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손성호 ( Sungho Son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핵심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의 생애주기를 적응기, 자립기, 성찰기 세단계로 구분하고 역량모델링과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의 연구방법의 2가지 방법을 단계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군, 상담/ 학급운영 역량군, 학교업무/ 행정 역량군, 교사소양 역량군으로 구분하였고, 생애주기별로 적응기 핵심역량 12개, 자립기 핵심역량 11개, 성찰기 핵심역량 14개, 교사소양 공통 핵심역량 5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각 핵심역량별로 역량정의와 평균 3~4개의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총 42개의 핵심역량 정의와 행동지표로 규명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필수역량과 기본역량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로 필수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개발하였는데, 적응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적응기 초·중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자립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자립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성찰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성찰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프로파일은 각 교육과정 콘텐츠별로 교육과정 정의, 대상, 해당역량, 행동지표, 역량개발 주제어(Keyword), 역량개발방법, 교육목표 등을 명세화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원평가제도, 학습연구년제, 수석교사제 등 다양한 정책적 분야에 활용됨으로써 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nd behavior indexes required in each phase of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and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consists of three phases; adaptation, independence and reflection.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ertise in curriculum & lessons, counseling & class management, school affairs & administration, and teachers` qualifications. competencies. As to each phase of teachers` career cycle, 12 key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the adaptation phase, followed by 11 competencies for the independence phase, 14 competencies for the reflection phase and 5 common, key competencies for teachers` qualifications.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3~4 behavior indexe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42 key compet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design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also for various systems such as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research sabbatical system and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reby making contributions to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key competencies.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정선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and to get the under-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of P university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8 students who took the subjects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2014 fall term. After taking the subjects, the survey asked students their opinions on achievements, improvements and important degrees of core competence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important degre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global capabilities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among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extent of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were surveyed most highly about achievement. Third, students said that global cap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re dealing with important in the curriculum. While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found that it improve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es. Forth, general education course based on core competences was investigated by the lower response rate than the response rate does not match that comply with the seven core competencies of the P university. Fifth. depending on how many take general education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was investigated as study the survey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greater the number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taken were investigated the response does not match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OVA test of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different majo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research on the results of operations of our core competencies curriculum by introducing a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determine what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is supplemented with directional elements need to be pursued in the P university, and get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t will also be able to become a base material through a follow-up study on such evaluation criteria as the preferred 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apabiliti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ent operating core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 및 향상도와 중요도 등을 분석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성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함양하고자 하는 역량이 무엇인 지를 알아보고, 실제로 교양교육과정을 통하여 그러한 핵심역량들이 어느 정도 성취되어지고 향상되어지는 지를 조사해보았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학부생들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협업 역량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취정도에 대해서는 협업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향상되었는지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협업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교육과정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문제해결 역량 순으로 응답하여 성취정도 또는 향상정도가 높은 역량들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 교양교육과정이 대학의 7개 핵심역량과 부합한다는 응답율이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율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교양교과목 수강 빈도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는 수강 과목이 많아질수록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부합한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계열에 따른 핵심역량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을 제외하고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한 결과에 대한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통해 역량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성취도, 향상도 등으로 역량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과 보완해야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교양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량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준거와 바람직한 평가 방법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운영중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단과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 탐색

        유지선(Ji-Sun You),김덕파(Dukp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우리나라 고등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대학 전체의 교육 방향에 근간이 되는 핵심역량과 전공교육의 기반이 되는 전공역량의 두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유기적인 연계는 대학 교육과정이 전체성과 통일성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연계 모형을 탐색하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체계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 방법을 탐색하고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특징 및 연계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단과대학의 전공역량 연계 모형 초안을 개발한다. 셋째,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FGI 실시 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안을 도출한다. 넷째, 종합대학인 A 대학교 교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정안을 적용안으로 수정하여 최종안으로 확정한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부 사업 유치와 평가 대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역량 설정이나 수업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실질적인 역량 향상을 돕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역량기반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사회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되는 대학교육 질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다. 둘째, ‘핵심역량의 포괄성 및 구체성 수준’과 ‘각 단과대학의 학문적 특징’을 기준으로 네 가지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인 ‘전공역량 중핵형, 전공역량 일치형, 전공역량 연계형, 전공역량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을 두 축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아직 도입 단계로서 본 연구가 제시한 네 가지 연계 모형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면 보다 완성도 높은 교육과정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twofold - university-wide key competencies which shap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and discipline specific major competencies on which major education is based. As such,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in a systematic way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otality and unity of university's major curricula. This study aims 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zation of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by developing systematic way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via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at are develop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FGI is conducted with curriculum expert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explored by a survey among professo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First, this study finds the curr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exhibit both a limitation and an advantag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among Korean universities as a means to evaluate education qua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tentimes, competencies were selected without the interest and consensus of school member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a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s a resul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not fully functional in developing students' actual competencies.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by systematizing a curriculum feedback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and society and emphasizing educators' responsibiliti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which are labelled as core major competencies model, equivalent key-major competencies model, overlapping key-major competencies model, inclusive major competencies model. They differ by the relative scope and specificity of key and major competencies. Conclusion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in its initial stage. The four models that this study proposes can be utilized to further develop current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a.

