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詩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Ⅰ) - 중학교 『漢文』 교과서 한시 텍스트의 수록 양상 분석 -

        김연수,송혁기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to discuss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in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s to analyze aspect and characteristic of Chines Poem Text included in Chinese textbook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vised Chinese characters and curriculum of 2007 and the 7th curriculum of Chinese Character. First, what kinds f Chinese Poem Text were duplicated in several textbooks were observed to find out the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to be nominated as a subject on the textbook, first, the Chinese Poem Text should be composed with 900 Chinese characters which conforming to the basic characters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econd, the author of Chinese Poem Text should have relative importance in Chinese literature and high literary achievement on the text itself. Third, It must correspond with emotion and interest of middle school learners. Fourth, in case of Chinese Poem Text, specific times were focused such as Chinese Poem Text in Tang China. Next, the aspect of changes in inclusion of Chinese Poem Text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Chinese 『漢文』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hinese Characters and Curriculum of 2007 included more Chinese Poem Texts and selected new Chinese Poem Text as subject with higher degree of difficult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frequency of Chinese Poem texts and changing patterns, two things are proposed to establish the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One is to keep the rank by school and class so that the same Chinese Poem Text may not be duplicated. The other is that agreement should be made through active discussion on the recognized Chinese Poem Text worth for leaners in secondary school. As the context and criteria to select Chinese Poem Text as a subject of textbook was revealed for textbook write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es and discussion on the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should be made. 본고의 목적은 漢文科 敎育에서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를 논의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1, 2, 3과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漢文』 1, 2를 대상으로 漢詩 텍스트의 빈도별 수록 양상과 교육과정별 수록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漢詩 텍스트의 빈도별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漢文』 교과서는 韓國漢詩 중에서 최치원의 <秋夜雨中>, 정도전의 <訪金居士野居>, 송한필의 <偶吟>, 남이의 <北征>, 능운의 <待郎君>의 순서로 수록 빈도가 높았고, 中國詩는 가도의 <訪道者不遇>, 이백의 <靜夜思> 순이었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교과서의 경우는 남이의 <北征> 대신 이산해의 <詠栗>을 놓으면 제7차와 한국한시와 중국시의 수록 빈도 양상이 똑같았다. 제7차에서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으로 바뀌었어도 중학교 『漢文』교과서에 가장 많이 중복 수록된 한시 텍스트의 순서가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漢詩 텍스트의 빈도별 수록 양상을 통해 중학교 『漢文』 교과서 한시 제재 선정 기준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에 속하는 漢字로 구성된 漢詩’, ‘한시 작자의 명성과 텍스트의 문학적 성취도가 높은 漢詩’, ‘중학생 학습자의 정서와 흥미에 부합하는 漢詩’, ‘역사적인 내용이나 교훈적인 주제의 漢詩’, ‘중국시의 경우 唐詩 위주’와 같은 것이 중학교 『漢文』 교과서 한시 제재 선정 기준이다. 한시 텍스트의 교육과정별 수록 양상에서는 제7차와 비교하여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漢文』 교과서 수록 한시 제재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한시 텍스트의 분량 증가, 둘째, 詩句 형태에서 한시 텍스트 전체를 제시하는 방법으로의 변화, 셋째, 이전 교과서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한시 텍스트의 등장, 넷째, 난이도 상승, 다섯째, 우국충정의 주제 대신 일상생활의 교훈과 관련된 주제 한시 수록이라는 변화의 양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새로운 한시 텍스트의 선정 기준을 면밀하게 고찰해 본 결과 한시 작자의 명망이나 작품의 시적 성취도보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에 포함되는 쉬운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학습자의 흥미를 끌거나 교육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내용과 주제인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시 텍스트의 빈도별 수록 양상과 교육과정별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문 교과서 검정 기준에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범위를 초과하는 한자를 100자 이내로 해야 한다는 규정을 폐지하거나 한시 텍스트와 한문산문 텍스트만이라도 이 규정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시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漢字는 물론이고 형식, 소재, 주제, 세계관, 미의식, 표현 방식 등을 세분화하여 학년별, 학교급별 위계성을 고려한 한시 텍스트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되 중등학교 학습자가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한시 텍스트 정전을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한문과 교육을 위한 한시 텍스트 정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수록할 한시 텍스트는 어느 시대까지 창 ...

