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화장품소재의 응용

        이영숙,유민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s potential abilities and commercial values of Cinnamon extract as bioactive and cosmetics ingredients. Methods: Cinnamomum cassia bark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70% ethanol to examine its antioxidant effects through its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this study examined its nitric oxide (NO) inhibition effect through RAW 264.7 cells into which inflammatory reaction wa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s (LPS), and antihistamine activity in the RBL-2H3 cells.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bark extract on 8 types of bacteria were also studied.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effe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90.12 and 113.07 μg/mL, respectively, while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36.42 and 54.31 μg/mL, respectively. The DPPH scavenging effect was confirmed as 84.93% in the hot water extract and 90.25% in the ethanol extract for 400 μ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82.20% in the hot water extract and 92.21% in the ethanol extract for 400 μg/ mL. Upon measuring the NO inhibitive effect through the RAW 264.7 cells into which inflammation reaction was induced by LPS, the NO generation decreased to 14.57 μM in the hot water extract and 10.15 μM in the ethanol extract in the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is result, compared to the increase up to 20.11 μM by LPS, shows the NO inhibitive effect of Cinnamoum cassia bark extrac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histamine activity in the RBL-2H3 cells, β-hexosaminidase increased to 176.21% by IgE-NDP whereas it was 117.25% in the hot water extract and 100.09% in the ethanol extract in the concentration of 100 μg/mL, confirming the inhibitive effect on β-hexosaminidase discharge.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confirmed on all bacteria through the measurement on the Cinnamomum cassia Bark extract on eight types of bacteria. Particularl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high in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Pityrosporum ovale (P. ovale). Conclusion: Cinnamomum cassia bark extract is deemed prospective as a natural functional cosmetics’ ingredient with excell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histamine inhibitive and antibacterial effects.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계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과 산업적 활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계피를 열수 그리고 70% 에탄올로 추출물하여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조사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lipopolysaccharides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를 통해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효과와 RBL-2H3세포에서 항히스타민 활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8종의 균에 대한 계피 추출물의 항균효과도 확인 하였다. 결과: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90.12, 113.07 μg/g 이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6.42, 54.31 μg/g의 함량이 확인 되었다. DPPH 소거활성은 400 μg/mL에서 열수 추출물은 84.93%, 에탄올 추출물은 90.25%의 소거능이 확인 되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 결과, 400 μg/mL에서 열수 추출물은 82.20%, 에탄올 추출물은 92.21%의 소거능이 확인 되었다.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를 통해 NO 저해 효과 측정 결과, LPS에 의해 NO의 생성량이 20.11 μM까지 증가된 것에 비해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열수 추출물은 14.57 μM 에탄올 추출물은 10.15 μM 까지 감소된 것으로 보아 계피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RBL-2H3 세포에서 항히스타민 활성을 측정한 결과, IgE-DNP에 의해 β-hexosaminidased이 176.21%로 증가된 것에 비해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열수 추출물은 117.25% 에탄올 추출물은 100.09%로 β-hexosaminidase 방출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8종 균에 대한 계피 추출물의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균에서 항균효과가 확인 되었으며 특히 S. epidermidis, P. ovale 에서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항균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결론: 계피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 및 항히스타민 억제효과 그리고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 며,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Neem and the Comfrey Extracts as Cosmetic Ingredients