      • KCI등재후보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이효성(Hyo Soung Lee),이용환(Young Hwan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34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역량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과 같은 해외 국가와 우리나라의 기업, 정부 기관, 대학 등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에서 진행된 교육개혁과 국내에서 운영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모두 기존 교육과정 또는 교육시스템의 대안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사용되고 있는 역량 개념에 관한 요소 및 내용에 있어 통일된 합의점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았다. 셋째, 새롭게 개발되어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실제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넷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는 유연성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역량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거나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할 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o seek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aper examin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competency and researched the applications of competency based curricula in the enterprises,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New Zealand, Canada as well as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education reform progressing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a operating in Korea purport to be alternatives to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s and curricula. Second,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agreed elements and contents of the concept of competency. Third, competency based curriculum which is newly developed and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practice-oriented. Fourth, flexibility was required whe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some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이영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1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 competency-based English curriculum through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s then analyzed from the competency perspectiv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are some significant changes toward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document.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arget competencies are defined clearly, and learning outcomes are described in terms of competencies. The 2022 curriculum clearly define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broadening the no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ets it as both an overarching core competency and an ultimate subject goal. The curriculum also presents six subject goals and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general guidelines of 2022 School Curriculum, strengthening its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most noticeable change towards competency-based approach is observed in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revised curriculum. Drawing upon the concept of wholeness of competency, it specifies knowledge, skills, functions, strategies, values, and attitudes in an integrated, balanced manner that students are expected to acquire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competency. Achievement standards also reflect all subject competencies, moving away from the previous heavy focus on skills and functions to embracing new standards for strategies, values, and attitude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a need to incorporate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contexts into the content structure and standard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English curriculum. 본 연구는 일반 교육학 및 영어 교육 분야의 역량 관련 문헌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역량기반 영어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이전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보다 충실하게 구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명시하고 이를중심으로 목표를 기술하는데,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을 확장한 의사소통 역량을 총괄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하위 역량과 세부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부 목표에서는 총론 핵심역량과의 관련성도 분명히 드러나도록 하였다. ‘내용 체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가 가장 분명하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역량의 함양을 위해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지식, 기능, 전략, 가치 및 태도를 통합적이고 균형적으로 다룰 수있도록 내용의 영역과 범주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성취기준’에서는 기능에 치우쳤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하여 모든 교과 역량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전략이나 가치‧태도에 대한 성취기준이 신설되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개선 과제들도 일부 확인되었다. 내용의 영역과 성취기준에 ‘상호작용’ 영역을 추가하는 것과 구체적인 의사소통 활동이나 맥락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이주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량이 도입된 이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제로 개발‧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지원 방안과 차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6개 시‧도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의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경험한 주요 어려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1)역량 개념의 모호성, (2)역량의 과다 및 역량들 간의 관계 혼란, (3)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자료 및 정보의 부족, (4)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및 경험 부족, (5)역량 함양 활동으로 인한 기초 학습의 소홀에 대한 우려, (6)역량 함양 정도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 총 6가지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운영에 대해 논의하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When the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been rising these days since competencies was adop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that teacher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it was aimed a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rteen teachers were selected to be interviewed from ‘Research School'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ix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fter interviewing participants, major difficult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experienced are as follows in the course tha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1) Ambiguity in the meaning of the competency, (2) Overabundance of the competencies and the confusion of relation between competencies, (3) Deficiency in practical inform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4) Lack of teachers’ comprehension and experienc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5) Concerns about neglect of basic academic area due to emphasis on competency, (6) Difficulty in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lan to suppor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한국 D대학교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의 성과평가 방법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필성(Pil-Seo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교육의 역량기반 교육으로의 변화 양상을 이해해보려고 한다. 2000년대 중 후반부터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며, 역량개념이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의 정책으로 반영되고 학교 현장에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학교는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역량기반으로 전공/교양/비교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질 관리 체계를 구축·운영 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이 한국의 대학교육에 도입 된지 10여년이 되는 상황에서 한국대학교육의 변화를 실제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D대 학교에서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 성과평가 방법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연 구결과, D대학교는 학과 교육과정 컨설팅을 통해 학과로부터의 성과평가 방안을 찾아갔으며, 학부교 육을 내실화하는 방향으로 학과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과정 성과평가 방안을 마련해가고 있었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학과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학과가 교 육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aspect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in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ince the middle/late 2000s, the discuss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is concretely reflecting to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operational policies, which is spreading to school site. Therefore, universities of Korea are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major/liberal arts/extra activity based on such competencies, and also establishing/operating the quality-control system. A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to the university education of Korea,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researches actually studying the change i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competency-based department curriculum of D university of Korea.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D university found the measure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departments through department curriculum consulting, and also established the measure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department custom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method to substantialize the department education. Based on such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for departments to independently operate the educational change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hen carrying for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policies.

