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 구분의 위상에 대한 문제제기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100

        본고는 합성어를 통사적인 것과 비통사적인 것으로 나누는 방식이 그다지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합성어 종류로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거두어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분명한 기준에 의해 일관되게 분류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감수할 만큼 이론적 정당성이 있는 구분도 아니라는 이유에서이다.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에서는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가 합성어의 주요 종류로 다루어진 바가 별로 없어 보인다. 둘째, Bloomfield(1933)에서도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양 극단 사이에 수많은 半-통사적 합성어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통사적 합성어와 유사한 것으로 구 합성어가 있으나, 최근에 이는 대개 비핵 자리에 구가 오는 합성어를 가리키는 데 쓰여 왔다. 넷째, ‘통사적’이라는 말의 의미가 너무도 다양해서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분류의 결과가 달라진다. 게다가 다양한 해석 중 어떤 것도 틀렸음이 증명될 수 없다. 다섯째, 단어형성기제로 유추를 인정한다면 구 구조가 유추적 토대가 되어 단어가 만들어질 가능성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인정하면 합성어의 내부구조가 구와 닮았다고 해서 통사부에서의 형성을 보증하지 않는다. 여섯째, 조사나 어미, 구, 용언의 활용형 등 통사적 구성이 합성어 내부에 나타나는 일이 종종 있는데, 이는 통사적 산물이 합성어에 포함되더라도 으레 통사부에서 형성된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syntactic and asyntactic compounds has nothing to do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mpound words, and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assify them clearly. The evidences are as follows. Firstly, syntactic and asyntactic compound words have not been treated as the main types of compound words, except for Bloomfield(1933). Secondly, phrasal compound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synonyms for syntactic compounds, are used to refer to words with a phrase in non-head position, in recent papers on word formation. Thirdly, the interpretation of "syntactic" is so various that classification of compounds could b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interpretation you choose. Moreover, none of the various meanings can be proven wrong. Fourthly, the phrasal structure could also be used as an analogical schema in forming compounds. Therefore, even though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und word is the same as the that of phrase, it cannot be guaranteed that the word was formed in syntax component, not by morphological process.

      • KCI등재

        힌디어의 합성어

        최종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힌디어의 합성어의 형성 조건, 유형의 분류, 그리고 특성을 다룬다. 빠니니와 이후의 주석가들에 따르면 합성어를 형성하는 데 있어 필수조건은 구성요소 간의 사마르탸(s?marthya, ‘통사관계’)이다. 사마르탸는 에까르티바바(ek?rth?bh?va, ‘단일의미’) 또는 뱌뻭샤 바바(vyapek??bh?va, 상호기대)의 개념과 연결된다. 에까르티바바는 개별단어들의 의미가 부수적으로 되거나 사라지고 전체의 의미만 남게 되는 것 또는 개별들에 의해서는 표현될 수 없는 것을 함께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에까르티바바는 합성어와 직접 관련되는 개념으로 구성요소들이 문장에서 갖는 상호기대와 구별된다. 힌디어의 합성어 분류는 전반적으로 산스끄리뜨어 문법의 체계를 따른다. 주요 합성어의 유형으로는 아뱌이바바(avyay?bh?va, 부사어 합성어), 따뜨뿌루샤(tatpuru?a, 한정합성어), 드완드와(dvandva, 연결합성어), 바후브리히(bahuvr?hi, 소유합성어)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분류는 구성요소간의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힌디어 문법은 이와 같은 분류를 따르거나 또는 분류된 유형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힌디어 합성어 분류에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선 바후브리히는 융합합성어에 해당하지만 후자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의 합성어들을 포함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드완드와로 분류되는 일부 합성어들이 융합합성어에 참여한다. 그러나 드완드와는 내심구조를 갖는 합성어로서 외심구조를 갖는 융합합성어와 충돌한다. 이처럼 합성어 분류에서 의미기준과 통사기준이 혼합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반복어를 합성어의 관점에서 다루는 심층적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복어는 그 형태와 의미를 고려해 볼 때 아직 숙어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에서 온전히 합성어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에 이르기까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ses the concept of s?marthya ‘syntactic relation’, the necessary condition for forming compounds. It also deals with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ndi compounds. P??ini’s idea of s?marthya was interpreted as either ek?rth?bh?va ‘semantic unity’ or vyapek??bh?va ‘mutual expectancy’ by Sanskrit grammarians. It is called ek?rth?bh?va where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words (of the compound) has been subsidiary or it has been lost altogether, or the words are rendered useless by the main object expressed as a whole, or they express altogether different things inexpressible by them individually. ek?rth?bh?va is expressed in a compound form whereas vyapek?abh?va of words in a sentence. Hindi grammarians have tended to classify Hindi compounds according to the Sanskrit grammatical tradition. There are avyay?bh?va ‘adverbial compounds’, tatpuru?a ‘determinative compounds’, dvandva ‘coordinative compounds’ and bahuvr?hi ‘possessive compounds’ among others. Those categorie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compound elements. Regarding those categories, there arise some problems with Hindi compounds. Bahuvr?hi is categorized as the one and only exocentric compound in Hindi, but it does not cover all the compound words which should be categorized as an exocentric compound. Some compounds belonging to dvandva, an endocentric compound, are used to denote the meaning of something other than its own constituents. In this way types of compounds in Hindi seem to be classified by applying both semantic and syntactic criteria at the same level, which resulted in confusion. In addition, reiterative words in Hindi have not been fully studied in terms of compounds. Some reiterative words show characteristics of a compound and others show those of an idiomatic expression, covering both ends of the spectrum.

