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투와 양수를 고려한 경우에 해안대수층에서 횡분산지수에 따른 염분농도의 변화

        박재성(Jae Sung Park)(朴載成),이호진(Ho Jin Lee)(李昊振)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7

        연안지방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지하수개발이 무계획적으로 급속히 이루어졌다.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해는 해수침투이다. 해수침투는 해안대수층의 지하수 평형이 붕괴되어 해수가 담수지하수계로 유입되어 지하수가 수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현상이다. 해수침투를 조사하는 기법으로 관측 및 탐사를 활용하고 있지만, 몇 개의 자료로 해수침투 양상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수침투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모형인 FEMWATER 모형을 이용하여 분산지수에 따른 염분농도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실제 자연현상과 유사하게 강우에 의한 침투와 양수를 고려하여 실측자료가 존재하는 300일의 기간에 대해서 해수침투현상을 모의하였다. 해석결과 지표에 가까운 지층에서는 담수지하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해수와 직접 맞닿아 있는 지층에서는 해수침투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를 개발할 때 대수층의 해수침투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도가 깊은 지층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 in coastal area, groundwater was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 unplanned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caused many problems, and the typical problem is seawater intrusion. Seawater intrusion where saline water infiltrates into the fresh groundwater system along the coastal aqui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water intrusion at a selected coastal aquifer site. The variation of TDS concentration with dipersivity in coastal aquifer is simulated by using FEMWATER model, which is developed to simulate water flow and mass transport through saturated-unsaturated media.

      • KCI등재

        PBM (Porous Body Model) 기반의 N-S Solver를 이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

        이우동,정영한,허동수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2

        본 연구에서는 해수-담수-해안대수층의 비선형 상호작용을 직접 해석할 있는 PBM(Porous Body Model) 기반의 3차원 N-S Solver인 LES-WASS-3D ver 2.0을 적용하며,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N-S Solver를 적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는 국내 최초 수행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외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새로운 수치해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적용하는 수치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안대수층의 해수-담수 경계면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결과와 비교·검토 하여 수치모델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여 해수위-지하수위 차와 해수위의 비(△h/h)의 증가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유동장 그리고 해수-담수 경계면 분포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확산 수치모델에서 도출할 수 없었던, △h/h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연직 염분농도로 부터 해수침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지표화 할 수 있는 △h/h가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h/h가 작을수록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가 약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lies 3-D N-S solver based on PBM (Porous Body Model), LED-WASS-3D ver 2.0 to directly analyze non-linear interaction of seawater-freshwater-coastal aquifer in order to simulate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This numerical simulation is the first trial in Korea, as well as unusual and new numerical analysis abroad. Firstly, to validate the applied numerical model,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was verified for the numerical model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it with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for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in coastal aquifer. And then it simulated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considering the changed levels of seawater and groundwater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 field and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of coastal aquifer as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eawater and groundwater and rate of seawater level (△h/h) increas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filtration were analyzed from the vertical salinity in the coastal aquifer by △h/h, which cannot be obtained from existing non-diffusion numerical models. Finally, it analyzed the effect of △h/h on the seawater infiltration distance in coastal aquifer, which was indexed.

      • KCI등재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awa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Yang Jeong-Seok,Lee Jae-Beom,Kim Il-Hwa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SEAWAT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을 파악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미래의 해수침투 피해 예상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해수침투 피해 저감 대책의 피해면적 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14.90 km2로 나타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2099년 여수지역의 예상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RCP 4.5의 경우 19.19 km2이며, RCP 8.5의 경우 20.43 km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저감대책으로 인공함양을 고려하였을 때, 총 300 m3/d, 100 m3/d, 50 m3/d의 함양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을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7.03%, RCP 8.5의 경우 8.32% 감소하였다. 물리적 차수벽 대책의 경우는 차수벽의 두께를 0.8 m, 1.3 m, 1.8 m 로 설정하였을 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9.80%, RCP 8.5의 경우 10.30%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해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과 그에 수반한 2차적인 피해를 막기 위한 대비책을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인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awater intrusion areas were calculated in Yeosu region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the effects of countermeasures for seawater intrusion were analyzed using SEAWAT program. The estimated seawater intrusion area was 14.90 km2 in 2015. When we appli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area was changed to 19.19 km2 for RCP 4.5 and 20.43 km2 for RCP 8.5 respectively. The mitigation effects by artificial recharge with total 50 m3/d, 100 m3/d, and 300 m3/d are from 3.75% to 10.68% for RCP 4.5, and from 5.82% to 10.77% for RCP 8.5 respectively. If we install barrier wall with the thickness 0.8 m, 1.3 m, and 1.8 m, the mitigation effects are from 6.67% to 12.04% for RCP 4.5, and from 6.17% to 14.98% for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 a logical means of quantitative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in coastal areas.

