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 KCI등재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최정순(Jeong-soon, Choe),윤지원(Ji-w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ng the aspects and issues of each field in Korean Education and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Before that,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y the criteria and procedure will be done. To do that,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as refined. In this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efined as ‘Korean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from entering the University to graduation’ which included from general Korean to study skills needed in academic situation.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ntil 2011 are 209(104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Doctorate, 105 academic journal papers). They were analysed after classifying by the year and the category, by the topic(pres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evaluation), and by the research method(data analysis, needs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Research papers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presented less than 10 pieces every year from 2000 to 2005 but from 2006 more than 10 papers were presented every year. Furthermore when it was compared total papers presented between 2000 and 2011, they were increased about 40 times in 10 years which indicates that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ll constantly b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top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present condition, evaluation in order were studied. In language skill field, ‘writing’ was mostly studied and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follow. Lastly,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needs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complex analysis’ in turns were researched. This paper suggests 4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must be clarified clearly. It is needed a profound discussion on detailed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pecialities. Secondly, diverse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evaluation tools must be developed.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various reading material in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text books for improving writing skill specified by the speciality like writing report, text book development or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Thirdly, re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other skill to make not to lean too much toward on one skill must be neede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in Korean study after acquiring certain level in proficiency. Such as writing and reading skill, writing and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appropriated association with other skills and balanced research in language skill area must be studied.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the area of speciality. Fourthly,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 vari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must be re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ned too much on data analysis and analysis of study skill. For more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 must be found through the diverse research method. 본고는 2011년까지의 한국어교육 연구 중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결과물들을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분하고 정리하여 각 영역 연구의 쟁점과 양상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않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입학 전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업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한국어’를 ‘학문 목적 한국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공통 한국어’에서부터 대학(원)학업 상황에서 필요한 학업 기술(study skills)까지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범주 또한 교양ㆍ전공 별로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다. 2011년까지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총 209편(석ㆍ박사 학위 논문 104편, 학술지 논문 105편)이다. 먼저 연도별ㆍ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다음 주제별(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내용, 방법, 자료, 평가)로, 그리고 연구 방법별(자료분석, 요구분석, 학습 기술 분석, 현황분석)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2000년에 학술지 논문을 시작으로 2005년도까지 1편에서 9편으로 매년 10편 이하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6년부터 해마다 약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0년과 2011년의 전체 논문 편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약 40배 이상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 분야 연구가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내용, 방법, 자료, 현황, 평가 관련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 기능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쓰기’ 영역의 연구가 압도적이며, ‘어휘 및 문법’, ‘읽기’, ‘말하기’, ‘듣기’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연구 방법별로 분류해보니, ‘자료 분석’, ‘학습 기술 분석’, ‘요구 분석’, ‘현황 분석’, ‘복합 분석’ 순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총 네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이 명확해져야 한다. 한국어 특수성을 고려한 상세 구분 및 대상의 문제, 전공 및 취업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필요하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 수준의 다양한 읽기 자료라든지, 보고서 등 전공별 특성화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토론 및 발표 능력의향상을 위한 전략이나 교재의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어느 한 기능에만 편중되지 않고 기능 간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갖춘 상태에서의 한국어 학습은 더 이상 분리적일 수 없고 통합적인 접근이 절대적이다. 즉, 쓰기 기능과 읽기 기능, 쓰기 기능과 말하기 기능, 쓰기 기능과 듣기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과의 적절한 연계와 함께 균형 있는 기능 영역 연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 영역별로 차별화된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을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방법의 다양화 및 협업연구의 필요성을 재인식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은 자료 분석 및 학습 기술 분석에만 너무 치우쳐 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연구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결과가 도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나치게 큰 주제를 선정한다든지, ‘학문 목적’ 다음에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비슷한 주제 연구, 당위성 주장 및 이론 소개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주제나 문제들을 찾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태국인 근로자 대상 입국 후 단기 한국어 프로그램 개발 및 앱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이주희,정예린,Sotthianan Jeeranan,양지현,강승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2004년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매년 10만 명 이상의 외국인 근로자가 국내에 입국한다. 그러나 입국 후 이들은 불규칙적인 근무 시간과 지리적인 위치의 한계로 인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이 유학생, 결혼이주민을 위한 프로그램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한국어 학습의 방해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입국한 태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단기 한국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앱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한국어표준교재1, 2’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기존 EPS-TOPIK 학습용 앱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 교재와 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에 입국한 태국인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들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이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태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앱에 적용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소외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2004, more than 100,000 immigrant workers have been entering the country every year. However, after entering the country, they have difficulty learning Korean due to irregular working hours and limited geographic mobility. The relative lack of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immigrant workers compared to th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immigrants is also a hindrance to Korea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needs analysis and develop a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 for Thai immigrant workers who have entered Korea. To this end, three needs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the existing textbooks for immigrant workers, textbook for EPS-TOPIK was analyzed. Second, the existing EPS-TOPIK learning app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textbooks and apps, we surveyed Thai workers who actually entered Korea to examine their needs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inistry sought to develop a curriculum to design teaching requirements for Thai immigrant workers and use them in actual applications. In this manner, th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immigrant workers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 KCI등재