        Bok He Kang,Min Jeong Ryu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2

        목적: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님과 컴프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진균 효능을 확인함 으로써 천연방부 및 화장품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님과 컴프리를 각각70% 주정에탄올로 추출 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 및 피부관련 균에 대해 paper disc법을 사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확인 하였다. 결과: 님과 컴프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서는 님과 컴프리 추출물 모두 효과가 높게 확인되었지만 그 중에서 컴프리 추출물이 님 추출 물 보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SOD 유사활성도 컴프리 추출물 이 높게 확인 되었다. 님과 컴프리 추출물의 피부와 관련된 S. epidermidis, S. aureus, P. acnes, C. xerosis, P. ovale, M. furfur, C. albicans, T. rubrum,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5 mg/mL 농도에서 님 추출물은 9개 균 모두에서 clear zone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P. acnes, C. xerosis, T. mentagrophytes에서 각각 8, 7, 7 mm clear zone 확인할 수 있었다. 컴프리 추출물도 9개 균 모두에서 clear zone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P. acnes, C. xerosis, P. ovale, T. rubrum, T. mentagrophytes에서 각각 10, 8, 8. 10, 11 mm의 clear zo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컴프리 추출물이 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더 높게 확인 되었으며, 미생물에 따라서 님과 컴프리 추출물 모두 P. acnes, C. xerosis, T. mentagrophytes 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결론: 님과 컴프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피부와 관련 9개의 균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 되어 천연방부 및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natural materials are actively carried out. I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Neem and Comfrey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s and cosmetic ingredients by investigating their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Methods: Both Neem and Comfrey were extracted with 70% ethyl alcohol as samples, respectively. Thei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for antioxidative effect and against skin-related bacteria were confirmed by the Paper Disc method. Results: Both extract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antioxidative effects, but the Comfrey extract showed higher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 stronger scavenging capability of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ht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ABTS) radicals as well as more robust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ies than the Neem extract did. After measuring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by the Neem and the Comfrey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 Corynebacterium xerosis (C. xerosis ), Pityrosporum ovale (P. ovale ), Malassezia furfur (M. furfur ), Candida albicans (C. albicans ), Trichophyton rubrum (T. rubrum)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 mentagrophytes ), which are related to the skin,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m extract treatment showed clear zones in all 9 bacteria at 5 mg/mL concentration and particularly, 8, 7, and 7 mm clear zones were observed from P. acnes, C. xerosis and T. mentagrophytes , respectively. The Comfrey extract treatment also showed clear zones in all 9 bacteria. Especially, it showed 10, 8, 8, 10, and 11 mm clear zones from P. acnes , C. xerosis , P. ovale , T. rubrum and T. mentagrophytes .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frey extract had highe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than the Neem extract had, and therefore, both the Neem and Comfrey extracts have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P. acnes , C. xerosis , and T. mentagrophytes among various bacteria. Conclusion: The Neem and the Comfrey extracts had great antioxidative effects as well a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against 9 different skin-related bacteria. Therefore, they can be considered to be useful as natural preservatives and cosmetic ingredients.

      • KCI등재

        Antioxidant Effect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of Zingiber officinale as Cosmetic Materials

        Sang Moo Lee,Chun Dug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1

        목적: 최본 연구에서는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을 응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플라 보노이드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H2O2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항산화 효과 실험 결과, DPPH 라디 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400 μg/mL의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88.78%, 줄기 추출물은 70.12%, 뿌리 추출물은 65.52%으로 확 인되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각각 170.22, 120.27, 146 μg/mL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플라보노 이드는 각각 98.52, 70.26, 46.12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400 μg/mL의 농도에서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각각 88.26, 70.73, 64.13%으로 확인되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각 각65.22, 57.53, 50.21%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82.18%, 줄기 추출물은 78.98%, 뿌리 추출물은 70.27%의 생존율이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 생 강 잎 추출물이 32%의 증가율을 나타냄으로써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셋째,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는 생강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을 72시간 배양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생강 잎 추출물은 158.63%, 줄기 추출물 은 140.41%, 뿌리 추출물은 132.40%까지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 생강 부위별 추출물 중 잎 추 출물이 항산화효과, HaCaT 세포 보호효과,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화장품 소재 개발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 인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used Zingiber officinale (Z. officinale ) leaf, stem, and root extracts to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osmetic materials. Methods: We measur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physiological activity to confirm the antioxidant effect to assess the potential of Z. officinale leaf, stem, and root extracts as cosmetic material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 on oxidative stress caused by H2O2 in HaCaT cells and proliferative effect in dermal papilla cells were assess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effect of Z. officinale leaf, stem, and root extrac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t a concentration of 400 μg/mL, and it was 88.78% in Z. officinale leaf extract, 70.12% in stem extract, and 65.52% in root extract. Total polyphenolic content was 170.22 μg/mL (leaf), 120.27 μg/mL (stem), and 146 μg/mL (root), whereas total flavonoid content was 98.52 μg/ mL (leaf), 70.26 μg/mL (stem), and 46.12 μg/mL (roo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t a concentration of 400 μg/mL, and it was 88.26% (leaf), 70.73% (stem), and 64.13% (root). Further, SOD-like physiological activity was 65.22% (leaf), 57.53% (stem), and 50.21% (root). The protective effect on oxidative stress caused by H2O2 in HaCaT cells was 82.18% (leaf), 78.98% (stem), and 70.27% (root)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Our results confirmed that Z. officinale leaf extract has high protective effects on cell damage caused by H2O2, showing a 32% increase. Moreover, the proliferative effect in dermal papilla cells was 158.63% (leaf), 140.41% (stem), and 132.40% (root) when cells were cultured for 72 h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Conclusion: Thus, Z. officinale leaf extract has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HaCaT cell protective effect, and proliferative effect in dermal papilla cells, indicating a possibility to be developed as a cosmetic material.

