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 연구

        장정희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ppearing in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June 1950. First, I researched about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xcept for “Children(어린이)” (1948 May-1949.12), many magazines all ended in May-June 1950. North Korea’s “Children’s Literature” was also temporarily suspended during the Korean War and began to be published again in 1954.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 could see that there was an ideology that children’s magazines at this time were pursuing, but they were not exclusive to each other, and practical exchanges were taking place. Next, I tracked the author’s movement in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in the south and north before the Korean War. First, I took note of “Children’s Country(어린이나라)” The activities of Yoon Bok-jin (Children’s Song), Park Tae-won (Novel, Boys’ Novel), and Park Se-young (Comment)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the work. I also identified several authors who were active in children’s magazin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fore the Korean War but whose activities were not confirmed in North Korea. Typical examples are Jung Ji-yong, Choi Byung-hwa, Jeong Tae-byung, and Hyeon Dong-yeom. This paper was able to meet the sudden trans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to hostile literature after passing the “Korean W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tage was also settled as a division of disconnection without exchange. We need to discover and illuminat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o were buried in ideological barriers. In addition, a new research method that can view the divis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should be derived. 본고는 1950년 6월에 발발한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한국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전쟁 전후 남북 아동 잡지류의 창간 및 발행 현황을 살폈다. 한국전쟁 발발 전에 이미 종간된 어린이 (1948. 5.~1949. 12.)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동 잡지는 ‘1950년 5월~6월’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일제히 종간을 맞이하였으며, 북한 아동문학 의 경우도 한국전쟁기에는 일시 휴간되었다가 다시 1954년부터 발행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이 시기 남북 아동 잡지는 일부 이념적 선호 경향이 얼마간 있었으나 한국 아동문학 문단이 배타적 입장이 아닌 실질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한국전쟁 전 남북 아동문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의 이동 현황을 추적해 보았다. 먼저, 어린이나라 를 주목하여 윤복진(동요)․박태원(소설, 소년소설)․박세영(평론)의 활동 경로를 주요 작품 경향 분석과 더불어 탐색해 보았다. 또 한국전쟁 전 남한에서 발행된 아동 잡지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으나 북한 아동문학 내에서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작가군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정지용, 최병화, 정태병, 현동염을 주목했다. 본고는 ‘6.25전쟁’이라는 민족 동란으로 인해 새로운 아동문학 건설기를 맞이한 한국 아동문학이 적대적 대치의 문학으로 급선회한 모습을 만날 수 있었으며, 아동문학장 역시도 점차 교류가 없는 단절의 분단 과정으로 정착해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념의 장벽에 가려 묻혀 있던 한국전쟁 전후 한국 아동문학장 내의 아동문학가를 발굴 조명해 나가는 한편, 남북 아동문학장의 분단을 해소하여 통합적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남북 학술 교류를 통해 도출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김관식(Kim, Kwan-si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한국 아동문학의 사적 연구는 근대문학 형성기인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문학사적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현대 아동문학의 사적인 체계는 1978년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부터이다. 그 후 한국 동시문학에 대한 연구로 신현득의 「한국동시100년-정형동 시를 중심으로」, 최근에 아동문학에 대한 사적 연구로는 원종찬의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이재철이 조직한 『한국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고, 그 밖의 석사학위 아동문학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현대 아동문학이 태동한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학사적인 의의가 큰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을 뿐, 현시점에 필요한 아동문학 창작 연구 분야는 저조한 편이다. 한국 동시문학사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적인 맥락이 광의적인 동심을 반영한 시가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는 시와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한국 시의 원형으로 동심을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동시문학의 위상이 정립된다. 따라서 한국 동시의 모태가 된 동시문학을 고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에서 시가의 발달 과정에서 동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작품과 시인들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not been significantly illuminated compared to existing literary studies. The private system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s considered in Lee Jae-chul’s “Research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1978 (Da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and later in Shin Hyun-deuk’s “100 years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 focusing on regular poetry.” Recently, further studies have emerged, such as Won Jong-chan’s “Rediscove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rivat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In 1988, Lee Jae-chul organized a research paper on children’s literature centered o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Other master’s degree papers on children’s literature are being published more frequently.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into the works of the writer who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reation research field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is poor. The history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Korea is not a concept separate from poetry, in that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poetry is rooted in poetic literature reflecting broad concentricity. The status of simultaneous literature is established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ntricity as a prototype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simultaneous literature that became the mother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wa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Joseon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igar,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works and poets that can be seen as simultaneous areas.