      • KCI등재후보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에서 분산지수에 따른 해수침투 범위의 변화

        심병완,정상용,김희준,성익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 지하수토양환경 Vol.7 No.4

        분산지수는 해수침투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이며. 이를 현장실험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종 기존의 실험과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된 것을 이용한다. 그러나 그 분산지수가 실제 대수층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할 경우, 모델링 결과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델링에서 모사된 해수침투 범위와 현장측정치 및 겉보기비저항 단면도를 비교하여 이용된 분산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수치모델링 결과, Neuman의 종분산지수보다 Xu의 종분산지수를 적용한 TDS분포가 연구지역내 관측공과 모니터링 우물에서의 현장측정치와 비교하였을 때 더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Xu의 분산지수를 이용한 수치모델링에서 해수침투 범위는 건기인 5월에는 TDS 1000mg/L 등치선이 해안에서 약 480m 지점에 위치하며, 7월에는 해안에서 약 390m 지점에 위치한다. 이 차이는 강우에 의한 수리경사의 계절적인 변화에 의해서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이 7월에 약 90m 정도 해안쪽으로 더 이동하였기 때문에 나타났다. 겉보기비저항 단면도에서는 해수와 담수의 경계로서 15 ohm-m 등치선을 이용하여 해수침투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해수침투 범위가 해안으로부터 약 450m 지점에 위치하였다. 이것은 Xu의 분산지수를 이용한 수치모델링에서 모사된 해수침투 범위와 유사한 결과이다. 따라서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에서 분산지수에 따라 해수침투 범위가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지역에서는 Xu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분산지수가 해수침투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더 유효하였다. As a parameter for hydrodynamic modeling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dispersivities are frequently determined from pre-experiments or theoretical studies because field experiments need a lot of time and expenses. If the dispersivities are inadequate for an aquifer, the numerical results may have some errors. We examined the validity of longitudinal dispersivities by comparing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with numerical modeling, field data and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In the numerical modeling the TDS distributions simulated by the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are more similar to the values of TDS measured at monitoring wet]s and boreholes than those by the Neuman's longitudinal dispersivity.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b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show that the contour line of 1000 ㎎/L. as TDS is located at 480 m from the coast in May, while at 390 m in July. The difference is originated from the shift of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It moved toward the coast in July because of the seasonal increase of hydraulic gradient according to rainfall. A contour line of 15 ohm-m was used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From this criterion on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s located at 450 m from the coast.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imulated by the numerical modeling using Xu's dispersivity. Therefor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hows the difference due to the dispersivities used for the hydrodynamic modeling and the dispersivity generated by the Xu's equation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o decid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this study area.

      • 해안지역 과잉 양수정의 보호를 위한 해수양수의 효과

        박남식 ( Nam Sik Park ),정은태 ( Eun Tae Jung ),이미지 ( Mi Ji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수자원 이용량의 증가 및 수자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하수 이용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연안지역에서는 과도한 양수로 인해 지하수에 해수가 유입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수질이 악화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취수정에서의 염분 검출 및 주변 생태계 파괴 등 해수 침투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수침투 저감 기술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담수의 과잉양수로 인해 담수량이 감소한 부분에 대해서 담수를 주입하는 담수 주입 방법과 담수 양수정에 해수가 침투하기 전에 해수를 양수하는 해수양수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양수로 인하여 해수침투를 저감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지하수 경계면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리수문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과 해수침투의 정도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해수양수량이 증가하고 해수양수정의 위치가 해안선에 접할수록 해수침투 저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양수정에서의 과잉 양수량이 증가하면 해수양수량 역시 증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해안지역에서 과잉 양수정으로 인한 해수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해수 양수 기법은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등의 수리지질 특성을 고려하여 해수관정의 위치와 해수양수량을 결정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KCI등재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과 제주도 동부 지역 지하수의 염수대 변화