        基于語料庫與測試的韓國學習者結果補語習得硏究

        맹주억,류묘묘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1

        結果補語是漢語中最常用的補語類型之一, 但其語義功能復雜, 語法規則缺乏系統性, 也沒有明顯的語法標記, 故學習者較難正確習得。且韓語中沒有類似的語法表達, 韓國學習者在習得結果補語時難度較大且偏誤較多。鑒于此, 本文將通過自然語料收集, 語法測試探討韓國學習者結果補語的習得情況及産生偏誤的原因, 這對韓國學習者的結果補語敎學具有一定的理論意義和應用价値。 本文第二部分考察了中山大學漢字偏誤標注的漢語連續性中介語語料庫, 收集到25万字的韓國學習者作文語料。我們從語料中筛選出其中韓國學習者生成的結果補語句, 幷對其中的正確句進行分析, 總結出在自然語料中出現的所有結果補語的正確使用頻率從而預測不同結果補語的習得順序; 然后, 對自然語料中的偏誤句進行分析, 統計偏誤率, 對偏誤句進行分析幷總結其偏誤類型及偏誤原因。本文第三部分主要爲針對韓國學習者的語法測試及分析。對中山大學45名初, 中, 高級韓國學習者進行測試收集强制性語料,幷對其進行分析。 綜合語料庫收集的自然語料與語法測試收集的强制性語料分析, 本文發現結果補語在韓國語里的六種對應形式每一種可能會發生的偏誤, 偏誤原因有母語負遷移, 目的語規則的泛化等。最后, 本文針對韓國學習者的結果補語敎學提出具體的敎學建議。 Complement of result is one of the most widely and frequently used in all kinds of Chinese complements. Korean does not have complicated usage on a complement like Chinese, so Korean students feel difficult in studying Chinese and make a lot of mistakes in using Chinese. The main direction of this paper is w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learning and using Chinese results complement. This paper quotes the language database from character error-cod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of Sun Yat-Sen University and the text which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grammar structure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 This paper is a corpus-based and text analysis-based research, whose conclusions on Chinese complement and detailed analysis on the errors from learner output, is with considerable value for both Chinese Complement study and teaching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 KCI등재

