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국 행복론

        박정윤(Park, Jeong Yun) 행복한부자학회 2012 행복한부자연구 Vol.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행복한 부자학의 발전을 위해서 로마서 14장 17절에 근거하여 천국 행복론을 정립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먼저 다양한 행본론을 역사적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다. 고대의 행복론, 중세의 행복론, 근대의 행복론, 20세기의 행복론, 그리고 긍정심리학의 행복론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행복한 부자학의 개요와 함께 초기 행복론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행복한 부자학의 초기 행복론은 다윗과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바울을 통해 확인된 의의 행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특성이 있다. 천국 행복론에서는 천국은 영원한 행복과 관련이 있으며, 지옥은 영원한 불행과 관련이 있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영원한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성령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천국 행복론은 영원한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성령 안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대전제로 하고 있다. 천국 행복론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행복의 요소로의, 평안, 그리고 기쁨의 3대 요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3대 요소의 기초가 되는 덕목으로 믿음, 소망, 그리고 사랑을 각각 발견하고 설명하였다. 천국 행복론이 부와 행복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부를 믿음의 대상으로 삼지 말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만 믿어야 한다. 둘째, 재물은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궁극적인 소망의 대상으로 삼지 말고,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하게 공급하시는 하나님을 소망해야 한다. 셋째, 하나님과 재물을 동시에 사랑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신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사랑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d propose a theory of happiness based on Romans 14:17 as a way to advance Happiness and Affluence Studies (HAS). After reviewing the traditional theories of happiness that has been dominant in different time periods, an early happiness theory of HAS is introduced along with a summary of HAS. The early happiness theory of HAS focuses on the righteousness aspect of happiness reinforced by David, Jesus Christ, and Paul. The happiness theory of Gods kingdom, however, starts with an assumption that heaven is related to everlasting happiness and hell is related to everlasting unhappiness. Therefore, the theory stresses that whoever wants to enjoy this everlasting happiness must not only be born again by the Holy Spirit, but also dwell daily in the Holy Spirit. The happiness theory of Gods kingdom identifies righteousness, peace, and joy as its three components, where faith, hope, and love form the founda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respectively.

