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화교의 종족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노혜진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4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by looking into the case of the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Today Korean society is rapidly evol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of increasing foreign workers, immigrant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the nation. Compared to them,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not attracted particular attention even though they have lived in the nation over 100 years, maintaining their own unique cultural identity. There are a few number of studies on the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ies in Masan, Daegu, Jeonju, and Gunsan, but no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overseas Chinese forming their identity in the Gwangju area. The findings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round the Gwangju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put an emphasis on the use of Chinese at home and school to maintain their Chinese cultural homogeneity, tried to preserve their lineage by keeping their closed marriage customs, confirmed their sense of solidarity through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reinforced their economic foundations through unofficial organizations called Hui. Second, they received personal discriminations from Korean people known for their pride as the Korean race and were subject to many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derived from the Korean government's legal and economic discrimination policies. In Taiwan, a legal state, they were not accepted as wholly Taiwanese. In mainland China, the land of their ancestor, they were outsiders. Even the new-generation overseas Chinese living around the world did not accept them as the same race. In short,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was formed through a dialectic process between their ethnic identifi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ir unique Chinese culture including the usage of Chinese, marriage among themselves, overseas Chinese schools, and Hui, and ethnic designation, which is granted by outsiders such as the Korean, the Taiwanese, the Chinese of mainland China, and further new generation overseas Chinese. 오늘날 한국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 이주자,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한국 화교는 약 100년 전부터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음에도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인천과 부산을 중심으로 마산, 대구, 전주, 군산 등 지역별 화교 사회에 대한 현황과 특징을 규명한 소수의 연구들이 있지만 광주지역 화교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광주지역 화교를 대상으로 한국 화교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국 화교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화교들은 자신들의 중국적인 문화적 동질감을 유지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중국어 사용을 강조하였다. 또한 화교와의 폐쇄적인 혼인 관습을 유지함으로 그들의 혈통을 지키려고 하였다. 그리고 화교 학교를 통해 그들의 연대 의식을 확인하였고 비공식적 조직인 후이(會)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둘째, 한국에서 화교들은 한민족 의식이 강했던 한국인으로부터 개인적인 차별과 한국 정부의 법적, 경제적 차별 정책으로 인해 많은 제약과 제재를 받았다. 법적 국가인 타이완에서도 그들은 완전한 타이완 국민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조상의 나라인 중국에서도 그들은 이방인이었다. 해외에 유입된 신화교(新華僑)들조차 그들을 같은 민족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즉, 한국 화교의 정체성은 한국 화교들이 한국에서 유지해온 중국어 사용, 화교들 간의 혼인, 화교 학교와 후이 조직 등 고유한 중국적인 문화적 토대인 그들의 종족 동일시(ethnic identification)와 한국인, 타이완인, 중국 본토인 나아가 신화교 등 외부자에 의해 주어지는 종족적 지정(ethnic designation) 간의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성격과 전망 - 광주지역 화교를 중심으로 -

