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의 비교 연구 - 명사 목록을 중심으로 -

        이유경(Lee, YooKyoung)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인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명사 어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목록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명사 어휘의 비율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 특히,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은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등급 차이가 나는 어휘가 많았다. 이외에 세 목록의 차이는 어휘 선정 방식과 관련이 있었다.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은 동일한 어휘가 여러 품사에 나오는 경우 품사별로 어휘를 모두 제시하였다. 반면에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동일한 품사로 의미에 차이가 없는 경우 하나만 어휘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하나의 어휘를 선정하였는데 비해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은 다의어 의미별로 어휘를 각각 선정하였다. 또한, 어휘의 의미 구분을 위해 길잡이말과 사전의 어깨번호가 사용되었는데, 일부 어휘는 의미가 잘못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어휘의 공통 목록이 고급으로 가면서 줄어들었으나, 이는 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많지 않았던 2000년대 초반 한국어교육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어휘 구분을 위한 기준의 차이로 인해 어휘 목록이 달라진 양상을 보였다. 목록에 포함될 어휘를 정하는 기준의 차이는 어휘 목록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재의 목록들은 특정 목적을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휘 제시 방법을 달리하는 연구를 하는 경우 목록에 포함할 어휘의 기준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어휘의 의미 변별을 위한 장치가 좀더 정확한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의미 설명 방식의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udy of selecting vocabulary lis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noun vocabulary of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which are studies on vocabulary lis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noun vocabulary included in all three lists decreased toward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particular,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had a large difference in grade by vocabulary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lists was related to the vocabulary selection method.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presented each vocabulary for a part of speech. On the other h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only one vocabulary was presented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ing for part of speech.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id not classify vocabulary by meaning. In contrast, some of the lis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classified vocabulary by meaning. In addition, the shoulder number and the guide word of the dictionary was used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but some vocabulary words were presented incorrectly. To summarize the above, it is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common vocabulary for the three lists decreased as the level of advancement increased, but thi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arly 2000s, when there were not many advanced learners. Second, the vocabulary list changed due to different standards for vocabulary classification. Differences i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vocabulary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vocabulary use, but the current lists do not consider specific purpo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vocabulary to be included in the lis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ethod of presenting meaning so that the meaning can be distinguished more accurately.

      • KCI등재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념도 연구

        손다정,위햇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3 No.-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캐인․트로침(Kane & Trochim, 2007)의 개념도 연구 방법에 따라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진술문의 생성과 구조화, 개념도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별 분류, 중요도, 숙달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교수자들은 어휘 교육 기본 내용, 교수 어휘와 함께 제시해야 하는 내용, 어휘 교육 확장 내용, 대조언어학적 내용, 학습자 요구에 따른 내용 등이 그 순서대로 어휘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일본어를 제1언어로 하면서 주로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수자들은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을 설계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수자가 속한 기관의 교육 과정이나 담당하는 강의의 성격에 따라 숙달도를 유연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이를 고려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한국어와 일본어 간 대조언어학적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교과 개발과 그에 적합한 어휘 교육 내용 마련,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과 상황에 적합한 숙달도 체계화와 그에 따른 어휘 교육 내용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 Japanese universities in the content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he instructors’ perceptions on content classification, importance, and proficiency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overall, they prioritized basic vocabulary, followed by teaching vocabulary, extended instruction, contrastive linguistic content, and learner-specific contend. As their students primarily spoke Japanese and studied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this order was aligned with their teaching approach. The instructors emphasized on improving learners’ vocabulary use through adapted proficiency assessme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curriculum and course nature.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should integrate the findings of contrastive linguistic studies, design curricula based on learners’ motivations, and develop appropriate vocabulary content for Korean course context. Systematizing proficiency levels is also recommended to enhance vocabulary education.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를 통해 본 한국어 어휘 교육 –서양인 저술 한국어 학습서를 중심으로–

