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正德元年(1711) 朝鮮通信使行列繪卷 연구

        정은주(鄭恩主)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3

        江戶時代(1603-1867) 朝鮮通信使는 王辰倭亂 이후 단절되었던 조선국왕과 德川幕府 사이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총12회에 걸쳐 조선통신사는 疏球使節團과 함께 초기 德川幕府의 정치적 정통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후기에는 대외적으로 국제정세를 파악하고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일본의 위치를 재조명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이들 통신사 행렬이 江戶를 행진하는 모습은 장관을 이루었고, 에도시대 미술과 대중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테마로 간주되었다. 에도시대 당시 통신사를 묘사한 畵師는 일본의 狩野派와 그들을 추종하던 이들이었고, 후기에는 町繪師들이 많이 등장하여 작품수가 더욱 증가하였다. 통신사 관련 행렬도는 50여 점이 현전하여 조선과 일본 사이 문화교류의 단면을 말하고 있다. 그중 1711년(正德元年)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개혁으로 에도에서 한일 양국의 國諱분쟁이 일어났던 민감한 시기였으므로, 통신사행렬도는 다른 시기에 비해 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1711년(正德元年) 通信使行列을 묘사한 두루마리 그림은 大名이나 幕府의 주문에 의해 그려진 행렬도권 중 대표작으로 한국 國史編纂委員會, 京都高麗美術館, 大阪歷史博物館 소장본이 각각 전해지고 있다. 이 회권은 당시 통신사 행렬 정황을 자세히 묘사한 기록화로서 조선통신사행렬회권의 제작과 관계한 제반 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老中 쓰치야 마사나오의 명령으로 對馬藩에서 제직된 繪卷은 에도의 고비키조 가노파를 이끌던 가노 쓰네노부의 제자 俵喜左衛門을 總管監으로 임명하여 江戶의 수준 있는 14-40명 정도의 町繪師가 동원되었다. 작업은 사쓰마의 시마즈家에서 1710년에 제작된 琉球國의 謝恩使 행렬을 묘사한 회권을 老中에게 빌려 摹寫한 것을 참조하였고, 1711년 9월 20일부터 작업을 개시하여 1712년 2월에 獻上이 마무리될 때까지 총 141일이 소요되었다. 이들 회권은 당시 에도시대 최대 규모의 조선통신사 행렬의례를 충실하게 묘사했다는 점에서 에도시대 韓日관계에 대한 기록화로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화풍상 특징을 비교한 결과, 1711년 이전에 그려진 통신사행렬도의 화풍과 확연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1710년에 제작되었던 류큐국사절단행렬도의 화풍과 근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술한 세 본과 함께 그동안 쓰시마번 종가에서 舊藏되었던 이유로 1711년 통신사행렬회권로 간주되어오던 福岡市立博物館藏 《通信使行列圖卷》는 화풍상의 현격한 차이를 보여 적어도 다른 시기의 통신사행렬을 묘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1711년 통신사행에 즈음하여 제작된 다수 판화집과 조선통신사행렬을 흉내 낸 조선야마가 판화로 제작되었던 점에서 에도시대 막부의 고위층뿐만 아니라 당시 일본의 대중문화에도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pan's Tokugawa feudal government of the Edo Period (1603-1867) went through with a policy of seclusion. During the period, the Shogun took advantage of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Dynasty by official Korean envoys called Tongsinsa(通信使)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government and to make certain position in Eastern Asia. Under the Shogun's auspices, Korean envoys regard as a main motif in art circles and popular culture in the Edo Period.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朝鮮通信使行列繪卷) in 1711 are collected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Koryo Museum of Art and Osaka Museum of History, The picture scrolls were ordered by the Shogun and feudatory. Although the collections are kept in different places, they are good example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to find their background and process of production by the documentary of Tsushima's main family. Bakuhu's manager Massanao ordered Tsushima's main family to paint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1711. The work was directed by Dawara kizaemon(俵喜左衛門) of the Edo Kobikijo Kano Group, and mobilized 14 to 40painters. The Group referred to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Ryukyu Envoys produced in 1710 by Shimajushi main family in Satusma. Their works took 141 clays from Sep. 1711 to Feb. 1712. Compared to Dongsa Ilgi(東?日記), Travel Diary of vice-envoy Lim Soo-gan, the description of figure in these picture scrolls represented well the ritual procession of Korean Envoys. That is worth the documentary painting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do period. We could find evidence mat Arai Hakuseki, who was in discord with Bakuhu's manager Massanao in the diplomatic policy toward Joseon, checked up some information of Korean envoys in the picture scrolls kept in Tsushima's main family. In a style of painting,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icture scrolls made before 1711. They look like a style of the picture scrolls of the Procession of Ryukyu Envoys in 1710. In the other hand, the picture scroll in Fukuoka City Museum took for depicting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1711 needs reconsideration in the product time. There are some prints engraved by famous painters at the time of Korean envoys' arriving in Edo(now Tokyo). Furthermore, Tojin parade(唐人行列) originated hum the Tongsinsa procession shows various influence of the procession of Korean Envoys in popular culture at mat time.