      • 종합 합성어와 어근 합성어의 특성

        이주희,여도수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Roeper & Siegil(1978)은 -er, -ing, -en 등의 접미사를 갖는 것을 종합 합성어로 취급하고, 그 외의 접미사를 갖는 것을 어근 합성어로 취급한다. Selkirk는 어근 합성어와 종합 합성어를 모두 동일한 규칙에 의해 도출하며, 단지 논항구조의 만족여부로 이들을 구별하였다. Selkirk는 모양에 관계없이 논항구조를 만족시키는 것은 종합 합성어로 취급한다. Fabb은 모양에 상관없이 동사부의 원칙을 지키면 동사부에서 도출되는 종합 합성어, 통사부의 원칙을 위배하면 어휘부에서 도출되는 어근 합성어로 구분된다. 따라서 Fabb은 동일한 모양의 접사라도 경우에 따라서 동사부와 어휘부에서 나뉘어 첨가된다. 즉 종합 합성어는 통사부에서 도출되고, 어근 합성어는 어휘부에서 도출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형성 과정 가운데서 통사적 원칙으로 설명하기 편한 것은 통사부에 남겨두고, 통사적 원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만 어휘부의 몫으로 돌리자는 것이자 마찬가지이다. 단어가 형성되고 나면 일단 통사부의 규칙을 모두 적용해 본 후 통사부의 규칙이 적용된다면, 통사부에 남겨두고, 통사부의 규칙이 적용되지 않으면, 어휘부로 돌리는 식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Fabb의 주장도 맞지 않는다. 결국 어형성은 어휘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Marchand(1969:80)은 행위자 명사가 dealer, woker처럼 독립해 사될 수 있는 경우를 종합 합성어로 보고, Allen(1978:161)도 비슷한 견해인데 반해, Roeper & Siegel(1978:218)은 행위자 명사가 독립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경우를 어근 합성어의 특성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Marchand(1969), Allen(1978)와 Roeper & Siegel(1978), Fabb(1984)은 합성어의 핵심어인 행위자 명사의 독립 가능성에 있어서는 서롤 상반된 견해를 나타낸다.

