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김관식(Kim, Kwan-si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한국 아동문학의 사적 연구는 근대문학 형성기인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문학사적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현대 아동문학의 사적인 체계는 1978년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부터이다. 그 후 한국 동시문학에 대한 연구로 신현득의 「한국동시100년-정형동 시를 중심으로」, 최근에 아동문학에 대한 사적 연구로는 원종찬의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이재철이 조직한 『한국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고, 그 밖의 석사학위 아동문학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현대 아동문학이 태동한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학사적인 의의가 큰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을 뿐, 현시점에 필요한 아동문학 창작 연구 분야는 저조한 편이다. 한국 동시문학사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적인 맥락이 광의적인 동심을 반영한 시가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는 시와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한국 시의 원형으로 동심을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동시문학의 위상이 정립된다. 따라서 한국 동시의 모태가 된 동시문학을 고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에서 시가의 발달 과정에서 동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작품과 시인들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not been significantly illuminated compared to existing literary studies. The private system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s considered in Lee Jae-chul’s “Research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1978 (Da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and later in Shin Hyun-deuk’s “100 years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 focusing on regular poetry.” Recently, further studies have emerged, such as Won Jong-chan’s “Rediscove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rivat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In 1988, Lee Jae-chul organized a research paper on children’s literature centered o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Other master’s degree papers on children’s literature are being published more frequently.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into the works of the writer who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reation research field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is poor. The history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Korea is not a concept separate from poetry, in that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poetry is rooted in poetic literature reflecting broad concentricity. The status of simultaneous literature is established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ntricity as a prototype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simultaneous literature that became the mother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wa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Joseon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igar,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works and poets that can be seen as simultaneous areas.

      • KCI등재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 연구

        장정희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ppearing in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June 1950. First, I researched about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xcept for “Children(어린이)” (1948 May-1949.12), many magazines all ended in May-June 1950. North Korea’s “Children’s Literature” was also temporarily suspended during the Korean War and began to be published again in 1954.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 could see that there was an ideology that children’s magazines at this time were pursuing, but they were not exclusive to each other, and practical exchanges were taking place. Next, I tracked the author’s movement in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in the south and north before the Korean War. First, I took note of “Children’s Country(어린이나라)” The activities of Yoon Bok-jin (Children’s Song), Park Tae-won (Novel, Boys’ Novel), and Park Se-young (Comment)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the work. I also identified several authors who were active in children’s magazin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fore the Korean War but whose activities were not confirmed in North Korea. Typical examples are Jung Ji-yong, Choi Byung-hwa, Jeong Tae-byung, and Hyeon Dong-yeom. This paper was able to meet the sudden trans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to hostile literature after passing the “Korean W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tage was also settled as a division of disconnection without exchange. We need to discover and illuminat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o were buried in ideological barriers. In addition, a new research method that can view the divis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should be derived. 본고는 1950년 6월에 발발한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한국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전쟁 전후 남북 아동 잡지류의 창간 및 발행 현황을 살폈다. 한국전쟁 발발 전에 이미 종간된 어린이 (1948. 5.~1949. 12.)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동 잡지는 ‘1950년 5월~6월’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일제히 종간을 맞이하였으며, 북한 아동문학 의 경우도 한국전쟁기에는 일시 휴간되었다가 다시 1954년부터 발행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이 시기 남북 아동 잡지는 일부 이념적 선호 경향이 얼마간 있었으나 한국 아동문학 문단이 배타적 입장이 아닌 실질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한국전쟁 전 남북 아동문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의 이동 현황을 추적해 보았다. 먼저, 어린이나라 를 주목하여 윤복진(동요)․박태원(소설, 소년소설)․박세영(평론)의 활동 경로를 주요 작품 경향 분석과 더불어 탐색해 보았다. 또 한국전쟁 전 남한에서 발행된 아동 잡지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으나 북한 아동문학 내에서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작가군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정지용, 최병화, 정태병, 현동염을 주목했다. 본고는 ‘6.25전쟁’이라는 민족 동란으로 인해 새로운 아동문학 건설기를 맞이한 한국 아동문학이 적대적 대치의 문학으로 급선회한 모습을 만날 수 있었으며, 아동문학장 역시도 점차 교류가 없는 단절의 분단 과정으로 정착해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념의 장벽에 가려 묻혀 있던 한국전쟁 전후 한국 아동문학장 내의 아동문학가를 발굴 조명해 나가는 한편, 남북 아동문학장의 분단을 해소하여 통합적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남북 학술 교류를 통해 도출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 KCI등재