        김경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nature of transnationalism of Korean Overseas Chinese in the Gwangju area, who maintain their connection to Korean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out of Korea and scattered in different countries, mainly Taiwan and USA. Due to the discriminative policies against foreign residents including Korean Overseas Chinese during President Park’s regime, about 30,000 Korean Overseas Chinese have migrated to Taiwan and USA, and Japan for seeking better economic opportunities. The migration of Korean Overseas Chinese to their old home places like Weihai and Yantai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second wave of migration among them. For Korean Overseas Chine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and unstable in Korean society, this migration had much to do with economic benefits, rather than a nostalgia for the motherland or hometown.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transnationalism among Korean Overseas Chinese in terms of their socio-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ir culture of kinship and marriage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ir migr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o be specific, life-cycle and domestic rituals and secular gathering like off-line alumni community have become excellent chances for them to confirm and strengthen their kinship and school relation networks. This paper has argued that most Korean Overseas Chinese prefer ethnic endogamy, despite occurrence of some cases of inter-marriage. However, it is quite true to say that the frequent occurrence of inter-marriage between Korean Chinese men and Korean women gradually diminishes the transnational migration among Korean Chinese.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comfortable transnational migration of family members for middle-class and professional who can afford to provide the financial support for international migrations. Korea’s importance as a central point of reference for Overseas Korean Chinese is likely to gradually diminish with growing number of overseas third and fourth generation for whom Korea does not have the same sentimental meaning as for their parents. However, in general, Korea is likely to remain, for a while, as the center of reference for maintaining transnational social fields and networks for Korean Overseas Chinese. 본 연구는 한국 정부의 화교에 대한 차별적 정책이 심화되었던 1970~80년도에 대만과 미국 등지로 이주한 한국 화교의 이산과정, 초국가적 정체성 형성, 사이버 동창회와 혼인 관습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전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새로운 기회 모색을 위한 일부 화교들의 중국 산동성 위하이와 옌타이로의 초국가적 이주는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공간의 확장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초국가적 이주가 모든 화교사회에 균질적이기 보다는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통신수단의 획기적 발달로 ‘화교고등학교’ 사이버 동창회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연결이 활발히 유지되었음을 규명하고 있다. 특히 한국 출신 화교의 정례적인 성묘관습과 동창회 모임 등은 한국과 해외 화교와의 네트워크 유지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해외에서 출생한 이민 3세대들은 한국을 한국 화교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의 ‘중심된 근거지’로 점차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부모의 가업을 이어가면서 조상의 묘지관리와 제사준비 등을 책임지고 있는 적지 않은 화교 구성원이 한국에 살고 있으며, 한국인과의 결혼 사례가 점차 늘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한국은 한국 화교의 중심된 근거지로서의 중요성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한국화교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2010년 이후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문명기(Myung-ki,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일부의 일본학계 연구 성과도 포함하되) 주로 2010년 이후에 출간된 한국화교사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해당 연구의 공헌과 문제점을 함께 정리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하여 아래의 세 가지 측면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다. ① (개항기·식민지시대의 경우) 한국경제사에서의 화교경제의 위상을 실제 이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② (개항기와 해방 이후의 경우) 화교경제의 성쇠에 대한 정치권력(=청나라나 한국정부의 영향력)의 영향력을 과도하게 강조하 는 경향도 없지 않으며, ③ 한국화교의 목소리에만 의지하여 (특히 해방 이후의)한국화교사를 재구성할 경우, 한국사회라는 주류집단과 화교사회라는 소수자집단 간의 관계와 그 변모를 균형 있게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향후의 과제로서는, ① (동남아시아 화교 등과의) 비교사적 접근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 ② 시대별·분야별로 균형을 맞추는 작업의 필요성, ③ 한국화교의 직업 분석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그동안 분석 대상이 되지 못했던 한의사나 약사 등의 직업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④ (인천 지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서울 지역의 화교사에 대한 연구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적 회고와 향후의 과제에 대한 제시는, 그간의 한국화교사 연구의 진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그동안의 연구에서 보이는 일정한 편향을 수정하여 보다 균형 잡힌 한국화교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언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roduce books and articles on the history of Chinese overseas in Korea(hereafter Korean Huaqiao)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10 in Korea(including a couple of books published in Japan) and review them from a critical viewpoint. Throughout some analyses, I could bring three points into further focus. First,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status of Korean Huaqiao economy in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Second, (Especially in open port period and colonial period) there had been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influence of political power on the ups and downs of Korean Huqiao economy. And third, when we listen only to the voice of Korean Huaqiao,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make some balanced argu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nd minority groups like Korean Huaqiao. As for future agenda on Korean Huaqiao, I suggested four tasks. First, we need to utilize comparative approaches more aggressively. Second, we need to balance each detailed sphere(like Huqiao economy, Huqiao politics, etc.) not to produce biased images on the history of Korean Huaqiao. Third is as for analysis of job composition of Korean Huaqiao. For example, Oriental doctors or pharmacist, which had been the object of envy among Korean Huaqiao since 1945, had not been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of Korean Huaqiao in Seoul. Contrast to Korean Huaqiao in Incheon, Korean Huaqiao in Seoul, always the biggest majority of Korean Huaqiao population, had not got appropriate attention. I hope that my critical review and some suggestions will help to correct some possible biases in Korean Huaqiao studies and to conduct more balanced and productive studies.