      • KCI등재

        형용사 속성에 따른 티베트어 합성어의 어순과 의미

        김현정 대한언어학회 2019 언어학 Vol.27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a difference in meaning of Tibetan adjectives, based on their relative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paper presents the common aspects of the phenomenon of the Tibetan compound word by discussing Italian noun phrases and compound words. In Tibetan compound words, the category of ‘adjective+noun’ can only represent the meaning of an abstract concept, while the category of ‘noun+adjective’ has the additional indicative meaning that refers to a specific objec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n adjective can have two attributes when it modifies a noun. In Italian, adjectives can be divided into predicative and referential adjectives, based on their attributes. Predicative adjectives can modify nouns both before and after, while referential adjectives can only modify nouns in the latter position. In Italian,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adjective+noun’ has only one meaning in both noun phrases and compound words, while ‘noun+adjective’ has two meanings. In the Tibetan compound word denoting referential objects among the ‘noun+adjective’ category, the semantic structure is changed from a second type to first typ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compound words which seem to have a referential meaning in the ‘adjective+noun’ category, that meaning is limited to a simple combination of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adjectives and nouns. This indicates that the adjectives are still used with a predicative meaning. 본고는 티베트어 합성어에서 형용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현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티베트어 합성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이탈리아어 명사구와 합성어의 현상을 언어유형론적으로 제시하면서 티베트어 합성어 현상과의 공통점을 제시하려고 했다. 티베트어 합성어에서 ‘형용사+명사’ 부류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의미만 갖는 반면에, ‘명사+형용사’ 부류는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지시적 의미를 갖는 의미도 추가적으로 가진다. 이는 형용사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할 때에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질 수 있는 현상에 기인한다. 이탈리아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따르면, 형용사는 속성에 따라 서술적 형용사와 지시적 형용사로 나눌 수 있다. 서술적 형용사는 명사를 앞뒤에서 모두 꾸며줄 수 있는 반면에, 지시적 형용사는 명사를 뒤에서만 수식할 수 있다. 이탈리아어 명사구와 합성어는 이런 현상에 따라 ‘형용사+명사’는 한 가지 뜻만 갖는 반면에, ‘명사+형용사’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문법 표지에서도 나타나는데, ‘형용사+명사’인 이탈리아어 합성어는 명사에만 복수 표지가 붙지만, ‘명사+형용사’인 합성어는 명사와 형용사에 모두 복수 표지가 붙었다. 티베트어 합성어에서는 '명사+형용사' 부류에서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지시적 의미인 경우에, 새로운 뜻이 생성되면서 의미역 구조가 ‘의미역 동일시가 의미역 표지와 결합하는 유형’에서 ‘의미역 동일시 유형’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코끼리'를 뜻하는 ‘glan̅-tšhen’은 기존의 '소'와 '큰'이라는 뜻이 단순 결합할 때에는 '소가 크다'라는 명제가 거짓이 되지만, '코끼리'라는 새로운 뜻이 만들어지면서 이러한 명제를 참으로 만드는 변화를 꾀했다. '형용사+명사' 부류에서 지시적인 의미를 갖는 것처럼 보이는 합성어의 경우에도, 의미역 구조를 살펴보면 형용사와 명사의 뜻을 단순 결합한 합성어 뜻을 갖는 한계가 있었다. 가령 tšhe-mi의 경우, ‘어른’이라는 의미이므로 표면적으로는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지시적인 뜻인 것처럼 보이지만, 의미 구조를 분석하면 ‘큰’과 ‘사람’이란 뜻을 단순히 합친 것에 불과하다. ‘사람이 크다’라는 명제를 의미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명사+형용사' 부류의 지시적 의미를 갖는 합성어들이 명사와 형용사의 뜻만으로는 지칭할 수 없는 새로운 합성어 의미를 발생시킨 것과 대조적이다 만일 이 합성어가 지시적 형용사로 구성됐다면 ‘큰 소’가 ‘코끼리’가 되듯이, ‘큰 사람 → 어른’이란 의미 변화에서 더 나아가 ‘거인’과 같은 뜻을 생성했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형용사+명사' 부류의 합성어는 표면적으로 지시적 의미를 갖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그 형용사 속성은 여전히 서술적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 문제에 대한 시론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중심으로-

