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

        유승환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6

        이 글은 서발턴 이론에 기반을 둔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시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은 서발턴 이론이 한국에 수용되었던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중요한 핵심어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한국현대문학연구는 텍스트에 의한 대표/재현의 실패를 전제로 하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에 수반되는 방법론적 긴장감을 충분히 심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의 자의적 사용, 하위주체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숙고의 부재 등은 중요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문학연구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을 통하여 그 동안의 한국문학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문학적 주체 혹은 문학적 형상을 새로이 문제 삼을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특히 ‘하위주체의 양식과 미학’ 등에 대한 고민을 통해 한국현대문학을 구성하는 새로운 코드들 및 그에 대한 독법을 발견하고 있다는 것 또한 중요한 성과로 꼽을 수 있다. 한편 특히 여성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현대문학사의 내러티브에 대한 비판적 탈구축의 작업이 이루어진 것과 함께 이에 따라 문학의 경계가 확장되며, 새로운 연구대상의 아카이브가 축적되고 있는 것은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거둔 가장 두드러진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체 이후, 하위주체론의 성과에 의한 대안적인 문학사 서술의 전망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에서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우선 하위주체성의 재현과 재현가능성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들이 논쟁적으로 심화될 필요가 있다. 이때 하위주체라는 개념 자체에 내재해 있는 종속성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가장 중요한 논점이 된다. 아울러 하위주체를 문학사의 ‘구성적 외부’로 전제하는 새로운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 또한 진지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위주체와의 광범위한 연대를 통해 지금-여기에서 새로운 문화정치적 실천을 기획할 수 있는 상상력이다.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방향 설정

        남연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1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istic problem that the introdu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s rare in China today and with a view to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researche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instruction direction aiming to modern Korean literature major graduates. Therefore, in order to spread modern Korean literature more widely and solve the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search is not clear,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etting of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search. Thus, Chapter 2 of this study identified the nature, purpose, and scop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 in China by distinguishing it from Korean literature studies in order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research status and presenting future direction. Chinese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will take the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 introducers, comparative researcher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and educators of Korean literature as foreigners. The purpos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 as a foreign literature study is to introduce modern Korean literature, to develop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by looking into Korean literature, and to conduc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o achieve individual growth. Depending on the framework of this analysis, Chapter 3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odern academic literature by dividing the form of research results (books, papers, articles) and research fields (body of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translation). Theses and general papers,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i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period based on the origi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presented in detail the completeness of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system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Chapter 4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t a macro lev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3. They include the study of the body theory of literature that needs to be reorganized, the study of literature education that needs to be done based on correct research consciousness and theory, and the study of translation of literature that has to be gradually deepened from practical research to theoretical study.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문학이 중국 지역에 많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한국 현대문학 연구자로서 지향해야 할 연구의 방향, 그리고 대학원문학전공자를 위한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지도 방향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을 널리 소개하고,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불분명한 방향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현황 분석과 향후 방향 제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외국인’이라는 입장에 착안하여 국문학 연구와 구별하여 중국 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성격과 목적 및 연구의 내용 범위를 규명하였다. 중국인한국문학 연구자는 외국인으로서 한국문학 소개자의 입장, 한중문학 비교 연구자의 입장, 한국문학(외국문학) 교육자의 입장을 지닌다. 이에 외국문학 연구로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문학을 소개한다는 것, 한중문학을 들여다봄으로써 한중문학을 발전시킨다는 것, 개개인의 성장을 이루게하는 한국문학 교육을 실시한다는 것,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연구 내용범위도 한국문학 본체론 연구(비교문학 연구 포함), 한국문학 교육 연구, 한국문학 번역 연구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분석의 틀에 따라 3장에서는 연구 성과의 형태(저서, 논문, 기사문)와 연대 및 연구 분야(문학 본체론, 문학교육, 문학번역)에 따른 개괄적인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 수량이 비교적 많은 학위 논문과 일반 논문 등은 한국 현대문학사의 시기구분에 따라 시대별로 나누어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향후 연구의 보완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국 내 한국 현대문학 연구 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 제시하였다. 체계적 소개부터 연구 내용을 재정립해 나가야 하는 문학 본체론 연구, 올바른 연구 의식과 이론을 기반으로 해 나가야 하는 문학교육 연구, 실천 연구에서 이론 연구까지 심화해 나가야 하는 문학 번역 연구가 그것이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 역사적 반성 및 협동 연구 전망