      • KCI등재

        이원수와 70년대 아동문학의 전환 -한국아동문학가협회의 창립과 아동문단의 재편 과정

        원종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1972년 2월 이원수가 주도한 한국아동문학가협회의 창립은 아동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분단시대의 독재정권과 밀착관계를 유지해온 한국문인협회로부터 독립한 리얼리즘 아동문학의 흐름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6.25 동란 이후 아동문단은 반공주의 인맥을 통해 한국문인협회 아동문학분과를 차지한 작가들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었다. 그들은 유아적인 동시와 교훈적인 동화 경향을 퍼뜨리면서 현실도피를 정당화하고 있었다. 8.15 해방 이후 이원수는 창작을 통해서 또 비평을 통해서 민족현실에 뿌리박은 리얼리즘 아동문학을 강조해 왔다. 그는 이런 활동을 조직적으로 벌여나가기 위해서 한국아동문학가협회를 창립하고 기관지를 발행했으며 세미나를 개최해나갔다. 이원수의 문학정신을 이어받은 이오덕의 비평과 권정생의 창작은 리얼리즘 아동문학의 흐름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이원수는 분단시대 리얼리즘 아동문학의 출발점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Juvenile Literature Authors Association led by Lee, Won-su in February of the year 1971 was a very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juvenile literature, because it created a new trend of realism in juvenile literature independent from the Korea Authors Association, which had kept close relation with the then dictatorial political power during the period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Korean War, the literary world of juvenile literature had been dominated by those who had juvenile literature department of the Korea Authors Association in their hands through the line of anticommunists. They justified escapism by disseminating the trends of creating infantile children`s verses and instructive fairy tales. Lee had placed emphasis on realism on the basis of national reality in the juvenile literature world by creation and criticism since Independence Day of Korea. He organized the Korea Juvenile Literature Association, published organs, and held seminar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se activities. Lee, O-deok`s criticism and Kweon, Jeong-seng`s creation, who were influenced by Lee, Won-su, made those trends more securely settled. Therefore, we can consider Lee, Won-su as the starting point of realism juvenile literature in the period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韓國童詩 100年