        오현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8

        Purpose:In this paper,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learners about ‘syntactic compound and non-syntactic compound words’ which can be relatively low in' transparency of grammatical terms', <Reading and Grammar> as a high school elective course for 'syntactic compound and non-syntactic compound words‘. We tried to grasp how the textbooks deal with grammatical terms. Methods:In Section 2, we review the perceptions of 'syntactic compound words' and 'non - syntactic compound words' for teacher education and pre - service teachers in chapter 2. In chapter 3, we review the reading and grammar test textbooks Based on the technical aspects of 'syntactic and non - syntactic compound words' in the textbooks, we tri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xplanation of 'syntactic compound words'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grammar terms. Results:In Chapter 2, the learner's concept recognition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compound word and non-syntactic compound word are clarified. In chapter 3, the limit of technical contents of related grammar textbook is compared and analyzed, syntactic compound wordand non-syntactic compound word, And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ir explanation. Conclusion:Through these attempts, we are expecting to find a way to promote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terms in terms of individual grammatical terms. 목적:이 논문에서는 ‘문법 용어의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할 수 있는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 이러한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해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서의 <독서와 문법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이를 위해 2장에서 사범대 국어교육과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인식 양상을 확인해 보고, 3장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 검정 교과서 6종에서의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기술 양상을 바탕으로,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를 높이기 위한 ‘통사적 합성어’ 관련 설명 제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그 결과, 2장에서는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학습자의 개념 인식 양상 특성을 밝히고 3장에서는 관련 문법 교과서 기술 내용의 한계를 비교 분석하면서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관련 설명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결론:이러한 시도를 통해 ‘상대적으로 투명도가 낮은 문법 용어들에 대한 주목’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개별 문법 용어별로 학습자들의 문법 용어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인지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따른 합성어의 의미 변화 연구

        이양혜 우리말학회 2005 우리말연구 Vol.17 No.-

        이 글은 합성어 형성에 나타나는 의미 변화를 인지언어학적 연구 방법 에 따라 연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합성어의 의미는 단의성 혹은 다익성을 가 진다. 다익성 합성어는 다시 결합 요소 중 어느 한 쪽의 의미가 변하는 것과 결합어 전제의 의미가 변하는 것이 있다 진정한 합성어는 단의적이든, 다의 적이든 의마 변화가 나타나는 정우에 해당한다. 합성어의 의미 변화에는 비유가 적용된다 비유는 사람들이 언어나 대상, 사건에 대해 가지고 있는 판습적 문화적 정험과 ^l식에 기초한다. 이라한 비 유 중 은유나 환유가 합성어의 의미 변화 기제로 작용한다‘ 은유만이, 혹은 환유만이 나타나는 경 우도 있고, 은유와 환유가 꽉합적 으로 나타나는 합성 어 도 있다 합생어악 의미 연화 양상은 합성명사와 합성형용사에서는 단순 양상을 보 여주고 있어 핵의미적 관점에 부합된다 그랴나 합성동사는 핵의미적 양상을 띠는 경우도 있고, 의미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 의미 연쇄의 양상이 냐타 나는 경우 도 있다 의미 연쇄는 인지주의석 관점에 해당된다 인지주의적 이 본은 핵의미석 판점과 완전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핵의미적 관점을 포괄하는 관점이다.