      • KCI등재

        육당 최남선과 석전 박한영의 여행기 『풍악기유(楓嶽記遊)』 - 두 남자의 여행, 두 개의 글쓰기-

        정기인,채송화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Pungak-Giyu is a co-authored by Choi Nam-seon and Park Han-young. Choi Nam-seon described the schedule and sentiments of the trip to Mt. Geumgang by Korean prose and Park Han-young presented the feelings during the trip in a compact way by classical Chinese poetry. Until now, Pungak-Giyu has been studied many times, but most of the studies have not even mentioned Park Han-young’s poems, and the studies mentioned have just pointed out that Park Han-young’s poems are also included. This is based on the implicit premise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is consists of only with vernacular Korean texts. This presupposition distorts the perception of this period by studying only Korean texts, but this period’s texts were abundant with classical Chinese texts.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Choi Nam-seon’s Korean text and Park Han-young’s classical Chinese poetry together, and discussed the interaction and meaning of these two texts. The prose of Choi Nam-seon and the poetry of Park Han-young are closely related. Choi Nam-seon confesses that he can not express Mt. Geumgang in his writing and he keeps asking how poet should expressed it. Subsequently, Park Han-young’s classical Chinese poetry comes up and suggests Mt. Geumgang in very compressed way. In addition, Choi Nam-seon suggests Park’s sentiments for traveling, and Park Han-young’s poetry follows it and express his feelings. The dual writing of Korean prose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reflects the contemporary textual environment on several levels. First, this reflects the demand of classical Chinese readers. In the 1920s and 1930s, readers learned classical Chinese from their childhood, and many people wrote classical Chinese poem. At the same time, the modern media was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vernacular Korean language, and Koreans had to acquire Japanese,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at the same time in general education. Second, the literature on the mountain of Choseon, especially the Mt. Geumgang, was composed mainly with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this was the widest and most sophisticated work that Choi Nam-seon could utilize to describe Mt. Geumgang. Third, Park Han-young, who was comprehensive of history,g eography, culture, and myths of Korea, was still a person expressing his appreciation in a classical Chinese poem, and classical Chinese prose. Choi Nam-seon is a person who tried to enlighten as many Koreans as possible through Korean prose. This textual environment yielded bi-lingual Pungak-Giyu of Korean prose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Korean text” should be made broader and deeper, including these Korean-Classical Chinese Text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colonial period Korean literature. 『풍악기유』는 육당 최남선과 석전 박한영의 공동 저술이다. 최남선이 국문 산문으로 금강산 여행의 일정과 감회를 상세히 서술했고, 박한영은 한시로 여행 중의 감회를 압축적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 『풍악기유』는 누차 연구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박한영의 한시를 언급조차 하지 않았고, 언급한 연구들도 단지 박한영의 한시가 함께 수록되었다는 것을 지적하는 데에 그쳤다. 이는 근대문학 연구는 국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는 암묵적 전제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러한 전제는 이 시기 국문과 한문이 혼종되어 있던 텍스트들을 시야에 담지 못하고, 국문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이 시기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킨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남선의 국문과 박한영의 한시를 함께 연구하며, 이 두 텍스트의 상호작용과 그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최남선의 국문 산문과 박한영의 한시는 밀접하게 연관된다. 