      • KCI등재

        한국(韓國) 화교(華僑)의 한중(韓中) 코드전환(轉換) 유형(類型)과 분포(分布)

        김선효 ( Kim Sun-hy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화교 3세를 대상으로 한국 화교의 韓中 코드전환(code switching) 類型과 分布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한국 화교는 한국어나 중국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두 언어가 코드전환된 混合語를 사용하기도 한다. 혼합어의 유형은 중국어가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형성하고 일부 어휘 범주나 문법 범주가 한국어로 전환되는 中國語 中心構造, 한국어가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형성하고 일부 어휘 범주나 문법 범주가 중국어로 전환되는 韓國語 中心構造, 형태통사적 요소가 變異되어 華僑共同體 내에서만 通用되는 華僑式 變異構造로 나눌 수 있다. 한국 화교의 일상 대화를 구축하여 언어 사용 분포를 조사해 본 결과, ‘한국어 >혼합어 > 중국어’ 순서로 나타났고 그 중 혼합어는 ‘한국어 중심구조 >화교식 변이구조 > 중국어 중심구조’의 분포 양상을 보였다. 이에 의하면 한국 화교 3세는 중국어를 母國語로 인식하고 있으나 한국어를 더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화교식 변이구조가 전체 대화의 10.8%를 차지할 정도로 언어가 변화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d to Korean-Chinese code switching types and its distributions of overseas Chinese by the 3rd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in Busan. Those overseas Chinese can speak both Korean and Chinese, but sometimes have used the code-switched sentences. Those code-switched sentences can be classified by Chinese-oriented Structure(COS), Korean-oriented Structure(KOS) and Altered Structure of Overseas Chinese(ASOC). After a few Chinese entered to Korea in 1882, their languages have been divided into these three types because of bilingual society. COS refers that the basic syntactic structure is Chinese but some words or grammatical constituents are changed in Korean. KOS refers that the basic syntactic structure is Korean but some words or grammatical constituents are changed in Chinese. Altered Structure of Overseas Chinese(ASOC) refers that some morph-syntactic structure or lexical constituents what are altered has only used in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has been accepted by that community. Through the colloquial corpus of Korean Chinese discourse, the distribution of languages is revealed ‘Korean > code-switched sentences > Chinese’ in order, and among code-switched sentences it has shown up ‘KOS > ASOC > COS’. Futhermore most of Korean Chinese have considered Chinese as their mother language, but Korean language has more influenced to them. ASOC is very unique structure and has settled down in their society. Those phenomena can be understood that Korean Chinese community still maintains strong ethnicity than other countries community and those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d to their specific languages.

      • KCI등재

        韩国的外国人政策及其对韩国华侨的影响

        여병창 중국인문학회 2012 中國人文科學 Vol.0 No.50

        한국화교는 한국사회의 주요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관련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화교에 대한 편견과 불평등 대우는 아직 사회 곳곳에 엄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한국의 화교 관련 정책 및 화교사회에 대한 영향을 고찰해봄으로써 양자 간의 이해와 조화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먼저 제1장 서론에서 기존의 한국화교 관련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던 이른바 ‘화교정책’이라는 용어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즉 본고의 초보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사회에는 전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인정책은 존재하지만, 한국사회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교’를 대상으로 한 ‘화교정책’은 존재한 적이 없다. 따라서 본고는 제목과 서술과정에서 일관되게 ‘외국인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제2장에서는 우선 한국화교의 정의와 범위를 고찰하고, 제3장 제1절에서는 외국인, 특히 화교를 제약하는 각종 외국인정책 제정의 배경을, 제2절에서는 각 정책의 주요 내용 및 화교사회에 대한 영향, 그리고 90년대 이래 외국인 정책의 변화와 한계를, 제3절에서는 한국화교의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끝으로 제4장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화교들의 처지를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이러한 처지의 개선을 위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화교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성찰