        “한국소통학회 20주년 기념 : 한국소통학보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이명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소통학회의 20주년을 기념하는 4분야의 특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한국소통학보 논문 동향 분석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소통학회의 학술지인 한국소 통학보의 20년의 발자취를 뒤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보 20년의 거시적 시간 속에서의 논문 형태의 동향들과 게재된 논문들의 각각 의 미시적인 연구 동향 유목화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논문형식 자체 변화는 20년 학술지의 변화 (권 과 호), 논문 양 (한국어, 영어, 논문증가량)의 변화, 논문 투고 자 (소속대학, 개인 또는 공동 연구, 대학 외 연구기관, 외국연구기관)의 동향, 방법론 (양적 또는 질적) 동향에 관한 분석이다. 그리고 20년 362개 논문 주제들의 동향을 연 구주제어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또는 양적 방법으로 분석 을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접근으로서는 진행형 사회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 결과로 서, 한국소통학보 20년 역사에서 학보는 학보 자체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면서 다 양한 연구 특히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연관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 그리고 국제적 소통 관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소통학보는 다양한 게재논 문을 통해 사회와 사람들에게 ‘확장’과 ‘다양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JSMCR), which is part of a special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study reflects on 20 years of recognizing the present and looking forward. Researchers analyzed 364 papers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based on changes to the journal, the journal registration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concept of progressive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During the 20-year history of JSMCR, the journal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and published meaningful research on current affairs. In particular, it delivered 'expansion' and 'diversit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among people through research and papers.