최남선은 금강산을 글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고 여러 차례 고백하고 시인이라면 어떻게 이를 표현했을까를 계속 묻는다. 뒤이어 박한영의 한시가 등장하여 한시로 금강산을 압축하여 제시한다. 또 최남선의 국문 산문은 함께 여행하는 박한영의 심정을 암시하고, 박한영의 한시는 뒤이어 자신의 심정을 제시한다. 국문 산문과 한시라는 이중적 글쓰기는 여러 층위에서 당대 텍스트 환경을 반영한다. 첫째, 이는 당대 독자들의 한문 교육과 한시에 대한 수요를 반영한다.1920~1930년대 독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한문을 배웠고 한시를 짓는 사람들도 많았다. 동시에 근대 매체는 국문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었고, 일반 교육에서 일본어, 조선어, 한문을 동시에 습득해야 했다. 둘째, 조선의 산천에 대한 문학, 특히 금강산을 읊은 한문학 전통이 유구하게 남아 있었고 이는 최남선이 활용할 수 있는 가장 폭넓고 깊이 있는 유산이었다. 셋째, 당대 조선의 역사, 지리, 문화, 신화 등에 해박한 사람이었던 박한영은 여전히 한문으로 글을 읽고 한시로 감상을 표현하는 인물이었고, 최남선은 국문 산문을 통해 최대한 많은 조선인들을 계몽시키고자 노력하는 인물이었다. 이러한 텍스트 환경이 국문 산문과 한시라는 ‘국한문 텍스트’로 『풍악기유』를 산출했다. 이러한 ‘국한문 텍스트’에 대한분석과 평가가 더 폭넓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식민지 시기 문학사를 온전히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육사(陸史) 시(詩)의 상호텍스트성 연구-「청포도(青葡萄)」를 중심으로-

        곽염녕 ( 郭艳宁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이 연구의 목적은 육사의 시와 중국문학의 상호텍스트성을 밝혀봄으로써 육사의 시를 보다 정밀하게 읽는 데에 있다. 기존의 연구는 육사 시 안에 나타난 서지마(徐志摩), 곽말약(郭沫若), 노신(魯迅), 고정(古丁) 등 중국 현대 작가·시인의 작품에 대한 수용양상 연구가 있었다. 비단 현대작가뿐만 아니라 고전 한시의 시형, 작시법, 시상 전개방식을 어떻게 섭수하였는지에 대해 연구해왔다. 또한 杜甫 등의 한시에 나온 ‘青袍’, ‘白馬’ 이미지와 연관시켜서 육사의 「青葡萄」에서 나온 “青袍를 입고 찾아온다고”했던 ‘손님’의 은유적 의미를 밝혀보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그중에서 중국 현대작가에 대한 육사의 수용양상 연구는 재고할 만한 부분이 다분히 발견되었다. 육사 시와 고전한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는 여태까지 주로 큰 틀에서 전개된 거시적인 연구이며 구체적인 시구 또는 시작품을 대상으로 한 면밀한 연구와는 아직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다. 필자는 그 동안 연구자들의 주목을 제대로 받지 못한 「青葡萄」의 3연의 전반적인 시상을 李白의 「望天門山[천문산을 바라보며]」, 「行路難(행로난)」 등의 작품과 연결시켜서 웅대한 기백과 낭만적인 뉘앙스를 돋보이는 주행(舟行)장면 묘사에 초점을 맞춰서 그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해 보았다. 육사가 한시를 비롯한 한문학에 대한 깊은 조예를 가진 시인임을 상기할 때 필자는 「青葡萄」에 나온 ‘손님’이라는 시어·이미지의 한자어 표기인 ‘客(객)’과 ‘고달픈 손님’의 한자어 표기인 ‘倦客(권객)’에 주목하였다. 「青葡萄」에서의 ‘손님’은 단순한 ‘손님’ 대신 ‘나그네’라는 의미가 다분히 깔려있다고 생각된다. 비단 「青葡萄」에서뿐만 아니라 육사의 다수 시편에서 ‘나그네’로서의 ‘客(객)’이라는 이미지가 돋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고전 한시에서 빈번히 나타난 ‘客(객)’이라는 이미지와 육사의 다수 시편에서 부각시킨 ‘客’ 이미지를 연계하여 육사 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김학철과 도진순은 「青葡萄」에서의 ‘青袍’라는 이미지를 杜甫 등의 한시와 연관시켜서 ‘青袍’를 입은 ‘손님’의 은유적 의미를 밝혀보았다.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육사는 고전한시에서 ‘青袍’로 표상되는 ‘반역자’라는 의미를 「青葡萄」에서 인용·변용시켰다. 즉 ‘青袍를 입고 찾아온다고’했던 ‘손님’이 “일제 통치에 맞서 투쟁하는 항일투사”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라는 주장이다. ‘青袍’에 주목하여 전개된 그들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는 한편 필자는 ‘손님’의 한자어 표기인 ‘客’에 주목하였다. 또한 육사의 한시 「晚登東山」에서 나온 ‘歸舟(귀주)’라는 이미지와 연관시켜서 「青葡萄」의 ‘손님’을 독립투사를 비롯된 유랑살이를 하는 존재 또는 ‘내 고장’으로 돌아올 사람이라고 해석하였다. 단 ‘고달픈 손님[倦客]’과 ‘나’를 “분열된 한 영혼의 양면”으로 본 기존의 견해는 재고할 만하다고 본다. 육사의 시를 전반적으로 읽을 때 그가 과거지향성도 미래지향성도 아닌 현실세계에 확실한 삶의 근거를 두고 살아온 시인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青葡萄」에서의 ‘손님’이 시인의 분신이 아니라 시인과 유사한 정체성이나 삶의 경험을 가진 벗일 가능성이 클 것이다. 고전한시에서의 ‘客’이라는 시어도 시인과 비슷한 신세·정체성의 벗을 지칭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이다. 本研究旨在通過闡明陸史詩與中國文學的互文性, 以对其诗歌進行精细化解读。此前的相關研究包括陸史對徐志摩、郭沫若、魯迅、古丁等中國現代詩人作家作品的受容研究, 陸史詩在诗形、创作手法和构思方式等方面對古典漢詩的受容研究。此外还有結合杜甫等的漢诗中的 ‘青袍’、‘白马’ 意象, 对陆史的「青葡萄」一詩中 ‘身穿青袍而來’ 的 ‘客’ 的隱喻意義進行的探究。通過先行研究发现, 陆史詩对中国现代作家的受容研究中有几点需要重新考究;陆史诗与古典汉诗的互文性研究至今主要是在大框架内展开的宏观研究, 與以具体诗句或诗篇作为对象的精细化研究还有相当一段距离。笔者将此前未受到研究者们足夠关注的「青葡萄」的第3段與李白的「望天門山」和「行路難」等詩作結合起來, 聚焦于透著雄偉氣魄和浪漫氣息的舟行場面描寫, 考察了陸史詩與李白詩的互文性。 考慮到陸史是一位對漢詩等漢文學有著較高造詣的詩人, 筆者格外關注「青葡萄」中 ‘손님’ 這一詩語兼意象對應的漢字標記 ‘客’、‘고달픈 손님’ 對應的漢字標記 ‘倦客’, 認為「青葡萄」中的 ‘손님’ 並非單純地指代 ‘客人’, 還包含有 ‘遊子’ 的含義。不僅是「青葡萄」, 陸史的多數詩篇都刻畫了 ‘客’ 這一意象。因此, 筆者將古典漢詩中頻繁出現的 ‘客’ 意象與陸史的多數詩篇中塑造的 ‘客’ 意象聯繫起來, 以進一步拓展陸史詩歌理解的地平線。 金鶴哲和都珍淳結合杜甫等的漢诗中的 ‘青袍’、‘白马’ 意象, 对陆史的「青葡萄」一詩中 ‘客’ 的隱喻意義進行了探究。他們認為, 陸史在「青葡萄」中引用和變用了古典漢詩中有著‘逆賊’含義的 ‘青袍’ 意象, 即‘身穿青袍而來的客’是反抗日本帝國主義統治的抗日志士的隱喻表達。筆者一方面參考他們聚焦于 ‘青袍’ 所作的研究成果, 另一方面關注 ‘손님’ 對應的漢字詞 ‘客’, 並結合陸史的漢詩「晚登東山」中的 ‘歸舟’ 意象, 指出「青葡萄」中的 ‘손님’ 是獨立志士為代表的過著流浪生涯的一類人, 或是回‘我的故鄉’的人。但是, 筆者認為將‘倦客’和‘我’視為 “一個分裂的靈魂的兩面” 的觀點需要重新考究。因為整體上閱讀陸史的詩歌可以確知, 他既非過去指向性, 也非未來指向性, 而是將生活的根基扎根于現實世界的一位詩人。因此, 「青葡萄」中的 ‘손님(客)’不是詩人的分身, 而極有可能是與詩人有著類似身份特徵或生活體驗的友人。古典漢詩中 ‘客’ 這一詩語也常常指代與詩人身世、身份相似的友人。