        안미정(An, Mi-Jeong),우양호(Woo, Ya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서구의 다문화주의 이론이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판적 고찰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이 글은 한국의 오랜 이주집단인 화교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성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화교는 한국의 소수민족 집단, 디아스포라 혹은 ‘이방인’ 등 단일민족 담론 속에서 차별을 받아 온 오래된 이주집단으로 지적되어 왔다. 세계 여러지역의 화인들과 달리 한국화교들은 대부분 출신지가 중국의 산동성이며, 거주국이 아닌 대만의 국적을 가지고 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한국화교의 특징을 이 글에서는 한국사회와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한국화교들의 재이주하는 현상은 한국사회의 이념적 편향성, 민족국가 담론, 경제활동영역의 축소와 같은 내부적 압력으로 인해 그 출구를 외부세계에서 찾은 결과이다. 한국의 역사적 변동에 따른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산물인 것이다. 이들의 재이주는 단지 차별받은 이들의 이주인 것만이 아니라, 한국사회로서는 일찍이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었던 기회를 상실해버린 것과 다름없는 것이었다. 또 한국화교의 대만 국적 선택은 흔히 해방 후 한반도의 냉전체제 산물로 귀결되곤 하지만, 식민지시대로부터의 연장선상에서 개입된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영향임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 대륙과 한반도에 형성되어 있던 식민주의와 반공주의의 두 개의 이념이 공진(共振)하는 속에 이뤄진 것이다. 이처럼 한국화교가 세계의 화교화인들과 다른 특징은 그 집단의 본질적 특징이 아니라 한국사회와 함께 변동해 온 결과이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이문화란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타문화’로 지칭되고 있지만, 한국화교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타문화는 자문화와 별개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 속에서 서로 형성되어 왔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다문화주의가 한국사회에 요청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부분일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flect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Western theories of multiculturalism is seen through the ethnic immigration group of overseas chinese(Korea-Hwagyo) in Korea. Korea-Hwagyo is an old immigrant group in Korea. They are minority groups, diaspora or "stranger" and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in a Korean ethnic discourse. The Korea-Hwagyo hometown, unlike in many regions, most of Shandong Province(山東省) of China, Taiwan is their nationality. This is not the nationality of the country of residence. Overseas Chinese Korea has a number of features across the nation and the country. I looked at this in terms of interaction with the Korea Society. Many Korea-Hwagyo are re-immigration to other area that it can be seen as early as the Korea Society ditches to los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they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aiwan is not the only effect of the Cold War.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of South Korea"s colonial indicator is also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Korea-Hwagyo had to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he two ideologies that are in colonialism and anti-communism. These points are another feature of the Korea-Hwagyo and Overseas Chinese in the world. It is the result of a variation of the Korea society together. It is called "cross-culture" in Korea and refers to the "Other culture" based on ethnicity, nation and race. However, as Korea-Hwagyo is showing us that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in correlation to each other. It is requested that multiculturalism in Korea will be because to say that multiculturalism must recognize these inter-relationships.

