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투와 양수를 고려한 경우에 해안대수층에서 횡분산지수에 따른 염분농도의 변화

        박재성(Jae Sung Park)(朴載成),이호진(Ho Jin Lee)(李昊振)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7

        연안지방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지하수개발이 무계획적으로 급속히 이루어졌다.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해는 해수침투이다. 해수침투는 해안대수층의 지하수 평형이 붕괴되어 해수가 담수지하수계로 유입되어 지하수가 수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현상이다. 해수침투를 조사하는 기법으로 관측 및 탐사를 활용하고 있지만, 몇 개의 자료로 해수침투 양상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수침투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모형인 FEMWATER 모형을 이용하여 분산지수에 따른 염분농도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실제 자연현상과 유사하게 강우에 의한 침투와 양수를 고려하여 실측자료가 존재하는 300일의 기간에 대해서 해수침투현상을 모의하였다. 해석결과 지표에 가까운 지층에서는 담수지하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해수와 직접 맞닿아 있는 지층에서는 해수침투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를 개발할 때 대수층의 해수침투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도가 깊은 지층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 in coastal area, groundwater was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 unplanned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caused many problems, and the typical problem is seawater intrusion. Seawater intrusion where saline water infiltrates into the fresh groundwater system along the coastal aqui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water intrusion at a selected coastal aquifer site. The variation of TDS concentration with dipersivity in coastal aquifer is simulated by using FEMWATER model, which is developed to simulate water flow and mass transport through saturated-unsaturated media.

      • KCI등재

        PBM (Porous Body Model) 기반의 N-S Solver를 이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

        이우동,정영한,허동수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2

        본 연구에서는 해수-담수-해안대수층의 비선형 상호작용을 직접 해석할 있는 PBM(Porous Body Model) 기반의 3차원 N-S Solver인 LES-WASS-3D ver 2.0을 적용하며,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N-S Solver를 적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는 국내 최초 수행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외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새로운 수치해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적용하는 수치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안대수층의 해수-담수 경계면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결과와 비교·검토 하여 수치모델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여 해수위-지하수위 차와 해수위의 비(△h/h)의 증가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유동장 그리고 해수-담수 경계면 분포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확산 수치모델에서 도출할 수 없었던, △h/h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연직 염분농도로 부터 해수침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지표화 할 수 있는 △h/h가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h/h가 작을수록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가 약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lies 3-D N-S solver based on PBM (Porous Body Model), LED-WASS-3D ver 2.0 to directly analyze non-linear interaction of seawater-freshwater-coastal aquifer in order to simulate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This numerical simulation is the first trial in Korea, as well as unusual and new numerical analysis abroad. Firstly, to validate the applied numerical model,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was verified for the numerical model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it with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for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in coastal aquifer. And then it simulated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considering the changed levels of seawater and groundwater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 field and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of coastal aquifer as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eawater and groundwater and rate of seawater level (△h/h) increas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filtration were analyzed from the vertical salinity in the coastal aquifer by △h/h, which cannot be obtained from existing non-diffusion numerical models. Finally, it analyzed the effect of △h/h on the seawater infiltration distance in coastal aquifer, which was indexed.

      • KCI등재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awa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Yang Jeong-Seok,Lee Jae-Beom,Kim Il-Hwa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SEAWAT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을 파악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미래의 해수침투 피해 예상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해수침투 피해 저감 대책의 피해면적 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14.90 km2로 나타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2099년 여수지역의 예상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RCP 4.5의 경우 19.19 km2이며, RCP 8.5의 경우 20.43 km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저감대책으로 인공함양을 고려하였을 때, 총 300 m3/d, 100 m3/d, 50 m3/d의 함양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을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7.03%, RCP 8.5의 경우 8.32% 감소하였다. 물리적 차수벽 대책의 경우는 차수벽의 두께를 0.8 m, 1.3 m, 1.8 m 로 설정하였을 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9.80%, RCP 8.5의 경우 10.30%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해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과 그에 수반한 2차적인 피해를 막기 위한 대비책을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인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awater intrusion areas were calculated in Yeosu region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the effects of countermeasures for seawater intrusion were analyzed using SEAWAT program. The estimated seawater intrusion area was 14.90 km2 in 2015. When we appli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area was changed to 19.19 km2 for RCP 4.5 and 20.43 km2 for RCP 8.5 respectively. The mitigation effects by artificial recharge with total 50 m3/d, 100 m3/d, and 300 m3/d are from 3.75% to 10.68% for RCP 4.5, and from 5.82% to 10.77% for RCP 8.5 respectively. If we install barrier wall with the thickness 0.8 m, 1.3 m, and 1.8 m, the mitigation effects are from 6.67% to 12.04% for RCP 4.5, and from 6.17% to 14.98% for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 a logical means of quantitative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in coastal areas.