        김경호,신지연,고은희,고기원,이강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3

        Groundwater is the main water resource in Jeju Island because storage of surface water in reservoir is difficult in the island due to the permeable volcanic rocks. Because of this reason, the groundwater is expected to be very vulnerable to seawater intrusion by global warming, which will cause sea level rise. The long term change of mean sea leve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ea level rise over the past 40 years was estimated to be of 2.16 ± 1.71 mm/y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rising trend around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was more remarkable. In addition, the groundwater/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operated by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shows that seawater intrusion becomes more prominent during dry 4-5 months in a year when the sea level increases. This implies that the fresh groundwater lens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is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long term scale.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류로 형성이 되어 지표수의 발달이 빈약하므로 수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여 지하수로의 해수 침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는 취약성을 지녔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조위 관측 자료를 토대로 한반도 주변과 제주도 근해의 장기 적인 해수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40년 간 한반도 주변에서 해수면이 2.16 ± 1.71 mm/yr의 속도로 뚜렷 한 상승 양상을 보였으며 제주도 해안에서는 더욱 빠른 속도로 해수면이 상승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특 별자치도의 지하수/해수침투관측망의 지하수 관측 자료를 통하여 갈수기 중 해수면이 연주기적으로 상승하는 4-5개 월 정도의 시기 동안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고 있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제주도 동부 지역이 장기적으로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였음을 간 접적으로 보였다. 이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이 그 동안 관찰되어 왔던 제주도 동부 지역의 해수 침투 현상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인공해수 침지조건에 따른 부식촉진시험과 염화물침투해석에 대한 연구

        박상순,정지원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1

        해수중 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된 철근은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부식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해수중 환경의 부식촉진시험은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실시되어, 실제 부식 메커니즘과 맞지 않고 장기거동과의 상관성 도출도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중 환경에서의 부식촉진시험법을 정립하기 위해 온도와 염화물농도를 주된 변수로 부식촉진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식의 발생 유무는갈바닉 전위측정법과 반전지전위법을 통한 철근부식모니터링 결과로 판단하였다. 부식촉진시험 결과 온도의 영향이 가장 지배적이라고 평가되었다. 염화물량은 시험 시편의 깊이별 염화물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FEM 내구성 해석 프로그램인 DuCOM을 통해 염화물침투 해석을 실시하여 입증하였다. 또한, 인공해수 침지 조건에 따른 용존 산소량은 실험을 통해 구했으며 이를 통해 부식촉진시험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Steel reinforcement buried in concrete structure in submerged zone does not easily become corroded due to lack of dissolved oxygen. For that reason, accelerated corrosion test in submerged state is performed with an electrochemical method, which is notsuitable for actual corrosion mechanism and makes it difficult to find relevance with long-term behavior. In this study, acceleratedcorrosion test was performed with the temperature and chloride concentration as main variable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accelerated corrosion test in submerged zone. Corrosion was determined by the result of reinforcement corrosion monitoring basedon galvanic potential measurement and half-cell potential method. The accelerated corrosion test result showed that temperature had the most dominant influence. To determine the chloride content, chloride concentration by depth in the test sample was measured. With the same conditions, chloride penetration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by DuCOM, a FEM durability interpretation program.Also, a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dissolved oxygen according to soaking conditions of artificial seawater, which was used for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accelerated corrosion test result.