        장사선(張師善)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다카하시 토오루의 「한국의 문학」(1906)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이는 일본에서의 한국현대문학 연구는 100년의 역사를 넘겼다. 일본에서 한국현대문학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1914년 창간된 『학지광』에서의 안자산이나 1927년 무렵부터 1935년 무렵까지 이어지는 백철, 안막 등의 무산계급문학 논의에서였다. 본격적 전쟁기로 들어가는 1939년 무렵부터 전쟁과 더불어 일본인들은 조선문학에 대한 고조된 관심을 보인다. 이는 조선문학을 본질로부터 이해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전쟁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문학논의였고, 조선문학의 독자적 성격을 이해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일본문학의 한 부분으로 편입시키려는 목적이 앞섰던 연구였다. 1945년 이후에 이르자, 해방 전 한일 양국에서 지하에 잠복되었던 1930년대의 사회주의 문학론이 일본에서 다시 살아났다. “조선 작가와 일본어 문제”나 일본에서의 조선문학의 개념을 둘러싼 논쟁을 전개하기도 했다. 조선 학회가 발족되어 「조선 학보」를 발행하기 시작한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 무렵부터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현대문학이 일본에서 논의된 것은 주로 김달수 박춘일 등에 의해서였다. 이들에 의한 논의의 대상 작가 및 작품 선정, 그리고 논조까지도 대체로 친북한적인 것이었다. 1970년대 들어 일본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는 양적으로 현저하게 늘어나며, 질적으로는 아카데미즘적인 내용으로의 현저한 변화를 보인다. 그동안 단독 논문중심의 한국문학 연구가 이제는 단행본 중심으로 옮겨가 연구의 응집력과 지속력을 증가시켜 나아갔다. 조총련 조직의 경직성, 문예동에서 작가에게 가해지던 지나친 압력 등으로 인해, 문예동의 학자들은 북한문학 일변도에서 비판적 남한문학 예찬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일본 학술 잡지 『文學』은 “조선문학 특집호”를 발간하고, 일본인 중심의 초유의 한국문학 연구회가 결성되어 그 연구지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한양』과 『계간 삼천리』가 큰 호응 속에 발행되며 많은 한국문학이 논의 소개되었다. 김지하 연구는 한국에서의 금기로 잠복되었다가 일본에서 폭발적으로 솟아올라 그를 우상화하는 분위기까지 만들어졌다. 196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한 1세대 연구자 중 대표자 오오무라 마스오는, 윤동주 문학, 재만 조선인 문학에서부터, 북한문학 혹은 해방 이전의 리얼리즘 문학, 재일 조선인 문학까지를 앞서서 섭렵해 나간 학자이며, 리얼리즘 작품들의 가치를 누구보다 높이 평가한 연구자이다. 사에구사 도시카쓰는 처음으로 독자적 시점으로 일본인이 일본어로 집필한 ‘한국문학사’를 탄생시켰다. 1980년대 이후 등장한 2세대들의 특징은 한국으로의 유학과 박사학위 취득이 보편화되고, 한국의 연구 풍토와 일본의 연구 방법에 양면적 영향을 받으면서 새로운 학풍을 나타낸다. 대체로 세리카와 테츠요, 시라카와 유타카, 호테이 도시히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세대들이 주로 일본에서 일본인들을 향해 연구나 평론 활동을 했다면 이들은 한국의 연구자들과 함께 분업적 연구에도 참여하게된 것이다. 2000년 이후에는 3세대에 속하는 다양한 연구자들이 등장하였고, 이런 3세대 연구자들은 양국 쌍방 소통의 유학과 연구를 통해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일신해 가고 있다. 정백수, 남부진 등 신진 연구자들은 한국과 일본의 각기 다른 시각을 변증법적으로 활용하고 양국의 학회나 학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혁신적 관점과 방법으로 한국현대문학을 새로운 지평에서 재규명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연구는 적지 않은 문제도 남겼다. ‘외국 문학 연구’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일본에서의 한국문학 연구와 “자국 문학 연구”의미에 갇혀 있는 한국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를 모두 탈피하고 양자를 지양 극복할 필요성, 일본에 온존하는 남북한의 거리가 남긴 용어의 문제에서부터 문학을 보는 관점의 난립 문제, 연구 영역 및 대상의 집중과 확산이 총체적 시각에서 재조정되고 재검토 문제 등은 시급하다. 장기적인 계획에 기반한 양국의 공동연구의 공동 기반 구축도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김관식(Kim, Kwan-si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한국 아동문학의 사적 연구는 근대문학 형성기인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문학사적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현대 아동문학의 사적인 체계는 1978년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부터이다. 그 후 한국 동시문학에 대한 연구로 신현득의 「한국동시100년-정형동 시를 중심으로」, 최근에 아동문학에 대한 사적 연구로는 원종찬의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이재철이 조직한 『한국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고, 그 밖의 석사학위 아동문학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현대 아동문학이 태동한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학사적인 의의가 큰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을 뿐, 현시점에 필요한 아동문학 창작 연구 분야는 저조한 편이다. 한국 동시문학사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적인 맥락이 광의적인 동심을 반영한 시가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는 시와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한국 시의 원형으로 동심을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동시문학의 위상이 정립된다. 따라서 한국 동시의 모태가 된 동시문학을 고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에서 시가의 발달 과정에서 동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작품과 시인들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not been significantly illuminated compared to existing literary studies. The private system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s considered in Lee Jae-chul’s “Research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1978 (Da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and later in Shin Hyun-deuk’s “100 years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 focusing on regular poetry.” Recently, further studies have emerged, such as Won Jong-chan’s “Rediscove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rivat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In 1988, Lee Jae-chul organized a research paper on children’s literature centered o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Other master’s degree papers on children’s literature are being published more frequently.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into the works of the writer who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reation research field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is poor. The history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Korea is not a concept separate from poetry, in that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poetry is rooted in poetic literature reflecting broad concentricity. The status of simultaneous literature is established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ntricity as a prototype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simultaneous literature that became the mother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wa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Joseon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igar,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works and poets that can be seen as simultaneous areas.