      • KCI등재

        Q-행렬에 근거하는 치유교습 순서

        김성훈(Sung 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미성취 인지요소의 치유교습 순서에 Q-행렬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결정하는지 탐색하였다. Tatsuoka(2009)가 소개한 인접행렬, 도달행렬, 그리고 영향도표를 이용하여 Q-행렬에 내재하는 인지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치유교습의 순서로 개념화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제안한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그 행렬에 포함된 K개의 인지요소 간 있을 수 있는 모든 인과관계의 수에 대한 실제 Q-행렬에 내재하는 인과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하였다. 분석 대상 Q-행렬은 이 이론적 배경에 사용된 예시적 Q-행렬과 실제 Q-행렬 2개다. 후자는 성태제(2018) 연구와 박세진·이현숙(2018) 연구에서 인용하였다. 연구 결론으로서 Q-행렬은 치유교습 순서 결정을 위한 보편적 출발점이 되며; 지식의 위계가 분명한 검사일수록 Q-행렬의 치유교습 순서 기여도는 높을 것이며; 인지진단 결과로 주어지는 인지상태는 Q-행렬의 가정과 충돌할 수 있음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nd how much does a Q-matrix contribute in deciding th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of the unattained attributes being identified from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Applying the adjacency matrix, reachability matrix, and influence diagram introduced in cognitive assessment context by Tatsuoka (2009), the sequence was defined a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ributes forming a Q-matrix. Three Q-matrices were gone under analysis. They were an example one, one from Sung’s(2018) study, and the other from Park & Lee’s(2018) stud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to three conclusions. Firstly, the Q- matrix could provide a objective starting point for a whole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secondly, the more hierarchical a Q- matrix was the more it helped deciding sequence of remedial instruction; thirdly, knowledge states from cognitive diagnosis might contradict the causal relationship assumptions implied by the Q-matrix.

      • KCI등재

        신용등급전이행렬의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과 비교

        김성철,박지연,Kim, Sung-Chul,Park, Ji-Yeon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3

        신용전이행렬을 추정함에 있어서 국내의 등급전이자료의 축적이 부족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국의 신용평가기관(무디스)의 전이행렬자료와 국내의 신용등급 부여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방법에 의한 전이행렬을 도출하고, 이 전이행렬을 다른 전이행렬과 비교해보기 위하여 전이행렬의 동적인 요소를 평균전이확률의 개념으로 표시할 수 있는 특성척도를 개발하여 신용전이행렬의 시계열 특성과 통계적 특성을 비교한다. 시계열자료의 척도는 베이지안 추정행렬이 안정적임을 보여주는 반면 국내 행렬은 시간적으로 변화의 폭이 크고 무디스나 베이지안 행렬보다 상대적으로 인접전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붓스트랩 검정을 통하여 세 가지 추정방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베이지안 행렬이 무디스 자료보다는 국내자료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신용등급 전이에 따른 포트폴리오의 가치변화를 고려하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신용 VaR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국내 전이행렬의 경우에 평균은 가장 크고 신용위험도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시뮬레이션에서도 베이지안 추정에 의한 결과가 국내자료에 의한 결과와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ack of Korean credit rating migration data, we consider an empirical Bayes procedure to estimate credit rating migration matrices. We derive the posterior probabilities of Korean credit rating transitions by utilizing the Moody's rating migration data and the credit rating assignments from Korean rating agency as prior information and likelihood, respectively. Metrics based upon the average transition probability are developed to characterize the migration matrices and compare our Bayesian migration matrices with some given matrices. Time series data for the metrics show that our Bayesian matrices are stable, while the matrices based on Korean data have large variation in time. The bootstrap tests demonstrate that the results from the three estimation method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Bayesian matrices are more affected by Korean data than the Moody's data. Finally, Monte Carlo simulations for computing the values of a portfolio and its credit VaRs are performed to compare these migration matrices.