      • KCI등재

        해수 침투 특성 평가를 위한 장심도 GPR 탐사 적용성 연구

        유희은,현승규 대한지질공학회 2024 지질공학 Vol.34 No.4

        방사성 폐기분 처분시설(이하 ‘방폐장’)은 방사성 핵종의 누출 평가를 위해 건설 중, 운영 중 및 폐쇄 후에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부지특성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특히, 해안 부근의 방폐장은 해수의영향을 받아 결정질암의 투수성이 증가하거나 단열대의 생성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시추공에서 취득한 시료를 활용한 모니터링은 높은 정확성을 제공하지만, 제한된 지점 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공간적 해석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지구물리탐사는 2차원, 3차원의 자료를 확보하여 넓은영역의 지하구조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이다. 그 중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는 비파괴적이며, 짧은 시간 안에 깊은 심도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 중 ‧ 저준위 방폐장이 위치한 해안선을 따라 장심도 GPR 탐사를 수행하여 해수 침투 특성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방폐장 부지에 대한기존 지하수 유동 모델링 결과와 지하수 전기전도도 모니터링 자료와 비교 ‧ 검토하여 장심도 GPR 탐사가 해수 침투 관련 모니터링에 적용할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장심도 GPR 탐사 자료와 지하수 관정 내 전기전도도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해수 침투 특성 평가를 위한 장심도 GPR 의 정확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GPR 탐사가 해수 침투 평가를 위한 지하수 유동 모델링의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리지질학적 특성과 연계되는 구조 지질학적 특성 조사 및 부지특성 모니터링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ensure the safety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continuous monitoring during const ruction and after closure is essential, particularly for coastal sites where seawater can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crystalline rocks and promote fracture zone formation. While borehole sampling provides high-accuracy data, its limited spatial coverage restricts broader interpretations. In contrast, geophysical surveys enable th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2D and 3D data,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extensive subsurface structures.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due to its ability to non-destructively acquire deep subsurface data in a short time. This paper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trusion using the results of long-range GPR survey along the coast near a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s located. The applicability of long- range GPR surveys for monitoring seawater intrus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viously published groundwater flow modeling scenarios and groundwater electrical conductivity data. A comparative analysis of long-range GPR survey data and the conductivity of groundwater validated the accuracy of long-range GPR in accessing seawater intrusion characteristics. Long-range GPR can be employed to verify groundwater flow model for seawater intrusion evaluations, and can also be applied to structural geological investigations related to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site characterization monitoring.

      • KCI등재SCOPUS

        연안암반대수층의 해수침투경향성 파악을 위한 전기전도도 시계열 분석과 예측

        주정웅(Jeong-Woung Ju),여인욱(In Wook Ye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4

        전라남도는 연안지역은 농업활동과 상수도의 미보급으로 인하여 지하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지하수의 과다사용은 지하수위 저하를 일으키며 그로 인한 해수침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해수침투 관리가 매우 필요한 지역이다. 전라남도 무안군의 연안암반대수층에서 측정된 EC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가 대수층에 적합한 시계열 모형을 구축하고, 해수침투의 지표인 EC를 예측하고자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1년 이상 측정한 EC 시계열 자료는 짧은 주기적인 변동과 함께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비정상 시계열의 특성을 보였다.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시계열 모형 식별 결과 ARIMA 모형과 계절적인 요인을 고려 할 수 있는 SARIMA 모형 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모형 적용한 결과, EC의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해 ARIMA보다는 EC 자료의 변동 특성을 잘 반영한 SARIMA 모형이 예측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시계열 분석은 암반 대수층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EC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Seawater intrusion into coastal fractured rock aquifer, resulting in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of serious concern in coastal areas of Jeolla Namdo, Korea, which heavily depends on groundwater resources.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were carried out to analyze and predict EC which is a major indicator of seawater intrusion. Two time series models of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and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SARIMA) were tested for suggesting appropriate time series model. Time series data of EC measured over one year showed a increasing trend with short periodic fluctuations, due to tidal effect and pumping, which indicated that EC time series data tended to be non-stationary. SARIMA model was found better fitted to observed EC than any other time series model. Time series analysis and modeling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to analyze EC at coastal fractured rock aquifer subject to seawater intrusion.

      • KCI우수등재

        제주 서부 지역 해수침투 방지를 위한 적정 양수량 산정기법

        김민규,장선우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4

        Agricultural activities of western Jeju island has suffered from saltwater intrusion seasonall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e the occurrence of salt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quifer and to consider a management plan using MODFLOW-family code SEAWAT model. Model results show that the saltwater-freshwater interface intrudes inland only a few meters and that upconing phenomenon is rather the cause of the severe disaster of the agricultural water contamination. This study selected Gosan area as a representative site to estimate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regulation against upconing by seasonal pumping for agriculture. The suggested optimal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method considers the groundwater levels of representative monitoring wells for regulatory alarms. 제주 서부 지역은 해수침투로 인해 농업 활동이 지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부 유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의 발생 원인을 밝히고 이에 따른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3차원 밀도기반 지하수 유동 모델인 SEAWAT을 사용하여 정밀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담염수 경계면이 내륙방향으로 이동한 것은 몇십미터 수준이었으나 해수 쐐기에 의한 계절별 관정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밝혀내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는 고산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 쐐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적정 양수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적정 양수량은 제주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뭄 대응 기준수위 정책과 연계한 방식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실제 사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