        한 자녀 가정 아동과 다자녀 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어머니 양육방식간의 관계 -한국 울산시와 중국 소주시를 중심으로-

        서안리,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273 Chinese mothers and 295 Korean mothers reported their maternal behavior and their only child's or sibling children's sociability. Compared maternal behavior between Korea and China, Chinese mothers showed more reasonable guidance, more active involvement, and more consistent regulation as well more controlling with power and demanding less achievement toward their child. Mothers showed more affect and more active involvement to the only child than to the sibling children irrespective of nationality. Korean mothers showed more overprotection to only child than to sibling children, but Chinese mother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sociability rating, Chinese mother reported their children as more egocentric but cooperative than Korean mother did. The relational patterns of children's sociability with maternal behavior appeared somewhat different in Korean data and Chinese data. It was found that main reasons for having only child was national policy in Chinese mothers but was personal in Korean mothers. 한국 울산시와 중국 소주시 소재 초등학교에 다니는 한 자녀 가정 아동과 다자녀 가정 아동 어머니 568명(한국 295명; 중국 273명)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방식과 아동의 사회성을 평정하여,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아동의 사회성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국 어머니는 한국 어머니보다 아동을 더 합리적으로, 더 적극적으로, 더 일관성있게 양육하면서, 동시에 더 권위적으로 통제하며, 아동에게 성취를 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한편 국적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다자녀 아동보다 한 자녀 아동을 더 애정적으로 대하며, 아동이 하는 놀이나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함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국적과 자녀수에 관계없이 여아보다 남아를 더 과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어머니는 다자녀 아동보다 한 자녀 아동을 더 과보호하는 반면, 중국 어머니는 한 자녀 아동과 다자녀 아동을 비슷하게 과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성 평정에서는, 중국 어머니가 한국 어머니에 비해 자녀의 자기중심성이 더 높고, 동시에 남을 도와주는 협동성도 더 높은 것으로 평정하였다. 한 자녀 가정 아동과 다자녀 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어머니 양육방식간의 관계에서는 국적과 외동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상관양상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위종선(Wee, Jongs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 KCI등재

        변화하는 한국사회와 기독교복지의 실천전략 - 아동복지를 중심으로 -

        이정서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이 논문의 목적은 변화하는 한국사회안에서 발생되고 있는 아동문제들을 분석하여 개선점과 실천적 방법을 모색하므로 한국교회가 아동복지사역을 좀 더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밝혀 교회의 잠재력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변화하고 있는 한국사회와 기독교복지역할 중 아동문제를 연구의 초점으로 맞추었다. 우리사회는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기본사회구조가 큰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 변화는 아동의 양육환경을 크게 바꿔놓았다. 핵가족화로 말미암아 훈육의 결핍. 부부 맞벌이로 인한 보육문제. 장애아동 복지대책미비로 장애가족화. 빈곤층의 생활보장문제. 결손가정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빈곤문제. 가족 간의 인간관계 희박(부모애정 결핍). TV및 정보의 역기능 이혼과 아동양육 문제. 학대 및 방임. 가정복지를 위한 행정미비. 가정복지를 위한 전문서비스 기관 부족. 입시지옥으로 학생들의 늦은 귀가 등의 사회역기능적문제가 전사회로 확대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들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해야하며 교회를 통한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연구함에 있어 세 단계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는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아동들의 문제를 분석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아동들의 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교회가 나아갈 방향과 사회적 책임을 알려줄 것이다. 둘째로 한국교회의 사명으로서 아동복지사역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그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회와 사회를 정의하고 그 관계를 설정한다. 셋째로 기독교복지의 실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복지사역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해결해야할 전문 인력 확충과 목회자의 인식개선, 그리고 교회의 예산을 다룬 후 아동복지사역을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단계별 접근은 변화하는 한국사회에서 아동들의 문제를 올바로 파악하여 그에 맞는 기독교복지사역의 실천전략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어-영어’동시습득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발달: 어미발달을 중심으로