        박새암(Park, SaeAm)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 연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간행된 서양인 저술 한국어 학습서의 분석을 통해 초기 한국어교육사의 한 단면으로 당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시기에 출판된 학습서의 어휘 교육 내용을 어휘 제시 방식과 어휘 연습 방식으로 살펴본 결과 이 시기 학습서에 나타난 어휘 제시 방식은 문장이나 어휘의 대역을 통한 의미 제시방식, 어휘의 어원과 형태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주제별, 사용 목적별 어휘 목록 제시 방식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어휘 연습 방식은 이 시기 한국어 학습서에는 거의 나타나지는 않아 이 시기 한국어교육에서 ‘어휘’는 명시적인 교육의 대상이라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가 알아서 학습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Language School’에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20세기 초에 출판된 언더우드의 Everyday Korean(1921)과 사우어의 Korean for Beginners(1925)에 나타난 주제별 어휘 목록의 제시나 어휘 학습을 위한 구체적 지시사항은 한국어교육이 개인적 학습에서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교육으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어휘 역시 개인적으로 학습해야 할 대상에서 체계적인 관리와 학습이 필요한 교육의 대상으로 인식의 전환이 나타난 사례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s a part of the history of early Korea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published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The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tudy boo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ere reviewed in terms of vocabulary presentation and vocabulary practice.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at appeared in Korean study books during this period: a method of presenting meaning through a range of sentences or vocabulary, a method of presenting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form of a vocabulary, and a method of presenting vocabulary lists by subject and purpose. Vocabulary practice methods rarely appear in Korean language study books during this period, so it could be seen tha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vocabulary’ was perceived as an object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had to learn rather than as an object of explicit education. However, through a list of vocabulary by subject in Underwood’s Everyday Korean (1921) or specific instructions for vocabulary learning in Sauer’s Korean for Beginners (1925),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in personal learning. As education changes, vocabulary can be confirmed as an example of a shift in perception from an object to be learned individually to an object of education that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and learning.

      •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임칠성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이 글은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라 함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의미한다. 교육용 어휘란 교육의 매체가 되는 어휘가 아니라 교육의 대상이 되는 어휘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급용 교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어휘가 아니라 대체로 익혀야 하는 어휘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란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배우고자 하는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이 익혀야 하는 어휘를 의미한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여기에 제시하는 대상 어휘들을 초급 한국어 학생들이 반드시 익혀야 하는 어휘라기보다는 이 대상 어휘 가운데 일정한 양의 대상을 익혀야 하는 어휘라는 뜻에서 제시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대상 교육용 어휘로 제시되는 어휘가 넘어서서는 안 되는 범위를 제한한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용 어휘는 대체로 어휘의 빈도에 의한 제시 방법, 저자의 직관에 의한 제시 방법, 기초 어휘 군에 따라 어휘 군을 나누고 그 군에서 직관에 따라 어휘를 제시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 어휘 빈도에 의한 가장 빈도가 높은 어휘를 일차적으로 제시하고, 영기에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휘 가운데 빈도와 편차가 높은 어휘를 포함하였다. 이번 선정 작업은 상당 부분 필자의 직관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의 직관보다는 대상 어휘들에 대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지도를 통하여 선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필자의 여건상이를 수행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선정된 어휘는 여러 사람의 수정을 기다리는 초벌 단계의 선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uggest the preliminary educational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foreigner. Generally speaking, the educational vocabulary is not the media of language teaching but the content of object of language teaching. So the preliminary educational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s the vocabulary for the beginners to learn. But his essay suggests only the quantitative limit of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So far the selection of Korean educational vocabulary has been done by the lexical frequency, the individual intuition of researcher or the way on intuitively select the vocabulary among the preliminary lexical group to be classified. But, this essay tries to suggest the high frequent vocabulary in the frequency of Korean words firstly and add the high frequent and variant words to it. The proper selecting way is the way by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level recognition but the selection in this essay is to be done by my own intuitions. So, the trial in this essay means the basic work expecting the concerns of the related researcher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한근 ( Kim,Han-geu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6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비교하여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육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목표로 한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재와 숙달도별 어휘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 233 개의 어휘가“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목록과 일치하지 않고 해당 어휘를 숙달도별 주제로 재분류하였다. 그 결과 중급 어휘는 59개였으며 주제에 따라 '건강', '학교 생활', '컴퓨터 및 인터넷'과 관련된 어휘가 많이 포함되었다. 또한 고급 어휘는 174개였으며 주제별로는 '교육', '경제 및 관리'에 많은 어휘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된 자료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basic research for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y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y comparing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with the vocabulary list presented in 'Developing 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tent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cademic purpose textbooks and proficiency vocabulary, a 233 vocabulary did not match the list of “Developing 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tents” and the vocabulary was reclassified as subjects by mastery level. There were 59 intermediate vocabulary words, and according to themes, many vocabulary related to 'health', 'school life', 'computer and internet'. In addition, there are 174 high-level vocabularies and many topics are included in ‘education’, ‘economics and management’. As a result, this analysis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basic data for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y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안