        신현득(Sin, Hyeon-Deug)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2008년에 한국아동문학은, 한국 현대 아동문학 100년과 한국동시문학 100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한국현대아동문학은 1908년에 최남선(1890?1957)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唱歌라는 정형동시였다. 창가 이전에는 한국현대문학이 없었으므로 한국현대문학은 아동문학에서 시작된 것이 된다. 또한 한국아동문학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동시에서 시작되었으므로, 한국 아동문학 100년은 곧 동시 100년이다. 정형동시 창가의 첫 시집은 1908년 3월 20일 新文館에서 발행한 최남선 작 『경부텰도노래』였다. 최남선은 창가 형식으로 많은 시작품을 썼으며 특히 동화를 창가 형식에 담은 童話謠 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최근『경부텰도노래』와 이보다 2년 전인 1906년에 일본의 철도창가시인 오와다 다데끼(大和田建樹, 1957?1910)가 한국 침략을 정당화한 내용으로 쓴 『滿韓鐵道唱歌』를 비교 연구한 결과『경부텰도노래(京釜鐵道歌)』가 『滿韓鐵道唱歌』의 대응작임이 밝혀졌다. 이로써 한국 아동문학사는 국권운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투쟁한 자랑스러운 역사임이 증명되었다. 국권운동에서 시작된 한국아동문학은 정형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는데, 그중에는 학교의 『조선어독본』과 창가책에 실어 교재로 쓴 ‘學校唱歌’도 있었다. 창가는 童謠詩로 발전하여 더욱 예술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윤극영, 방정환, 정열모, 한정동, 윤석중, 김태오, 서덕출, 이원수, 강소천 등 동요시를 전문으로 쓰는 시인들이 출현하였다. 작품 중, 한정동의 동요시 ?굴네 버슨 말?(1930)과 강소천의 ?무궁화와 벌나비?(1931) 등은 일제에 저항하는 작품이었다. 이들 시인 중 윤석중은 우수하고 많은 동요시를 창작하여 세계적 동요시인이 되었다.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2008 is a hundred years old and so does korean nursery rhyme.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d started from a narrative song, rhymed verse by Choi, Nam-sun in 1908. There was no modern literature before a narrative rhyme, so Korean modern literature came to start from Childrens literature. Also,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started from nursery rhymes differently with others, so 100-year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100- year of Korean nursery rhymes. The first collection of narrative song in rhymed verse was『A Song of Kyung-bu Railway』of Shin Mun Sun by Choi,, Nam-sun, March 20th in 1908. Choi, Nam-sun had written a lot of narrative rhymes and especially a song of childrens story which was in a form of rhymed verse. Recently, as a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 Song of Kyung-bu Railway』and『Yang Han Chuldo Chang Gwa』which justified Koreas invasion by Japanese railway narrative song poet, Deki Owada(Dae Wha Jeaon Gun Soo 1957?1910) were turned out to be corresponding works. Therefore,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started from struggle for national rights and it was turned out to be a proud history.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has developed focused on rhymed verse and there were『Korean selections』and a textbook school narrative song. Narrative song has developed into nursery rhymes and has had artistry. The poets of nursery rhyme appeared including Yoon, Geuk-young, Bang Jungwhan, Jung Yeal-mo, Han, Jung-dong, Yoon,Seok-jung, Kim, Tae-o, Seo,Duk-chul, Lee, Won-soo, Kang., So-chun. Nursery rhyme of Han, Jung-dongs ?Gulne Buseon Mal?(1930) and Kang, So-chuns ?Mugunghwa and bee butterfly?(1931) were works to resist Japan. Among them, Yoon, Suk-jung became a poet of world nursery rhyme.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 현황과 특성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상호 소통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번역을 통한 문학 교류는 한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이해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아동문학 역시 해외 독자들에게 여러 언어로 번역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입 도서에 비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적극적인 수출을 위해,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로 번역된 현황과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의 경우 창작동화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그림책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번역되었다. 불어권은 ??고양이 학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창작동화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 추세였다. ??고양이 학교??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 한국적인 풍습과 세계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일어권은 이전에는 그림책에 관심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창작동화에 관심을 보였다. 창작동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처한 환경적인 영향으로 어려움에 있는 주인공들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희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번역되었다. 세 언어권을 중심으로 해외에 번역된 한국 아동문학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담은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한국에 수입되는 도서에 비하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해외로 번역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에 빠져서 한국적인 것만을 주제로 한 작품 소개는 피해야 한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고유성과 상대 국가의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works as very important medium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hich use different languages. Exchanges in literature via translation are becoming powerful measures to help disseminating and understanding one country"s culture to the other effectively. Korean"s juvenile literature also introduced many translated languages, but still imported books have taken up a lot of space compared to exported books. This thesis is started with the concept that we should study status and character of exported books first, for the more energetic exportation in Korean"s juvenile literature. Consequentl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fantasy based created children"s books and picture books which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e translated. In Francophone countries, ??School for cats??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with readers. It was definitely remarkable in exported created children"s book. Thank you for the popularity of ??School for cats??, Francophone countries are starting to get interest in Korean"s book. As a result many korean atmosphere books are translated. In Japan, they a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at first, but started to get interest in created children"s books later. Because of their own environment, particular kind of books are translated which have a story of one character who gets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has a successful life. Distinctively, exported Korean juvenile literature reflects Korean"s culture and spirit. But still, compared to imported books, the percentage of exported books is really inadequate. Thus it"s really urgent to translate the various writers’ diverse stories, bu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the concept that we always have to write the story based on Korean culture. In the end, to get our books exported actively, we have to consider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other country"s taste.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위종선(Wee, Jongs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 KCI등재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원종찬 ( Won Jong-c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4