      • 18세기 기쿠야판[菊屋板]『조선인행렬차제(朝鮮人行列次第)』에 대한 고찰

        김종민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3 No.-

        『조선인내조행렬차제(朝鮮人來朝行列次第)』는 교토의 출판업자 기쿠야 시치로베[菊屋七郞兵衛]가 발간한 목판본으로 통신사 행렬 에 대한 안내서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고 있는 18세기의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는 신묘사행으로 불리는 8번째 조선통신사의 1711년(쇼토쿠[正德]원년)행렬, 10차 사행인 1748년과 11차 사행인 1763년에 발행된 것이 주종으로 전하고 있다.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의 구성은 조선의 역사를 간략히 서술한 ‘조선인내조물어(朝鮮人来朝物語)’ 서문, 진구[神功] 황후 의 삼한정복으로 인한 삼한내조(三韓來朝)부터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조선 침략에 동원된 공물 헌상의 견해를 적은 ‘조선 인래조물어’, 조선에서 에도까지의 여정을 기록하고 체류지 및 휴 식지에서 접대역할을 맡은 다이묘[大名]에 관한 정보, 조선에서 보내온 헌상물 목록 및 오사카[大阪]에서 요도가와[淀川]까지 사 절단을 태워 온 가와고자부네[川御座船]를 그린 도선도, 동행하는 다이묘들과 가문을 나타내는 문양, 조선인 사절단으로부터 일반적 으로 쓰이는 조선말을 받아 적은 ‘つうじ唐人のことば(通詞唐人ことば)’ 등이 수록되어 있는 ‘조선인내조행렬차제’가 있다. 1711년의 조선통신사 방일 때 국휘분쟁, 접대소홀 등 조선통신 사를 홀대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모두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가 펼친 막부개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당시 조선과의 문화적 차이로 오는 열등감을 감추고 막부의 위상을 높이려는 하 쿠세키의 계획적인 외교적 홀대와 일본이 우월성을 강조하는 방법 으로 교토의 출판업자인 기쿠야 시치로베를 통해 기쿠야판 『조선 인내조행렬차제』를 출판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기쿠야판 『조선인내조행렬차제』는 조선통신사를 통해 유지해 온 한일간의 성신교린의 취지가 아닌 일방적인 조공의 사절단으로 조선통신사 를 폄하시켜 일본인의 자긍심과 조선통신사에 대한 호기심을 동시 에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또는 홍보에 중점을 둔 안내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발계수행렬의 요인별 분해를 통한 경제적성격 규명에 관한 연구

        김호언 ( Ho Un G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일반화된 산업연관균형식의 해는 부문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 때문에 원인변수는 최종수요이며, 결과변수는 총산출일 경우에만 오직 인과적 상호 의존관계가 성립한다는 제약을 내포하고 있다. 투입ㆍ산출(IO)모형이 갖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와Oosterhaven & Stelder가 창안한 순승수 개념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 의 요인별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① 행렬의 요인별 분해 결과에 대한경제적 함의를 규명하며, ②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생산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의 성격을 파악하고, ③ 개별 생산 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의 차별적인 특성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행렬은 단위행렬, 투입계수행렬, 기술적 간접행렬, 연관적 간접행렬로 분해된다. 이들 4가지 요인별 행렬의 조합을 통하여 총 11가지 종류의생산 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11가지 형태의 유발계수행렬을 통하여 다양한 경제변수 사이의 인과적 의존관계를 추계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Gim and Kim (2005, 2008a) showed that the element of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or Leontief inverse matrix),can be decomposed into four different parts as the final demand , the direct , the technical indirect , and the interrelated indirect effects.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search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 (2) Through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we clarify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in the varied output and input requirements matrices; (3) We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requirements matrice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 KCI등재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한태문(Han Tai-M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8 No.-