        황은영(Eun-young Hw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문법 교육에 비해서 어휘 교육은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요즘, 어휘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급단계의 의사소통 활동에서는 어휘가 출발점이며, 고급단계에서는 한국어 사용의 정확성을 위해 어휘가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체계적인 어휘교육의 지침서도 없고,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다. 중·고급 학습자들도 어휘 학습 과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도 어휘 능력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수준이 제각각이어서 변수가 많은데 이러한 부분은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와 어휘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을 통해 달라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체계적인 구조, 구조적인 구조, 의미적인 구조, 사회언어학적인 구조로 살펴보았다. 각각의 특징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 교육의 방안으로는 교수법 차원의 제시, 매체 활용 차원의 제시, 어휘 제시상의 유의점을 가지고 각 등급별로 지도하는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어휘 게임을 활용해서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to foreign Korea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was neglected compared to speaking, listening, writing, reading, and grammar education. However, nowadays vocabulary education, which values communication skill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Vocabulary is the starting point for beginner-level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vocabulary is important enough to be the last step for the accuracy of Korean language use in the advanced stage.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for systematic vocabulary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and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it.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are having a hard time in th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and foreign students are also suffering from a lack of vocabulary skills. In addition, there are many variables because the level of learners is different, and this part should be chang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y teachers and step-by-step access to vocabulary.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following studies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irst, we looked 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ocabulary in a systematic structure, structural structure, semantic structure, and sociolinguistic structure. As a way to teach vocabulary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and level of learners, it was proposed to guide each grade with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method-level presentation, media-use-level presentation, and vocabulary presentation. Finally, through vocabulary games, effectiv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measure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긴급재난문자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교육 방안 연구 : 결혼이주여성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송선주(Song S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긴급재난안전문자를 활용하여 한국어 어휘교육을 하는 데 있다. 어휘교육을 통하여 초급 단계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연재난문자에 대한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긴급 시 스스로 안전에 대비할 수 있으며, 한국에 정착해 사는 동안 긍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안전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을 말하였고 선행연구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긴급재난문자 종류들 중 결혼이주여성들이 머물고 있는 한국의 지역적인 특성과 한국어 실력 등을 고려하여 자연에 관계된 자연재해문자 13가지로 한정하여 논의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서 한국어교육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언급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였고, 한국어교육에서의 긴급자연재난 시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지하여야할 학습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앞장을 토대로 생활관련 어휘, 안전관련 어휘, 금기관련 어휘, 사람관련 어휘, 알림관련 어휘 등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적 가능 요소를 찾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교육 원리에 적용하여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 어휘학습을 통하여 많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안전에도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eking one’s own safety in an emergency and enjoying positive life in Korea by understanding disaster messages and smooth communic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beginner level. Chapter 1 described the needs and objectives of safety in Korean learners and reviewed discussion on previous researches. Chapter 2 limited nature-related emergency messages to 13 kind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where married immigrant women live and their Korean proficiency. Korean curriculum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far Korean education refers to safe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즈니스 어휘 선정 및 애플리케이션 기반 교육 연구