      • KCI등재

        자율적 행복론을 위하여 - 칸트 윤리학의 현재와 미래 -

        이철우(Lee, Chul-woo)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70 No.-

        본 논문의 목표는, ‘칸트 윤리학의 현재와 미래’를 문제사적으로 고찰하여 오늘날 칸트 연구가들에게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삶의 기술론’의 주제이던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을 칸트의 ‘자율도덕’의 틀 안에서 통합하는 ‘자율적 행복론’의 정립임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짚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저 과제에 이르게 되는 문제를 낳게 한 ― 그리고 1970년대 ‘실천철학의 복권 운동’을 일으킨 ― 존 롤즈(John Rawls)의 사회정의론에서 칸트 윤리학의 연구를 고찰하여 본다. 이에 따르면 칸트의 윤리학은 ‘의무론적 도덕의 근거지움의 프로그램’이라는 좁은 의미의 도덕철학적 반성으로 제한되며, 여기서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삶의 기술론의 중심 주제이던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은 더 이상 철학적-윤리적 반성의 대상의 지위를 갖지 못한다. 다음으로 롤즈의 ‘사회정의론’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칸트의 의무론에 대한 비판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좋은 삶의 문제를 윤리학의 근본주제로 복권시키려는 ―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 신아리스토텔레주의의 문제제기와 이에 대한 영미권의 소위 구성주의적 칸트주의자들과 독일어권의 담론윤리적 칸트주의자들의 ― 결과적으로 불충분한 ― 숙고들을 논하여 본다. 신아리스토텔레주의의 비판은 근본적으로 두 가지인데, 첫 번째는 칸트에게서 좋은 삶의 추상으로부터 가능한 정언명법을 통한 도덕의 근거지움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는 저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을 윤리학의 중심 주제로 다시 설정하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이 두 번째 문제는 자율 도덕 역시 도덕의 의미와 관련하여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될 매우 중요한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다. 그리하여 여기서 자율 도덕의 틀 안에서 가능한 철학적 행복론인 자율적 행복론의 가능성은 칸트 연구가들에게 필연적인 윤리적 과제가 된다. 이에 연결하여 2000년대 들어서 저 자율적 행복론의 가능성을 매우 설득력 있게 보여준 오트프리트 회페(Otfride Höffe)에게서 칸트 윤리학의 행위론적 연구를 짧게 고찰하여 본다. 그리고 회페의 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칸트의 최고선에 관한 이론을,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적 좋은 삶의 물음의 자율 도덕적 완성이라는 시각을 통해 자율 도덕의 틀 안에서 통합된 좋은 삶의 윤리학으로서의 ‘자율적 행복론’으로 해석하여 본다. 이 자율적 행복론에서 중심이 되는 물음은 도덕의 근거지움에 관한 것이 아니라, 도덕이 행복으로 인도하여주는지 여부와 정도에 대해 묻는 도덕적 행위의 행복론적인 의미이다. 이 경우 칸트에게서 자율 도덕은 좁은 의미의 도덕철학적 근거지움에 관한 윤리이론적 방식이 아닌 행위론적인 반성을 통해 최고선의 물음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자율 도덕과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은 윤리-필연적 조건관계를 갖게 되며, 그리하여 ‘도덕적 삶의 행복론적 의미’를 윤리적 물음의 대상으로 갖게 되는 ‘자율적 행복론’이 칸트에게서 정립될 가능성이 열린다. 끝으로 이 자율적 행복론의 미래적 전망과 의의를 또한 응용윤리적 물음과 관련하여 짧게 언급한다. The aim of this work is to scrutinize the “present and future of Kants ethics”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contending that the current task for Kantian scholars is the formulation of 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This theory aims at integrating the concept of happiness as a good life, a fundamental tenet of ancient Greek ethics, into the framework of autonomous morality. To achieve this, the examination commences by evaluating the Kantian moral system that John Rawls presented in his work “A Theory of Justice,” which led to a “rehabilitation of practical philosophy” in the 1970s. Here, Rawls confines Kant’s moral system to the deontological justification program of morality, sidelining the notion of happiness as a good life from ethical contemplation. After this, the critical engagement of Neo-Aristotelianism in the 1980s with the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and the critical refutation from the constructivist and discourse-ethical Kantian approaches against this Neo-Aristotelian view are put up for discussion. However, this refutation is ultimately unsatisfactory. Neo-Aristotelianism poses the following two pivotal questions: first, concerning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through the categorical imperative, which is possible via abstraction of the good life. Secondly, Neo-Aristotelianism attempts to rehabilitate happiness as the good life and the core theme of ethics. For Kantian researchers, the second question leads to the serious ethical task of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 a philosophical theory of happiness that is possible within the confines of autonomous morality. In this context, the action-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Kants ethics as briefly presented by Otfried Höffe in the 2000s, presents a potential groundwork for the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Building upon this foundation, Kants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is explicated in relation to the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which is viewed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onomous-ethical completion of the Aristotelian concept of the good life. This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does not concern the deontological justification program for morality, but rather focusses on the eudaemonistic sense of morality, that is, the question whether and to what extent morality leads to happiness. Kants autonomous morality thus arrives at the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not via moral theory, but through the theory of action, wherein an ethically necessary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s established. Conseqently, a Kanti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can be established and defended. Concluding, the study briefly discusses the prospects and relevance of this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in relation to applied ethical issues.

