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기초연구

        박명숙 강남대학교 1994 論文集 Vol.25 No.1

        장애아동에 대한 조기교육은 장애아동의 사회성, 정신집중력, 그리고 신체적 발달을 촉진시키며 새로운 행동의 습득, 독립된 기능의 증가 등을 통하여 행동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기에 조기교육이 더욱 중요하며, 예방 교육의 차원에서도 조기 교육은 강조되고 있다. 특수교육·심리학·정신의학의 일부 전문가들이 치료와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그 연구 활동도 점차 활발하게 전개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의사, 대학교수, 정신병원 음악치료사, 특수학교 교사, 장애자 재활센타 음악담당자, 음악전공자 등이 주축이 되어 한국 음악치료협회가 결성되어 음악치료의 보급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음악치료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통하여 본 논문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정서-행동장애아동에 대한 최선의 이해와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둘째,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화, 전문화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양성기관이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치료·교육하기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폭 넓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공감에 미치는 미시체계 구조 분석

        이연희,황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necessary basic data at emotional support in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approve the validity of emotional contagion, empathy and microsystem variables and their structural relationships in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To these ends, based on the data of 306 se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scale for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their’s peer, a questionnaire composed of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and parent-child interaction scale for parents, an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motional contagion, empath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for teachers were designed and then distribu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microsystem which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were appeared parental emotional contagion level, parental empathy level, and parental 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the variables of school environment microsystem which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y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by the degree of friend emotional contagion, friendship empathy. Finally, the children’s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contagion but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athy. therefore influence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empathy has be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contagion as a stimulant mechanism, should be made to seek specific emotional support.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 미시체계 변수 간의 구조관계를 확인하고 적합성을 검정하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정서지원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의 28개 초등학교, 5개 복지관에서 사례관리 되고 있는 정서ㆍ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306명을 대상으로 정서ㆍ행동장애 위험군 아동과 또래 친구에게는 정서전염과 공감 척도, 부모에게는 정서전염과 공감, 부모자녀 상호작용 척도, 교사에게는 정서전염과 공감, 아동교사 관계 척도를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미시체계 변수는 부모의 정서전염 수준, 부모의 공감수준, 부모자녀 상호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 미시체계 변수는 친구 정서전염, 친구 공감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정서전염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지만 공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정서전염은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변수와 공감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가정과 학교 환경의 영향력과 공감에 대한 정서전염이 갖는 촉발기제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구체적인정서지원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 Seok ),이상훈 ( Lee Sang H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가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에 2010년부터 게재된 논문 697편을 전반기(2010년∼2014년)와 후반기(2015∼2020년) 그리고 전기(2015년∼2017년)와 후기(2018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후반기 공통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긍정적 행동지원 등이었다. 전반기의 정서·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정서·행동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후반기의 우울, 청소년, 대학생 등의 키워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나타낸다. 전·후기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우울, 사회적 기술, 대학생, 문제행동 등이었고 전기의 회복탄력성, 문헌연구, 청소년과 후기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사회불안은 연구경향의 부분적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18년 이후 게재 논문은 감소 추세이며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학령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과 성인의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이론·가설탐색 목적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감소 및 위험집단에 대한 관심 증대, 학회 명칭 개칭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is study analyzed 697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i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EBD」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KSEB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0∼2014) and the second half (2015∼2020), and the second half was divide the former (2015∼2017) and the latter (2018∼2020) peri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mmon core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kill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Core keywords in the first half were EBD, asperger disorder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SD, and core keywords in the second half were depressi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shows the trends in research by period. Core keywords in the former and latter periods were ASD, ADHD, depression, social skills, college students, and problem behavior. Resilience, literature research, and PBS in the former periods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latter periods suggest partial changes in research trends. Second, from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for 「JEBD」has been decreasing slightly since 2018. Overal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programs on ASD in school-age children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recently, survey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ories and hypotheses about depression o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ve not been clinically diagnosed tend to be activated by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EBD, an increase in interest in risk groups, and a change in the name of the KSEBD.