      • KCI등재

        韓国人の対日観に関する一考察 : 個人別態度構造分析法(PAC分析法)を用いて

        安龍洙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3

        근년 일본 사회에서는 매년 외국 국적 주민이 증가하여 일본인과 외국인의 다문화 공생 사 회의 실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각 행정 기관과 교육 기관에서는 외국인과 유학생의 생활 및 의식 에 관한 실태 조사를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외국인의 대일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지만, 양적인 조사가 많았기 때문에, 개인이 일본 사회와 일본인을 어떻게 접하고, 일본 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그러나 외국인의 대일관과 같이 질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현상이나 다양한 문화 배경과 개인 배경을 가진 외국인의 대일 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면 세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설문지 조사법은 다수의 피험자 데이터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 하는 연구 수법이지만, 특정한 개인의 심 층 구조와 그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개인의 문화 배경이 다양한 외국인의 데이터를 평균치로 분석하면, 개인의 독자성이 잔차성분(殘差成分)으로서 제외되어, 표층적인 공통 부분의 분석에 머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질적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과 메카니즘의 해명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인별 태도 구조 분석법(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PAC 분석법)은 나이토(内藤)가 개발한 것으로, 1) 해당 테마에 대한 자유 연상, 2) 연상 항목간의 유사도 거리 행렬에 의한 클러스터 분석, 3) 피험자의 클러스터 구조의 해석을 통한 개인별 태도 구조를 분석하는 수법이다. PAC 분석법은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항목을 만들어 내어 그것을 토대로 피험자 자신이 반응을 하기 때 문에, 피험자의 자발성·자율성이 최대한 존중되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개인의 내면 세계를 인지적·정 의적(情意的)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과 일본어교육학 관련 분야에서 PAC 분석법을 사용한 선행 연구로서는, 安 등(1995, 2004), 渡辺 등(1994), 藤田 등(1996), 内藤(2000), 八若 등(2005), 八若(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선행 연구의 결과 에서 PAC분석법이 피험자 개인의 내면 세계를 분석하는데 유효하다 것, 피험자 개인의 데이터 를 교육 현장에 대한 컨설테이션(Consultation)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에는 이문화간교육 분야에서도 외국인의 대일관 분석에도 PAC 분석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와 같이 외국인의 대일관에 대해서 .藤(2000, 2004)는, 일본 대학에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PAC분석법을 사용하여, 이문화 적응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유학생의 이문화 이해에 대한 요인 을 분석하였다. 安(2008)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본 체재 1년 후와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시점에서 각 각 대일관을 분석하였고, 安(인쇄중)에서는 교환 유학생으로서 일본 대학에 유학을 하여, 약 반년에서 1 년간 배운 한국인 단기 유학생 4명을 대상으로 대일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대일관에는 피험 자 간에 공통점도 있지만 서로 다른 점도 많기 때문에, 같은 사례를 늘려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약 1개월간 일본에서 직원 연수를 받은 후에 귀국한 한국의 대학 직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대일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선행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험자 전원이 관념적인 일본인관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경험과 객관 적인 정보나 증명에 근거하기보다는, 막연한 이미지나 관념적인 언어에 의한 대일관.일본인관의 경향 이 강하다. (2) 피험자 전원이 복잡한 대일관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좋은 점을 인정하 면서도, 부정적이고 엄격한 평가를 하는 부분도 적지 않은 것을 볼 때, 상당히 복잡한 대일관을 엿볼 수 있다. (3) 한국인의 대일관에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함께 나타나며, 이 두 가지 대일관가 양립하고 있다. (4)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외모, 양국의 관계, 역사 문제와 같이, 한국인이 일반적으로 가 지고 있는 스테레오타이프화 된 대일관이 많다. (5) 선행 연구와 같이 피험자 전원이 일본인에 대한 신 뢰감, 성격, 대인관계와 같은 일본인의 성격이나 정의적(情意的)인 부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6) 그 외의 특징적인 대일관으로서는 선행 연구와 같이, 집단 속에서 룰을 중시하지만 프라이버시에서는 개 인주의적인 행동을 선호하는 일본인상, 성(性)에 대해서 개방적인 일본인상,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남과 거리를 두는 일본인상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이 있다. (7)긍정적인 대일관도 적지 않지만, 이것은 일본에서 받은 연수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선행 연구(安: 2008, 인쇄중)와 공통점으로서는 일본인의 대인관계나 일본인의 성격에 대한 관심이 많 고, 일본인의 본심을 알 지 못하기 때문에 친하기 어렵다고 느낀 점, 대일관을 한국과 비교하는 경향이 강한 점, 대일관에 대해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이라는 서로 모순된 태도가 양립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선행 연구와 다른 점으로서는 이번 연구에서는 일본인의 외모에 대한 언급이 많았던 점, 역사 문제, 정치 문제, 양국의 현안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이 많았던 점, 일본인의 외모, 일본인의 생활 스타일, 일본 사회에 대한 견해 등 한국에서 스테레오타이프화 된 대일관이 많이 나타난 점, 선행 연구 (安:2008, 인쇄중)에서는 일본인, 일본인의 행동 등 개인 레벨의 일본인관이 많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양국 관계에 관련된 사항 등 국가 차원의 대일관이 비교적 많이 나타난 점 등을 들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피험자가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학생이고, 체재 기간도 반년부터 4년 이상으로 일본 사회와 일본인을 접할 기회가 비교적 많았지만, 본 연구의 피험자는 전원이 사회인이고 체재 기간도 1개 월 정도로 그다지 길지 않으며 접촉한 일본인도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피험자의 속성과 체재 기간의 차 이가 한국인의 대일관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금후 체 재 기간, 피험자의 연령과 직업, 체재 스타일, 체재 장소의 생활 환경, 체재 장소에서 접촉하는 일본인의 계층이 한국인의 대일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며, 그 대일관이 그 후 어떻게 변용(變容)되는지에 대해 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Japan, the crea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becomes a major objective, making local author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arry various surveys on living conditions and attitudes of foreign students in the country. Notwithstanding the great number of surveys on foreigner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most of them have a quantitative approach that cannot give much insight into the way each individual interacts with the Japanese society and people, or how he or she sees and appreciates the Japanese society. We, however, believ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foreigners’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characterized by ever-changing qualitative traits and his or her complex cultural and personal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turn our eyes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s personality. The questionnaire approach has an objective to collect and analyze a great number of averaged data and is not preoccupied with individuals’ deeper personality. Further, when numerous averaged data are processed, deviations resulting form respondents’ cultural backgrounds are routinely ignored, focusing only on superficial common traits, which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to define factors and mechanisms that cause qualitative change. This research utilizes the 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PAC) method, developed by Naito, which includes 1) free associations related to the topic, 2)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association items, 3) respondents’ comments on the extracted cluster structure,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the attitude structure of each individual respondent. In the PAC method, respondents are free to create items of their own and show their reactions to the item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ir individuality, thus allowing the researcher to grasp, while using a comparatively simple metho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respondents’ inner world. Previous socio-psychological research utilizing the PAC method includes An et al.(1995, 2004), Watanabe et al.(1994), Fujita et al.(1996), Naito(2000), Hachiwaka et al.