      • KCI등재

        갈릭산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콘택트렌즈의 항산화기능

        김혜림,김호중,전진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 To produce a hydrogel contact lens (Hy) having an antioxidant functionality, a method of applying gallic acid (GA) into Hy without phase separation is studied, and the effec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ns applied with gallic acid are investigated. Methods : The Hy were produced by a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in a lab. Chitosan (Cs)used for bonding with GA was used in two types with molecular weights of 100~300 kDa(CL),600~800 kDa(CH), and was added to Hy by an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method.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800 nm,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by a gravimetric method. The binding of GA was confirmed by an amide bond formation using FT-IR, and the amount of the GA was quantified by the UV absorbance measured at 298 n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ns were assessed using DPPH(2,2-diphenyl- 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95% in Hy, 91% in Hy-CL-GA and Hy-CH-GA. The water content is 50.5±1.2%, 52.4±0.7% and 55.6±0.6% in Hy, Hy-CL-GA and Hy-CH-GA, respectively. The amount of GA bound to lens was 0.30 mmol/cm2 in Hy-CL-GA and 0.37 mmol/cm2 in Hy-CH-GA. The antioxidant effect was 48.23% in Hy-CL-GA and 58.32% in Hy-CH-GA, which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lenses with GA. Conclusion : The functional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high optical transmittanc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produced using Cs and GA. As the amount of GA bound to the lens increased, th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By suggesting the method employing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s to the contact le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multifunctional contact lenses with protein inhibition, improved wet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목적 :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y)를 제조하기 위해 갈릭산(Gallic acid: GA)을 Hy에 상 분리 없이 도입시키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갈릭산이 첨가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실험실에서 열중합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갈릭산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 Chitosan(Cs)은 100~300 kDa(CL), 600~800 kDa(CH) 분자량을 가진 두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Hy에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으로 첨가하였다. 광 투과율은 300~800 nm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키토산과 갈릭산 간의 amide bonding은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첨가된 갈릭산의 양은 298 nm에서 측정한 UV 흡광도 값으로 정량하였다. 렌즈의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광 투과율은 Hy에서 95%, Hy-CL-GA와 Hy-CH-GA에서 91%를 보였다. 함수율은 Hy에서 50.5±1.2%, Hy-CL-GA에서 52.4±0.7%, Hy-CH-GA에서 55.6±0.6%로 나타났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은 Hy-CLGA와 Hy-CH-GA에서 0.30, 0.37 mmol/cm2로 각각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는 Hy-CL-GA에서 48.23%, Hy-CH-GA에서는 58.32%로 나타나 갈릭산을 첨가한 두 렌즈에서 매우 높은 항산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키토산과 갈릭산을 활용하여 광 투과율과 함수율이 높고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콘택트렌즈에 다당류와 폴리페놀류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단백질 억제, 습윤성 향상, 항산화 기능 등을 함유한 다 기능성 렌즈 제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식물자원의 정유성분의 생리활성