      • KCI등재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 체제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

        이재욱 ( Lee¸ Jae Wo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정서·행동장애 교육이 먼저 실시된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체제를 통해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교육 발전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심인성에 의한 적응행동 곤란으로 보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진단은 외부기관과 협력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진단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세 번째로, 교육적 배치에 있어서, 이 두 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학급이나 교육지원센터와 단기치료센터가 운영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이 특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에 주로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학급이나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네 번째로, 교육과정을 보면 이 두 나라에서는 분리형교육과정이나 일반교육 과정의 보완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이 나라들의 사례를 참고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독일에서는 학부-대학원 연계 과정과 2년 이상의 교육 실습과 수습 교사 생활을 거치고 나서 정서·행동장애 교사 자격증을 부여하는 교사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연수나 대학원 과정을 통해 정서·행동장애 학생 지도 능력을 갖춘 교사 양성이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EBD) in Korea by analyzing the education system of students with EBD in Germany and Japan.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in both countries, the definition of EBD is regarded as difficulty in applying adaptive behaviors due to interac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eem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map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cause of EBD in Korea. Second, in both countries, the diagnosis of EBD conducts by cooperating with out of school education, counseling, and support, linked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lecting educational, med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such a diagnosis method in Korea. Third, in the educational placement, various types of classrooms, educational support centers, and short-term treatment centers were operated in these two countries. In Korea, students with EBD are mainly assigned to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rooms, and integrated classrooms, so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stall various types of classrooms or institutions. Fourth, for students with EBD, the two countries operate separate curriculums or supplementary curriculums for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EBD by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se countries in Korea. Finally, German teacher-training system for EBD teacher certificates requires more than two years of educational practicum and probationary teaching, an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linked courses. In Korea, it is not possible to do it like Germany, but in reality, it is possible to train EBD teachers through various training or graduate courses.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미시체계 변수에 따른 정서전염과 공감 수준 분석