        본 연구는 일본의 두 학자에 의해 촉발된 밀양 표충사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에 대한 논의가, 정작 국내 학계에선 구체적인 고증작업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밀양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1605년 사명당이 德川家康과의 회담을 위해 京都 伏見城으로 향하는 행렬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행렬도에는 국서 가마와 馬上才, 그리고 1682년 통신사부터 등장하는 제술관 및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버금가는 대규모 인원이 등장하여, 적어도 1682년 이후의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682년 이후 통신사 행렬도 중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正德元年辛卯年朝鮮國之信使登城行列〉이 표충사 소장 행렬도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표충사 소장 행렬도는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의 전체 행렬도 가운데, 통신사 행렬을 중심으로 對馬島 家臣 일부분이 앞뒤로 호위하고 있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11년 통신사 행렬을 묘사한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표충사 소장 행렬도를 비롯하여 異本인 〈이원식본〉과 〈김씨본〉 등이 한결같이 ‘사명당의 伏見城 登城 행렬’을 畵題로 삼고 있는 것은, 통신사의 행렬을 사명당의 행렬로 환치하고픈 기증자 또는 제작자의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Milyang Pyochungsa houses an old folding-screen painting of Samyeongdang who proceeded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in order to confer with Tokugawa Ieyas in 1605. This painting describes Carrier for National Credentials, Tongshinsa, On-Horse Acrobatic Feats, Jesulgwan which appeared since 1682, showing people as many as those at the painting of late-Chusun Tongshinsa.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is painting describes the procession of post-1682 Tongshinsa. This Pyochungsa painting was made by imitating a section from a whol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hich describes the 1711 Tongshinsa procession. The scene of Tsushima warriors escorting this procession was cut out from this procession to become the Pyochungsa folding scre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one of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 lot of people were deleted and the order of procession was differently described. Even though the Pyochungsa painting, the photograph of procession owned by Lee Won Shik, and the painting of procession owned by Mr. Kim describe the procession of 1711 Tongshinsa, they are all together entitled "Procession into the Castle of Kyoto Fushimi," This entitling can be considered to be an expression of the donator's and the maker's desire to replace Tongshinsa's procession with Samyeongdang's.

      • KCI등재

        전단빌딩의 강성행렬 및 부재의 강성추정을 위한 부분공간 시스템 확인기법에서의 행켈행렬의 크기 결정

        박승근,박현우,Park, Seung-Keun,Park, Hyun Wo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6 No.2

        이 논문은 부분공간 시스템 확인기법을 이용하여 전단빌딩의 강성행렬과 부재의 강성을 추정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시스템 행렬은 입력-출력 데이터로 구성된 행켈행렬을 LQ 분해와 특이치 분해를 통해 추정한다. 추정된 시스템 행렬은 닮음 변환을 통해 실제 좌표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스템 행렬로부터 강성행렬을 계산한다. 추정된 강성행렬의 정확성과 안정성은 행켈행렬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전단빌딩의 기저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행켈행렬의 크기에 따른 강성행렬의 추정 오차 곡선을 구한다. 오차 곡선을 이용하여 목표 정확도 수준에 부합하는 행켈행렬의 크기들을 결정한다. 이렇게 선택된 행렬의 크기들 중에서 부분공간 시스템 확인의 계산비용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행렬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크기의 행켈행렬을 이용하여 강성행렬을 추정하고 추정된 강성행렬로부터 부재의 강성을 추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손상 전후의 5층 전단빌딩 수치 예제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ubspace system identification for estimating the stiffness matrix and flexural rigidities of a shear building. System matrices are estimated by LQ decomposition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from an input-output Hankel matrix. The estimated system matrices are converted into a real coordinate through similarity transformation, and the stiffness matrix is estimated from the system matrices. The accuracy and the stability of an estimated stiffness matrix depend on the size of the associated Hankel matrix. The estimation error curve of the stiffness matrix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size of a Hankel matrix using a prior finite element model of a shear building. The sizes of the Hankel matrix, which are consistent with a target accuracy level, are chosen through this curve. Among these candidate sizes of the Hankel matrix, more proper one can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computational cost of subspace identification. The stiffness matrix and flexural rigidities are estimated using the Hankel matrix with the candidate size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the numerical example of a five-story shear building model with and without damage.