        이하원,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Korean verbal endings between the ten 5-6year 'Korean-English' simultaneous bilinguals children and ten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ost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verbal endings. 1) Bilingual children showed not significantly a lower frequency based on the occurrence rates of verbal endings per utterance. But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lower occurrence rates in verbal ending`s variety per utterance(p<.05). 2)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error rates(p<.05). 3) In terms of error causation, bilingual children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honological, semantic causes and monolingual children in syntactic one. Therefore bilingual children's verbal ending proficiency are not just a sum of two monolingual children one.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습득한 5-6세 동시습득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어미 산출, 오류 및 오류원인을 한국어만 사용하는 단일언어아동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그 결과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을 비교할 때 발화 당 어미 산출율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지만 한 발화 내에서 나타난 어미 다양성은 이중언어아동이 보다 단조로웠다. 또한 총 어미 산출수에 대한 총 어미 오류율은 이중언어아동이 단일언어아동보다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그리고 그 오류 원인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 매우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이중언어아동은 한국어 음운환경 지식의 부족함(음운 오류)과 한국어 어미의 다양하고 세분화된 의미의 이해 부족(의미 오류)으로 오류를 보였으며 단일언어아동은 한국어 어미의 문법지식(문법 오류)이 주요한 오류특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중언어아동이 두 명의 단일언어아동의 합산된 언어능력 보유집단이 아니라 이중언어아동 만의 독특한 언어능력을 보유한 집단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 연구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아동을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다문화 아동의 수는 4만 6000명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문화 아동 대상 교육 문제가 대두되고 연구 성과도 누적되고 있으나, 아직도 이들을 위한 여러 제반 조건들은 매우미홉한 상황이므로 다문화 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수 학습방법 연구는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언어교육과 문화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특별한 상황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점들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독서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들을 긍정적으로 순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 문화와 역사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동화를 포함한 문학 한국어 교재 개발을 제안하여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동화는 교훈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해 쉽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실을 전달하는 설명적인 글을 읽을 때와는 달리 호기심과 문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감상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아동을 위한 문학 한국어 교재는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의 자신감을 신장시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기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textbook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by using literary texts. There are lately 46 thousan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hese children is expected to keep growing in the future. So how to educate these children is now one of social issues, into which prolong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directed, achieving results. In fact, however, their situations and environments can never be said to be good enough, and it`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separate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for their s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likely to face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ir peculiar situations, and developing a Korean reading textbook by utilizing literary texts is especially worth doing in that it`s possible for them to not only receive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but also cleanse their psychology in reading process. In this study, how to develop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by using historical fairy tales to make Korean culture and history more accessible to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as suggested in detail. Historical fairy tales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history dye to their lessons and literary value. Another reason is that learners are able to exert their literary imagination while they appreciate these fairy tales, which cannot happen when they read an expository writing that describes facts.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stirs up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hereby is effective at improving Korean proficiency, and that is expected to instill confidence in learners to foster their positive thinking as well.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 현황과 특성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상호 소통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번역을 통한 문학 교류는 한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이해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아동문학 역시 해외 독자들에게 여러 언어로 번역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입 도서에 비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적극적인 수출을 위해,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로 번역된 현황과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의 경우 창작동화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그림책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번역되었다. 불어권은 ??고양이 학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창작동화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 추세였다. ??고양이 학교??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 한국적인 풍습과 세계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일어권은 이전에는 그림책에 관심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창작동화에 관심을 보였다. 창작동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처한 환경적인 영향으로 어려움에 있는 주인공들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희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번역되었다. 세 언어권을 중심으로 해외에 번역된 한국 아동문학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담은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한국에 수입되는 도서에 비하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해외로 번역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에 빠져서 한국적인 것만을 주제로 한 작품 소개는 피해야 한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고유성과 상대 국가의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works as very important medium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hich use different languages. Exchanges in literature via translation are becoming powerful measures to help disseminating and understanding one country"s culture to the other effectively. Korean"s juvenile literature also introduced many translated languages, but still imported books have taken up a lot of space compared to exported books. This thesis is started with the concept that we should study status and character of exported books first, for the more energetic exportation in Korean"s juvenile literature. Consequentl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fantasy based created children"s books and picture books which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e translated. In Francophone countries, ??School for cats??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with readers. It was definitely remarkable in exported created children"s book. Thank you for the popularity of ??School for cats??, Francophone countries are starting to get interest in Korean"s book. As a result many korean atmosphere books are translated. In Japan, they a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at first, but started to get interest in created children"s books later. Because of their own environment, particular kind of books are translated which have a story of one character who gets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has a successful life. Distinctively, exported Korean juvenile literature reflects Korean"s culture and spirit. But still, compared to imported books, the percentage of exported books is really inadequate. Thus it"s really urgent to translate the various writers’ diverse stories, bu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the concept that we always have to write the story based on Korean culture. In the end, to get our books exported actively, we have to consider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other country"s taste.