      • KCI등재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에게 질문하다-

        장문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이 인터뷰는 오무라 마스오 와세다대학 명예교수에게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의 활동에 대해 질문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970년에 결성한 ‘조선문학의 회’는 일본인의 모임이자, 정치와 거리를 둔 학술 모임을 지향하였으며, 주요 동인은 오무라 마스오, 가지이 노보루, 다나카 아키라, 오구라 히사시, 조 쇼키치, 이시카와 세쓰코 등이었다. 이들은 동인지 『조선문학-소개와 연구(朝鮮文學-紹介と硏究)』(1970~1974)를 간행하고, 한국문학을 번역하였다. ‘조선문학의 회’는 한일협정 이후 현해탄을 건너 온 김윤식 등 한국의 연구자와 공명하며, 일본에서 한국근대문학 아카데미즘을 형성하였다. 1970년대 중반 오무라 마스오 교수가 임종국과 김윤식의 연구서를 번역한 것은 이런 맥락 속에서였다. 그는 1960년대의 와세다대학 조선어 강좌, 일본조선연구소, 다케우치 요시미, 자이니치 문학자, 그리고 1970년대의 고려서림, 임종국, 김윤식 등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문학 연구와 번역을 실천하였다. 오무라 마스오 교수는 해방 전과 해방 후 그리고 백두산에서 현해탄까지를 포괄하는 폭넓은 시각과 ‘38선 없는 마음’이라는 균형 있는 시각에서 한국근대문학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このインタビューは、大村益夫(早稲田大学名誉教授)に1960~1970年代日本の韓国文学研究と 「朝鮮文学の会」の活動について質問した内容をまとめたものである。1970年に結成された 「朝鮮文学の会」は、日本人の集まりで、政治とは距離を置いた学術会を指向しており、主要な同人は大村益夫、梶井陟、田中明、小倉尙、長璋吉、石川節子などであった。かれらは同人誌 「朝鮮文学-紹介と研究」(1970~1974)を出版し、韓国文学を翻訳した。「朝鮮文学の会」は、日韓協定以降、玄界灘を渡ってきた金允植などの韓国の研究者と共鳴しあいながら、日本で韓国近代文学アカデミズムを形成した。1970年代中盤、大村益夫教授は林鍾國と金允植の研究書を翻訳した。彼は1960年代の早稲田大学朝鮮語講座、日本朝鮮研究所、竹内好、在日の文学者、そして1970年代の高麗書林、林鍾國と金允植等との関係の中で、韓国文学の研究と翻訳を実践した。大村益夫教授は解放の前と後、そして白頭山から玄界灘までを含める広い視野をもって 「38線のない心」というバランスの取れた視点から韓国近代文学を研究しようとした。