      • 해안지역 과잉 양수정의 보호를 위한 해수양수의 효과

        박남식 ( Nam Sik Park ),정은태 ( Eun Tae Jung ),이미지 ( Mi Ji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수자원 이용량의 증가 및 수자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하수 이용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연안지역에서는 과도한 양수로 인해 지하수에 해수가 유입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수질이 악화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취수정에서의 염분 검출 및 주변 생태계 파괴 등 해수 침투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수침투 저감 기술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담수의 과잉양수로 인해 담수량이 감소한 부분에 대해서 담수를 주입하는 담수 주입 방법과 담수 양수정에 해수가 침투하기 전에 해수를 양수하는 해수양수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양수로 인하여 해수침투를 저감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지하수 경계면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리수문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과 해수침투의 정도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해수양수량이 증가하고 해수양수정의 위치가 해안선에 접할수록 해수침투 저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양수정에서의 과잉 양수량이 증가하면 해수양수량 역시 증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해안지역에서 과잉 양수정으로 인한 해수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해수 양수 기법은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등의 수리지질 특성을 고려하여 해수관정의 위치와 해수양수량을 결정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KCI등재

        해수침투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기술의 진전

        이상규,황학수,황세호,박인화,성낙훈 대한지질공학회 2000 지질공학 Vol.10 No.2

        This paper presents the state of art and the role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iques with evaluating the trend of domestic and worldwide seawater intrusion research, and illustrates advanced techniques obtained through the project of 'Development of the techniques for estimation,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seawater intrusion'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The advanced geophysical interpretation was achieved by adding the digital geophysical logging data. DC resistivity and TEM monitorings wer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awater intrusion was in progress. Induced Polarization technique using electric current monitoring channel was introduced to discriminate seawater contaminated zone from highly conductive layer caused by clay minerals. A conceptual model was suggested with spatial visualization of the study area to predict the diffusion of seawater contamination. Finally, the future work of the development of geophysical techniques was suggested with the base of the present level of them. 해수 침투 연구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물리탐사기술의 역할과 현재의 위치를 점검하였다. 과학기술부 자연재해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해수침투 평가, 예측 및 방지가술 개발' 과제를 통하여 과거보다 진전된 기술의 내용과 향상된 수준을 적용 사례를 통하여 예시하였다. 해수침투 문제에 계수형 물리검층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해석의 정밀성을 제고하였으며, 해수침투의 영역을 획정하는 기술과 해수침투의 주경로를 해석한 연구사레를 예시하였다. 해수 침투의 지속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된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시간영역 전자탐사(TEM) 모니터링 기술의 특징을 설명하였으며 해수침투대와 양전도성 지층의 구별을 위하여 개발된 참조채널 유도분극탐사기술을 소개하였다. 해수침투 확산 예측 과정에서 연구지질의 개념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해수침투대의 공간적 분포 파악 기술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기술수준을 토대로 한 물리탐사기술의 향후 발전?향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에서 분산지수에 따른 해수침투 범위의 변화

        심병완,정상용,김희준,성익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 지하수토양환경 Vol.7 No.4