        본고는 한국전쟁기 초등학생 대상의 임시 교과서에 수록된 반공 아동문학의 양상을 살피고, 전후 아동문단의 재편이라는 문학사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려고 했다. 문교부가 발행한 『전시생활』은 아동소설처럼 극화된 이야기 방식을 주로 사용했고, 문교부가 추천하고 인정한 『소년기마대』와 『새음악』 은 초등 노래책으로서 동요에 속했다. 이 텍스트들은 아동문학과의 경계가 불분명할뿐더러 실제 생산자도 아동문학 작가·시인들이었다. '교과서 아동문학'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이 텍스트들은 '북한정권·인민군·중공오랑캐'를 '자유 없는 공산주의'로 규정하고 그와 대립한 '남한정권·국군·유엔군'을 '자유 수호의 민주주의'로 규정하는 가운데, 전자의 편은 '비국민'이고 후자의 편만이 '국민'이라는 도식을 만들어냈다. 즉 국가 주도의 선택과 배제를 통해 아이들의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반공을 국민정체성으로 받아들이게끔 이끌었던 것이다. 전시의 임시 교과서를 배우는 아이들은 아무 의심 없이 자신을 반공투사로 정립했다. 이렇게 내면화된 반공 국민정체성은 분단시대의 독재정권을 떠받친 강력한 힘이었다. 문단 일각의 아동문학 작가·시인들이 반공문학에 앞장섰던 이유는 전후 아동문단의 재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과서 정전(正典)의 위력은 막강했다. 교과서의 반공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강소천, 김영일 등은 단박에 아동문단의 중심부로 진입했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후 아동문단의 새로운 주류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한국전쟁기의 반공 아동문학은 국가시책에 호응해서 문단의 주도권을 장악한 세력에게 보증수표와도 같은 의미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nti-communist children's literature contained in provision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Korean War and to find any significance in the literary context of reorganization of children's literary world. Life during War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MOE) employed the method of dramatization as in children's novels, and Mounted Infantry Boys and New Music recommended and acknowledged by MOE were more of music books. These texts not only share blurred boundary with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their creators were children's literary writers and poets. May be called 'textbook children's literature', these texts defined 'North Korean regime, People's Army, and the barbaric Chinese communists' as 'communism without freedom' and defined the opposing forces of 'South Korean regime, South Korean army and UN forces' as 'democracy for protection of freedom', all the while building an equation that those on the former's side as 'unpatriotic' and those on the latter's side as 'patriotic'.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and exclusion led by the state reconstructed children's memories to have them accept anti-communism as the national identity. Learning from the provisional textbooks during war, the children unsuspiciously established themselves as anti-communist fighter, and such internalized identity became a powerful force that supported the dictatorship during the time of division. The reason why certain children's literary writers and poets foreran the anti-communist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worl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canon of textbooks was potent. Kang So Chun, Kim Yeong Il and others deeply connected to anti-communist children's literature quickly settled in the center of children's literature world. A new mainstream was formed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It can be said that, during the war, the anti-communist children's literature functioned as a guaranteed bond for those who took over the literary world in response to national policies of the time.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 연구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아동을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다문화 아동의 수는 4만 6000명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문화 아동 대상 교육 문제가 대두되고 연구 성과도 누적되고 있으나, 아직도 이들을 위한 여러 제반 조건들은 매우미홉한 상황이므로 다문화 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수 학습방법 연구는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언어교육과 문화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특별한 상황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점들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독서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들을 긍정적으로 순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 문화와 역사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동화를 포함한 문학 한국어 교재 개발을 제안하여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동화는 교훈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해 쉽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실을 전달하는 설명적인 글을 읽을 때와는 달리 호기심과 문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감상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아동을 위한 문학 한국어 교재는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의 자신감을 신장시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기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textbook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by using literary texts. There are lately 46 thousan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hese children is expected to keep growing in the future. So how to educate these children is now one of social issues, into which prolong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directed, achieving results. In fact, however, their situations and environments can never be said to be good enough, and it`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separate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for their s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likely to face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ir peculiar situations, and developing a Korean reading textbook by utilizing literary texts is especially worth doing in that it`s possible for them to not only receive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but also cleanse their psychology in reading process. In this study, how to develop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by using historical fairy tales to make Korean culture and history more accessible to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as suggested in detail. Historical fairy tales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history dye to their lessons and literary value. Another reason is that learners are able to exert their literary imagination while they appreciate these fairy tales, which cannot happen when they read an expository writing that describes facts.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stirs up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hereby is effective at improving Korean proficiency, and that is expected to instill confidence in learners to foster their positive thinking as well.