      • KCI등재후보

        합성어 내부 경계의 음운론적 의의- 가휴지와 잠재 휴지 -

        김정우 배달말학회 2004 배달말 Vol.35 No.-

        This paper starts with the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is a compound-internal boundary phonetically zero? Second, doesn't a compound-internal boundary participate in phonological processes? Through the observations on diachronic and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the second question has been proved in the affirmative way. Furthermore, the first one is also turned out in the negative way by the experiment related to speech dur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compound-internal boundary is reflected in a part of all kind information of the compound, and that information is realized as potential pause on an utterance level.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a term 'potential pause' be used in utterance-based phonology and 'latent pause' only in word-based phonology to refer to compound-internal boundary. 자립 어간과 자립 어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그 내부에 여하한 휴지도 둘 수 없는 하나의 단어이다. 이는 단어의 정의에 원용되는 분리 불가능성(non-isolability)이라는 형태론적 기준을 상기할 때 타당한 논의로 보인다. 이러한 논리를 적용한다면, 합성어 내부의 경계에서는 음운 현상의 발생과 관련된 적극적인 기능의 수행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합성어 내부에서 일어나는 국어의 공시적 및 통시적 음운 현상을 고려하면, 우리는 합성어 내부 경계攀1 앞으로의 논의에서 밝혀지겠지만, 본고에서는 이를 잠재 휴지로 파악한다. 攀攀의 음운론적 기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중세국어의 순행 유기음화와 현대국어의 /ㄴ/-삽입 현상 등에는 분명히 내부 경계의 음운론적 기능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합성어 내부 경계의 음운론적 기능을 인정한다면, 당연한 논리적 귀결로 우리는 앞서의 일반론과 달리 합성어 내부 경계의 음성적 실체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합성어 내부 경계와 관련된 발화 시간을 측정하여 이와 같은 논의를 입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합성어 내부 경계의 발화 시간은 영(零)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바, 이는 합성어 내부 경계의 음운론적 기능을 인정한 우리의 추론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어휘부에 존재하는 단어에 대한 모든 정보는 화자의 인식에 그대로 반영되어 이 단어가 시현하는 음운 현상과 직접간접으로 관련을 맺게 된다. 그러므로 합성어 내부 경계(잠재 휴지)도 해당 합성어가 가진 정보의 일부로 화자의 인식에 반영되어, 관련된 음운 현상에 관여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 KCI등재

        폴란드어의 합성 방법과 신조어 합성의 경향

        고승희(Koh, Seunghu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폴란드어에서 합성에 의한 단어 형성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란드어에서 두 어기를 결합할 때의 합성어 형성 방법과 그 구조적, 의미적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최근 10여 년간의 합성어를 중심으로 신조어 합성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폴란드어의 세 가지 합성 표현인 Zestawienia(복합어구), Zrosty(유착 합성어), Złożenia Właściwe(접요사적 합성어)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어휘들을 두 어기가 폴란드어의 단어 배열 원칙을 따르는 통사적 합성과 통사적 원리를 따르지 않는 비통사적 합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내부 두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등적 관계와 종속적 관계,그리고 합성어의 의미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후행 요소에 있을 경우는 내심적 관계, 내부 두 요소가 아닌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어형 변화소인 접미사에 있을 경우의 외심적 관계의 합성어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단어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폴란드어 합성법인 Zrosty와 Złożenia Właściwe의 두 유형에 대해 다루었다. 주로 통사적 합성어와 유사 합성어류들은 대부분 접요사가 필요 없는 Zrosty 유형으로 합성하였으며, 대부분의 비통사적 합성어들은 두 어기 연결 시 -o, -i/y 그리고 -u의 접요사를 필요로 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의 합성법에 따라 단어를 형성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폴란드어 합성법들을 중심으로 신조어들의 합성 경향 및 신조어에 나타난 외래어 차용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폴란드어 합성 신조어들을 외래어와 고유어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고유어+고유어>, <외래어+고유어>, <고유어+외래어>, <외래어+외래어>. 대부분의 신조어 들은 결합 방식과는 상관없이 Zrosty 유형과 접요사 -o에 의해 연결되는 Złożenia Właściwe 유형에 의해 단어를 형성하며, 특히 외래어를 포함할 경우 Zrosty 유형의 단어 형성의 예가 많았다. 외래 합성어들의 분석을 통해 영어의 소리 차용 및 철자 차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폴란드어 어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의 영어 어휘 선호 현상 의 확인을 통해 폴란드어 내에서의 영어의 영향력이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다. The compounding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ways of words formation. This paper aims to review a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and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Polish neologism. In chapter 2, three types of compound expressions in Polish will be examined and also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types of compound words will be investigated here. In chapter 3, we will go into detail about two types of Polish compounding - "Zrosty" and "Złożenia Właściwe". "Zrosty" is a combining method of two stems without any morphemes for word-formation or affix and "Złożenia Właściwe" is one of the productive methods of compounding words using inflexes. In chapter 4, we will analyze compounding tendencies of new word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principle of compound word-formation in Polish. In this paper new compound words in Polish can b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ing pattern of two components: <Pl-Pl>, <Pl-Lw>, <Lw-Pl> and <Lw-Lw>. The analyzed new compound words almost cannot be found in Polish dictionar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confirm anglicism in Polish and this tendenc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mong younger generations. Also we can find that younger generations have embraced grammatical systems as well as literal english words without any declensions.