      • KCI등재

        레온티에프 역행렬의 요인별 분해를 통한 투입,산출 승수분석: 한국 경제에 대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김호언 ( Ho Un Gim ),김군찬 ( Koon Chan K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1 延世經濟硏究 Vol.18 No.1

        지금까지 레온티에프 역행렬 Cf(최종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을 통하여 투입·산출승수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레온티에프 역행렬의 완전한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2개의 투입유발계수행렬(Гf와 Г9)과 산출물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C9)을 각각 유도하였다. 이제 Cf와 3개의 새로운 유발계수행렬(C9, Гf, Г9)을 통하여 다양한 투입·산출승수를 정의하고자 한다. Cf와 Гf 행렬을 통해서는 외생적 최종수요의 변화에 대해서, C9 와 Г9 행렬을 통해서는 외생적(혹은 내생적) 산출물의 변화에 대해서 투입 및 생산유발액을 각각 구할 수 있다. 아울러 4개의 유발계수행렬이 최종수요, 생산유발액, 투입유발액 등과의 상호 의존관계를 구체적인 도형으로 도화하였다. 부가적으로 4개의 유발계수행렬에 대한 실제적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 경제에 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Leontief inverse Cf, also termed as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gave a rise to the formulation of the ordinary input-output multipliers. In this paper, we discuss on the existence and concept of four useful input and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the Leontief inverse,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output, C9, obtained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of the Leontief inverse, and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 Гf and Г9 for final demand and output respectively. This paper then focuses on the formul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input-output multipliers based on these four requirements matrices; the multipliers based on Гf and Cf measure the total requirements of changes in final demand and the multipliers based on Г9 and C9 compute the total requirements of changes in gross output. A unifying framework that describes completely how these four requirements matrices are related to inputs, output, and final demand is presented, and a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Korean economy to study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f these newly defined multipliers.