      • KCI등재

        설도의 「춘망사(春望詞)」와 한국어 번역 텍스트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김진수(Kim, Jin-soo),오금희(Wu, Jin-ji)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연구는 당나라의 여류 시인인 설도의 「춘망사」와 김억의 번역 텍스트들간의 연구다. 김억은 「춘망사」의 네 수의 시 가운데 세 번째 시만을 번역하면서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수정을 거쳐 모두 네 개의 번역 텍스트를 생산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 즉 원시와 첫 번째 번역 텍스트의 차이, 그리고 번역된 텍스트들 사이의 문장 구조와 시어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이루어졌다. 첫 번째 측면은 네 수의 시 가운데 왜 세 번째 시만을 김억은 번역하였을까 하는 번역의 ‘의도성’을 한시의 기-승-전-결이라는 구성을 전경과 배경이라는 인지이론과 응결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첫 번째 번역에 이어 세 차례에 걸친 수정번역 텍스트들 사이의 의미구조와 시어들 사이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의미구조의 차이는 테마와 레마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으며 시어들 사이의 차이는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번역 텍스트들 상이의 표기법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춘망사’의 번역자인 김억의 번역관, 즉 ‘번역은 자구의 번역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는 그의 번역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ldoh’s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that Ahnsuh Kim, Uuk translated in Korean. Suldoh who was a poet of Tang Dynasty of China remained her poem 〈Chunmangsah〉 that constituted with four poems. But Kim, Uuk translated only one, the third poem among four poems. After the first translation he revised the first translation script three times more. So there are all four translation versions of Suldoh’s poem. This paper has founded on three questions. One is the Ahnsuh Kim, Uuk’s intentionalty of the translation – why Ahnsuh Kim, Uuk translated only one poem among 4 poems. Second question i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Suldoh’s poem and the first ranslated text. And the last question i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Kim, Uuk’s translated texts. corrected three times the first translated text. This paper has analysed with theories. One is the theory of intertexuality and the other is the cognitive theory. So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 Suldoh’s poem and the first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s- were analysed with a theory of intertexuality.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analysed with cognitive theory. The results of this paper has as follows: The reason of Ahnsuh Kim, Uuk’s translation is the third poem is the fore ground of Suldoh’s 〈Chunmangsah〉. And the third poem is ‘전’of 기-승-전-결. ‘전’ has different features from other parts of 〈Chunmangsah〉. The points of the different features has analysed with cognitive theory and intertexual theory. With an intertexual theory, the difference the theme and rhema of the Suldoh’s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With cognitive theory, the difference of poetic words between the original poem and translated texts. The difference of the relation thema-rhema of original poem and translated texts and the difference of the poetic words were changed. In this paper the reason of these changes occurred from translater’s point of translation. In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s there are many directional comments of the original poem. The comments of translater made many differences from the structure and poetic words among the original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 KCI등재

        여성 한시 문학사 서술을 위한 제언