      • KCI등재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과 쟁점 - 2000년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지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1

        2000년대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에 등장한 ‘디아스포라’라는 용어 및 인식틀은 한국문학의 속지주의(屬地主義)와 속문주의(屬文主義)를 비판하고, ‘한국문학 대 세계문학’이라는 위상학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족주의와 국민국가를 넘어서는 새로운 상상력을 펼쳐 보인 문학 현상이자 담론이었다. 이에 이 논문은 지난 20여 년간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이루어진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흐름을 조망하고 그 쟁점들을 재검토함으로써 이동/이주/이산에 관한 문학 연구의 향후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그동안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개념, 관점, 방법론은 한국문학의 영역을 확장하고, 민족과 국가를 이루고 있는 내외부의 경계들을 섬세하게 사유할 수 있게 해주었을 뿐 아니라 복합적인 학제적 대화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다수가 민족주의의 자장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디아스포라로 명명될 수 있는 존재를 발굴하는 데 집중하면서 이들을 쉽게 고정화하고 역사화하기도 했다. 따라서 민족주의적인 정서나 귀환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고, 다문화주의라는 이름으로 전개된 동화주의적 시각이 아닌, 디아스포라의 존재론이 지닌 문화정치적 기획 및 실천의 잠재성에 대해 다시 사유해야 한다. 재난의 일상화로 인해 난민화되는 삶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현재, 경계를 오가는 비결정적이고 불확실한 존재를 고정화하거나 추상화하지 않는 동시에 수난의 서사나 피해자 담론에 가두지 않으면서 이들이 지닌 저항과 해방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분석틀과 방법론이 요청된다. The term and conceptual framework of ‘diaspora’, which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field since the 2000s, was a literary phenomenon and discourse that criticized the attributable territory and native language principle of Korean literature, questioned the topology of Korean literature vs. world literatur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examine the flow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criticism in the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field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is paper tried to gauge the future direction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by reviewing the current discourse topography on movement/migration/separation. In the meantime, ‘Diaspora’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not only expanded the domain of Korean literature and allowed to think abundantly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that make up the nation and the state, but also enabled complex interdisciplinary dialogue. However,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discovering beings that could be named diaspora, and due to the work of this naming and classification, they were easily immobilized and historicized. As a result, no progress has been made beyond the initial discussion regarding the potential or movement for their ont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gain about the potential of cultural and political planning or practice of diaspora ontology, not a assimilationist view developed in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without presupposing nationalistic sentiment or the possibility of return. When discussions on refugees or refugeeized lives began to emerge, analysis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are required for those who have potential for resistance and liberation, without immobilizing/abstracting non-deterministic and uncertain beings.

      • KCI등재

        특집 : 국어국문학 연구와 함께한 반교어문학회 30년 ; 한국 현대시 연구의 성과와 전망 -"운명"과 "혁명", 왜, 아직도 "임화"와 "김수영"인가?