      • KCI등재

        중층적·역동적 시공간을 통한 한국화교 이해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19세기 말 이후 한반도에 정착한 화교는 식민지 체제 하에서 일본과 조선으로부터 이중의 지배를 받았고, 국가(한국)체제 하에서도 여전히 억압과 차별받는 외국인으로 살았다. 1990년대 이후 한중수교, 세계화, 신자유주의에 의한 변화된 환경 속에서 화교는 새로운 생존과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화교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질문을 제기한다. 즉, 화교연구가 고찰한 다양한 주제를 시공간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탈근대적 시공간의 틀, 즉 로컬, 국가, 초국가(혹은 세계)의 시공간이 중첩되어 역동적으로 수행하는 관점이다. 그리고 이 틀은 20세기 화교에 시론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후반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까지 많은 중국인이 조선으로 이동해 옴에 따라 동아시아 시공간이 형성되었고, 또한 이들의 일부가 한반도의 로컬에 뿌리를 내려 생활하게 됨에 따라 로컬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두 시공간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중첩되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작동하였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한반도가 일제식민지로부터 해방된 이후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 초반까지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동아시아 시공간이 미군정 하에서 일시적으로 지속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시공간은 한국정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정부의 수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단절됨과 동시에 새로운 국가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셋째, 1940대 후반이후 냉전과 반공 체제 하에서 수립되어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국가(한국)의 시공간은 화교의 지위, 사회·경제 활동, 정체성, 재이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화교는 자신들의 의사(意思)와는 무관하게 대만의 국적을 보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 넷째, 1990년대 이후 한중국교의 수립(1992년), 세계화 전략, 신자유주의 정책, 다문화사회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시공간, 즉 세계, (초)국가, 로컬이 중첩된 다층적 시공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화교 활동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다인종(민족)으로 구성된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전되고, 중국은 동아시아와 세계에서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시공간의 개념적 틀은 화교를 넓고 깊게 이해하고, 나아가 미래 한국에서의 다문화사회를 전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orean-Chinese settl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late 19<SUP>th</SUP> had been simultaneously repressed by Koreans and the Japan government under the colonial system, and they have continuously lived in a controlled and differentiated condition in Korea as a nation-state. After the 1990s, they look for new possibilities in a changing situation due to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so on. This study asks one doubt on the previously research about Korean-Chinese. The question is how time-space can be understood in a situation related practices beyond cognition and language (or sign) to various subjects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Chinese.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perspective of dynamically operating through a multilayered and interacted time-space of local, nation and globe, and it is generally applied to the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associated with Korean-Chinese during the 20<SUP>th</SUP> centur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a transnational time-space based on East Asia had been made by many Chinese continuously moving among China, Chosen and Japan from the late 19<SUP>th</SUP> to the Japanese colonial time, and a local time-space had been also created by some Chinese settled at particular locals of a Korean peninsula such as Incheon, Busan, Pyongyang, Wonsan. Those time-space was not separated but layered, folded and interactively influenced. Second, the transnational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 time was temporally maintained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end of the Korean war. But such a time-space was totally disrupted by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aiwan and Chinese government and the Korea war, and a newly created national time-space began to strongly influence on the society, econom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Third, the national time-space absolutely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ve much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status, socio-economic activity and identity of Korean-Chinese from the late 1940s to the late 1980s. The Korean-Chinese had a Taiwanese nationality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in a nationally separated time-space, and they were classified and treated as a foreigner in the Korean national territory. Fourth, a new time-space in which global, (trans)national and local scales are folded and simultaneously operated begins to be created through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globalization and neoliberal policies,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the 1990s. It is much strongly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 activit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ly times. The newly created time-space is, however, related to the time-space made in a past time. After the 1990s, Korea is being changed as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hina is rapidly becoming a superpower of influencing on the economy and politics of East Asia and world. A time-space as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can help the deep and wide understanding of Korean-Chinese society and also the future prosp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ime-space framework which will be applied to specific aspects of Korean - Chinese in the 20<SUP>th</SUP> century.

      • KCI등재

        한국화교의 인터-아시아 정체성에 대한 고찰

        팽의훤(I-Hsuan Beng),조영한(Younghan Ch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화교의 새로운 초국가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이주 3·4세대를 중심으로 중국, 대만, 그리고 한국에 대한 인식을 탐구한다. 화교 3·4세대는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익숙할 뿐 아니라 그들의 언어적 능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내 국가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세대이다. 그들은 자신이 태어난 한국, 공식적인 조국인 대만, 그리고 이주의 기원인 중국을 이동하면서 새로운 소속감 및 자기 정체성을 형성한다. 아시아 국가 경계를 넘나들면서 형성하는 한국화교의 초국가성은 한국화교의 다양성 및 변화를 드러낼 뿐 아니라 동아시아 내 국가와 지역을 연결하며 거주하는 다양한 소수자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새롭게 재구성되는 한국화교의 초국가성을 ‘인터-아시아’ 정체성으로 제안하면서 한국 및 아시아를 연결하면서 기존의 국가 경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소수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transnationality among thirdand fourth- generation Chinese resident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of China, Taiwan and South Korea. Unlike their ancestors, the new generation feels comfortable with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They are constructing a transnational identity while they have regional migrations and experience South Korea, Taiwan and China differently. Through such cross-border experiences, these new Chinese residents of South Korea elucidate upon the multiplicity and changes in oversea Chinese and exemplify a minority group that connects with more than one country in East Asia.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uch transnationality among the Chinese residents in South Korea as a representative case of inter-Asia identity, which contributes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minorities that alternatively connects Asian countries and cities.