      • 행복론의 고도화에 따른 산상수훈(팔복)의 고찰과 적용사례

        김한경(Kim, Han-kyung) 행복한부자학회 2012 행복한부자연구 Vol.1 No.1

        행복론을 논할 때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접근 할 수 있겠지만 본고에서는 세계 3대 (카알 힐티, 알랭, 버틀란트 러셀) 행복론을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먼저 조명해보고 아울러 타종교(유교, 도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에서 말하는 행복론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 기독교의 행복론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예수님의 산상수훈(팔복)을 고찰하겠다. 그 이유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행복에 대한 명쾌한 정의와 인생의 궁극적 목표인 행복한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예수님의 산상수훈의 팔복만큼 행복에 관해서 확실한 방법을 제시한 것은 없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본인이 대구대학교에서 ‘행복의 기술’을 강의 하면서 예수님의 산상수훈의 팔복을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Discussing a theory of happiness, it can be approached in several aspects. However,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worlds three(Carl Hilty, Alain, Bertrand Russell) theories of happiness from the Christian aspect, and will inquire even into the theories of happiness spoken by other religions(Confucianism, Taoism, Buddhism, Hinduism, Islam) for reference. What will come to be addressed most intensively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e theory of happiness in Christianity. In other words, it will consider Jesus Christs Sansangsuhun(山上垂訓: Sermon on the Mount)(the Beatitudes). The reason is because of being considered that there is nothing that suggested the clear definition on happiness regardless of all ages and countries, and a definite method on happiness as much as the Beatitudes in Jesus Christs Sansangsuhun in managing happy lif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life. The person in question aims to examine centering on a case with application of the Beatitudes in Jesus Christs Sansangsuhun while giving a lecture of The skills of happiness at Daegu University.

      • KCI등재

        행복론 관점에서 본 현대 소비문화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송인숙(Song, In SooK),천경희(Chun, Kyung Hee),윤여임(Youn, Yeo Im),윤명애(Youn, Myung Ae),남유진(Nam, You J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행복에 관한 문헌을 통하여 행복의 본질에 대하여 이해하고, 수많은 행복론에서 제시하는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한가’ 라는 행복의 원리를 기초로 현대 소비문화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행복론에 대한 기존 문헌 리뷰를 통해 ‘더 행복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정리하고 그에 비추어 현대 소비사회의 특성을 논의함으로써 현대 소비사회에서 더 행복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탐색하고 향후 소비문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행복은 인구사회학적인 외부적 요인보다는 내적태도와 같은 내부적 요인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고, 행복을 증진할 수 있는 내적 태도를 중심으로 감사하기, 용서하기, 최적주의, 욕망의 자기조절, 쾌락과 의미균형, 내적집중, 자기초월, 타인과의 관계만족이라는 8가지의 행복증진원리를 찾아내었다. 현대 소비사회의 특성과 문제점을 이들 행복증진원리에 근거하여 논의하고 이들 원리를 염두에 두고 소비생활을 하는 것이 좀 더 행복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행복할까를 고민했던 일반적인 행복론을 검토해서 공통적인 행복의 원리를 찾아내고 이를 소비생활과 연관시켜 소비문화의 방향점을 찾아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contains more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happiness through critically reviewing modern consumption culture based on the principle of happiness presented in eudemonics - How to live happier. Through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extracting key factors to become happier and discuss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the research proposes ways that consumption culture should be developed. Noticing that internal factors such as one’s attitude influence more on one’s happiness than external demographic factors, we discovered 8 happiness-enhancing principles - to be thankful, to forgive, to optimize, to control one’s desire, to balance between pleasure and meaning, to focus on one’s inside, to self-transcendence, and to satisfy relationships with others. Based on these principles phenomenon and problems of modern consumer society is discussed, resulting in that laying the principles in one’s mind lead to a happier life. Initially motivated from seeking common factors of happi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happiness-enhancing principles from reviewing general Eudemonics, and showed possible direction points of modern consumer society by correlating these principles with consumption culture.

