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

        하영우,안성민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by comparing the pronunciation of Korean and Uzbek vowels by Uzbek learners of Korea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 pronunciation of Uzbek learners are revealed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Uzbek and Korean. The pronunciation of monophthongs in Korean by Uzbek learners shows that the vowel space is generally expanded in word utterances, and the tendency of space overlap between vowels is strong.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spatial overlapping pattern of the front vowels /E/ and /ㅣ/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mother tongue and /E/ is articulated close to /ㅣ/. The space for the vowel /ㅡ/ expands to meet the space of /ㅏ/, reaching a low vowel. The vowel spatial overlap of /ㅓ/ appears partially with /ㅏ/ in the case of female speak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le speakers, /ㅓ/ has a wide overlap with /ㅗ/, and there is also some overlap of /ㅜ/ and /ㅡ/. Female speakers show overlap of /ㅗ/ and /ㅜ/ most of the time, whereas male speakers show overlap of /ㅗ/ to a greater extent with /ㅓ/ than with /ㅜ/. The overlap appeared to be much more widespread. 이 연구는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단모음의 조음 학습 및 지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모어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자 우즈베크어와 한국어 단모음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우즈베크인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즈베크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은 단어 발화에서 전반적으로 단모음의 모음 공간이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모음 간 공간 겹침 경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전설모음인 /E/와 /ㅣ/의 공간 겹침 양상은 모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E/를 /ㅣ/에 가깝게 조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즈베크어에 대응 음소가 없는 /ㅡ/는 /ㅏ/와 공간이 맞닿을 만큼 확장되어 저설모음에 다다르고 있었다. /ㅓ/의 모음 공간 겹침은 여성의 경우 /ㅏ/와 부분적으로 나타났지만 전체적 구조는 독립적이며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모음 공간 구조와 동일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ㅓ/는 후설 원순모음인 /ㅗ/와 공간 겹침이 넓게 나타났으며 /ㅜ/, /ㅡ/와도 일부 겹침이 있었다. 후설 원순모음 /ㅗ/, /ㅜ/의 공간 겹침 현상도 남녀가 상이한 양상을 보였는데 여성의 경우 주로 /ㅗ/와 /ㅜ/가 겹쳐 나타나는 데 반해 남성의 경우 /ㅜ/보다는 /ㅓ/와 공간 겹침이 훨씬 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은 모어의 영향을 받아 모음 공간 겹침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고 특히 고저 위치에 대한 학습이 미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모음에 대한 발음 교육이 대부분 언어 학습을 시작하는 초기에만 이루어지고 있는데 지속적인 발음 교육이 없이 발음 오류가 수정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중고급자로 도약해서도 여전히 단모음에 대한 정확한 조음을 어려워 하는 학습자를 위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단모음 발음 재교육 과정이 한국어 교수 현장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대조분석과 실험음성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양상과 특성이 한국어 단모음 발음 습득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한국어 발음 교육 현장에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한국인의 지각 연구

        이주희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발음한 한국어 단모음을 한국어 모어 화자가 어떻게 지각하고 범주화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 모음 자극에 대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각에는 각 단모음 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산출한 단모음을 목표모음으로 지각한 경우는 평균 83.9%였다. 모음 자극 /a/와 /i/는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로 지각되었지만, 모음 자극 /o/, /e/, /ʌ/, /ɯ/, /u/는 이에 비하여 낮은 목표모음의 선택률을 보였다. 이 중에서 모음 자극 /u/는 가장 낮은 목표모음의 선택률을 나타냈고, /ɯ/와 /ʌ/도 /a/와 /i/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목표모음의 선택률이 낮았다. 또한, 실험 1의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모음의 선택률에 대한 각 모음별 차이를 통계 분석한 결과 모음 /i/와 /a/를 제외한 다른 모음들은 목표모음의 선택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01). 실험 2에서는 후설모음 /ɯ, ʌ, u, o/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목표모음에 대한 지각 범주를 조사하였으며, 그 평균은 74.1%로 실험 1에서 수행한 전체 모음의 평균 목표모음 선택률(83.9%)보다 낮았다. 또한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산출한 모음 자극 /u/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목표모음으로의 지각이 가장 어려운 모음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지각 실험을 바탕으로 자극으로 사용된 각 단모음의 포먼트 값(F1과 F2)의 거리 차이와 목표모음에 대한 지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산출한 모음 자극 /ɯ, ʌ, u, o/를 두 가지 혹은 세 가지 모음의 범주로 지각했으므로 각 단모음이라는 변수 사이에 생기는 거리 차이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각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렇게 두 가지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한 결과로 구해진 피어슨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근접행렬을 통하여 각 단모음 간의 거리 차이를 기반으로 둔 근접도와 관련된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여성 화자가 산출한 모음 자극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각과 관련된 추가적인 논의를 하였다. F1 값의 근접도를 기반으로 /ɯ/ 모음은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u/와 /o/로 지각되었으나, 모음 자극 /ʌ/는 F1과 F2 값의 근접도를 통해 각각 /o/와 /a/로 지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u/ 모음은 /o/와 근접도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서 두 모음 사이에서 청자가 혼동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native speakers perceive Korean monophthong vowels produced by female Vietnamese Korean novice speakers. To discuss thi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ir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8. In Experiment 1, differences in perception for Korean monophthong vowels stimuli produced by female Vietnamese Korean novice speakers were confirmed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The average selection rate for target vowels was 83.9 %. While /a/ and /i/ were perceived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o/, /e/, /ʌ/, /ɯ/, and /u/ had lower selection rates. Among them, the vowel /u/ showed the lowest target selection rate, and /ɯ/ and /ʌ/ were also relatively low.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arget vowel selection rates, excluding /i/ and /a/. In Experiment 2, the perception of the target vowels /ɯ, ʌ, u, o/ was investigated, and the average perception rate was 74.1 %,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target vowel selection rate in Experiment 1 (83.9%).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vowel /u/ was the most challenging stimulus for target perception. Finally, based on the two experim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differences in formant values (F1 and F2) for each vowel and the target vowel perception was examined. Korean native speakers perceived /ɯ, ʌ, u, o/ as two or three categories, indica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differences among these vowels and their perception. Through these experiments and statistical analyses, important insights were gained into how Korean native speakers perceive and confuse the vowels produced by female Vietnamese Korean novice speakers.