      •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보이는 형명(形名) 편성 연구

        현숙희 조선통신사학회 2022 조선통신사연구 Vol.34 No.-

        형명(形名)이란 『손자병법』에서 군사 신호체계로 처음 소개된 용어이다. 형(形)은 각종 깃발과 같은 시각적 도구를 의미하며, 명 (名)은 북과 징 같은 청각적 도구인 악기를 뜻한다. 군대에서 명령 과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점차 귀인들의 행렬에서 행렬의 위상을 드러내는 요소로 발전하여 왔다. 오늘날 에도 형명은 국가의전에서 의장대와 군악대로 자국의 존엄성과 위 상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17세기 조선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사망 후 새로운 실권자가 된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국교회복을 요청해왔을 때 조ㆍ일 간의 평화를 위해 조선통신사라는 외교사절단을 파견한다. 본 연구는 통신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행렬도를 통하여 행 렬의 중요한 요소인 형명 편성의 시기별 특징과 조형적 변화를 밝 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의 형의 종류는 약 100여 기에 달했 으나 조선통신사 행렬도에는 둑과 교룡기, 영자기, 청도기, 순시기 등 다섯 종류로 행렬의 권위를 내포하고 있다. 깃발의 크기와 무 늬, 자문(字紋)으로 깃발을 구별하고 색상을 달리하였다. 명은 취 고수와 세악수로 편성되어 그 인원은 약 50여 명으로 인원은 시 기별 큰 차이가 없으나 편성 구조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치적 성격이 짙었던 17세기의 형명은 국서 위주로 치우쳐져 행렬의 권위를 국서에 집중하는 편성을 보이고 있다. 국내외의 정 세가 안정되었던 18세기는 형명의 장식이 보다 화려해지고 삼사 관에게 분산 배치함으로써 행렬 전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면서 안정된 편성 구조를 보이고 있다. 쇠퇴기에 접어든 19세기의 마지 막 행렬에서는 18세기에 보였던 장식성이 사라지고 편성 구조에 있어서도 이전까지 보였던 원칙에서 다소 벗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사와 부사의 대열에 형명을 분산 편성하는 구조는 18세기와 동 일하게 묘사되어 있다. Hyeongmyeong refers to military signal systems, whose terminology was first appeared in 『Sonja Byeongbeop』, an ancient literature on military tactics. More specifically, Hyeong collectively indicates visual tools like flags and Myeong, audible ones like drums and gongs. Originally, Hyeongmyeong w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delivered military orders or information. Gradually, however, it was developed into something that revealed how dignified and brilliant the procession of noble people was. Even today, Hyeongmyeong is a necessity that guards of honor or military bands use to make remarkably impressed the prestige and stature of the state. During the 17th century, Iyeyasu Tokugawa took over the power of Japan after the demise of Hideyoshi Toyotomi. And then, the new leader called for Joseon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Joseon dispatched a diplomatic mission named Tongshinsa to Japan under the great cause of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organization features and formative changes that Hyeongmyeong showed in different times by reviewing the procession drawings of Joseon Tongshinsa. During the Joseon period, about 100 types of flags belonged to Hyeong. Of them, seen in those drawings are five, which are, Duk, Gyoryonggi, Yeongjagi, Cheongdogi and Sunsigi. These five-type flags were fabricated differently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size, pattern, letter or character, and color. Myeong was supposed to be played by band members, particularly called Chwigosu and Seaksu who were about 50 in total. The players were differently organized in different times, though seldomly changed in total number. During the 17th century when the diplomatic mission was quite political, its procession had Hyeongmyeong organized in a way that the dignity of credentials was mainly focused. In the 18th century whe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of Joseon were stable, Hyeongmyeong was decorated in a more brilliant way, and dividedly assigned among the three top officials of the mission or Samsagwan, resultantly having a higher visual effect on the entire procession of the diplomatic mission and allowing Hyeongmyeong itself to be more stably organized. Joseon Tongshinsa that was last sent in to Japan in the 19th century when dispatching the diplomatic mission declined, had none of such decorative characteristics of Hyeongmyeong as in the previous century. Moreover, structural organization principles of Hyeongmyeong were a little distracted from those applied before. However, there's one thing unchanged from the 18th century. It is that components of Hyeongmyeong were dividedly allocated onto the lines of Jeongsa and Busa, who were respectively director and deputy directors of Joseon Tongshinsa.

      • KCI등재

        Jacobian 행렬의 주부분 행렬을 이용한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의 개선

        곽영태(Young-Tae Kwak),신정훈(Jung-Hoon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8

        본 논문은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에서 Jacobian 행렬의 주부분 행렬을 이용하여 학습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Levenberg-Marquardt 학습은 오차함수에 대한 2차 도함수를 계산하기 위해 Hessian 행렬을 사용하는 대신 Jacobian 행렬을 이용한다. 이런 Jacobian 행렬을 가역행렬로 만들기 위해, Levenberg-Marquardt 학습은 μ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μ값의 변경에 따른 역행렬의 재계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μ값의 설정을 위해 Jacobian 행렬의 주부분 행렬을 생성하고 주부분 행렬의 고유값 합을 이용하여 μ값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추가적인 역행렬 계산을 하지 않으므로 학습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일반화된 XOR 문제와 필기체 숫자인식 문제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학습속도의 향상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way of improving learning speed in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using the principal submatrix of Jacobian matrix. The Levenberg-Marquardt learning uses Jacobian matrix for Hessian matrix to get the second derivative of an error function. To make the Jacobian matrix an invertible matrix. the Levenberg-Marquardt learning must increase or decrease μ and recalculate the inverse matrix of the Jacobian matrix due to these changes of μ. Therefore, to have the proper μ, we create the principal submatrix of Jacobian matrix and set the μ as the eigenvalues sum of the principal submatrix. which can make learning speed improve without calculating an additional inverse matrix. We also showed that our method was able to improve learning speed in both a generalized XOR problem and a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