        화택화(He Zehua),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한⋅중 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애플리케이선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방법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분류를 통해 한국어 비즈니스 어휘의 특성을 밝히고 모바일 학습과 한국어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한국과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비즈니스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Excel을 이용하여 2차례에 걸쳐 어휘 선정을 실시하었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살펴보는 것이므로 각 교재의 목표 어휘를 통계적 접근에 따라 1차 어휘 선정은 기본 어휘만 선정하였고, 2차 어휘 선정은 1차에서 선정된 어휘를 중복 빈도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기반 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결과 한⋅중 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7권을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어휘 목록을 선정하였다. 1차 선정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초 어휘를 제외하고 특수 목적 중에 비즈니스와 관련된 기본 어휘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3,285개 단어 중 19.6%인 644개 어휘를 선정하였다. 2차 선정은 어휘 빈도가 높은 어휘를 기준으로 644개 어휘 중 74.07%인 477개 어휘를 선정하였다. 결론 중국인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business Korean vocabulary skills based on application lines by selecting a list of business vocabulary for vocabulary presented in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Methods Through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siness vocabulary were revealed, and mobil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valu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vocabulary covered in Korean business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vocabulary selection was conducted twice using Excel. Since vocabulary looks at the vocabulary used in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only the basic vocabulary was selected for the primary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pproach, and the application-based method was used for the secondary vocabulary selected in the first. Results Seven business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and a vocabulary list was selected twice. The primary selection quantitatively analyzed the basic vocabulary related to the business during special purposes, excluding the basic vocabulary used primarily in everyday life, and selected 644 vocabulary, 19.6% of the 3,285 vocabulary. The second selection selected 477 vocabulary, or 74.07% of 644 vocabulary, based on vocabulary with high frequency. Conclusions For Chinese business purposes, the vocabulary list was selected to improve Korean vocabulary skills for Korean learners, and an application-based efficient training method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배도용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곧 어휘 내용 요소의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교육 어휘의 지식 영역을 이전의 언어학적 혹은 국어학적 연구 성과를 다소 그대로 옮겨온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과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이전의 언어학 혹은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정 이나 해석하지 않은 채 한국어교육에 응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교육 어휘(pedagogical vocabulary)의 측면에서 접근이었다. 그런 측면을 반영 하여 한국어교육 어휘의 내용 요소는 형식(구어/문어/단어 구성), 의미(형태와 의미/개념과 지시대상/연상 관계), 사용(문법적 기능/연어 관계/ 사용제약)의 영역에서 설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discussion about what to teach in the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setting of vocabulary content elements. This was an approach in terms of pedagogical vocabulary in that it could not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out modification or interpretation of previous linguistic or linguistic research results in Korean language vocabulary. Reflecting that aspect, the content el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as a foreign language could be established in the areas of Form (spoken/written/word parts), Meaning (form and meaning/concept and reference/associations), and Use (grammatical functions/collocations/constraints on use).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단어 내용 구성

        류경숙,윤수정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단어의 내용 구성을 체계적인 집합 안에서 어휘를 조직화하고 범주화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 을 정리하면 첫째, 한국어 교육 어휘를 위한 단어 내용을 단어의 어종과 의미관계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2011)의 기준에 따라 조사, 접사는 단어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둘째, 단어의 어종에 따른 어휘 교육은 원활한 구어 사용을 위한 고유어,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어휘 확장을 위한 한자어, 문화 접촉의 다변화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외래어의 내용을 짚어 보았다. 셋째, 단어들의 의미파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단어의 의미관계에 따라 유의어와 반의관계(대립관계), 다의어와 동음관계, 상․하위어관계 등으로 나뉘어 어휘를 조직화하였다. 따라서 이를 통해 어휘가 가지고 있는 상관관계를 연계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단어 내용구성을 구축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categorize the composition of word contents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systemic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ord contents for Korean vocabulary is subdivided based on word type and semantic relation. Particles and affixes are excluded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ondly,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word type is analyzed into Pure-Korean words education for fluent conversation, Sino-Koreans word for professional vocabulary expansion and Loanwords education which is on the rise due to diversification of cultural contacts. Lastly,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the vocabulary is organized by dividing it into synonym and antonymous relation(oppositive relation), polysemy and homonymous relation, hypernym and hyponym depending on the semantic relation. Therefore, it establishes the word contents structure in Korean education by linking the correlation that the vocabulary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