        최미희,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植物資源硏究誌 Vol.6 No.-

        참살이(well-being) 열풍과 함께 천연물을 이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와 식품소재의 다양화를 추구하려는 식품산업 분야의 요구가 맞물려 천연물 신소재 개발을 위한 식물자원의 생리활성물질 검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많은 식물자원을 대상으로 유망한 정유 성분을 탐색,분리 동정하고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식품첨가물 및 건강 식품 소재로 개발한다면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정유란 비등점이 낮은 기름성 물질로 공기 중에 쉽게 휘발되어 인간의 후각을 통해 인지 될 수 있는 저분자량의 액상 혼합체를 말하며,식물 종의 유전적 특성과 재배지역의 환경,채취시기 및 식물의 기원에 따라 정유성분의 조성에 차이가 나타나 동일 식물종이라도 동일한 향기 및 기능성을 기대할 수는 없다. 식물자원에서 분리한 정유성분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효과,항세균·항진균 효과,돌연변이유발억제효과를 포함한 항암효과,면역기능 개선,중추신경계 조절,구강건강 개선 효과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고혈압,당뇨병,심부전 등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앞으로 식물자원의 정유성분을 이용한 신 기능성 식·의약품 개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수 있다.

      • KCI등재

        개똥쑥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오희경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9 No.6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eaf and stem of Artemisia annua L. extract by hot water and 70% 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70%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annua L. than in the hot water extra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flavonoid content between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70%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the vitamin C treatment group at the concentration of 62.5∼500 μg/mL, followed by the 70% ethanol extract and the hot water extrac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t 125 ~ 500 μg/mL, the hot water extract showed strong NO production inhibition at the concentration of 500 μg/mL, and showed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 concentration-dependent pattern. In addition to inhibitory activity of NP production, the 70% ethanol extract also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because it shows antioxidant effects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진통, 안면마비 등의 신경계 질환과 위염, 호흡기 등의 질병치료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개똥쑥을 열수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polyphenol의 함량은 개똥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총 flavonoid 함량은 개똥쑥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력과 ABTS radical 소거능력은은62.5∼500 μg/mL 농도에서는 비타민 C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70% 에탄올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25 ∼ 500 μg/mL에서 NO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500 μg/mL 농도에서 강한 NO 생성 억제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억제를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NO 생성 억제 뿐 아니라 염증성 싸이토카인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는 결과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났다. 개똥쑥은 항산화효과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염증성 질환 치료 및 개선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메꽃(Calystegia pubescens Lindl.)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변지아,신운교,장예진,황수빈,이선아,김가연,이진태,송일대,권용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3

        Calystegia pubescens Lindl. (C. pubesens)는 전통적으로 이뇨, 피로 및 혈당 강하 효과로사용되어 온 한국 토종 식물이다. C. pubesens는 이전 연구에서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보였지만 항균및 항염증 특성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입증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한 C. pubesens의 잎(CPL)과 줄기(CPS)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했다. CPL은 CPS보다 여드름균,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과 녹농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또한CPL은 CPS보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분석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CPL 은 CPS에 비해 우수한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RAW264.7 대식세포를이용한 CPL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질다당류(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산화질소(NO)는 CPL에 의해 감소되었다. 또한, LPS에 의해 증가된 iNOS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은 CPL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이는 NO 생산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CPL이 CPS에 비해 우수한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LPS에 의해 유도된iNOS 발현 및 NO 생성 억제를 통해 CPL의 항염증 효과를 입증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PL의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Calystegia pubescens Lindl. (C. pubesens) is a native Korean herb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its diuretic, fatigue, and blood sugar-lowering effects. In previous studies, C. pubesens has shown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but research on its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s limited, and its potential as functional materials is lack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af (CPL) and stem (CPS) extracts of C. pubesens extracted with 70% ethanol. When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confirmed, CPL showed superior anti-bacterial effect than CPS for C. acne, S. aureus, E. coli and P. aeruginosa. Additionally, CPL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CPS, as demonstrat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refore, CPL showed superior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effects compared to CP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PL using RAW264.7 macrophages. Nitric oxide (NO) pro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PL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iNOS was reduced by CPL in LPS-indueced RAW264.7 cells, which was consistent with NO produ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CPL has superior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effects compared to CPS, and demonstr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CPL via inhibiting iNOS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induced by LPS.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 the potential of CPL as a valuable functional materials.