      • KCI등재후보

        아동문학 사전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연구 - 영미 아동문학 사전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치범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52

        이 글은 아동문학 사전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의 특징을 표제어와 표제어 설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전의 의의와 한계를 도출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영미의 아동문학 사전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2nd edition)를 비교항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100개의 키워드’는 첫째, 표제어를 연대별로 배치하여 표제어에 한국 아동문학사적 맥락을 부여하였다. 둘째, 한국 아동문학사의 실체와 담론을 포괄하는 표제어를 선정하고 이들을 아동문학사 기술에 적절한 방식으로 배치하였다. 셋째, 한국적 맥락의 개념과 용어 중심으로 표제어를 선정하거나 표제어 설명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표제어 설명 구성 방식에 있어 ‘100개의 키워드’는 주로 ‘개괄-주요 작가와 작품-평가와 전망’의 틀을 따른다. 이러한 특성은 ‘널리 인정되는 정보의 제공’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100개의 키워드’는 한국의 어린이날 선언 100주년을 기념하는 성과물이자, 한국 아동문학 연구의 성과를 집대성하는 자료, 한국 아동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간명한 문장으로 서술하여 한국 아동문학에 관해 널리 인정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논쟁적 요소가 약화되고, ‘한국 아동문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표제어가 일부 누락되었으며, 한국 아동문학사의 연대를 10년 단위로 구분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dictionary: 100 Keywords for Korean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headings and descriptions of the headings, and to deriv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dictionary based on thi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dictionary: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 (2nd edition) was used as a comparison. As a result, ‘100 Keywords', firstly, gives the headings a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y arranging the headings by chronological period. Secondly, it selected headings that encompass the substance and discourse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and arranged them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children's literature history-technology. Thirdly, it selected headings or constructed descriptions of the headings centered on concepts and terms in the Korean context; and in the way of organising the descriptions of the headings, '100 Keywords' mainly follows the framework of 'Overview - Major Authors and Works - Evaluation and Outlook'. These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providing widely recognized information'. The ‘100 Keywords’ is significant for following three reasons; as a product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Children's Day in Korea, as a resource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and as a resource to provide widely accepted information about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y describ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simple sentences. However, it has limitations: the polemical element is weakened; necessary headings to understan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re missing; and the chronolog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is divided into decade-by-decade units.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