      • KCI등재

        이집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

        사라 벤자민(Sarah Benjamin),이호영(Ho-Young Lee)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4

        이 연구는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한국어 모음을 어떻게 지각하고 범주화하며, 이들이 발음한 한국어 모음을 한국인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 밝히고, 이를 토대로 이집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범주화가 그들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1에서는 이집트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음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집트인 학습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자극 단어를 듣고 어느 단어를 들었는지 객관식으로 고르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고, 실험 2에서는 이집트인 학습자들이 발음한 한국어 모음을 한국인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 밝히기 위해 이집트인 학습자 9명이 산출한 자극 단어 117(13개×9명)개를 한국인들에게 들려주고, 어느 단어를 들었는지 객관식으로 고르게 한 다음 모음의 발음이 원어민 수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이집트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한국어 모음은 별도의 범주를 쉽게 형성하여 잘 지각된 반면 산출이 잘 되는 새로운 모음도 있었고, 산출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음도 있었다. 반면에 이집트어 음소와 “비슷한” 한국어 음소는 비교적 잘 산출되지만 지각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음성학습모델(speech learning model)과 지각동화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이 제2언어 학습자들의 제2언어 음성 지각을 잘 설명해 주지만 음성 산출을 설명하는 데 미흡함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Egyptian learners of Korean perceive and categorize Korean vowels, how Koreans perceive Korean vowels they pronounce, and how Egyptian learners’ Korean vowel categorization affects their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vowels. In Experiment 1, 53 Egyptian learners were asked to listen to Korean test words pronounced by Koreans and choose the words they had listened to among 4 confusable words. In Experiment 2, 117 sound files (13 test words×9 Egyptian learners) recorded by Egyptian learners were given to Koreans and asked to select the words they had heard among 4 confusable word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new” Korean vowels that do not have categorizable ones in Egyptian Arabic easily formed new categories and were therefore well identified in perception and relatively well pronounced, but some of them were poorly produced. However, Egyptian learners poorly distinguished “similar” Korean vowels in perception, but their pronunciation was relatively well identified by native Kore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gued that the Speech Learning Model (SLM) and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 explain the L2 speech perception well,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explain L2 speech production and therefore need to be revised and extended to L2 speech production.