(2005), Hachiwaka(2006) as well as ot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C method is efficient for elaborating on each individual’s inner world and that such data can be a helpful resource for counseling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AC method has recently often been used in intercultural education research for exploring foreigner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Not unlike this paper, Naito(2000, 2004) uses the metho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Japanese universities, bringing up aspects of their intercultural adaptation an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factors. In An(2008) we compared Korean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1 year after their arrival in Japan and again 2.5 years later, and in An(2008) (in press) we examined the attitudes of 4 Korean exchange students studying in a Japanese university between a half a year and 1 year. However, in this research of ours, together with some similarities in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we came upon some differences which convinced us tha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ame topic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respondents. The present research is centered on Korean university employees participating in a 1 month training course in Japan and compares their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with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Our surve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All respondents have a concept about the Japanese, their attitude toward Japan and its people being rather a vague conceptual image, then a concrete one, based upon experience and objective information, (2) All respondents have a complex attitude about Japanese people, acknowledging their positive traits while being critical to what they perceive as negative, (3) Respondents perceive in Japanese people both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4) Koreans’ stereotypes remain strong about Japanese people’s looks, bilateral problems and history, and influence their attitude, (5) Just like in previous research, respondents show interest in Japanese people’s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like reliability,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etc., (6) Concerning other aspects of Japanese personality the findings are similar to previous research: respondents perceive Japanese as people respecting group rules but individualistic in their private lives, with a liberal sex-attitude, reluctant to disturb others and keeping their distance, all these traits seen rater as being negative, (7) Respondents do perceive positive traits but in this they are hardly influenced by their training in Japan. A finding that resembles previous research (An(2008) (in press)) is the fact that respondents show strong interest in the Japanese character, that they find it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 Japanese say and what they really mean, that they like to compare their perception of Japanese and Korean people, and that they perceive contradicting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at the same time. What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s the fact that respondents tended to touch upon the looks of the Japanese as well as problems of history, politics, and bilateral issues, and the fact that perception of Japanese looks, living-style and society was based on stereotypes. Further, in An ((2008)(in press)) respondents’ attitudes were concerned with individual behavior of Japanese people, while in this survey the attitude derived rather from bilateral issues, etc., dealing with relations between countries rather then individuals. In previous research all respondents but one were students, residing in Japan from half a year up to more than 4 years, thus having supple chances to communicate with Japanese people, but the respondents of the present survey were all working people, staying in Japan for a period as short as 1 month, having rather scarce contacts with Japanese people. We find it necessary to carry this research further in order to find how background and residence history are influencing their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It will be crucial to make clear how factors like residence history, age, occupation, residence environment and contacts with the Japanese influence formation of attitude toward the Japanese in Koreans, and how this attitude changes as time goes.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응웬 티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연구물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및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연구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연구의 방향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에서 발표된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 논문 수의 총 390편을 선정하여 일반 기준(논문유형별, 연도별)과 영역별(한국어 교육일반, 한국어 교육내용, 교수학습, 대조연구, 통·번역)의 두 가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한다. 첫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최근 3년 안에(2017년, 2018년, 2019년) 발표한 논문 수는 176편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전체 연구물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들이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분석 대상인 전체 390편에 중에 박사학위 논문은 단 24편에 그쳐 베트남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보다 전문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영역별 동향 분석을 통해 보면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의 대부분은 개별어휘나, 한자어 대조 분석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적 대조를 이룬 연구들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내 대학기관의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나 전문적인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보다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앞서 연역적인 접근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learners and summarize its result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propos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390 studies published from 1995 to August 2019. Then,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of yearly trends and research types with five genres includ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trastive Study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Vietnam has a quantitative growth. In specific, there were 176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3 years(2017, 2018, 2019), accounting for 45% of the total published works from 1995 to present.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has risen sharply since 2005, many problems still need to be solved. Among 390 studies analyzed, there are only 24 doctoral thesis. This mean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Vietnam needs to be discussed deeply and professionally. Third, most of the Vietnam-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ontrast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anguage,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or Phonological contrast. The lack of study related to Korean curriculum or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Lastly, to confirm that results, we analyzed and made the key-words network.