      • KCI등재

        부산 화교의 가족 분산과 국적의 함의

        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8 No.-

        이 글은 한국 부산에 거주하는 화교 여성의 생애사를 통해 20세기 동북아 국가 간 정치적 변동이 개인의 생애에 미친 영향과 그 양상의 문화적 함의를 밝혀 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대다수의 한국화교들은 지역적으로는 중국 산동성 출신이거나 그 후손들이며, 이들의 국적은 대만(중화민국)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고향, 거주지, 귀속 국가가 서로 다른 복합성은 이들의 역사가 동북아의 20세기 역사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 화교이주사에서 나타나듯이 한반도를 오갔던 초기의 화교들은 경제적 활동을 목적으로 한 이동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산의 화교들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대규모의 집단적 거주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후 냉전 체체 하에서 한국화교 인구는 계속 감소해왔다. 이글에서 제시한 화교여성의 사례는 한국화교의 인구감소가 어떠한 맥락 속에서 전개되는 것인지 보여준다. 즉 부산에 거주하는 H씨와 R씨의 사례에서 이들의 가족은 부산에 거주하는 모친을 중심으로 대만에 사는 자식들과 하나의 생활세계를 형성해 간다. 가족 간에는 분산 양상이 나타나며 국적도 서로 다르다. 화교가족이 모두 함께 이주하는 것은 아니며, 모친은 현재의 거주지가 가족의 정주지가 되기를 희망한다. 이처럼 화교인구의 감소는 가족의 집단적 이동형태가 아니라 가족의 분산 이동형태라 하겠으며, 이것은 동북아의 식민주의, 전쟁, 냉전체제 등이 낳은 정치변동과 국가 간의 불연속적 관계에 따른 가족집단의 대응이 아닌지 고려된다. 또한 가족 성원끼리 국적에 의한 갈등과 긴장은 여전히 동북아 역사적 긴장이 개인의 삶에도 배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대부분의 출신국과 거주국, 귀속국이 서로 다른 한국화교의 크로스보더성은 동북아의 역사와 정치적 지형을 반영하며, 민족국가에 의해 구분되는 국민이 아니라 ‘현지’의 거주자로서 사회적 위치를 조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History of the Overseas Chinese(Hwagyo) in Korea has deeply been related to history of North-East Asia and the Cold War in 20th century. This thesis addresses one's life history which was developed in political movement among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Macroscopic social changes among those countries led dramatic changes of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in Korea. This thesis examined microscopic aspects of the changes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he Overseas Chinese in Busan. Unlike the early stage, political aspect(Korean War)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formation of group habitation in Busan which was evacuation during the Korean War. Busan was the biggest area for the Overseas Chinese however its population has been decreased since the Korean War. In case of Ms. H. Chinese Civil War and Korean War and Cold War have intervened to her family immigration. Although these political background has made her movement, she hopes to settle down in local society.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re regarded as different nationality or different ethnic group bu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s that the Overseas Chinese are 'Chinese (or Taiwanese)'. Ms. R is Korean but has Taiwan nationality and a member of Overseas Chinese community. However social boundaries which divides by nationality has become main factor that foments internal conflicts and tension among families. Likewise, most Overseas Chinese people who happened to have Taiwan nationality through the Korean War have different one's native place, current residence and nationality. This cross-border reflects history and political landscape.

      • 從隔離到融合至貢獻 : 從國族認同看加華對韓華的啟示

        于德豪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2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1 No.1