        분산지수는 해수침투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이며. 이를 현장실험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종 기존의 실험과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된 것을 이용한다. 그러나 그 분산지수가 실제 대수층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할 경우, 모델링 결과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델링에서 모사된 해수침투 범위와 현장측정치 및 겉보기비저항 단면도를 비교하여 이용된 분산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수치모델링 결과, Neuman의 종분산지수보다 Xu의 종분산지수를 적용한 TDS분포가 연구지역내 관측공과 모니터링 우물에서의 현장측정치와 비교하였을 때 더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Xu의 분산지수를 이용한 수치모델링에서 해수침투 범위는 건기인 5월에는 TDS 1000mg/L 등치선이 해안에서 약 480m 지점에 위치하며, 7월에는 해안에서 약 390m 지점에 위치한다. 이 차이는 강우에 의한 수리경사의 계절적인 변화에 의해서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이 7월에 약 90m 정도 해안쪽으로 더 이동하였기 때문에 나타났다. 겉보기비저항 단면도에서는 해수와 담수의 경계로서 15 ohm-m 등치선을 이용하여 해수침투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해수침투 범위가 해안으로부터 약 450m 지점에 위치하였다. 이것은 Xu의 분산지수를 이용한 수치모델링에서 모사된 해수침투 범위와 유사한 결과이다. 따라서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에서 분산지수에 따라 해수침투 범위가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지역에서는 Xu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분산지수가 해수침투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더 유효하였다. As a parameter for hydrodynamic modeling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dispersivities are frequently determined from pre-experiments or theoretical studies because field experiments need a lot of time and expenses. If the dispersivities are inadequate for an aquifer, the numerical results may have some errors. We examined the validity of longitudinal dispersivities by comparing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with numerical modeling, field data and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In the numerical modeling the TDS distributions simulated by the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are more similar to the values of TDS measured at monitoring wet]s and boreholes than those by the Neuman's longitudinal dispersivity.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b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show that the contour line of 1000 ㎎/L. as TDS is located at 480 m from the coast in May, while at 390 m in July. The difference is originated from the shift of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It moved toward the coast in July because of the seasonal increase of hydraulic gradient according to rainfall. A contour line of 15 ohm-m was used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From this criterion on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s located at 450 m from the coast.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imulated by the numerical modeling using Xu's dispersivity. Therefor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hows the difference due to the dispersivities used for the hydrodynamic modeling and the dispersivity generated by the Xu's equation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o decid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this study area.

      • KCI등재

        SEAWAT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여수지역 해수침투 저감 대책 효과 분석

        양정석,이재범,김일환,Yang, Jeong-Seok,Lee, Jae-Beom,Kim, Il-Hwa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SEAWAT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을 파악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미래의 해수침투 피해 예상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해수침투 피해 저감 대책의 피해면적 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14.90km^2$로 나타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2099년 여수지역의 예상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RCP 4.5의 경우 $19.19km^2$이며, RCP 8.5의 경우 $20.43km^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저감대책으로 인공함양을 고려하였을 때, 총 $300m^3/d$, $100m^3/d$, $50m^3/d$의 함양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을 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7.03%, RCP 8.5의 경우 8.32% 감소하였다. 물리적 차수벽 대책의 경우는 차수벽의 두께를 0.8 m, 1.3 m, 1.8 m로 설정하였을 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9.80%, RCP 8.5의 경우 10.30%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해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과 그에 수반한 2차적인 피해를 막기 위한 대비책을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인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awater intrusion areas were calculated in Yeosu region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the effects of countermeasures for seawater intrusion were analyzed using SEAWAT program. The estimated seawater intrusion area was $14.90km^2$ in 2015. When we appli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area was changed to $19.19km^2$ for RCP 4.5 and $20.43km^2$ for RCP 8.5 respectively. The mitigation effects by artificial recharge with total $50m^3/d$, $100m^3/d$, and $300m^3/d$ are from 3.75% to 10.68% for RCP 4.5, and from 5.82% to 10.77% for RCP 8.5 respectively. If we install barrier wall with the thickness 0.8 m, 1.3 m, and 1.8 m, the mitigation effects are from 6.67% to 12.04% for RCP 4.5, and from 6.17% to 14.98% for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 a logical means of quantitative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in coastal areas.

      • KCI등재

        PBM (Porous Body Model) 기반의 N-S Solver를 이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

        이우동,정영한,허동수,Lee, Woo-Dong,Jeong, Yeong-Han,Hur, Dong-Soo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2