      • KCI등재

        베트남인 고급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각 연구

        이주희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수준의 베트남 여성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 단모음을 실험의 자극으로 선정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가 이 자극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는지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 1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을 대상으로 구해진 총 3,780개의 응답을 기반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는 목표 모음의 종류에 따라서 그 선택 결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목표 모음의 평균 선택률은 90.2%로 측정되었으며 특히 후설 원순모음 /u/의 목표 모음에 대한 선택률은 50.9%로 다른 단모음 대비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원순모음 /o/는 99.3%라는 높은 비율로서 목표 모음으로 선택되었다. 실험 1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급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 단모음 중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지각의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단모음은 /u/ → /e/ → /ɯ/ → /ʌ/의 순서였다. 실험 2에서는 후설모음 /ɯ, ʌ, u, o/가 어두 초성에 포함된 다양한 자극에 집중하였다. 후설모음 /ɯ, ʌ, u, o/ 중에서 목표 모음의 지각률이 가장 낮은 모음의 순서는 /u/ → /ʌ/ → /o/ → /ɯ/의 순이었다. 이 중에서 가장 목표 모음의 선택률이 낮은 모음은 실험 1과 마찬가지로 모음 /u/로 나타났다. 또한 모어 화자의 선택률에 대한 비율의 차이가 통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후설모음의 종류를 난이도에 따른 고정 효과로 지정한 후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목표 모음의 선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각 후설모음의 난이도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따라서 실험 2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급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의 후설모음 중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목표 모음에 대한 지각적 판단을 내리기 가장 어려운 모음은 후설 원순모음 /u/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에는 /u/와 /o/에 대한 조음적인 정확성에 가중치를 둘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ative Korean speakers perceive Korean monophthong vowels produced by advanced-level Vietnamese female speakers as stimuli. In Experiment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election results of native Korean speakers depending on the target monophthong type. The average selection rate of the target monophthongs was measured at 90.2%, with the selection rate for the back rounded monophthong /u/ being relatively low at 50.9% compared to other monophthongs. However, the back rounded monophthong /o/ was selected as the target monophthong with a high ratio of 99.3%.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 order of monophthongs that could potentially cause perceptual confusion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from the monophthongs produced by advanced speakers of Vietnam was /u/ → /e/ → /ɯ/ → /ʌ/. In Experiment 2, attention was focused on various stimuli containing back rounded vowels /ɯ, ʌ, u, o/. The order of the vowels with the lowest perceptual rate for the target monophthong among the back rounded vowels among /ɯ/, /ʌ/, /u/, and /o/ was /u/ → /ʌ/ → /o/ → /ɯ/. Among these, the monophthong /u/ was shown to have the lowest target monophthong selection rate, consistent with Experiment 1.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it was verified that among the back rounded vowels in Korean produced by advanced speakers from Vietnam, the back rounded monophthong /u/ was the most challenging for native Korean speakers to perceive the target monophtho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prioritize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for /u/ and /o/ i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KCI등재

        중국(中國)에서 출판(出版)된 한국어(韓國語) 교재(敎材)의 문제점(問題點) 고찰(考察) -단모음(單母音) 설명(說明) 부분(部分)을 중심(中心)으로-

        왕요(王瑤) ( Wang¸ Ya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3

        본 연구는 201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중국에서 출판된 정규 대학 기관용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단모음의 설명 부분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중국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단모음의 발음 기호를 제시하는 데에 가장 혼란스러운 단모음인 /ㅓ, ㅗ, ㅡ, ㅐ, ㅚ/의 IPA 기호는 각각 [Λ](긴소리일 때 [əː]), [o], [ɨ], [ε], [ø]로 표기해야 한다고 보았다. 단모음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때 음운론적 분류표에서는 굳이 중설모음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ㅡ, ㅓ, ㅏ/는 후설모음으로 분류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음성학적 분류표에서는 중설모음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ㅓ/는 후설 평순 반개모음에 해당하지만, 긴소리 /ㅓ/는 중설 반폐모음에 해당한다. 단모음을 기술할 때 ‘홑모음'이나 ‘모음(元音)’이라는 용어보다는, ‘단모음(單元音)’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하였다. 실험음성학적 분석 결과, 한국어 /ㅣ, ㅏ, ㅜ/는 각각 중국어 /i, a, u/와 동일한 소리로 볼 수 있지만, 한국어 /ㅗ/는 중국어 /o/와 동일한 소리로 볼 수 없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어 /ㅓ, ㅡ/의 발음이 모두 중국어 /e/의 발음과 다르다는 현실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mple vowel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for regular university institutions published in China, starting from 2010 until now, examine the problems, and make recommendations. The most confusing IPA symbols of /ㅓ,ㅗ,ㅡ, ㅐ, andㅚ /, which are used for simple vowel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Λ] ([əː] should be applied to long sounds), [o], [ɨ], [ε], and [ø]. When presenting simple vowels systemat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set central vowels in the phonological classification table, and /ㅡ, ㅓ, ㅏ/ were classified as central vowels. In the phonetic classification table, it is imperative to set a central vowel. In this case, / ㅓ/ corresponds to a flat-order half-closed vowel, but a long sound / ㅓ/ corresponds to a half-closed vowel. When describing simple vowels, it can be argued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to use the term ”simple vowels” rather than “one vowel” or “vowel.” The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showed that Korean / ㅣ, ㅏ, ㅜ/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sound as Chinese /i, a, and u/, respectively, but Korean / / cannot be regarded as equivalent to Chinese /o/. Furthermore, it also revealed that the pronunciations of Korean / ㅓ, ㅡ/ differ from those of Chinese /e/.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 ( Dong Myung Lee ),임수현 ( Su Hye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임수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의 음향적 특성 - 모국어 언어권별 VOT와 후행모음 시작점 f0의 역할