      • KCI등재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김현미 ( Hyun Mi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평생학습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아는가’라기 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교 교육에 대한 고민 속에서 최근 세계 각국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는 교육 개혁의 특징적인 산물 중 하나이다. 이에 본 특집호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영국, 뉴질랜드, 대만,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 호주, 프랑스 등 외국의 역량기반지리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을 띠고 있는지 그 특징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역량이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21세기 핵심역량이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러한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개발된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지리 교육과정이 어떤 형태로 제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외국의 지리 교육과정은 범교과적 역량을 교과 교육을 통해 구현하거나 교과 고유의 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지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수준과 형태로 핵심역량을 반영하고 있었다. 역량기반 지리 교육과정은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비명시적으로 제시되었던 역량을 문서상에서 보다 명시적으로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핵심역량이 교과를 통해 계발될 수있도록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적 지식을 선별하여 제시하고, 이와 연계하여 지리적 탐구와 기능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보다 강화하여 이를 상세화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Currently the educational reform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have occurred around the world, one of which might be characterized a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ideas of what the competency is about, why it is important for the 21st century students, and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particularly, of Geography) looks like through exploring the national(or state) curricula of England, New Zealand, Taiwan, Canada Quebec, US North Carolina, Singapore, Australia, and France among many. In general, such competency-based curricula tend to explicitly emphasize key competencies and tell how geography contributes to foster 21C key competencies selected.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key competencies through the selection of core(or essential) knowledge, the emphasis of geographic inquiry and skills, which are clarified and well- structured by grade level, and the integration of geographic knowledge and skills in geography curriculum.

      • KCI등재

        핵심역량기반 프랑스 유아교육과정 개혁의 시사점

        이화도(Lee, hwa-d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의 성공적 사례를 보이는 프랑스의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목적,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프랑스는 2005년 법령을 통해 최근 OECD가 규정한 핵심역량개념에 근거한 기본학습능력(socle commun)이 모든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원리임을 밝힌 이후,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육전반에 걸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오랫동안 유아공교육체제를 이루고 있는 프랑스는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는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성공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역량개념에 근거한 프랑스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개혁은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역량 기반 유치원 교육과정의 논의는 평가체계뿐 아니라 교육전반에 걸친 변화를 요구한다. 셋째, 역량의 개념은 지식(competences), 능력(capacites), 태도(attitudes)측면의 총체적 개념으로 접근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은 유아교육의 특성과 함께 논의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이 모든 교육단계에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의 특성,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적용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최근 유아공교육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하는 한국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France, which is successfu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rti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to explore the purpose and meaning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France has pursued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throughout education since France announced that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recently regulated by OECD is the basic principle of all education courses configuration on the basis of legislation in 2005. France, which has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system from long time ago, has presented a successful mode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starting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French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First,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from the stag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discussion 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needs not only the rating system but also the changes across the education. Third, the concept of competence should be approached as a holistic concept in the aspects of competences, capacites and attitudes. Fourth,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 should be discussed and ru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is an example show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 should be applied flexibl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and the subject, rather than equally to all levels of education, an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put an effort on building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system these days.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현장 재구성을 위한 ‘역량’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오세웅,강동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a plan to apply the competency-based basic curriculum in order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in terms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riticall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competence' presented in general and individual theories, this section deals only with 'competence' in general. [Method] Critically reinterpreted and analyzed in term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research on competency-related curriculum,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basic curriculum. [Results] Although 'competence'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s borrowed from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he coherence of the introduction of 'capability' can be found due to the universality of educa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competency-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Pursuing Human Figure i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re desirable for the pursuit of the Human Figure, but they are causing confusion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r Human Figures and the Six Core Competencies. Third, there is a contextual confusion between the human image, core competencies, and school level educational goals that are also pursued in the school level educational goals. [Conclusion] The general theory of curriculu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human beings and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It should be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for the reflected 'competence'. In particular, th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theory are the 'course competencies', 'core concepts' and functions of each subject of each theory, 'core concepts', 'accomplishment criteria',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ince the concept has a profound effect and will function positively in restructur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 first suggest a re-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e' in general. [목적] 이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의 효율성 확보 차원에서 ‘역량기반 기본 교육과정 적용 방안’을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에서 총론과 각론에 제시되는 ‘역량’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하여야 하나, 여기서는 총론에 나타난 ‘역량’만을 다룬다. [방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역량’이 도입된 배경을 중심으로 ‘역량’을재 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준’의 총론에 제시된 ‘역량’을 특수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고 분석 하였다. [결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제시되는 ‘역량’ 은 교육의 보편성차원에서 그 도입의 정합성을 찾을 수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구성 방향의 ‘추구하는 인간상’에 제시되는 ‘핵심역량’은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에는 바람직하나, ‘4대 인간상’과 ‘6대 핵심역량’간의 연계성에 혼란을 야기 시키고, 셋째, ‘학교 급별 교육 목표’에서도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그리고 학교 급별 교육 목표 간에 맥락적으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결론] 총론에서 제시되는 ‘핵심역량’은 각론의 각 교과의 ‘교과역량’과 ‘핵심개념’ 그리고 기능, ‘핵심 개념’,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에 걸쳐 ‘역량’의 개념이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에 졀정적으로 기능하게 됨으로 먼저 총론에서의 ‘역량’에 대한 재 개념화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