        본 연구에서는 해수-담수-해안대수층의 비선형 상호작용을 직접 해석할 있는 PBM(Porous Body Model) 기반의 3차원 N-S Solver인 LES-WASS-3D ver 2.0을 적용하며,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N-S Solver를 적용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모의는 국내 최초 수행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외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새로운 수치해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적용하는 수치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안대수층의 해수-담수 경계면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수치모델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모의를 수행하여 해수위-지하수위 차와 해수위의 비(${\Delta}h/h$)의 증가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유동장 그리고 해수-담수 경계면 분포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확산 수치모델에서 도출할 수 없었던, ${\Delta}h/h$에 따른 해안대수층 내의 연직 염분농도로 부터 해수침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지표화 할 수 있는 ${\Delta}h/h$가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Delta}h/h$가 작을수록 해안대수층 내의 해수침투가 약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lies 3-D N-S solver based on PBM (Porous Body Model), LED-WASS-3D ver 2.0 to directly analyze non-linear interaction of seawater-freshwater-coastal aquifer in order to simulate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This numerical simulation is the first trial in Korea, as well as unusual and new numerical analysis abroad. Firstly, to validate the applied numerical model,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was verified for the numerical model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it with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for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in coastal aquifer. And then it simulated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coastal aquifer considering the changed levels of seawater and groundwater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 field and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of coastal aquifer as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eawater and groundwater and rate of seawater level (${\Delta}h/h$) increas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filtration were analyzed from the vertical salinity in the coastal aquifer by ${\Delta}h/h$, which cannot be obtained from existing non-diffusion numerical models. Finally, it analyzed the effect of ${\Delta}h/h$ on the seawater infiltration distance in coastal aquifer, which was indexed.

      • KCI등재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과 제주도 동부 지역 지하수의 염수대 변화

        김경호,신지연,고은희,고기원,이강근,Kim, Kyung-Ho,Shin, Ji-Youn,Koh, Eun-Heui,Koh, Gi-Won,Lee, Kang-K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3

        Groundwater is the main water resource in Jeju Island because storage of surface water in reservoir is difficult in the island due to the permeable volcanic rocks. Because of this reason, the groundwater is expected to be very vulnerable to seawater intrusion by global warming, which will cause sea level rise. The long term change of mean sea leve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ea level rise over the past 40 years was estimated to be of $2.16\;{\pm}\;1.71\;mm/y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rising trend around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was more remarkable. In addition, the groundwater/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operat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hows that seawater intrusion becomes more prominent during dry 4-5 months in a year when the sea level increases. This implies that the fresh groundwater lens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is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long term scale.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류로 형성이 되어 지표수의 발달이 빈약하므로 수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여 지하수로의 해수 침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는 취약성을 지녔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조위 관측 자료를 토대로 한반도 주변과 제주도 근해의 장기적인 해수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40년 간 한반도 주변에서 해수면이 $2.16\;{\pm}\;1.71\;mm/yr$의 속도로 뚜렷한 상승 양상을 보였으며 제주도 해안에서는 더욱 빠른 속도로 해수면이 상승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지하수/해수침투관측망의 지하수 관측 자료를 통하여 갈수기 중 해수면이 연주기적으로 상승하는 4-5개월 정도의 시기 동안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고 있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제주도 동부 지역이 장기적으로 해수면의 상승에 따라 염수대가 육지 쪽으로 확장하여 침투하였음을 간접적으로 보였다. 이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이 그 동안 관찰되어 왔던 제주도 동부 지역의 해수 침투현상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계층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해수침투 영향 평가

        김창훈 ( Chang-hoon Kim ),김남주 ( Nam-ju Kim ),박영윤 ( Youngyun Park ) 대한지질공학회 2017 지질공학 Vol.27 No.1

        해안지역에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화학적 지시자,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해수침투를 평가하였다. 전기전도도가 3,000 μS/cm 보다 높은 지역을 해수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평가할 수는 있지만 다른 오염원과 해수침투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화학적 지시자 및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조성은 해수침투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해수침투 가능성을 평가하고 해수침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류된 지역에 대해서 추가적인 화학 및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해수침투의 영향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해수침투 평가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awater intrusion was evaluated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chemical proxies, and oxygen isotopic compositions in coastal area. It seems that groundwater in the area whe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over 3,000 μS/cm is influenced by seawater.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hat seawater intrusio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ntaminants u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hemical proxies and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can quantitatively estimate seawater intrusion. However, these method is a costly disadvantage. Therefore, firstly,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was evaluated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n the additional chemical and isotopic analysis were conducted in areas wher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is high. These systematic analytical method can reduce analytical cost to quantitatively evaluate influence of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groundwater and may improve efficiency of analytical method for seawater intr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