        이연희,황순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support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an analysis of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based on the microsystem variable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Method] Accordingly, 28 elementary schools and five welfare centers in Busan, South Gyeongsang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surveyed 306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distribute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children's microsystem variables, emotional infection and the level of empathy. The data on the collected microsystems,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were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NOVA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re usually higher than normal. In addition,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gender,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in fathers' jobs, mothers' jobs, family atmosphere, family types,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in terms of teacher age, close friend sex, and number. [Conclusion] Therefore, existing support measures that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emotional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hould be expanded to microsystems around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should explore specific and broad emo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hildre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 수준을 미시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이에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의 28개 초등학교, 5개 복지관에서 정서ž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30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미시체계 변수 관련 문항과 정서전염과 공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아동의 미시체계와 정서전염, 공감척도에 관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독립표본 t-test, one- 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공감 수준은 일반아동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으나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인 특성변수에서는 학업성취도와 성별, 가정환경 변수에서는 부직업, 모직업, 가정분위기, 가족형태, 학교환경 변수에서는 교사연령, 단짝 친구 성별, 친구와의 활동정도, 친구 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주로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개인의 정서적 중재 위주로 제공되었던 기존 지원들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주변의 미시체계로 그 관심을확장시켜 아동의 환경적 특징을 고려한 구체적인 정서지원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다요소 행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가정학습 방해행동과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해선,김은경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disorder behavior and participation behavior in home learning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when multi-component behavior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their mot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one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ultiple prob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Parents are teamed with behavioral support specialists, and they conducted the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on disruptive behaviors of the target child. Then, the mother implement multi-component behavior intervention including antecedent intervention, alterna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consequence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ruptive behaviors were decreased and the participation behaviors increased. These changes have been sustained after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ed also in home learning with the fa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parents and behavioral support specialists are teamed up to assess the functioning of problem behaviors in the daily routine of child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on that basis, the mother intervenes directly in their daily lives, th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ll change positively and be effective in it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이 연구는 어머니가 실행한 다요소 행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가정학습 방해행동과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아동 1명이며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부모와 행동지원 전문가가 팀을 구성하여 대상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한 후, 어머니가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포함한 다요소 행동중재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 아동의 가정학습 방해행동은 감소하였고, 대체행동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재가 종료되어도 유지되었고, 아버지와의 가정학습 시간에도 일반화되었다. 부모와 행동지원 전문가가 팀을 구성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의 일과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기능을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어머니가 일과 속에서 직접 중재를 실행할 때 자폐성장애 아동의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며 유지 및 일반화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승동 ( Seung Dong Lee ),정훈영 ( Hoon Young J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상동행동과 공격행동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H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자폐성장애 학생 3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을 실시하였다. 구성절차는 자기교시훈련 3단계 중 용암적 자기교시방법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훈련과제의 내용은 문제행동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준화 검사인 KISE-KIT(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orea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의 소항목 중 이름 기억하기, 숨은 그림 찾기, 동작성 검사로 칠교놀이, 그림 무늬 만들기를 일부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훈련과제를 중심으로 하여 인지적 모델링 훈련→외현적 지도 훈련 →외현적 자기지도 훈련→외현적 자기지도 감소 훈련→내현적 자기지도 훈련 등과 같은 절차를 기초선, 실험처치, 유지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은 대상 학생 3명의 상동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은 대상 학생 3명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교수전략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lf-instructional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In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 children with autism who are attending the special school located in Songpa-gu, Seoul.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s Single Subject Experiment Designs, which can be easily utilized in the educational practice. With focusing on those kinds of training program, the sequence of experiment was base line period, experimental treatment, and maintaining to carry out the order of cognitive modeling, overt instruction, overt self-instructional training, reduction of covert self-instruction training, and covert self-instruction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stereotyped behavior was drastically reduced after applied the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The effect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Second, The aggressive behavior was drastically reduced after applied the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The effect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This pattern study proved magnetically that self-instruction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i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of autistic disorder student.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대안적 모형 연구: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李珥)의 심성론을 중심으로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의 심성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대안적 모형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의 심성론을 검토하여 도출된 결론을 보면, 첫째, Freud의 성격구조론에서는 ego가 id를 통제하지 못하거나 superego에 의해 ego가 비난받음으로써 정서 및행동 문제가 발생하며, 이것은 주로 비의식에 의한다. 둘째, 이이의 심성론에서는 정서가 칠정(七情)으로 개념화 되며, 意가 자극에 적절한 정서적 반응(天理)을 선택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반응(人慾)을 선택함으로써 정서적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장특법’의 정서·행동장애 정의는 Freud 이론에 기초한 추론적 분류체계에 의한 것으로 제안되는 반면에 Freud 이론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전문가의 학적 토 대와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모형과, 이이의 마음구조 및 정서에 대한 개념을 고려한 정의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제안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대안적 모형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현재 ‘장특법’의 정서·행동장애 정의는 우리나라의 학적 토대와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재검토되어야 하며, 둘째, 정서·행동장애 정의 모형 산출과정에서 한국의 정서·행동장애 전문가들의 학문적 풍토와 한국학적 심성론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explored alternative definition mode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studying both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and a confucian, Yi Yi`s theory of mind.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pathological problems in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are derived from two forms, one is caused by id and the other is superego. And the present definition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in Korea was affected from it.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happen indesirable emotional response in Yi Yi`s theory of mind, if ui(意) select iyog(人慾), while not cholri(天理). Third,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an alternative definition model considering both descriptive-behavioral classification and Yi Yi`s theory of mind, with abandoning definition model of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or descriptive-inferal classification.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분석

        조수현 ( Jo Su Hyun ),방명애 ( Bang Myong Ye ),홍점숙 ( Hong Jeom Su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발표된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4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 독립변인과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및 중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재를 적용한 장소가 가정인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부모가 연구 중재자로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는 개별차원의 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에 배경/선행사건 중심의 중재, 기술습득 중심의 중재, 후속결과 중심의 중재 및 삶의 질/생활양식 중심의 중재가 모두 포함된 연구는 5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중 예방 및 교육 중심 접근과 대상 존중접근은 분석 대상 논문 14편 모두 충족하였으나 삶의 질/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접근은 7편만 충족하였다. 넷째, 분석대상 연구가 보고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효과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과제완수율과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행동지원이 향상된 것이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2008 to 2017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major factor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intervention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student’s home was most widely used as a place for an intervention.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ost widely used interventions were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ird, only five out of 14 studies included all four interventions: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skill acquisition-based interven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 and lifestyle-based intervention. Fourth, in most studies, the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task comple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dition, parents’ behavior supports for their children wer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