        1882년 6월9일 조선시대 고종대왕의 집정시기에, 일본으로 인한 조선의 “임오군란”이 발생되었다. 당시에 민비 정권 주 천진(天津)대신은 청나라에 구원요청을 하여, 청나라는 조선을 돕기 위해 특별히 광동 수사제독 오장경(吳長慶)을 파견하여 3천명의 군병과 40명의 보급상(補給商)과 함께 산동 등주(登州)에서 출발하여, 한국의 동해안 제물포항에 도착하여 한성으로 진입하여 동란을 평정하였다. 당시 동란 평정 후 왕실의 요청으로 계속하여 조선을 보호하기 위해 3년 동안 청군이 주둔하였다. 이때 따라온 보급상이 한국인과 무역을 하여 상주한 것이 근대 화교이민의 시초였다. 1788년 봄, 영국 피혁 무역상인 John Meares 선장은 마카오와 광주에서 50여명의 청나라 철공과 목수를 고용하였고, 캐나다 서쪽으로 출발하여 5월 13일에 밴쿠버의 Nootka sound에 도착하였다. 다음해 John Meares선장은 또 다시 70여명의 청나라 기술자를 고용하여, 성루와 40톤의 배를 제조하 는데 돕게 하였다. 이때 영국령 콜롬비아(British Columbia) 초창기 개척을 돕던 중국 기술자들이 바로 최초 캐나다에 온 중국인 이민자였다. 시간의 변천에 따라 캐나다와 한국은 각자 국가상황에 맞게 중국인 정책이 실시되었고 그 중에 특별히 한국보다 더 빨리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를 받아들인 캐나다는 유엔(UN)에서도 비교적 성공적인 모델로 삼고 있다. 그 중에 캐나다에서 생활하는 華人(Chinese Canadian)의 역사를 보면 처음의 배척에서 차후 캐나다 국적을 얻고 그리고 성공적으로 주류사회에 통합되어 캐나다인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많은 중요한 직위에 올라 캐나다를 위해서 공헌을 하였다. 반대로 한국에 생활하고 있는 화교들은 비록 이미 제3, 4세대까지 뿌리를 내리고 살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정책 및 국가민족 정체성(National Identity)에 혼란을 느끼고, 대부분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않고 완전히 현지의 주류사회에 통합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세계 화교역사상 아주 보기 드문 일이다. 본 논문은 양국 화교 이민사와 현지 이민정책의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최근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의 국가민족 정체성 문제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와 분석을 하였다. 더불어 아래에 제시한 세 가지 문제에 본 연구를 통해 답안을 찾고자 한다. 첫 번째, 한국 화교는 한국사회에 통합되기 위해 한국 국적을 얻을 필요가 있는가? 두 번째, 국적취득은 민족 정체성을 상실할 수 있는가? 세 번째, 화교 Community 및 학교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가? 의 의문이다. 최근 들어서 한국이 다문화사회에 진입하여 많은 사회통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상기 문제는 한국에서 이미 130년 동안 생활하고 있는 구성원 중 하나인 화교 심지어 새로운 중국이민자에 대해 반드시 짚고 넘어야 할 과제이다. 1882年6月9日朝鮮高宗大王執政時期,因日本在朝鮮引起了“壬午軍亂”。當時閔妃政權駐津大臣向清廷求援,清朝以幫助朝鮮為由,特派廣東水師提督吳長慶選三千軍兵及四十名補給兵分別在山東登州出發,抵達韓國的東岸濟物浦(現仁川)港,進入漢陽(今首爾)平定動亂。當時動亂平定後應王室要求繼續保護朝鮮朝廷而駐軍三年。這些跟來的補給商日後就與韓國人做起了貿易留了下來,這就是近代韓華移民先鋒。1788年春天,英國皮草貿易商人梅亞士(John Meares)船長在澳門和廣州雇用了五十多名清朝的鐵匠和木匠,啟程前往加拿大西岸,於5月13日抵達溫哥華島的綠加海灣(Nootka Sound)。第二年梅亞士船長又雇用了七十多名華工,協助建築一座城堡和一艄四十噸的帆船 。這些幫忙開發當時英屬哥倫比亞(BC: British Columbia)這片處女地的華人工匠,就是最早來到加拿大的華人。隨著時間的推移在加拿大與韓國因著各自國情對於華人實施了不同的政策,其中在接受多元文化主義(Multiculturalism)方面,加拿大更早於韓國並且被聯合國認為是較成功的模式。回顧加拿大華人(Chinese Canadian)歷史,從早期被隔離到加入加籍至成功的融入主流社會,並且以加拿大人為榮在許多重要的職位上為國家做出了貢獻。反觀生活在韓國的華僑雖已經到了第三、四代,因著韓國政策及自身國族認同(National Identity)的混亂,大部份還未加入韓國國籍,亦未完全融入當地的主流社會,這在世界華僑華人史上實屬罕見。 本論文旨在藉著兩國華人移民史與居住國移民政策的調查與研究,對於韓華的國族認同問題方面進行深入探析。並提出以下三個問題,通過本研究以尋求答案。第一,韓華為融入韓國社會入籍是否必要?第二,入籍是否就會喪失民族認同?第三,僑社與僑教是否需要繼續保留?近年來韓國進入多元文化社會開始陸續實行許多社會整合政策,對於生活在韓國已有130年并成為社會組成中一份子的韓華,以及新來的中國移民,這些問題是必須要面對的課題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