하여 조상으로 바뀌고 산 자손들과 만난다. 김성수의 자녀들은 무당굿의 전승자로 활동하고 있지만, 굿에서 공수를 받을 때는 개인 또는 당가집의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 또한 조상굿의 내용을 통해 김씨 집안의 내력을 공유한다. 김씨 집안사람이긴 하나 무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도 조상굿에 참여하여 집안 내력에 대해 인식하고 일체감과 동질감을 갖는다. 김씨조상굿을 통한 행위자연결망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이러한 연결망은 행위를 통해 생산 유지되고, 개인에 의해 형성된 연결망은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연결망은 또 다른 다양한 연결망이나 여타 행위, 지역, 문화 등과 다양하게 연계되어 있다. 조상굿을 통해 김씨 집안들은 이전보다 더욱 공고한 연결망을 재구축하고, 능동적 대처와 선택적 수용을 통해 친족공동체의 지속적인 삶을 유지한다. Through Kim’s Josanggut, the network that works for Kim’s family and others, shaman and non-shamans, performers and spectators is connected to Gangneung, Daegwallyeongsandan, Josanggut, Gut’s tools, and Gut(Shamanic Ritual). Expectations and symbolism play a major role. It is worth looking at how Actor-Network Theory(ANT) looks at how these elements combine. Shaman’s actions reinforce the perception of groups, not individuals. Shaman manifests as a forefather and meets his descendants. This role is a norm that does not change unless the work is replaced. The kinship system is further structured through the standardized role play. Kim Yong-taek and Kim Young-hee, who participated as a chief mourner, also act as Gut’s predecessors, b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refather and the living offspring had to draw on the power of the godly shaman. Thus, despite being shamans, they are faithful to the role of a chief mourner when receiving the Voice of God in Gut. Kim’s family focuses on shaman’s actions in forefather’s clothing, shaman’s Voice of god, and Gopuri(Making a knot on a long piece of cloth to loosen the shaman), even if he is not a Voice of god. In the networking process, heterogeneous actors also focus on messages and share the history of Mr. Kim’s family. Kim’s family participates in Josanggut to recognize family history and have a sense of unity and homogeneity. Networks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other diverse networks, institutions, behaviors and cultures. The presence of forefathers forms the basis of the Kinship community. Kinship communities have different networks through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s, but they are correlated with the various variables that make up relatives. Josanggut sends a forefather, Send to heaven has an ultimate goal of maintaining the life of a kinship community in addition to an explicit purpose.

      • KCI등재

        공간과 이동성, 이동성의 연결망

        장세용(Jang Se-Yong)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4 No.-

        정주와 운동이 전지구적 미시구조에서 중층적으로 반복되고 교차되면서 운동의 복잡한 힘이 추동, 억압 혹은 생산되는 계기를 탐색하는 이동성 관련 문화연구, 이주와 디아스포라, 과학기술, 관광과 순례, 물류운송, 심지어 추방과 망명 연구 등 ‘이동성 패러다임’이 전지구화 시대 지식 체계를 표상하는 중요한 부호가 되었다. 이제 인간과 사물과 정보의 이동성은 현대 세계를 지탱하는 토대이며 인간 삶의 본질적 현상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이 연구는 이동성의 현상을 구성하는 물질성의 사회적 관계를 기호학적으로 전제하고, 이동행위자가 창조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는 리좀(rhizome) 형식의 시공간 연결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장소와 공간의 로컬리티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방법론으로서 인간(사회)과 비-인간(물질)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과학적 지식 형성에서 문화적 공간의 역할을 강조한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원용하여 ‘이동성의 공간과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가능성을 시론 한다. 이동의 시공간성, 운송수단 기술공학, 이동성의 사회적 관계망, 이동의 권리와 이동의 위험, 비이동성과 사회적 배제 등은 이동성과 로컬리티 생성의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내용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이동성 행위자의 ‘번역’과 ‘실천’을 통해서 잡종적인 사회 현상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설명할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가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mobility which is not only an old theme of historiography but also in recently attracted much interest as a new knowledge paradigm. And this tried to explain heterological mobility phenomena which are operated by several means of transports matter and of course human, and which are studyed now several aspects of it by Lancaster School as John Urry et al.. Interests on such mobility paradigm are represented by transports as such bike, automobile, locomotive or airplane as carriers are related to searching for complicated working process with human. In mobility paradigm our concerns are on intersection of multilayerd complex realm. Mobility reiterated on localized micro-structure and happened between globalized sedentarism and mobility. For explaining these phenomena my concerns are on Actor-Network Theory of Bruno Latour that would be useful to making of human knowledge include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ultural space. My main concern is to appropriate Actor-Network Theory to explain continually changing the phenomenon especially human mobility such subjects of migration, tourism, travel, philgrimage, logistics mobility etc. I think this several social issues which are arosed under the mobility paradigm are c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hrough concept of ‘negotiation’, ‘translation’ ‘intermediary’ and ‘practice’ in Actor-Network Theory. Then Actor-Network Theory provide new horizons to mobility paradigm by understanding the stance of space of mobility, so it would contribute to the Locality studies. Actor-Network Theory supposes that in the actor-network space a social relation is represented as a semiotic and a material not as a priori reality but as a products of negotiation and translation. So our notification on place and space which plays rhizomic hybrid time-space network is raised under system complexity which maintained creativity by agencies. And the result in hybrid products of intermediary will appear in ordinary life practice of heterological agencies.

      • KCI등재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이 환경교육에 주는 함의 고찰

        김지연,서은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2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환경위기 등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은 인간과 비인간이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며야기된 문제들로, 사고체계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온전한 해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측면에서도, 지구시스템 내의다양한 행위자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에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당 이론의 새로운 관점과 인식론이 현재의 환경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환경교육이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근대화에 대한 비판, 인간-비인간 행위자의 대칭성, 네트워크와 집합체, 번역의 과정 등의 특징을토대로 ANT의 관점에서 환경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은 학생들이 근대의 이분법적인틀을 깨고, 새로운 생태 문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인식 전환의 발판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둘째, 환경교육은 학생들이 환경을이해하고 인식함에 있어 자신을 둘러싼 인간과 비인간, 자연 및 인공 요소들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의능동적 역할을 고려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환경교육은 생태계와 사회체계를 설명함에 있어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이를 발판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다면적인 관계를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환경교육은 학생들이 ‘자기환경화’ 과정을통해 다양한 인간, 비인간 행위자들과 연결망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해 나가도록 해야 하며, 환경 문제 그 자체만을 다루기보다그것을 야기한 사회구조나 발생 과정 등 역동적인 변화의 측면을 함께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new perspective and epistemology of the theory for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ctor-Network Theory (A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T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ymmetry of human-non-human actors, networks and collective, translation, and criticism of moder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T, the direction in which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proceed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provide a foundation for students to break through the dichotomous perceptions of modernity and move toward a new ecological civilization. Second,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allow students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human, non-human,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surrounding them and consider the active role of various non-human actors in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environment. Third,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able to include the interaction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in explaining ecosystems and social systems and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 of the network that consists of them. Fourth,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allow students to form and maintain a network with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and consider dynamic changes such as social structure and occurrence that caused it rather than deal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