        박영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e feminist view, which began to emerge increasingly from the periphery of our culture in the late 20th century, is now being clearly verified by how valid the problem was at that time in various chapter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However, there are still a handful of researchers who search for data in this field and seriously explore methodology, and the field of research is limited to some categorie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research of female Chinese poems is more dwarfed by other genres of research such as novels, lyrics and sijo. This is because previous Chinese studies did not recognize that intensive treatment of Chinese poems by female authors was a very effective and productive study. It is true that the female writer’s Chinese poems are significantly less in the amount than the male writer. But the significance of Han Shi, a female writer,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gauged by the current amount of her poems. Chinese poetry is the genre most actively chosen by medieval subjects when they want to express their sentiments and reasons in writing. Thus, the life and culture of people living in time and space of the Middle Ages are revealed in abundance. In order to make women’s history and perception of their traditions more balanced, they first need to observe the lives and inner consciousness of women of the time. At this time, Chinese poems by female writers are the most important and meaningful subjects. Going forward from the study of female writer Han Shi, building up the history of female writer Han Shi literature can create the right restoration of women’s history and a proper and efficient understanding of women’s literature. 지난 20세기 말 우리문화의 주변부에서 점점 중심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여성주의적 시각은 현재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장에서 그때의 문제제기가 얼마나 유효한 것이었던가를 선명하게 검증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분야의 자료를 섭렵하고 진지하게 여성, 젠더 연구 방법론을 탐색하는 연구자는 소수에 머물러 있으며, 연구 분야도 고전문학, 한문학계의 몇몇 범주에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성 한시의 연구는 소설, 규방가사, 시조 등 다른 장르의 연구에 비해 그 외연이 더욱 왜소한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한시 연구에서는 여성작가의 한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이 별로 효과적인, 생산적인 연구라고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여성작가의 한시가 남성작가의 작품에 비해 그 양에서 현저하게 적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작가의 한시의 의의는 현전하는 양의 다소에 의해 가늠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시는 중세의 주체들이 문필로 자신의 정감과 사유를 표현하고자 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선택한 장르이다. 그래서 한시에는 중세라는 시공간 속을 살다간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풍요롭게 드러난다. 여성의 역사와 그 전통에 대한 인식을 보다 균형 있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대 여성들의 삶과 내면의식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여성작가의 한시는 가장 중요하고도 의미있는 대상이 된다. 여성작가 한시의 연구에서 나아가 여성 작가 한시 문학사를 구축하는 것은 여성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복원, 그리고 여성문학에 대한 적절하고도 효율적인 이해를 만들어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조 아동 한시의 텍스트와 아동 한시를 보는 시각

        안대회 진단학회 2014 진단학보 Vol.- No.122

        This paper has a twofold purpose in examining hansi –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by Korean writers – created by children during the pre‐modern era in Korea. The first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text production and preservation. The other is to examine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poetry works were perceived. These exercises provide a basis for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poetry works created by children during th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the first exercise shows that the hundreds of existing children’s poems are more likely to have bibliographical distortions than surviving works of literature in general from the period. It shows, in particular, that the more widely