        박지영 ( Ji Young Park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2

        본 연구는 90년대 이후 최근까지 진행된 한국현대시 연구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개괄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도를, 현재의 임화와 김수영시 연구를 통해서 제시하려고 했다. 현재 임화와 김수영 연구는 현대시연구가 지향해야 할 콘텍스트 연구와 결합된 정신사 연구의 한 지평을 열어갈 주요 연구대상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 예로 전향(문학)사라는 한국 현대(문학)사 맥락에서 바라본 이 두 혁명 시인의 전향 연구를 제시했다. 현재 한국현대시 연구는 근대(탈근대)성 연구의 패러다임 안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의 한국현대문학 연구의 주요 동향인 매체 연구 등 실증적 컨텍스트 연구에서는 다소 거리를 두고 진행되어 왔다. 그러면서 친일시 연구, 번역 연구, 언어 연구 등에서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시문학사연구로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개척하지 못하고, 타장르의 연구 방법론을 수렴하는 방식으로만 진행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은 여전히 보편적으로 한국현대시 연구가 직관에 의존하는, 텍스트와 작가 연구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발행한 일이다. 그리하여 한국현대시 연구는 향후 텍스트/콘텍스트에 관한 실증성을 갖추어가면서, 시정신사 연구로 지향해야 할것이다. 이것은 향후 한국학 연구의 한 방향이 될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es on Korean Modern poetry that have been conducted up to recent times from the 1990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new Korean Modern poetry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current researches on Im Hwa`s and Kim Sooyoung`s poetry. These two poets are chosen because they are the primary research subjects who can open new prospects in the field of spiritual history combined with context research, which should be pursued by Korean Modern poetry. To illustrate, the research on these two revolutionary poets` conversion has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conversion literature histor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Contemporary Korean poetr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ithin the paradigm of modernity (post-modernity) research, but it has shunned the empirical studies of context, such as media research, a major research tendenc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lthough the researches on Japanese Proletariat poetry, translation, and language have some achievements, the research on Korean Modern poetry fails to pioneer a new methodology in the field of poetic literary history, thus simply accepting the methodologies of other genres. Such problem is partial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research on Korean Modern poetry still focuses on the theories of literary works and writers.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on Korean Modern poetry should be a research on spiritual poetic history and should be coupled with the empirical analysis of text and context. This will also be among the major themes of future Korean studies.

      • KCI등재

        박사학위 논문(2000∼2019)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변화와 전망

        김병준,천정환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60 N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bibliography data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area over the past 20 years.(2000∼2019) To this end, first and foremost, a data collection survey of the doctoral dissertations was carried out by data-crawling bibliography such as titles, tables of contents, abstracts, publication years, and authors from the two public DB platforms―RIS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s. Additionally, we examined keywords and attempted dynamic topic modeling by extracting nouns with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This study shows that most researchers in the real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earned their doctoral degrees from about twenty topnotch universities(mostly located in Seoul or the metropolitan area) during the past 20 years and that the number of dissertation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2010s. It is also found that traditional research themes such as studies on writers or poets(authorship) and studies on novel works or poetry still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However, it is notable that new types of studies including cultural theories, comparative literature, and feminism have been increasingly visi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cademia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egan to fissure, thereby gaining differences and diversities. This study has also found that the use of words revolving mainly around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has declined in the 2000s’ doctoral dissertations, chiefly based on keyword and topic analysis. Moreover, such changes are highlighted in researches on novels, which has been the most popular topic and theme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such a digital humanities approach, this study aims to discuss not onl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but also the changes or prospect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both terms of forms and contents. 이 논문은 지난 20년간(2000∼2019) 간행된 한국 현대문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 서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간의 현대문학 연구의 변화를 분석ㆍ평가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전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RISS와 국회도서관에서 논문의 제목, 목차, 초록, 출판연도, 저자 등의 사항을 크롤링하여 기술적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명사를 추출하여 키워드 분석과 시계열 토픽 모델링(Dynamic topic model)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2000∼19년 사이 현대문학 분야의 박사학위 논문이 20여 개 주요 대학(특히 수도권) 중심으로 배출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현대문학 분야에서 전통적인 작가론ㆍ작품론과 시(인) 연구가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문화론, 비교문학, 페미니즘에 근거한 연구들은 점점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해오고 있다고 말할 수는 있다. 이상과 같은 점들은 현대문학 학술장 내부에 있는 몇 가지 차이와 균열을 시사한다. 한편 우리는 키워드와 토픽 분석을 통해서 2000년대의 박사논문에는 한국 문학의 근대(성)을 규명하는 주제와 연관된 단어들의 사용은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전체 한국 현대문학 토픽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설 연구에서 그런 현상은 두드러졌다. 이처럼 디지털인문학의 방법을 통해,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 뿐 아니라 향후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제도적ㆍ내용적 전망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