        송유진 ( Song Yu Jin ),김상우 ( Kim Sangwoo ),이석재 ( Rhee Seok-c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한국어 파열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삼중 대립을 보이며, 어두 위치에서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주요 음향적 자질로는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가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한국어 파열음의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의 역할을 모국어 언어권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성 코퍼스인 L2KSC에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어권 · 일본어권 · 영어권 남성 학습자가 발화한 데이터 중 모음 /ㅏ/를 선행하는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 모국어 화자의 경우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에서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 모두 한국어 파열음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세 분절음을 구별하는 데 있어 성대진동 시작시간이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으나,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는 모국어 언어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세대학교)

      • KCI등재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권기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과 산출 실험을 통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 이 느끼는 단모음의 난이도 위계를 설정하는 데 있다. 베트남인 학습 자들은 모국어 단모음과의 대응을 통해 비교적 한국어 단모음을 쉽게 학습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산출 실험 결과 학습자들 은 한국인 모국어 화자보다 단모음을 산출하는 공간이 좁으며, 후설 모음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대응 모음이 일치하지 않는다. 베트남 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대응 모음은 해당 베트남어 모음보다 높은 위치 에서 발음된다. 이러한 차이가 학습자의 후설 모음 지각 오류를 불러 일으키며, 오류가 가장 많은 모음쌍은 /ㅗ/와 /ㅜ/이다. /ㅐ/는 실험 대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ㅔ/를 /ㅐ/로 지각하는 학습자도 많았다. 실험 결과 베트남 학습자들을 위한 단모음 난이도 위계는 다음과 같 다. 0단계: ㅣ, ㅏ 1단계 : ㅡ, 2단계 : ㅔ / ㅐ, 3단계 : ㅜ, ㅗ, ㅓ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iculty level of simple vowels for Vietnamese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The prevailing view is that Vietnamese students tend to learn simple Korean vowels by comparing them to simple Vietnamese vowels. However,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Vietnamese students have narrower spaces for pronouncing simple vowels than Korean speakers. Thus, corresponding simple Korean vowels are placed higher than simple Vietnamese vowels. Differences thus occurred because of back–vowel perception errors; most errors occurred between /ㅗ/ and /ㅜ/, while /ㅐ/ was excluded in this experiment. Most students apperceived /ㅔ/ to /ㅐ/. Difficulty levels were thus set to the following: Level 0: ㅣ and ㅏ; Level 1: ㅡ; level 2: ㅔ and ㅐ; Level 3: ㅜ, ㅗ, and ㅓ.(Kyung hee university)

      • KCI등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 실현 양상 ― 중급 이상 학습자의 낭독 발화를 중심으로 ―

        차재은(Cha, Jae-Eun)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3 No.-

        이 논문의 목표는 미얀마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낭독 발화에 나타난 이중모음의 음성적 실현을 살피고 오류의 양상 및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표준 발음 외에 현실 발음도 발음 오류의 판단 준거로 삼았고 청취 외에 음성 분석을 이용하여 이중모음의 실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화자별 이중모음의 오류율은 0~15.1%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j/, /w/, /ɰ/ 계 이중모음의 오류율은 /ɰ/계(60%) > /j/계(10%) > /w/계(2.6%)순서로 나타났다. 미얀마어의 모음 체계에는 단모음 /ɯ/와 이중모음 /ɰi/가 없으므로 중․고급 학습자라도 /ɰi/의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음운 체계, 음절 구조와 같은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한 오류는 고급 학습자 단계에서도 수정되기 어려우므로 초급 단계부터 중점적으로 교육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j/계 이중모음 오류는 ‘향했어요, 흉내’ 등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기저의 단모음이 개음절에서는 긴장모음으로, 폐음절에서는 이완모음으로 실현되는 미얀마어 모음의 음성적 변이와 관련되어 있다. 이는 단모음 교육에서 음소 단위의 대조 외에 변이음 단위의 모음 변이도 체계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onetic realization of diphthongs in the reading utterances of Myanma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acoustic analysis and to clarify the pattern and cause of err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 rate of diphthongs for each speaker is in the range of 0 to 15.1%. The error rate of the diphthongs was in the order of /ɰi/ (60%) > /jV/ (10%) > /wV/ (2.6%). Since there are no monophthong /ɯ/ and diphthong /ɰi/ in Burmese vowel system, the error rate of /ɰi/ is high even for intermediate learners. The /jV/ diphthong errors were concentrated on ‘hyanghaesseoyo(향했어요, forward)’, ‘hyungnae(흉내, imitation)’. This is related to the phonetic variations of vowels of Myanmar. The underlying monophthongs are phonetically realized as a relaxed vowels in a closed syllables. This fact shows that in vowe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contrast of the phoneme systems or syllable structure, the phonetic variations of vowel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