      • KCI등재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의 항산화,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yaluronidase 억제 활성 증대

        이은호,조영제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nge of the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enzyme activities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and hyaluronidase (HAase)] of extracts from elicitortreated Oplismenus undulatifolius.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the non-treated extrac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extract and non-treated extract, the elicitor-treated group showed high activity.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showed higher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as anti-wrinkle effec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 whitening effect, and anti-inflammation effect to induced as HAase inhibition than the non-treated extract. Therefore, elicitortreatment during O. undulatifolius cultivation in outdoors will elevate total phenolics content in the plant and elevate of various bioactivities, which will yield high quality for industrialization.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물질유도제인 elicitor를 처리한 주름조개풀의 열수,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Aase 등의 미용관련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DPPH 및PF 등의 항산화 효과는 elicitor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elicitor 처리구가 농도의존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용활성은 elastase 및 collagenase 억제 효과에 의한 주름개선효과와 tyrosinase 저해에 의한 미백효과가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주름조개풀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의 증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HAase 억제에 의해 유래되는 염증 억제 효과도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에 의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생리활성 효소에 대한 억제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유용물질의 산업화라는 전제를 충족시키기위한 biomass 기법으로 매우 적당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주름조개풀 노지재배 시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elicitor를처리하면 수확되는 주름조개풀의 단위 무게 당 유용물질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생리할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산업화를 위한 고기능성 원료생산에 효율적인 재배기법으로 활용할 수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 KCI등재

        UVB 로부터 ROS를 유도한 제브라피쉬에 스피룰리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

        장덕영,한영석,양재찬,김보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2

        Oscillatoria spirulina is one of the oldest algae in the world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aging properties, including phycocyanin, tocopherol and beta-caroten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arch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UVB-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ROS) of Oscillatoria spirulina under indoor cultivation ethanol extracts(ICOE) and outdoor cultivation ethanol extracts(OCOE). The anti-oxidative capacities were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ies at various concentrations(0.1, 0.5, 1 ㎎/㎖) of ICOE and OCOE. Zebrafish embryos and HaCaT cells were exposed to UVB radiation and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0, 0.01, 0.05, 0.1, 0.5, 1 ㎎/㎖) of ICOE and OCOE. ROS levels of zebrafish and HaCaT cells were generated by UVB radiation. ROS levels were detected using a fluorescent microscope after DCFH-DA stain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corbic acid was 73% and SOD-like activity was 86%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ICOE and OCOE at 1㎎/㎖ concentration showed 43, 57%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0, 19% SOD-like activity. Anti-oxidative of ICOE and OCOE had lower effects than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but significant results. ROS of UVB-induced zebrafish embryos and HaCaT cells were higher than negative control. ICOE and OCOE treated group decreased ROS concentration dependently than UVB-induced positiv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cillatoria spirulina ethanol extract may have usability value as a cosmetic material for skin protection. 스피룰리나는 지구상의 가장 오래된 조류중 하나이며 피코시아닌, 토코페롤, 베타카로틴을 함유 하고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이 다른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의 UVB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저해와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ICOE)과 야외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OCOE) 0.1, 0.5, 1 ㎎/㎖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ROS의 저해 효과는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ICOE와 OCOE 0, 0.01, 0.05, 0.1, 0.5, 1 ㎎ /㎖을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UVB로 ROS를 유도하였고 DCFH-DA로 염색하여 세포내 ROS의 양을 검출하였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3%, SOD 유사 활성은 86%로 나타났다. ICOE와 OCOE 1 ㎎/㎖의 농도에서 각각 43, 57%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20, 19%의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낮았지만 유의적인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UVB로 유도된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의 ROS가 음성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ICOE와 OCOE 처리된 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UVB만 조사된 양성대조군 보다 ROS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이 피부보호용 화장품 소재로 사용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추출용매에 따른 복령(Poria cocos Wolf)과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비교

        오희경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ed by water and 70% ethanol. Total polyphenol content in water extract of Poria cocos Wol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water extract of Corni fructu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s. In order to effectively extract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hot water extraction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ethanol extraction method. Poria cocos extracts were found to be a superior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Corni fructus extracts. In a neuronal cell viability assay using MPP + , the water extract of Poria cocos Wolf protected against MPP + -induced neurotoxicity than those of Corni fructus extract. It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functional material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euronal protective effect against to oxidative stress according to the extract methods of extracting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열수 추출물은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열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복령과 산수유에 함유된 총 polyphenol과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추출방법 보다는 열수 추출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복령추출물이 산수유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PP + 에 의해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 복령 열수 추출물은 산수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 다. 복령과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