      • 최명표가 걸어온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길

        김종헌 한국지역문학회 202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3 No.1

        Choi Myung-pyo began criticizing children's literature before earning a Ph.D. of literature. Along with on-site criticism of children's literature, I studied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hich was insufficient. Through this, a re-examin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t the level of literature was achieved. Therefore, hi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was not isolated and he conducted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To sum up his research roughly, Hi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attempted to clarify the concept of children's literature by revealing the scope of children's literature. In addition, criticism showed a strong desire to bring simultaneous education to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is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attitude of criticism. 최명표는 문학박사 학위를 받기 전에 아동문학비평을 먼저 시작하였다. 아동문학 현장비평과 함께 미진했던 한국현대아동문학사를 보완하는 연구를 통해서 한국아동문학을 문학의 차원에서 다시 검토한 성과를 이룬 평론가이다. 따라서 그의 아동문학 연구는 고립적이지 않았고 현대문학사 안에서 아동문학 연구를 전개하였다. 그동안의 연구를 거칠게 요약하면 그의 아동문학 연구는 아동의 범위를 밝혀 아동문학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또 평론에서는 동시교육을 문학에 근거한 문학교육으로 끌어내려는 강한 의욕을 보였다. 이것은 창작과 문학교육을 통해 수준 높은 작가와 독자를 동시에 기대하는 그의 문학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이 글은 그의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한국 현대 소설 수업 사례 연구

        서덕순 ( Seo Deok-soon ),이승연 ( Lee Seung-ye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1

        문학 작품은 단순한 언어적 의사소통을 넘어서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핵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소설 교육은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 교육의 여러 모델 중 문화 모델을 중점으로 살펴본다. 문학 교육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재정리함으로써 문학 작품을 단순히 언어적 모델로 접근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정서적으로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는 능력, 작품 속에 반영된 문화 내용을 자연스러운 과정에서 이해하는 능력이 문학 교육의 또 다른 목표임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2010년 이래 대학에서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현대 소설 수업을 진행해온 경험을 토대로 문학 작품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사례 다섯 가지를 주제적 측면(상호 역사 이해 바탕, 시대 상황과의 연계 수업), 형식적 측면(고전, 영화와의 연계 수업), 문화적 측면(동종주술 혹은 전통신앙과의 연계 수업)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감상한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문화에 대해 한층 강한 자신감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냈고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서 깊은 관심을 유도해내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도 소설을 문화의 한 종류로 인식하고 해당 국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한국어와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층 나아간 한국 현대 소설 교육 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Beyond simple verbal communication, literary works have a core function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emotions. However, it is true that Korean fiction educatio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still has certain limitations despite that diverse approaches have been attemp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model among several models of literature education. By rearranging the views of many schola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bility to break way from the existing way, which is to simply approach literary works with linguistic models, appreciate literary works in-depth emotionally, and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s reflected in the works in a natural process is another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contemporary fiction classes to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t university since 2010, five cases of classes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were presented separately for the thematic aspect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histories, classes linked with situations of the times), the formal aspects (classics, classes linked with films), and the cultural aspects (classes linked with the lessons with homeopathic magic or traditional belief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ho appreciated literary works in-depth tended to have a stronger confidence in Korean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an incidental effect of inducing deep interest in overall Korean society was obtained. Hereafter too, efforts should be continued to find more advanced Korean modern fiction education plans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while recognizing fictions as a kind of culture and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