known a child’s poem, the more likely it was transmitted orally, and that such works are more likely to contain inaccurate information on the author identity, date, and textual content. A distinct set of pre‐modern perceptions of poetry works children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and reception and appreciation of the poems. The long‐held culture of encouraging children to engage in poetry writing continued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some held the view that children’s poems were an expression of their genius. This was the milieu in which poetry writing by children flourished during the period. Still others thought that poems by children were an expression of their feelings, unaffected and innocent, while yet some others thought that the poems foreshadowed the individual child’s future success or failure in life. Thus, some credited the poems with excessive significance. 이 논문은 두 가지 목표를 갖고 있다. 하나는 근대 이전 아동 한시의 텍스트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고, 하나는 아동 한시를 보는 시각의 다양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두 가지 목표는 조선조에 쓰인 아동 한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첫 번째 문제를 분석한 결과로, 수백 수에 달하는 아동 한시는 일반적인 문학작품에 비해 왜곡되어 전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널리 알려진 것일수록 口傳에 의존하여 작자나 텍스트, 창작한 나이에 변동이 많다는 사실을 밝혔다. 아동 한시를 바라보는 독특한 시각은 창작과 전파, 감상과 이해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아동의 시창작을 장려하는 문화가 지속되고, 아동의 천재성이 발현된 것으로 간주하여, 창작의 활성화를 촉진했다. 또 아동의 소박하고 천진한 감정이 표현된 문학이고, 미래의 인생을 예시하는 문학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 시각에 따라 아동 한시의 가치에 대해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폐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漢文 텍스트의 중학교 교과서 수용 범위와 수준 -短文, 散文, 漢詩를 중심으로-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e key matters in compilation of a textbook is a selection problem of themes of the main body.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a textbook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a textbook, and the 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centering around a textbook are usually related to this themes of the main body. This paper analyzes the acceptance scope and level in themes of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ms of a junior high school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and the explanation of the new junior high school'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s’ are an artificial test category newly proposed by reflec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the amended curriculum. The term itself called as short sentences has been used in the previous curriculums. The themes to be included in short sentences categories have been frequently shown in the textbooks of previous curriculums. However, this curriculum firstly defined the concept of short sentences as a short writing composed of one sentence. ‘Chinese writing prose' and 'Chinese poems' are also artificial text categories newly proposed by reflec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a 'prose' category was propos -ed as sentences opposed to poems. But in the amended curriculum, a 'prose' category was proposed from a junior high school and the concept are also defined as 'Chinese writing prose opposed to Chinese poems'. The ordinary type of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existing junior high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can be divided into vocabularies(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idioms) and sentences(including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ms). The ordinary type in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new Chinese writing textbook according to the amended curriculum would be not so different from this. Provided if the weight of vocabularies relatively becomes high in a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weight of sentences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amended curriculum. 