      • KCI등재

        영어 동사합성어와 관련성 이론

        양정연,이상철 한국현대언어학회 2019 언어연구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some limits in the English compound verbs' classific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English compound verbs based on Relevance Theory.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stituents consisting of compound verbs, In the previous works English compounds verbs were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orms, functions, and meanings. In terms of functional relations between constituents, English compound words were classified as subordinative, determinative, coordinative. And in terms of meanings between constituents, they were classified as endocentric and exocentric. However, those classifications cannot explicitly demonstrate why the same compound verb in the same classification c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context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in Relevance Theory English compound verbs are to be understood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and the meaning of English compound verbs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process based on ad hoc concept. 이 논문은 영어 동사합성어의 이전 연구 분류에서 일부 한계를 지적하고 관련성 이론에 기초한 영어 동사합성어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동사합성어를 일반적으로 구성요소의 형태, 기능 및 의미에 따라 분류해왔다. 합성어의 구성 요소 간의 기능적 관계 측면에서 영어 복합 단어는 종속적, 결정적, 조정 적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리고 구성 요소들 간의 의미의 관점에서, 그것들은 외심적 또는 내심적 합성어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동일한 동사 합성어가 다른 맥락과 상황에서 사용되었을 때 다른 의미를 갖게됨에 따라 분류 범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기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은 관련성 이론에서 영어 동사합성어가 문맥적 정보를 중심으로 해석되어야하며, 영어 동사합성어의 의미는 임시 개념에 기반하여 이해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명사합성어의 해석과 합성성 - 개념결합을 중심으로

        정동규 ( Chung Dong-gyu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3

        합성어가 지니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적 속성과는 대조적으로, 해석 과정과 가능성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영향력도 광범위하고 명확하지 않아 특히 의미론적으로 흥미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그동안 합성어에 대한 연구는 합성성보다 통사적 결합이라는 차원에서 빈번하게 그리고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의미-화용론적 또는 인지적 고찰이 합성어 해석을 위해 종전과 다른 방식으로 기여함으로써 합성어 연구는 형태론의 일부가 아니라 보다 포괄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여기서는 합성어의 의미가 기본적으로 합성성분들의 의미적 그리고 통사적 결합이라는 합성성에 기초하지만, 이때 언어의미의 합성이 단순한 성분의미의 결합을 넘어 개념결합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독일어 명사합성어를 통해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합성성 원리가 개념결합에 의한 의미해석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둘째, 개념결합은 명사합성어의 성분의미들이 해당 합성어로 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이고, 나아가 합성어의 해석에 있어서 맥락이나 백과사전적 지식을 고려한 가변적 의미기술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m Gegensatz zu den relativ einfachen strukturellen Eigenschaften, die zusammengesetzte Worter besitzen, ist ihre Interpretation uberraschend komplex und hat eine sehr breite und unklare Wirkung, was ein sehr interessantes Problem ist. Untersuchungen von zusammengesetzten Wortern wurden in Bezug auf Syntagma und Phrasen haufiger und langer diskutiert. Die semantisch-pragmatischen oder kognitiven Uberlegungen trugen jedoch auf andere Weise zur Analyse der zusammengesetzten Worter bei, was darauf hindeutet, dass die Analyse eher auf einer umfassenderen Ebene als auf einem Teil der Morphologie behandelt werden sollte. In dieser Arbeit versuche ich durch die konzeptionelle Kombination zu erklaren, dass die Bedeutung von zusammengesetzten Wortern prinzipiell auf der syntaktischen und semantischen Kombination unmittelbarer Konstituenten beruht, aber ihre semantische Interpretation uber eine einfache Summe ihrer Konstituenetenbedeutungen hinaus zur konzeptionellen Kombination erweitert werden soll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