      • KCI등재

        스포츠 행복론과 인정이론- 주관성에서 상호주관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문성훈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4

        Until now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relation of sports and happiness premises the subjectivity. As they show it only in the relation of sports-actor and sports-action, the relation of sports-actor and the other subjects is not focussed. Therefore the paradigm-shift from subjectivity to intersubjectivity that show the relation of the actor and the other subjects is necessary to make the discussions plentiful. I take three steps to justify my thesis. Firstly, I show on what point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relation of sports and happiness is led into the paradigm of subjectivity. Secondly, I show accroding to the theory of recognition how the distinction of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make the understanding of happiness differently. Thirdly, I assert that the recognition-theoretical reconstruction of happiness show the social conditions of happiness and the possibility of the critical theory in the field of sports. 지금까지 스포츠와 행복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주관성'을 전제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구들은 대개 스포츠와 행복의 연관성을 스포츠 행위자와 스포츠 행위와의 관계 속에서만 보여주려고 할 뿐, ‘타 주체’, 내지 ‘타인’과의 관계에 주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포츠 행복론이 이론적으로 더욱 풍부해지기 위해서는 스포츠 행위자의 자기관계에만 주목하는 주관주의적 틀을 넘어서, 타 주체와의 관계를 전제한 '상호주관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테제를 정당화하기 위해 세 가지 단계를 밟을 것이다. 첫째, 스포츠와 행복의 상관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어떤 점에서 주관성 패러다임에 빠져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이것이 갖는 한계를 밝힐 것이다. 둘째, 주관성과 상호주관성의 차이점을 해명하면서 이러한 구별이 특히 인정이론과 관련하여 어떻게 행복에 대한 이해를 다르게 만드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셋째, 스포츠 행복론이 인정이론을 통해 재구성될 때 스포츠 행복론은 스포츠인의 행복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이 무엇인지를 밝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스포츠 현상을 비판할 수 있는 ‘스포츠 비판이론’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 『논어』의 행복론

        박홍식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儒敎文化硏究 Vol.- No.17

        In 『Analects』 Confucius, an intellectual who had a exceptional perception toward human beings, develops new eudemonics that fit into a new era. With unlimited trust and love toward human, Confucius claims even the poor could pursue happiness by enjoying the state of poverty, being in a favor of learning, and cherishing the moments with others. The daily happiness mentioned in 『Analects』 was a universal happiness that everyone could share with, not an exclusive property of a particular person. The eudemonics suggested by Confucius, a naturally happy person who lived a passionate life, wins sympathy beyond ages and regio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nalects』 is 『Textbook of Happiness』 and Confucius is infecting many people with various happy virus. If there is anyone looking for a path to happiness, 『Analects』 would be a useful guide. 『논어』에는 인간에 대하여 새로운 자각을 한 각성된 지식인 공자에 의해 변화된시대의 행복론이 전개되어 있다. 공자는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와 사랑을 기반으로, 가난한 사람도 가난을 즐기며 배움을 좋아하고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소중히 간직하며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논어』에서 공자가 말한 일상의 행복은 특정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행복이었다. 행복 유전자를 갖고 태어나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행복한 사람 공자가 『논어』에서 제시한 행복론은 시대와 지역을 넘어서 많은 공감을 던져 주고 있다는 점에서 『논어』는 『행복론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행복바이러스를 전염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이 행복으로 가는 길을 찾고자 한다면 『논어』는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 KCI등재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정대련 ( Dae Ryun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행복 개념 및 행복이론을 기초로 하여 유아들을 위한 그림책 21권에 나타난 행복한 삶과 교육적 지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우선 행복에 관한 철학적 · 심리학적 · 생물학적 개념 및 제 이론,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에 나타난 행복의 개념 정의를 비롯하여 세계 3대 행복론과 종교적 관점에서의 행복론, 교육사상가들의 행복 개념, 그리고 긍정심리학에서 정의하는 행복과 신생물학에서 밝힌 행복유전자론 등을 알아보고, 이들을 행복의 본질과 기원, 행복의 결과 양면성, 그리고 행복을 위한 교육 등 세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복의 각 측면이 21권의 그림책에서 담아내고 있는 행복의 정신적이고 내적인 개념 특성 및 그림책에 그려진 유아 삶 내지 인간 일상적 삶 속 행복의 다양한 표현 그리고 행복에 다가가도록 이끄는 교육 장면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은 유아들에게 행복한 삶의 지침을 제공하는 교육자료로서 역할 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new-biological meanings and theories on the concept of “happines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expressed in 21 picture books of which titles include the word “happiness”, and on that basis to examine orientatio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happy lives and education. First, Aristotle`s definition of happiness in Nichomachean Ethics, the 3 great theories of happiness, including St. Augustine`s or The Dalai Lama`s religious notions of happiness, ideas of happiness generated by great educators such as Rousseau, the definition of happiness derived from positive psychology and even the happiness gene discovered by new-biology are examined. Second, the inner and psychical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and various expressions in young children`s daily lives are explored, and the educational necessities are reconsidered for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happiness depicted in picture books. In conclusion, reading picture books can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happy lives.