      • KCI등재

        한국·중국 공기업의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류은영(Eun Young Ryu),류병곤(Byung Gon Ryu),류은숙(Eun Suk, Ryu)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최근 중국경제 및 중국조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조직과 관련한 실증연구는 여전히 제약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뢰, 조직몰입,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공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과 중 국의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경우 신뢰유형 중 동료 신뢰, 상사신뢰 순으로 조직효과성(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의 경우 상사신뢰는 조직효과성(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동료신뢰만이 조직효과성(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모두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중국 의 경우 조직몰입은 동료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은 상사신뢰, 동료신뢰가 조직효과성(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과 중국의 국가별 신뢰와 효과성에 대한 차이를 통해 경영관리에 있어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n Examination of Koreans` Attitude toward Japanese: Using 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PAC Analysis)

        안룡수 ( Yong Su A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3

        근년 일본 사회에서는 매년 외국 국적 주민이 증가하여 일본인과 외국인의 다문화 공생 사회의 실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각 행정 기관과 교육 기관에서는 외국인과 유학생의 생활 및 의식에 관한 실태 조사를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외국인의 대일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지만, 양적인 조사가 많았기 때문에, 개인이 일본 사회와 일본인을 어떻게 접하고, 일본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그러나 외국인의 대일관과 같이 질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현상이나 다양한 문화 배경과 개인 배경을 가진 외국인의 대일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면 세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설문지 조사법은 다수의 피험자 데이터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 하는 연구 수법이지만, 특정한 개인의 심층 구조와 그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개인의 문화 배경이 다양한 외국인의 데이터를 평균치로 분석하면, 개인의 독자성이 잔차성분(殘差成分)으로서 제외되어, 표층적인 공통 부분의 분석에 머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질적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과 메카니즘의 해명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인별 태도 구조 분석법(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PAC 분석법)은 나이토(內藤)가 개발한 것으로, 1) 해당 테마에 대한 자유 연상, 2) 연상 항목간의 유사도 거리 행렬에 의한 클러스터 분석, 3) 피험자의 클러스터 구조의 해석을 통한 개인별 태도 구조를 분석하는 수법이다. PAC 분석법은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항목을 만들어 내어 그것을 토대로 피험자 자신이 반응을 하기 때문에, 피험자의 자발성·자율성이 최대한 존중되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개인의 내면 세계를 인지적·정의적(情意的)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과 일본어교육학 관련 분야에서 PAC 분석법을 사용한 선행 연구로서는, 安 등(1995, 2004), 渡변 등(1994), 藤田 등(1996), 內藤(2000), 八若 등(2005), 八若(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선행 연구의 결과에서 PAC분석법이 피험자 개인의 내면 세계를 분석하는데 유효하다 것, 피험자 개인의 데이터를 교육 현장에 대한 컨설테이션(Consultation)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에는 이문화간교육 분야에서도 외국인의 대일관 분석에도 PAC 분석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와 같이 외국인의 대일관에 대해서 內藤(2000, 2004)는, 일본 대학에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PAC분석법을 사용하여, 이문화 적응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유학생의 이문화 이해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安(2008)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본 체재 1년 후와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시점에서 각각 대일관을 분석하였고, 安(인쇄중)에서는 교환 유학생으로서 일본 대학에 유학을 하여, 약 반년에서 1년간 배운 한국인 단기 유학생 4명을 대상으로 대일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대일관에는 피험자 간에 공통점도 있지만 서로 다른 점도 많기 때문에, 같은 사례를 늘려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약 1개월간 일본에서 직원 연수를 받은 후에 귀국한 한국의 대학 직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대일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선행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험자 전원이 관념적인 일본인관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경험과 객관적인 정보나 증명에 근거하기보다는, 막연한 이미지나 관념적인 언어에 의한 대일관·일본인관의 경향이 강하다. (2) 피험자 전원이 복잡한 대일관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좋은 점을 인정하면서도, 부정적이고 엄격한 평가를 하는 부분도 적지 않은 것을 볼 때, 상당히 복잡한 대일관을 엿볼 수 있다. (3) 한국인의 대일관에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함께 나타나며, 이 두 가지 대일관가 양립하고 있다. (4)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외모, 양국의 관계, 역사 문제와 같이, 한국인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타이프화 된 대일관이 많다. (5) 선행 연구와 같이 피험자 전원이 일본인에 대한 신뢰감, 성격, 대인관계와 같은 일본인의 성격이나 정의적(情意的)인 부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6) 그 외의 특징적인 대일관으로서는 선행 연구와 같이, 집단 속에서 룰을 중시하지만 프라이버시에서는 개인주의적인 행동을 선호하는 일본인상, 성(性)에 대해서 개방적인 일본인상,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남과 거리를 두는 일본인상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이 있다. (7)긍정적인 대일관도 적지 않지만, 이것은 일본에서 받은 연수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선행 연구(安: 2008, 인쇄중)와 공통점으로서는 일본인의 대인관계나 일본인의 성격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일본인의 본심을 알 지 못하기 때문에 친하기 어렵다고 느낀 점, 대일관을 한국과 비교하는 경향이 강한 점, 대일관에 대해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이라는 서로 모순된 태도가 양립하고 있다는 점 등을들 수 있다. 그리고 선행 연구와 다른 점으로서는 이번 연구에서는 일본인의 외모에 대한 언급이 많았던점, 역사 문제, 정치 문제, 양국의 현안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이 많았던 점, 일본인의 외모, 일본인의 생활스타일, 일본 사회에 대한 견해 등 한국에서 스테레오타이프화 된 대일관이 많이 나타난 점, 선행 연구(安:2008, 인쇄중)에서는 일본인, 일본인의 행동 등 개인 레벨의 일본인관이 많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양국 관계에 관련된 사항 등 국가 차원의 대일관이 비교적 많이 나타난 점 등을 들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피험자가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학생이고, 체재 기간도 반년부터 4년 이상으로 일본사회와 일본인을 접할 기회가 비교적 많았지만, 본 연구의 피험자는 전원이 사회인이고 체재 기간도 1개월 정도로 그다지 길지 않으며 접촉한 일본인도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피험자의 속성과 체재 기간의 차이가 한국인의 대일관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금후 체재 기간, 피험자의 연령과 직업, 체재 스타일, 체재 장소의 생활 환경, 체재 장소에서 접촉하는 일본인의 계층이 한국인의 대일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며, 그 대일관이 그 후 어떻게 변용(變容)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Japan, the crea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becomes a major objective, making local author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arry various surveys on living conditions and attitudes of foreign students in the country. Notwithstanding the great number of surveys on foreigner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most of them have a quantitative approach that cannot give much insight into the way each