교과서 편찬에서 핵심이 되는 사항은 本文 題材의 선정 문제이다. 교과서의 本文 題材는 해당 교과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얼굴이며,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 또한 대개는 바로 이 본문 제재와 관련해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漢文 科目 敎育課程과 이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 解說書에 의거하여 중학교 한문 교과서 短文, 散文, 漢詩 제재의 수용 범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漢文 短文’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短文’이란 용어 자체는 이전의 교육과정에서도 사용된바 있다. 단문 범주에 포함될 제재들 또한 이전 교육과정의 교과서들에서 익히 보아 왔던 것이다. 그러나 단문의 개념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글’로 규정한 것은 이번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이다. ‘漢文 散文’과 ‘漢詩’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韻文과 상대되는 문장’으로 ‘산문’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에서부터 ‘산문’ 범주를 제시하고, 그 개념 또한 ‘漢詩와 상대되는 글’로 규정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기존 중학교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는 語彙(漢字, 漢字語, 成語 포함)와 文章(短文, 散文, 漢詩 포함)의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 또한 여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상대적으로 어휘의 비중이 컸다고 한다면,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문장의 비중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주제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한시(漢詩)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1) -중학교 『한문(漢文)』 교과서 한시 텍스트의 수록 양상 분석-

        김연수 ( Yeon Soo Kim ),송혁기 ( Hyok Key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to discuss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in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is to analyze aspect and characteristic of Chines Poem Text included in Chinese textbook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vised Chinese characters and curriculum of 2007 and the 7th curriculum of Chinese Character. First, what kinds f Chinese Poem Text were duplicated in several textbooks were observed to find out the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to be nominated as a subject on the textbook, first, the Chinese Poem Text should be composed with 900 Chinese characters which conforming to the basic characters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econd, the author of Chinese Poem Text should have relative importance in Chinese literature and high literary achievement on the text itself. Third, It must correspond with emotion and interest of middle school learners. Fourth, in case of Chinese Poem Text, specific times were focused such as Chinese Poem Text in Tang China. Next, the aspect of changes in inclusion of Chinese Poem Text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Chinese 漢文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hinese Characters and Curriculum of 2007 included more Chinese Poem Texts and selected new Chinese Poem Text as subject with higher degree of difficult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frequency of Chinese Poem texts and changing patterns, two things are proposed to establish the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One is to keep the rank by school and class so that the same Chinese Poem Text may not be duplicated. The other is that agreement should be made through active discussion on the recognized Chinese Poem Text worth for leaners in secondary school. As the context and criteria to select Chinese Poem Text as a subject of textbook was revealed for textbook write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es and discussion on the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should be ma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