      • KCI등재

        공리주의 행복론에 대한 기독교 사회 윤리학적 접근 : 행복의 공공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기독교사회윤리 Vol.25 No.-

        The initiative question of this research is the social desire for happiness, the dominance of the idea of social utility, and the public value of happiness. And this research aims to interpret this phenomenon through the lens of Christian social ethics, in particular, Christian realism. First, it explores the Utilitarian thoughts of happiness and its public value related to the idea of the social happiness. Then, it studies Augustinian ethical thought on happiness and its influence into Christian realism. Lastly, it proposes that Christian realism needs to understand the idea of happiness in Utilitarianism in terms of individual liberty and justi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happiness, Christian Social ethics can develop its ethical inquiries into the reality and formulate its responsible answer for this society to desire social happiness. 행복에 대한 사회적인 욕구와 사회의 공리주의적인 현실이 이 논문의 출발점입니다. 이와 같은 흐름을 기독교 사회 윤리에서는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논지입니다. 이를 위해서 행복에 대한 사회의 갈망, 특히 행복의 공공성에 대한 현 사회의 이해를 지적하는 것으로 논문은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행복에 대한 논의가 철학과 기독교 윤리학의 흐름에서 어떻게 탐구되어 왔는지가 그 다음 과제입니다. 벤담과 밀의 행복의 공공성에 대한 윤리적 연구를 통해서 정의와 자유가 개인과 사회의 공공적 행복을 위해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어거스틴의 윤리적 행복론을 탐구하면서 그의 사랑의 윤리가 기독교 현실주의의 행복론에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습니다. 기독교 현실주의는 사랑의 실천을 통한 사회적 행복을 증진하면서 그 윤리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런 논점을 바탕으로 필자는 기독교 현실주의와 공리주의간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공리성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기독교 현실주의 윤리가 해야 할 필요한 일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기독교 현실주의가 사회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해서 고찰하고, 공리성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 사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와 윤리적인 대안을 찾기 위한 제안으로 논문은 마쳐집니다.