      • KCI등재

        해방-1950년대 중반까지 한국아동문학전(선)집 편찬과 정전화

        조은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From the liberation till the mid-1950’s, Korea tri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by arranging the legacies of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colonization era. There was, in fact, great effort to screen works that were literarily valuable and find a direction for creat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is period,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s show us the effects of the social or historic conditions such as the liberation and national division on the process of canonization clearly. Also, they selected children’s literary works based on the pure literary ideology genuinely, which lets us see the interesting scenes of how the direction of canonization was settl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stream of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s in Korea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liberation till the mid-1950’s.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s various direction of forming the cannon through selecting and arranging works contained in the major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s such as Chosun Children’s Song Collection (1946), Sopadonghwadokbon (1946), or Modern Korea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 (1955). 해방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는,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아동문학의 유산을 정리하여 한국 아동문학사의 정통성을 세우고, 문학적으로 가치 있는 작품을 선별하여 아동문학 창작의 방향을 잡아 나가려는 의욕이 컸던 때였다. 이 시기의 아동문학전(선)집은 해방과 분단 등의 사회 역사적 사건들이 정전화 과정에 미친 영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며, 순수 본격 문학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아동문학 작품이 선별되고, 정전화의 방향이 정초되어 가는 흥미로운 장면들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1950년대 중반까지 발간된 한국 아동문학전(선)집의 주요 흐름을 확인해 보았으며, 특히 조선동요전집(1946), 소파동화독본(1946), 현대한국아동문학선집』(1955) 등 주요 아동문학전(선)집에 나타난 작품의 선별과 배치의 방식을 통해 정전 형성의 다기한 방향을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1970년대 대구·경북 지역 아동문학 연구 : 〈한국아동문학가협회〉와〈대구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김종헌(Kim, Jong-heo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4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he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Kyeongbuk area accepted the new discourse of〈The Association of Writer at Korea children’s Literature(The Association of Writer)〉. As commonly known, the children’s literature in 1970s developed between the polarity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This was triggered by the establishment of〈The Association of Writer〉led by Lee Won-soo and〈The Association of Korea children’s Literature(The Association)〉led by Kim Young-il. After establishment,〈The Association of Writer〉published the organ『Hanguk Adong munhak』the following year in september, 1972. On the other hand,〈The Association〉published『Adong munhak』as their organ. In the meantime,〈The Association of Writer〉brought up the common touch and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to the surface. Meanwhile, Kim Sung-do became the second president of〈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 The society expanded because of various reasons such as join of many rising authors. Although their turf was in region, they kept on their activity enthusiastically, mutually interchanging with the central children’s literary world. This is the point of departure of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local children’s literature, it could complement a feature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local children’s literary world at the time was in a state of confusion about ‘common touch’. It is an instance which shows that the discussion about ‘common touch’ and ‘ethnicit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hich was brought up by〈The Association of Writer〉, was not accepted fully even in the association itself. Thus, although most of the authors in the region were the member of the association, discussion about the ‘common touch’ of children’s literary world could not become widespread. However, it is obvious that at the beginning of 1970s, based on the coterie awareness of〈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where Lee Eung-chang and Kim Seung-do were working as the symbolic capital of the region, the children’s literary world in Daegu-Kyeongbuk contributed a lo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Wri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