individual interacts with the Japanese society and people, or how he or she sees and appreciates the Japanese society. We, however, believ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foreigners`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characterized by ever-changing qualitative traits and his or her complex cultural and personal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turn our eyes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s personality. The questionnaire approach has an objective to collect and analyze a great number of averaged data and is not preoccupied with individuals` deeper personality. Further, when numerous averaged data are processed, deviations resulting form respondents` cultural backgrounds are routinely ignored, focusing only on superficial common traits, which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to define factors and mechanisms that cause qualitative change. This research utilizes the 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PAC) method, developed by Naito, which includes 1) free associations related to the topic, 2)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association items, 3) respondents` comments on the extracted cluster structure,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the attitude structure of each individual respondent. In the PAC method, respondents are free to create items of their own and show their reactions to the item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ir individuality, thus allowing the researcher to grasp, while using a comparatively simple metho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respondents` inner world. Previous socio-psychological research utilizing the PAC method includes An et al.(1995, 2004), Watanabe et al.(1994), Fujita et al.(1996), Naito(2000), Hachiwaka et al.(2005), Hachiwaka(2006) as well as ot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C method is efficient for elaborating on each individual`s inner world and that such data can be a helpful resource for counseling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AC method has recently often been used in intercultural education research for exploring foreigner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Not unlike this paper, Naito(2000, 2004) uses the metho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Japanese universities, bringing up aspects of their intercultural adaptation an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factors. In An(2008) we compared Koreans`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1 year after their arrival in Japan and again 2.5 years later, and in An(2008) (in press) we examined the attitudes of 4 Korean exchange students studying in a Japanese university between a half a year and 1 year. However, in this research of ours, together with some similarities in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we came upon some differences which convinced us tha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ame topic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respondents. The present research is centered on Korean university employees participating in a 1 month training course in Japan and compares their attitudes toward Japanese people with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Our surve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All respondents have a concept about the Japanese, their attitude toward Japan and its people being rather a vague conceptual image, then a concrete one, based upon experience and objective information, (2) All respondents have a complex attitude about Japanese people, acknowledging their positive traits while being critical to what they perceive as negative, (3) Respondents perceive in Japanese people both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4) Koreans’ stereotypes remain strong about Japanese people’s looks, bilateral problems and history, and influence their attitude, (5) Just like in previous research, respondents show interest in Japanese people’s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like reliability,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etc., (6) Concerning other aspects of Japanese personality the findings are similar to previous research: respondents perceive Japanese as people respecting group rules but individualistic in their private lives, with a liberal sex-attitude, reluctant to disturb others and keeping their distance, all these traits seen rater as being negative, (7) Respondents do perceive positive traits but in this they are hardly influenced by their training in Japan. A finding that resembles previous research (An(2008) (in press)) is the fact that respondents show strong interest in the Japanese character, that they find it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 Japanese say and what they really mean, that they like to compare their perception of Japanese and Korean people, and that they perceive contradicting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at the same time. What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s the fact that respondents tended to touch upon the looks of the Japanese as well as problems of history, politics, and bilateral issues, and the fact that perception of Japanese looks, living-style and society was based on stereotypes. Further, in An ((2008)(in press)) respondents` attitudes were concerned with individual behavior of Japanese people, while in this survey the attitude derived rather from bilateral issues, etc., dealing with relations between countries rather then individuals. In previous research all respondents but one were students, residing in Japan from half a year up to more than 4 years, thus having supple chances to communicate with Japanese people, but the respondents of the present survey were all working people, staying in Japan for a period as short as 1 month, having rather scarce contacts with Japanese people. We find it necessary to carry this research further in order to find how background and residence history are influencing their attitude toward Japanese people. It will be crucial to make clear how factors like residence history, age, occupation, residence environment and contacts with the Japanese influence formation of attitude toward the Japanese in Koreans, and how this attitude changes as time goes.