      • KCI등재

        니체의 교육자, 쇼펜하우어의 행복론

        김주휘 한국니체학회 2022 니체연구 Vol.42 No.-

        In this article we showed that Schopenhauer depends heavily on the Greek philosophers, Epicurus and Aristotle, in his search for the empirical way to happiness, which is considered to be impossible in principle, given his metaphysical system of will and representation. Schopenhauer’s formula of happiness is, to be brief, to follow Epicurus’ teaching of restraining one’s unnecessary and unnatural desires in everyday lives and to follow Aristotle’s thoughts on the special pleasure accompanying self-realizing activities, which transcends and cuts off the vicious circle of want and boredom. When Schopenhauer has recourse to Epicurus’ principle of negative hedonism, and when he gives notice to the pleasure accompanying mental activities, he turns back on the modern pursuit of happiness and desire. Schopenhauer shows very well the predicament modern understanding of happiness leads to, and his revival of the ancient wisdom implicates criticism of the materialistic ethics and positive hedonism of the day. Despite the complex relationship of Nietzsche and Schopenhauer, it is certain that Nietzsche is the pupil of Schopenhauer in this criticism of the modern way of life. With Schopenhauer, Nietzsche stands firmly against the levelling tendency and insists on the hierarchy of the soul. Furthermore, we think, Nietzsche himself has recourse to Epicurus and Aristotle in his composing of the Dionysian happiness. 우리는 이 글에서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을 「삶의 지혜를 위한 잠언」에 기술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니체의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에 관 심이 있으며, 장차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행복론을 비교 연구하는 작업을 위한 예 비적 시도로서 이 글을 위치시키고자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니체는 쇼펜하우어 사상과의 조우를 통해 철학에 입문하였고, 현상세계에서 개체적 의지들이 벌이 는 각축과 그들이 겪는 불가피한 고통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기술은 니체에게 깊 은 인상을 남겼다. 니체는 개체적 의지들로서 인간이 보여주는 삶의 모습이 동물 들의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쇼펜하우어의 지적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다만 니체는 쇼펜하우어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제안하는 구원의 길, 즉 인도적 체념과 의지의 부정의 길에는 동의하지 않으며, 대신에 고대 그리 스인들을 범례로 하여 나름의 독자적인 구원의 길을 모색한다. 그런데 사실 쇼펜 하우어는, 비록 의지와 표상에서 종교적 성자들의 삶을 진정한 구원의 길로 제 시하기는 했지만, 결코 그 스스로 직접 그러한 삶을 구현하고자 노력하지는 않았 다. 대신에 그는 성자보다는 예술가의 것에 가까운 삶을 영위했고, 이를 바탕으 로 노년에 「삶의 지혜를 위한 잠언」을 썼다. 우리는 바로 이 글에서 쇼펜하우어 가행복한삶의경험적지침을발견하는데에다름아닌그리스인들에게크게빚 지고 있음을 발견한다. 니체가 쇼펜하우어와 달리 독자적인 구원의 길을 찾기 위 해 의지하는 바로 그 그리스인들 말이다.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우리는 쇼펜하 우어가 「잠언」에서 제시하는 행복의 사유가 어떤 요소들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가 보기에 그것들은 상당 부분 –변형을 거치면서- 니체에게로 전승된 다. 우리는 이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는데, 하나는 「잠언」에 서 쇼펜하우어가 의존하는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이고, 다른 하 나는 인격들의 차이에 관한 것이다.

      • KCI등재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진로상담모형

        이정애(Jeong Ae, Lee)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4 No.-

        본 연구는 Seligman의 행복론을 중심으로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진로상담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진로상담은 일을 통해 즐거움과 유능함을 경험하는 동시에 삶의 의미까지도 느끼도록 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거쳐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모형의 상담과정은 초기면접, 문제 평가 및 명료화, 상담목표 설정, 개입, 종결 및 추수지도의 총 5단계로 이루어져있다. 첫째, 초기면접단계에서는 내담자와 관계를 형성하고 기본정보를 수집한다. 둘째, 문제평가 및 명료화 단계에서는 내담자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진로정보영역 피라미드와 의사결정의 CASVE 과정을 활용한다. 진로정보영역 피라미드 중 자신에 대한 이해영역에서는 강점에 대한 인식과 활용여부, 몰입경험과 삶의 의미의 유무라는 세 가지 차원에 초점을 두고 내담자의 문제를 탐색한다. 셋째, 상담목표 설정단계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목표를 설정한다. 넷째, 개입단계에서는 몰입경험과 삶의 의미가 각각 적절히 경험되었는지에 따라 4가지 유형의 진로문제로 구분하여 개입한다. 마지막으로 종결 및 추수지도 단계에서는 상담 목표의 달성 여부와 진전을 평가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career counseling model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y. A career counseling model constru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s’ verification is suggested as follows: The counseling process of the model consists of five steps: initial interview, problem evaluation and clarification, counseling goal setting, intervention, termination. First, in the initial interview stage, the focus is on exploring his or her strengths and resources, while exploring the client’s background information regarding career. Second, in the problem evaluation and clarification stage, it is suggested the career information domain pyramid and decision making CASVE process should be used to identify the client"s problem. Next, in this stage, counseling goals are set to solve the problems. Fourth,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career problems depending on whether the client has experience of flow and meaning of life. Finally, the achievement of the counseling goals are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