      • KCI등재

        한중소비자의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소비요인 실태 분석

        박세영,김상만,김희걸,이상현,허용봉,강종원,이종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한국과 중국은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육류 소비 패턴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이 육류를 구매함에 있어 구매요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나타난다면 그 요인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11일까지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한국과 중국 길림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 설문조사에서 339부, 중국 설문조사에서 305부를 회수하여 총 64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중 양국 소비자의 육류 구매요인 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MANOVA분석을 이용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Ordered Probit분석을 통해 각 육류 소비요인과 국가, 나이, 성별 등의 변수 간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얼마인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과 중국 길림성의 육류 소비요인은 마블링 요인에서만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 요인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rdered Probit분석 결과 마블링을 제외한 모든 육류요인은 양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응답자의 경우 육류 구매 시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보다 맛, 품질, 판매가격, 판매장소, 안전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의 경우 한국의 응답자보다 브랜드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meat consumption has been showing a rapid change in both two countri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a meat consumption related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to both Chinese(Jilin Province) and Korean consumers from August 28th to September 11th, 2017.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MANOVA analysis.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and variables such as nation, age, and gender by Ordered Probi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bling as a meat purchasing factor between Jilin province and Korea, and other fa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ed Probit analysis result, all meat purchasing factors except marbling were found to be different by countries. Korean thinks that taste, quality, selling price, place of sale and safety are more important than Jilin province's consumers in China when purchasing meat, and Jilin province's respondents think brand is more important than Korean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